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379B1 - 롤러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379B1
KR101935379B1 KR1020147000201A KR20147000201A KR101935379B1 KR 101935379 B1 KR101935379 B1 KR 101935379B1 KR 1020147000201 A KR1020147000201 A KR 1020147000201A KR 20147000201 A KR20147000201 A KR 20147000201A KR 101935379 B1 KR101935379 B1 KR 10193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roller
unit
ca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626A (ko
Inventor
피터 보드너
Original Assignee
피터 보드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보드너 filed Critical 피터 보드너
Publication of KR2014005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 A63C17/1427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the brake contacting other wheel associated surfaces, e.g. hubs, brake discs or wheel fl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22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transversely to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28Cams; Levers with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롤러 지지체(2)를 갖는 롤러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1)로서, 롤러(4)는 제 1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위치와 제 2 제동된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 가능한 브레이크 유닛(10)은 상기 롤러 지지체(2)에 대해 지지되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10)의 브레이크 작동력(19)은 하류의 트랜스미션 유닛(20)을 갖는 클러치 유닛(16)을 통해 상기 롤러(4)의 토크(23)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클러치 유닛(16)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개방된다.

Description

롤러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BRAKING DEVICE FOR ROLLER SKATES, SKATEBOARDS, OR THE LIKE}
본 발명은, 롤러가 제 1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위치와 제 2 제동된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지지체를 갖는, 롤러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롤러 스케이트,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는 종종 스케이트보드의 힐 영역 또는 후방 영역에 장착되는 고무 스토퍼에 의해 제동되고, 스토퍼는 전방 롤러가 상승되었을 때 그라운드에 접촉하여 위치된다. 단점은 제동 시의 감소된 조종가능성, 고무 스토퍼의 높은 마모, 긴 내리막길에서 발을 들어올릴 때 또는 그라운드가 현저히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 가해지는 힘이다.
종래 기술에서, 롤러 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트보드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로서, 수동으로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것(예를 들면, DE 100 48 786 A1 참조) 또는 스케이터의 하퇴 상의 클램프에 의해 작동되는 것(예를 들면, DE 103 33 378 A1 참조)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스케이터가 습득해야 하고 적응해야 할 제동 중의 특별한 신체 자세를 요구한다.
WO 01/64302 A1로부터 공지된 것은 축방향 힘을 가함으로써 롤러의 회전 차축에 대해 롤러를 선회시키는 것으로서, 이것은 롤러 스케이트 상의 베어링 프레임 내의 롤러 상에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제동 작용을 유발한다.
US 6 102 168은 다중 디스크 커플링 유형과 유사한, 그리고 롤러 내에 장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 모듈을 제공한다. 롤러를 경사시킴으로써 롤러에 축방향 힘이 가해지는 경우, 다중 디스크는 함께 가압되고, 따라서 휠은 제동된다. 브레이크 디스크 상에 작용하는 압력은 롤러 상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에 대응하고, 따라서 더 강한 제동 조작을 위해서는 롤러 스케이트가 더 경사진 위치에 있어야 하고, 따라서 이것은 불안정한 스케이팅 및 롤러 상의 극심한 비대칭 마모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 목적은 이들 단점을 극복하고,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적은 양의 힘으로 스케이팅 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절약하는 인체공학적 브레이크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앞에서 특정된 유형의 제동 장치에서 얻어지고, 이 제동 장치는 롤러 지지체에 대해 지지되는 작동 가능한 브레이크 유닛에 의해 구별되고, 이것의 브레이크 작동력은 하류의 트랜스미션 유닛을 갖는 클러치 유닛을 통해 롤러의 토크로부터 생성되고, 클러치 유닛은 제 1 위치에서 개방되고, 제 2 위치에서 폐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작동력은 토크의 디커플링(decoupling)에 의한 롤러의 회전 운동으로부터 생성된다-제동 장치는 실제로 "자기 증폭(self-amplifying)"된다. 클러치 유닛 및 트랜스미션 유닛으로 인해, 높은 제동력 및 이에 따라 강한 제동 작용이 경사가 미흡한 위치 및 이에 따라 더 낮은 축방향 힘에서도 얻어질 수 있고; 롤러 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트보드는 제어가 용이한 안정한 방식으로 스케이팅을 계속할 수 있다.
스케이팅 중의 불시의 제동을 방지하기 위해, 롤러는 롤러 지지체에 대해 제 1 위치를 향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롤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제 1 위치는 축방향 힘의 부재 하에서 롤러가 취하는 초기설정 위치가 된다.
바람직하게, 클러치 유닛은 롤러의 차축에 수직한 2 개의 커플링 표면을 갖고, 또 상호 마찰 맞물림될 수 있고, 이 표면 중 제 1 표면은 롤러에 회전 고정 상태로 접합되고, 제 2 표면은 토크가 디커플링될 수 있도록 차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롤러는 커플링 기능의 일부를 취하고, 제동 장치는 더 적은 수의 부품으로 더 콤팩트하게 구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커플링 표면은 브레이크 유닛의 브레이크 표면 내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동일한 브레이크 작동력으로 더 큰 제동 토크 및 이에 따라 더 큰 제동 작용을 얻는 더 큰 브레이크 표면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및 제 2 커플링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크 스프링이 제공되는 경우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디스크 스프링은, 축방향 힘이 감소되고, 또 롤러를 그것의 제 1 위치로 가압하는 경우에, 2 개의 커플링 표면을 분리시킨다. 제 1 위치를 향하는 롤러의 추가의 스프링 하중은 생략될 수 있고, 이것은 롤러의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경로 및 이에 따라 제동 제어까지의 경로를 매우 짧아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트랜스미션 유닛은 클러치 유닛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캠을 갖고, 이 캠은 브레이크 작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레버 상에 작용한다. 따라서, 디커플링된 토크 대 생성된 브레이크 작동력의 비는 캠 피치 및 레버 아암의 길이의 선택을 사용하는 설계에서 사전에 선택될 수 있다. 동시에, 캠의 사용은, 예를 들면, 브레이크 유닛을 위한 브레이크 표면의 마모와 무관한 제동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캠이 이러한 효과를 상쇄시키기 때문이다.
