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447B1 -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447B1
KR101936447B1 KR1020137012277A KR20137012277A KR101936447B1 KR 101936447 B1 KR101936447 B1 KR 101936447B1 KR 1020137012277 A KR1020137012277 A KR 1020137012277A KR 20137012277 A KR20137012277 A KR 20137012277A KR 101936447 B1 KR101936447 B1 KR 10193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acetylene
catalyst
support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180A (ko
Inventor
에이스케 하바
스구루 노다
게이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1/005Constitution or structural means for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9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 B82B3/0038Manufacturing processes for 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82B3/0014 - B82B3/00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22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arbon-to-carbon triple bonds
    • C07C11/24Acet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2Boron or 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4Alumin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틸렌,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로 이루어지는 원료 가스를, 촉매를 담지시킨 지지체 상에 유통시킴으로써, 지지체 상에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시키는 합성 공정을 갖고, 원료 가스에 있어서, 아세틸렌의 분압이 1.33×101 ∼ 1.33×104 Pa 이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1.33×101 ∼ 1.33×104 Pa 이며, 또한, 아세틸렌과 이산화탄소의 분압비 (아세틸렌/이산화탄소) 가 0.1 ∼ 10 인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S}
본 발명은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본 나노 튜브는 그라펜 시트를 통상으로 감은 구조를 갖고, 애스팩트비가 매우 큰 1 차원 구조를 갖는 재료이다 (비특허문헌 1 을 참조). 카본 나노 튜브는 기계적으로 훌륭한 강도와 유연성, 반도체적 또 금속적 도전성, 또한 화학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인 성질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은 아크 방전법, 레이저 증발법, 화학 기상 성장법 (이하,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법이라고 한다) 등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CVD 법은 대량 합성, 연속 합성, 고순도화에 적합한 합성 방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합성법이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2 를 참조).
특히, 단층 카본 나노 튜브 (이하, 「SWCNT」라고 한다) 는 감는 방법이나 그 직경에 따라 금속적 성질, 반도체적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어 있고, 전기 전자 소자 등에 대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SWCNT 의 합성에는, 나노 튜브를 성장시키는 촉매 CVD 법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3 을 참조) 이 주류가 되어 있다. 이 촉매 CVD 법은 금속의 나노 입자를 촉매로 한다. 그리고, 기체의 탄소원을 공급하면서, 고온에서 탄소원을 열분해하고, 촉매 금속의 나노 입자로부터 나노 튜브를 성장시킨다.
S.Iijima, Nature 354, 56 (1991). 사이토 리이치로우, 시노하라 히사노리 공동편찬 「카본 나노 튜브의 기초와 응용」바이후칸, 2004년 H. Dai, A. G. Rinzler, P. Nikolaev, A. Thess, D. T. Colbert, and R.E. Smalley, Chem. Phys. Lett. 260, 471 (1996).
촉매 CVD 법에 있어서, 탄소원으로서 아세틸렌을 사용하는 경우, 아세틸렌이 저농도이면, 카본 나노 튜브는 성장 가능하지만 원료 공급량이 적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고, 또, 장척의 카본 나노 튜브를 얻는 데에 시간이 걸린다. 한편, 아세틸렌을 고농도로 하면, 촉매의 탄화 실활을 조장하여, 카본 나노 튜브의 성장이 정지되기 때문에, 역시 장척의 카본 나노 튜브가 얻어지지 않는다. 