KR101843904B1 -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 Google Patents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904B1
KR101843904B1 KR1020160114999A KR20160114999A KR101843904B1 KR 101843904 B1 KR101843904 B1 KR 101843904B1 KR 1020160114999 A KR1020160114999 A KR 1020160114999A KR 20160114999 A KR20160114999 A KR 20160114999A KR 101843904 B1 KR101843904 B1 KR 10184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gusset
tension
fixing plat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840A (ko
Inventor
강현구
전병갑
조영욱
김용남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9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 B28B23/043Wire anchoring or tensioning means for the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텐션을 위한 긴장재(1)의 말단이 정착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에 있어서, 정착판(200); 상기 정착판(200)의 심부에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긴장재(1)가 통과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0); 및 상기 정착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거셋(300);을 포함하되, 상기 거셋(300)의 횡단면은 중심부가 만곡진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셋(300)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착구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강재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Post-Tensioned Anchor}
본 발명은 토목 및 건축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위한 포스트텐션 공법에 사용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는 건물, 교량 등의 건축, 토목 공사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긴장재(tendon)를 매립하여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수단이다.
즉, 외부하중이 작용하기 전에 긴장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응력을 도입(프리스트레스)함으로써 외부하중의 작용 후에도 콘크리트의 단면 내에 인장응력이 최소화된다.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은 콘크리트가 균열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어떠한 역할도 수행하지 않고 균열이 발생하면 균열의 폭을 줄이기 위한 인장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는 미리 도입된 압축력으로 인장응력을 상쇄하므로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상쇄된 하중만큼 처짐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과하중이 적재되어 발생한 작은 균열은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곧 폐합되고 원래의 성능을 회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공법은 크게 프리텐션(pre-tension) 공법과 포스트텐션(post-tension) 공법으로 구분된다. 프리텐션 공법은 거푸집 내의 소정 위치에 긴장재를 긴장시켜 놓고, 그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긴장재의 긴장력을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력을 부여하는 공법이다.
포스트텐션 공법은 거푸집 내에 다수의 플라스틱 관(쉬스관, sheath)을 배치시키고, 쉬스관 내측에 긴장재를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주입하여 양생하고 이후에 긴장재를 긴장시켜 마무리하는 방식과 강연선 주위를 그리스 등으로 처리한 비부착 텐던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포스트텐션 공법에서 긴장재의 말단을 정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포켓포머와 정착구 등이 사용된다.
다만, 종래의 정착구의 경우에는 포스트텐션 방식에 최적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조되어 왔기 때문에 과도한 재료가 사용되거나 구조적으로 불합리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트텐션 공법에 최적화된 정착구의 구조를 제시하여 정착구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강재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스트텐션 공법에 최적화된 정착구의 구조 및 수치를 제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스트텐션 공법에 최적화된 정착구의 구조 및 수치를 제시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스트텐션을 위한 긴장재(1)의 말단이 정착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에 있어서, 정착판(200); 상기 정착판(200)의 심부에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긴장재(1)가 통과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0); 및 상기 정착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거셋(300);을 포함하되, 상기 거셋(300)의 횡단면은 중심부가 만곡진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셋(300)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거셋(300)은 상기 몸체(100)와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는 슬리브 장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정착판(200)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장착부(120)는 상기 정착판(200) 하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판(200)의 중심부의 두께(a)가 단부의 두께(b)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외면까지의 거리(c)와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상기 거셋(300)의 바깥면까지의 거리(d)의 비는 1: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중심부의 두께(a)는 8 mm 이며, 상기 단부의 두께(b)는 6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셋(300) 종단면의 단부의 두께(e)는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셋(300) 종단면의 중심부의 두께(f)는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장착부(120)의 길이는 8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110)의 상부에는 상기 긴장재(1)를 긴장하는 긴장 장치가 지지될 수 있도록 단차(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130)에 결합되는 포켓포머(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포켓포머(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차(130)의 외주면에는 함몰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판(200)은 모서리가 만곡진 각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판(200)에는, 상기 몸체(100)와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포머(50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홈(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위한 포스트텐션 공법에 있어서, 거푸집(4)에 포켓포머(500)와, 긴장재(1)가 통과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몸체(100)를 포함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를 결합하는 제1 단계(S100); 슬리브의 일단을 상기 몸체(100) 하부에 형성된 슬리브 장착부(120)에 결합하고, 타단을 긴장재(1)가 삽입된 텐던피복(2)에 결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거푸집(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거푸집(4) 및 상기 포켓포머(500)를 제거하는 제4 단계(S400); 및 긴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긴장재(1)를 긴장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텐션 정착구는,