촉매의 탄화 실활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물을 미량으로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물의 첨가량의 엄밀한 제어가 필요해지는 데다가, 아세틸렌을 고농도로 했을 때의 촉매 실활의 억제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기술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아세틸렌을 고농도로 공급한 경우에도 촉매 실활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고, 장척의 카본 나노 튜브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아세틸렌과, 아세틸렌으로부터 카본 나노 튜브를 생성하기 위한 촉매를 사용하고, 반응기 중에 배치된 가열 상태의 지지체 상에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하는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으로서, 아세틸렌,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로 이루어지는 원료 가스를, 촉매를 담지시킨 지지체 상에 유통시킴으로써, 지지체 상에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시키는 합성 공정을 갖고, 원료 가스에 있어서, 아세틸렌의 분압이 1.33×101 ∼ 1.33×104 Pa 이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1.33×101 ∼ 1.33×104 Pa 이며, 또한, 아세틸렌과 이산화탄소의 분압비 (아세틸렌/이산화탄소) 가 0.1 ∼ 10 인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아세틸렌,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로 이루어지는 원료 가스를 사용함과 함께, 원료 가스 중의 아세틸렌 및 이산화탄소의 분압, 그리고, 그들 분압비를 상기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아세틸렌을 고농도로 공급한 경우에도 촉매 실활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고, 장척의 카본 나노 튜브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추찰한다. 즉, CVD 중의 카본 나노 튜브의 성장 정지는 촉매 입자의 오스트발트 숙성에 의한 조대화에서 기인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첨가는 촉매 원자의 표면 확산을 억제하고, 촉매 입자의 조대화를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장척의 카본 나노 튜브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이산화탄소는 물과는 상이하고 고농도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미량 제어의 필요가 없고, 또, 아세틸렌을 고농도로 했을 경우에도 촉매 실활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어, 대량 생산에 바람직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원료 가스에 있어서, 아세틸렌의 분압이 6.67×101 ∼ 6.67×103 Pa 이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6.67×101 ∼ 6.67×103 Pa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평균 직경의 변화를 2 ㎚ 이하로 억제하면서, 단시간에 300 ㎛ 이상의 길이로 카본 나노 튜브를 성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합성 공정에 있어서,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 시간을 1 분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동일 촉매로부터 카본 나노 튜브를 300 ㎛ 이상 성장시키는 것, 및, 촉매에 대한 카본 나노 튜브의 수량을 체적비로 1 만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서는, 지지체가 분말상, 비즈상, 허니컴상, 다공질상, 화이버상, 튜브상, 와이어상, 망상, 격자상, 스펀지상, 판상 및 층상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상을 갖는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가 이와 같은 형상이면, 기판법이나 유동층법 등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의 반응기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용어의 정의]
본 발명의 명세서,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한다.
「카본 나노 튜브」는 그라펜 시트를 통상으로 감은 구조를 가진, 미세한 구조물을 말한다.
「지지체」는 촉매, 촉매 담체 (담체층) (구체예는 후술한다) 등을, 반응기 중에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이고, 고체 재료로 되어 있다. 촉매는, 예를 들어, 촉매의 원료를 기체화시키고, 그 기체 원료를 지지체 상에 접촉시킴으로써 담지할 수 있다. 또는, 촉매는 촉매의 원료를 지지체 상에 부착시키고, 가열 처리함으로써 지지체에 담지시킬 수 있다.
「촉매」란, 지지체 상에 담지된 것으로, 일반적인 촉매를 의미한다. 「촉매」에 아세틸렌을 공급하여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할 때, 「촉매」는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의 중개, 촉진, 효율화 등의 작용을 하고, 그것에 의해 아세틸렌으로부터 카본 나노 튜브가 합성된다. 또, 「촉매」의 작용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가 합성된다. 「촉매」는 아세틸렌을 도입하여, 카본 나노 튜브를 토출하는 역할을 갖는 재료를 의미한다. 또한, 「촉매」는 나노미터 오더의 크기를 갖는 나노 입자를 의미한다.
「촉매 담체」(담체층) 란, 촉매의 나노 입자가 부착되어 있는 재료를 말한다. 「촉매 담체」는 지지체 상에 형성되고, 그 위에 금속 나노 입자의 촉매가 담지된다. 지지체가 촉매 담체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은 탄소가 촉매 상에 튜브상의 구조를 만들면서 성장하는 것을 말한다.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의 동의어로서 「카본 나노 튜브의 성장」을 사용한다.
「원료 가스」는 아세틸렌,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 (캐리어 가스) 로 이루어지는 혼합 가스를 말한다.
「반응기」는 그 중에 지지체가 배치된 장치이며, 촉매 담체의 원료, 촉매의 원료, 아세틸렌을 포함하는 원료 가스, 캐리어 가스, 분리 가스 등의 기체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합성 후의 기체류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이 접속되어 있는 밀폐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세틸렌을 고농도로 공급한 경우에도 촉매 실활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고, 장척의 카본 나노 튜브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 관련된 제조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기판 상에 생성된 카본 나노 튜브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경우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하는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 상에 원료 가스를 유통시킴으로써 카본 나노 튜브의 생성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에 대해, 요소마다 각각 설명한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은 아세틸렌과, 아세틸렌으로부터 카본 나노 튜브를 생성하기 위한 촉매를 사용하고, 반응기 중에 배치된 가열 상태의 지지체 상에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하는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이다. 이 제조 방법은 아세틸렌,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로 이루어지는 원료 가스를, 촉매를 담지시킨 지지체 상에 유통시킴으로써, 지지체 상에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시키는 합성 공정을 갖는다.
상기 원료 가스에 있어서, 아세틸렌의 분압은 1.33×101 ∼ 1.33×104 Pa 이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은 1.33×101 ∼ 1.33×104 Pa 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틸렌의 분압은 6.67×101 ∼ 6.67×103 Pa 이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은 6.67×101 ∼ 6.67×103 Pa 이다. 또, 아세틸렌과 이산화탄소의 분압비 (아세틸렌/이산화탄소) 는 0.1 ∼ 10 이다. 이들에 의해, 장척 (예를 들어, 300 ㎛ 이상) 의 카본 나노 튜브를 고속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반응 온도]
또,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서는, CNT 성장시의 온도 (= 반응 온도 = 지지체의 온도) 를 500 ℃ 이상 1000 ℃ 이하로 유지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 이상 900 ℃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NT 성장시의 온도의 바람직한 상한을 1000 ℃ 로 한 것은 아세틸렌이 열분해하여 그을음이 되는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또, 지지체의 온도의 바람직한 하한을 500 ℃ 로 한 것은 촉매가 활성을 유지하여, 카본 나노 튜브를 보다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관점에서이다.
[반응 시간]
상기 합성 공정에 있어서,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을 1 분간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100 분간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카본 나노 튜브의 길이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의 목적에 따라 변한다. 합성 시간이 길면, 긴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을 할 수 있다. 이 합성 시간은 재료의 종류, 필요한 카본 나노 튜브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서술한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체]
지지체는, 내열성, 내부식성, 내약품성, 기계적 강도 특성 등이 양호한 이유로부터, 세라믹스를 재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에는, O, N, C, Si, Al, Zr 및 Mg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공지된 산화물계, 질화물계, 탄화 규소계 등의 세라믹스를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지지체는 세라믹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W, Ta, Mo, Ti, Al, Fe, Co, 및 Ni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소재나, 탄소를 사용해도 된다.
지지체의 가열은 그 지지체를 직접 가열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수단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특히, 고온으로 가열된 가열로 내에 지지체를 배치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카본 나노 튜브를 열 CVD 법에 의해 합성한다. 이 열 CVD 법은 기체, 또는 액체 원료를 기화하고, 그 증기의 기상 중, 혹은 기재 표면에서의 화학 반응에 의해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지지체를 가열함으로써 촉매를 고온화하고, 아세틸렌을 포함하는 원료 가스를 공급하여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을 실시한다.
이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에너지를, 기재나 반응 용기벽으로부터 열에너지의 형태로 부여하는 것이 열 CVD 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 가열 방법은 반응기 전체를 가열로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지지체를 통전 가열함으로써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해도 된다. 요컨대, 반응기 전체를 가열로에 의해 가열하는 대신에, 지지체를 통전 가열함으로써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해도 된다.
[담체]
촉매 담체 (담체층) 는 바람직하게는 Si, Al, Mg, Zr, Ti, O, N, C, Mo, Ta 및 W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원소를 포함함다. 예를 들어, 촉매 담체는 SiO2, Al2O3 이나 MgO 등의 산화물, Si3N4 나 AlN 등의 질화물, SiC 등의 탄화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특히 Al2O3-SiO2 의 복합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촉매는 성분에 V, Cr, Mn, Fe, Co, Ni, Cu, Zn, Mo, W 및 Au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 촉매는 상기 서술한 촉매 담체 (담체층) 또는 촉매 담체를 겸한 지지체 상에 형성된다. 촉매의 크기는 직경이 0.4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는 Fe 또는 Co 인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 담체와 촉매의 조합으로는, 카본 나노 튜브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촉매 담체가 Al2O3 이고, 촉매가 Fe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직경이 작은 카본 나노 튜브를 효율적으로 얻는 관점에서는, 촉매 담체가 Al2O3 이고, 촉매가 Co 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가스의 공급]
원료 가스는 아세틸렌, 이산화탄소 및 캐리어 가스로 이루어진다. 아세틸렌은 반응기 내에 기체 상태로 공급된다. 캐리어 가스는 카본 나노 튜브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질소 및 아르곤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수소 등을 사용해도 된다.