심부에 상기 몸체(100)가 형성된 정착판(200); 및 상기 정착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100)와 접촉된 거셋(300);을 포함하고, 상기 거셋(300)의 종단면은 아치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착구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강재의 양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텐션 공법이 적용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텐션 공법이 적용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부재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길이방향(A-A)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넓이방향(B-B)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가 포켓포머와 함께 거푸집에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슬리브 장착부의 최적 길이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아치의 최적 형태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최적의 거셋 간격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최적의 거셋 두께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각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하부의 표현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종단면은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가로방향의 단면을 의미하고, 횡단면은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세로방향의 단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는 기본적으로 정착판(200), 정착판(200)의 심부에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긴장재(1)가 통과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몸체(100) 및 정착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몸체(100)와 접촉된 거셋(300)을 포함한다(도 1).
거셋(300)은 정착구에 가하여지는 하중에 대한 대항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강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거셋(300)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하중에 의한 정착구의 응력발생을 최소화하여 내하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거셋(300)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된다.
거셋(300)의 횡단면은 중심부가 만곡진 아치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 7을 참조하면, 중심부가 만곡진 아치형상(2 type)인 경우에 가장 낮은 최대 폰 미세스 응력(Max von mises stress)이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장된 긴장재에 의해 정착구에 가하여지는 하중은 몸체 상부에 직접적으로 가하여지므로, 하중에 의한 뒤틀림 방지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거셋(300)은 몸체(100)와 접촉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몸체(100)의 하부에는 슬리브 장착부(120)가 형성된다(도 2).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형태를 파악하며, 몸체(100)는 정착판(200)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슬리브 장착부(120)는 정착판(200) 하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시된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거셋(300)의 구성이 구조적 안정성 및 부재 사용의 효율성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정착구의 형태에 관한 비율 및 수치를 도 6 내지 도 9에 첨부된 실험데이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착구의 각 부분에 대한 최적화는 소정의 수치를 적용한 구조해석 모델에 하중을 가하여 폰 미세스 응력(Von Mises Stress)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하기의 표에서 제시되는 소정의 수치 이외의 요인들은 동일하게 적용하여 실험이 수행되었다.
최대 폰 미세스 응력이란 유한요소법을 활용한 구조해석에 있어서, 하중을 받고 있는 부재의 각 지점에서 발생하는 세 방향의 수직응력(normal Stress)과 전단응력(Shear stress)을 조합하여 재료의 항복이 발생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각 위치의 응력을 등가의 1축 압축 또는 인장응력으로 투영시킨 것이며 폰미세스 응력이 작게 나타날수록 부재가 항복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고, 구조적 안전성도 높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착판(200)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형태를 파악할 때, 정착판(200)의 중심부의 두께(a)는 정착판(200) 단부의 두께(b)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정착판(200)의 중심부에 형성된 몸체(100)에는 긴장재(1)의 압축력이 재하되므로, 정착판(200)의 중심부를 보강하여 정착판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적은 하중이 작용하는 정착판(200)의 단부는 두께를 줄임으로써,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전체 하중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중심부의 두께(a)는 8 mm 이며, 단부의 두께(b)는 6 mm 인 것이 최적이다.
삭제
이 경우 거셋(300)의 형성 위치는, 거셋(300)의 외측면과 몸체(100)의 외주면이 같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외면까지의 거리(c)와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거셋(300)의 바깥면까지의 거리(d)의 비가 1:1 인 경우에 가장 높은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d/c 값이 1인 경우 가장 낮은 최대 폰 미세스 응력(Max von mises stress)이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셋(300) 종단면의 단부의 두께(e) 및 거셋(300) 종단면의 중심부의 두께(f)는 모두 5 mm 인 것이 가장 높은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단면의 단부의 두께(e) 및 거셋(300) 종단면의 중심부의 두께(f)가 모두 5 mm 인 경우에 가장 낮은 최대 폰 미세스 응력(Max von mises stress)이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이 경우 슬리브 장착부(120)의 길이는 8 mm 인 것이 가장 높은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리브 장착부(120)의 길이는 8 mm 인 경우에 가장 낮은 최대 폰 미세스 응력(Max von mises stress)이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에 구비된 관통홀(110)의 상부에는 긴장재(1)를 긴장하는 긴장 장치가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130)를 평활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정착판(200)은 모서리가 만곡진 각형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응력집중 부위를 최소화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정착판(200)의 각진 형상의 모서리를 제거하여 정착판(2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부재 사용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정착판(200)의 종단면은 단면의 길이가 가장자리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대되며, 횡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정착판을 제작하는 주형에서 정착판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정착판(200)에는 포켓포머(500) 및 형틀에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도 5).
포켓포머(500)는 정착구의 관통홀(11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4)과 정착구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홀(110)의 입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정착구와 결합된다(도 5).
포켓포머(500)가 결합된 상태로, 거푸집(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에 거푸집(4)과 포켓포머(500)를 제거하면, 관통홀(11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켓포머(500)는 정착구와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부재(6)를 이용하여 포켓포머(500)와 정착구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정착판(200)에는 결합부재(6)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체결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장착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위한 포스트텐션 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텐션 장착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위한 포스트텐션 공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포스트텐션 정착구와 쉬스관(2)의 연결을 위한 슬리브(5)의 일단을 정착구의 몸체(100) 하부에 형성된 슬리브 장착부(120)에 결합하고, 슬리브(5)의 타단을 긴장재(1)가 삽입된 텐던피복(2)에 결합시킨다(S100).
포켓포머(500)와 포스트텐션 정착구의 결합은 상술된 바와 같다.
이후, 거푸집(4)에 포켓포머(500)와 긴장재(1)가 통과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몸체(100)를 포함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를 결합한다(S300).
이후, 거푸집(4)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300).
이후, 거푸집(4)의 해체 조건이 만족되면 거푸집(4) 및 포켓포머(500)를 제거한다(S400).
긴장 장치를 이용하여 긴장재(1)를 긴장한다(S500).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
200 : 정착판
300 : 거셋
500 : 포켓포머