원료 가스를 바람직하게는 1.013×103 Pa (0.01 기압) 내지 1.013×106 Pa (10 기압) 로 지지체 상에 유통시킴으로써 열 CVD 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원료 가스를 1.013×103 Pa (0.01 기압) 내지 1.013×106 Pa (10 기압) 로 전술한 촉매에 송기시킴으로써,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을 실시한다.
원료 가스에 있어서, 아세틸렌의 분압은 1.33×101 ∼ 1.33×104 Pa (0.1 ∼ 100 Torr) 이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은 1.33×101 ∼ 1.33×104 Pa (0.1 ∼ 100 Torr) 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틸렌의 분압은 6.67×101 ∼ 6.67×103 Pa (0.5 ∼ 50 Torr) 이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은 6.67×101 ∼ 6.67×103 Pa (0.5 ∼ 50 Torr) 이다.
또, 원료 가스에 있어서, 아세틸렌과 이산화탄소의 분압비 (아세틸렌/이산화탄소) 는 0.1 ∼ 10 이고, 0.15 ∼ 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 ∼ 0.7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세틸렌 및 이산화탄소의 상기 분압 및 분압비를 이들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장척 (예를 들어, 300 ㎛ 이상) 의 카본 나노 튜브를 단시간에 성장시킬 수 있다.
[생성물]
합성된 카본 나노 튜브의 직경은 0.4 ㎚ 이상 10 ㎚ 이하이면 된다. 카본 나노 튜브의 직경은 촉매의 종류, 그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이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본 나노 튜브의 길이는 합성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짧은 카본 나노 튜브를 필요로 하는 용도인 경우에는, 합성 시간을 짧게 한다. 긴 카본 나노 튜브를 필요로 하는 용도인 경우에는, 합성 시간을 길게 한다.
카본 나노 튜브는 단층인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카본 나노 튜브는 1 층 이상 10 층 이하의 층으로 구성되면 된다.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은 각종 구조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가 가능하지만, SWCNT 의 제조에 적합한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서는, 촉매의 크기, 성분을 제어함으로써, 각종 구조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가 가능하다.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SWCNT 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곤란했지만,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SWCNT 의 생산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을 열 CVD 법으로 실시하는 경우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반응기 (21) 는 일단이 닫힌 횡치형의 원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용기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한 원료 가스 공급관 (25) 을 구비하고 있다. 반응기 (21) 의 주위에는 가열기 (24) 가 설치되어 있다. 촉매가 담지된 지지체 기판 (23) 은 석영 보트 (22) 에 재치 (載置) 되어, 반응기 (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촉매를 담지하는 지지체에는, 기판 이외에도, 예를 들어, 분말상, 비즈상, 허니컴상, 다공질상, 화이버상, 튜브상, 와이어상, 망상, 격자상, 스펀지상, 층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담체 및 촉매의 담지]
지지체 기판 (23) 에, 스퍼터법 등에 의해 담체 원료 및 촉매 원료를 담지한다. 지지체에 담체의 기능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때에는 담체를 반드시 담지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지지체 기판 (23) 을 반응기 (21) 내에 설치하여, 캐리어 가스 유통하에서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한다.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에 있어서는, 기판상에서 촉매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주지된 컴바이너토리얼 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S. Noda, et al., Jpn. J. Appl. Phys. 46 (17), 399-401 (2007).을 참조). 본 수법을 사용함으로써, CNT 장척화의 최적 촉매 조건의 탐색을 대폭 간략화할 수 있다.
[지지체 상에서의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
상기와 같이 가열된, 촉매가 담지된 지지체 기판 (23) 상에 원료 가스 공급관 (25) 을 통해서 아세틸렌을 포함하는 원료 가스를 유통시키면, 지지체 기판 (23) 상에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아무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기판 (지지체) 으로서 석영 기판을 사용하고, 촉매는 그 기판 상에 스퍼터 막형성하였다.
촉매 담지할 때에는, 이미 알려진 컴바이너토리얼 수법을 사용하였다. 즉, Al 을 기판 상에 경사 담지시키고, 그 후 챔버를 공기 개방하였다. 그 후 Fe 를 Al 과 직교 방향에서 경사 담지하고, Al 및 Fe 의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Al 의 막두께는 기판폭 15 ㎜ 의 양단부가 각각 60 ㎚ 내지 1 ㎚, Fe 의 막두께는 기판폭 15 ㎜ 의 양단부가 각각 4 ㎚ 내지 0.1 ㎚ 가 되도록 분포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촉매를 담지시킨 기판을, 도 1 에 나타내는 반응기 내에 설치하였다. 반응 온도는 800 ℃ 로 하고, 1.2 Torr 아세틸렌/7.6 Torr 이산화탄소/아르곤 balance 로 상압의 원료 가스를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반응 시간은 30 분으로 하였다.
생성된 카본 나노 튜브의 길이를 자로 측정하여,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생성된 카본 나노 튜브의 외관을 도 2 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촉매의 담지에 컴바이너토리얼 수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생성된 카본 나노 튜브의 높이에 횡방향의 분포가 있다. 도 2 는 Fe 의 경사 방향과 수직으로, 카본 나노 튜브의 측면에서 촬영한 카본 나노 튜브의 성장 높이를 나타내고 있고, 가장 높게 성장한 영역 (Fe 촉매 막두께 0.6 ㎚ 영역) 에서 높이 3.5 ㎜ 까지 성장하였다.
(실시예 2 ∼ 7)
아세틸렌 및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 7 의 카본 나노 튜브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카본 나노 튜브의 길이를 각각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 4)
아세틸렌 및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 4 의 카본 나노 튜브를 제조하려고 시도했지만, 카본 나노 튜브의 생성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는 없었다.
Figure 112013041799839-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은 장척의 카본 나노 튜브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그 제조 비용도 크게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카본 나노 튜브의 용도는 투명 전극, 반도체 박막,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 재료, 연료 전지의 전극 재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 재료, 컴포지트 폴리머의 필러 재료, 전자 방출 총,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현미경 프로브, 가스 흡장 재료 등에 대한 응용이 주목받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단층 카본 나노 튜브의 용도는 투명 전극,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 재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 재료 등에 대한 응용이 주목받는다.
21 : 반응기
22 : 석영 보트
23 : 지지체 기판
24 : 가열기
25 : 원료 가스 공급관

Claims (4)

  1. 아세틸렌과, 그 아세틸렌으로부터 카본 나노 튜브를 생성하기 위한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기 중에 배치된 가열 상태의 지지체 상에 상기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하는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아세틸렌,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로 이루어지는 원료 가스를, 상기 촉매를 담지시킨 상기 지지체 상에 유통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체 상에 상기 카본 나노 튜브를 합성시키는 합성 공정을 갖고,
    상기 원료 가스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렌의 분압이 1.33×101 ∼ 1.33×104 Pa 이며,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1.33×101 ∼ 1.33×104 Pa 이고, 또한, 상기 아세틸렌과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비 (아세틸렌/이산화탄소) 가 0.1 ∼ 0.7 인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가스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렌의 분압이 6.67×101 ∼ 6.67×103 Pa 이며, 상기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6.67×101 ∼ 6.67×103 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 튜브의 합성을 1 분간 이상 실시하는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분말상, 비즈상, 허니컴상, 다공질상, 화이버상, 튜브상, 와이어상, 망상, 격자상, 스펀지상, 판상 및 층상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상을 갖는 구조물인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KR1020137012277A 2010-10-26 2011-10-26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KR101936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9584 2010-10-26
JPJP-P-2010-239584 2010-10-26
PCT/JP2011/074720 WO2012057229A1 (ja) 2010-10-26 2011-10-26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180A KR20140009180A (ko) 2014-01-22
KR101936447B1 true KR101936447B1 (ko) 2019-01-08

Family

ID=4599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277A KR101936447B1 (ko) 2010-10-26 2011-10-26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96435B2 (ko)
EP (1) EP2634138B1 (ko)
JP (2) JP6202359B2 (ko)
KR (1) KR101936447B1 (ko)
CN (1) CN103153849A (ko)
CA (1) CA2815678C (ko)
WO (1) WO2012057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671A (ko) * 2012-06-22 2015-03-20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징 도쿄다이가쿠 카본 나노 튜브 합성용 탄소 함유 금속 촉매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촉매 담지 지지체,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CN110002430A (zh) * 2012-06-22 2019-07-12 国立大学法人东京大学 碳纳米管及其制造方法