Claims (15)

  1. 포스트텐션을 위한 긴장재(1)의 말단이 정착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에 있어서,
    정착판(200);
    상기 정착판(200)의 심부에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긴장재(1)가 통과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0); 및
    상기 정착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거셋(300);을 포함하되,
    상기 거셋(300)의 횡단면은 중심부가 만곡진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셋(300)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거셋(300)은 상기 몸체(100)와 접촉되고,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는 슬리브 장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정착판(200)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장착부(120)는 상기 정착판(200) 하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정착판(200)의 중심부의 두께(a)가 단부의 두께(b)보다 두꺼우며,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외면까지의 거리(c)와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상기 거셋(300)의 바깥면까지의 거리(d)의 비는 1:1 이고,
    상기 중심부의 두께(a)는 8 mm 이며, 상기 단부의 두께(b)는 6 mm 이며,
    상기 거셋(300) 종단면의 단부의 두께(e)는 5 mm 이고,
    상기 거셋(300) 종단면의 중심부의 두께(f)는 5 mm 이며,
    상기 슬리브 장착부(120)의 길이(g)는 8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10)의 상부에는 상기 긴장재(1)를 긴장하는 긴장 장치가 지지될 수 있도록 단차(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130)에 결합되는 포켓포머(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포켓포머(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차(130)의 외주면에는 함몰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200)은 모서리가 만곡진 각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200)에는, 상기 몸체(100)와 거푸집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포머(50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홀(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정착구.
  15. 제14항의 포스트텐션 정착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위한 포스트텐션 공법에 있어서,
    슬리브의 일단을 상기 슬리브 장착부(120)에 결합하고, 타단을 긴장재(1)가 삽입된 텐던피복(2)에 결합시키는 제1 단계(S100);
    거푸집(4)에 포켓포머(500)와, 상기 포스트텐션 정착구를 결합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거푸집(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거푸집(4) 및 상기 포켓포머(500)를 제거하는 제4 단계(S400); 및
    긴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긴장재(1)를 긴장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텐션 공법.

KR1020160114999A 2016-09-07 2016-09-07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KR10184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99A KR101843904B1 (ko) 2016-09-07 2016-09-07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99A KR101843904B1 (ko) 2016-09-07 2016-09-07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40A KR20180027840A (ko) 2018-03-15
KR101843904B1 true KR101843904B1 (ko) 2018-03-30

Family

ID=6165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999A KR101843904B1 (ko) 2016-09-07 2016-09-07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676B1 (ko) 2018-09-04 2019-01-17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3309B (zh) * 2019-03-01 2024-02-13 天津银龙预应力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预应力轨道板张拉装置
CN111648603A (zh) * 2020-06-30 2020-09-11 贵州建工集团第一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预应力张拉锚板台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676B1 (ko) 2018-09-04 2019-01-17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40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521B1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elements with pre-stressing connectors
KR101843904B1 (ko)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KR101222620B1 (ko) 프리텐셔닝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 이의 제작 및 교량 시공방법
JP2013155514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トラス構造、その製造方法および型枠装置
US20170191268A1 (en) Pre-Stressed Concrete Body
CA3004963C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substrate in concrete structure
KR101319509B1 (ko)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KR101232330B1 (ko) 코아부와 메인빔을 이용하여 제작된 거더,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471648B1 (ko) 하이브리드 텐던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257941B1 (ko) 강 박스 거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077385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KR101374701B1 (ko) 바이프레스 압축재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빔 제작방법
KR20150072798A (ko)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KR101404477B1 (ko) 종방향 분절형 거더
KR101741204B1 (ko) 다중 성형식 합성보
KR101754301B1 (ko) 순차 결속식 복합 트러스보 시공방법
KR101402620B1 (ko) 슬래브교용 하프피씨슬래브를 이용한 합성 슬래브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760655B1 (ko) 중립축 이동을 이용한 고강성 psc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psc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2005330758A (ja) 既設コンクリート壁の増し打壁工法及び増し打壁構造
JP6839622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製造方法
JP2009281141A (ja) 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ユニット、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及び中空床版橋梁の施工方法
KR101674103B1 (ko) 선제작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fcm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
KR100655653B1 (ko) 브라켓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합성보의 현장제작방법
KR20160078150A (ko)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7211496A (ja) プレストレスト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