JP6492598B2 (ja) * 2014-12-04 2019-04-03 日立化成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WO2017145604A1 (ja) 2016-02-27 2017-08-31 学校法人早稲田大学 繊維状炭素ナノ構造体の製造方法
JP7136192B2 (ja) 2018-03-30 2022-09-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分離回収方法
CN108840346B (zh) * 2018-07-26 2021-12-10 塔里木大学 一种立式微波反应器制备蛭石碳纳米管复合材料的方法
CN110858651B (zh) * 2018-08-24 2021-04-02 清华大学 碳纳米管复合结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885A1 (ja) * 2008-12-30 2010-07-0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向集合体、バルク状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向集合体、粉体状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向集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7185C (zh) 2000-09-26 2005-06-22 天津南开戈德集团有限公司 碳纳米管的制备方法
JP4872154B2 (ja) * 2000-12-28 2012-02-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微細中空状炭素の製造方法
JP4697941B2 (ja) * 2005-05-11 2011-06-0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低級炭化水素の直接分解による機能性ナノ炭素及び水素の製造方法
JP2010229013A (ja) * 2009-03-27 2010-10-14 Chube Univ カーボン膜の作製方法およびカーボン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885A1 (ja) * 2008-12-30 2010-07-0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向集合体、バルク状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向集合体、粉体状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配向集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15678A1 (en) 2012-05-03
KR20140009180A (ko) 2014-01-22
EP2634138A1 (en) 2013-09-04
CN103153849A (zh) 2013-06-12
WO2012057229A1 (ja) 2012-05-03
CA2815678C (en) 2019-02-12
EP2634138B1 (en) 2018-01-10
US20130287674A1 (en) 2013-10-31
EP2634138A4 (en) 2014-03-19
JP6202359B2 (ja) 2017-09-27
JP2017019718A (ja) 2017-01-26
US9096435B2 (en) 2015-08-04
JPWO2012057229A1 (ja)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447B1 (ko) 카본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Koós et al. Effect of the experimental parameters on the structure of nitrogen-doped carbon nanotubes produced by aerosol chemical vapour deposition
Purohit et al. Carbon nanotubes and their growth methods
KR101785593B1 (ko) 카본 나노튜브 및 수소의 동시 제조 방법, 및, 카본 나노튜브 및 수소의 동시 제조 장치
Mubarak et al. An overview o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s
JP5549984B2 (ja) 高比表面積の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の製造方法
US20110085961A1 (en) Carbon nano-tube manfuacturing method and carbon nano-tube manufacturing apparatus
JP5831966B2 (ja)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と二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が任意比率で混合してなる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の製造方法
WO2007009112A2 (en) Membrane separation of feed and growth environments in carbon nanostructure growth
Yardimci et al. The effects of catalyst pretreatment, growth atmosphere and temperature on carbon nanotube synthesis using Co–Mo/MgO catalyst
JP6492598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5770166B2 (ja) 調整可能な新種のガス貯蔵材料及びガス感知材料
Das et al. Carbon nanotubes synthesis
JP2003277029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82374A (ja)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6338219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5549983B2 (ja) 高比表面積の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の製造方法
KR101158056B1 (ko) 촉매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한 탄소나노튜브 합성방법 및 그 장치
JP5429876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Barney Fabrication Techniques for Growing Carbon Nanotubes
WO2013191247A1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合成用炭素含有金属触媒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触媒担持支持体、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KR102669941B1 (ko) 섬유상 탄소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Dhore et al. Experimental Analysis and Power Law Model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Yield on Fe-Co-Ni Ternary Metal Catalyst
KR20180116270A (ko) 섬유상 탄소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Zakaria et al. Factors Affecting Carbon Nanotubes (CNTs) Synthesis via th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