제동 후의 캠의 복귀를 촉진하기 위해, 캠은 그 작동 방향에 대항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도 있다.
더 큰 브레이크 작동력이 필요한 경우, 트랜스미션 유닛은 클러치 유닛과 캠 사이에서 작용하는 기어를 더 가질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은, 레버에 의해 작동되고 또한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브레이크 드럼 상에 작용하는 적어도 2 개의 브레이크 슈를 갖는 드럼 브레이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또한 폐쇄되고, 이에 따라 견고하고 내구성 있도록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제동 장치를 위한 매우 콤팩트한 구조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본 브레이크 유닛은, 레버에 의해 작동되고 또한 롤러 상에 구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 상에 작용하는 적어도 2 개의 브레이크 패드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일 수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더 균일한 제동력 분포를 유발하고,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또 드럼 브레이크와 같이 무겁지 않다.
하나의 유리한 변형례에서,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작동력에 대항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는다. 이것으로 인해, 브레이크 작동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들은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개방시키고, 이러한 방식으로 스케이팅 중의 원하지 않는 마모 또는 블로킹(blocking)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제동 장치는 일체로 구축되고, 롤러의 차축은 롤러 지지체에 대해 회전 고정식으로 접합되고, 레버 및 브레이크 슈의 양자 모두를 또는 이것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는 디스크형 브레이크 지지체가 롤러 지지체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차축 및 롤러 지지체를 교체함으로써 간단히 전체 제동 장치를 교환할 수 있다. 기존의 롤러 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는 문제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를 이용하여 개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비작동 상태의 본 발명의 제동 장치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회전 축선을 따르는 횡단면도이고;
도 2는 회전 축선에 대해 수직한 도 1의 제동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의 제동 장치의 비작동 상태(도 3a) 및 작동 상태(도 3b)의 기능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회전 축선을 따르는 개략 횡단면도로 도시된 롤러 지지체 내에 일체화된 드럼 브레이크(도 4) 또는 디스크 브레이크(도 5)를 갖는 본 발명의 제동 장치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이다.
도 1 및 도 2는 차축이 고정되는 롤러 지지체(2)를 갖는 롤러 스케이트, 인라인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1)를 도시한다. 롤러(4)는 2 개의 베어링(5)에 의해 차축(3) 상에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롤러(4)는 차축(3)에 회전 고정될 수 있고, 후자는 롤러 지지체(2)(도시되지 않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7)를 지지하는 다소 디스크 형상의 브레이크 지지체(6)는 차축(3) 상에 회전 고정 상태로 안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브레이크 요소(7)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외주면이 제 1 브레이크 표면(8)을 형성하도록, 6'에서 브레이크 지지체(6) 상에 지지되는 브레이크 드럼의 2 개의 브레이크 슈(7')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비작동 위치의 제동 장치(1)에서 간격을 두고 브레이크 슈(7')를 포위하는 제 2 브레이크 표면(9)은 롤러(4) 내에 구현된 내부 실린더 상에 배치된다. 브레이크 지지체(6), 제 1 브레이크 표면(8)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요소(7), 및 제 2 브레이크 표면(9)은 브레이크 유닛(10)을 형성한다.
그 브레이크 표면(9)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롤러는 차축(3)에 수직한 원형의 커플링 표면(11)을 더 갖는다. 제동 장치(1)가 비작동 위치에서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 제 1 커플링 표면(11)에 대략 일치하는, 그리고 제 1 커플링 표면(11)에 대향하는 제 2 커플링 표면(12)은 제 1 커플링 표면(11)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커플링 표면(12)은 차축(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는 적어도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커플링 디스크(13) 상에 안착된다. 제 1 및 제 2 커플링 표면(11, 12)은 스프링 요소(14), 예를 들면, 디스크 스프링에 의해 분리된다. 커플링 디스크(13), 스프링 요소(14), 및 2 개의 커플링 표면(11, 12)은 클러치 유닛(16)을 형성한다.
브레이크 유닛(10)을 위한 작동력(19)을 생성하기 위해 브레이크 지지체(6)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8) 상에 작용하는 캠(17)은 클러치 유닛(16)의 출력부에 안착되고, 그 커플링 디스크(13)에 의해 구동된다. 캠(17), 레버(18), 및 브레이크 지지체(6)는 함께 트랜스미션 유닛(20)을 형성한다. 대안적 실시형태(도시되지 않음)에서, 레버(18)는 생략될 수 있고, 캠(17)은 브레이크 유닛 상에 직접 작용한다. 그러므로, 간단한 경우, 트랜스미션 유닛(20)은 캠(17)(및 그 베어링) 또는 힘의 전달을 위한 일부의 다른 이동 가능한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베어링(5)과 함께, 롤러(4)는 차축(3)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또 브레이크 지지체(6) 상의 베어링(5) 중 하나(도 1에서 좌측 베어링(5))를 타격하는 제 1 위치와 클러치 유닛(16)의 2 개의 커플링 표면(11, 12)이 상호 마찰 맞물림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차축(3) 상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베어링(5)은 또한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고, 롤러(4)는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베어링(5)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는 롤러(4)의 양자 모두의 위치를 사용하여 제동 장치(1)가 기능하는 방법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서, 롤러(4)는 차축(3)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제 1 위치에 있다. 2 개의 커플링 표면(11, 12)은 어떤 토크도 전달하지 않도록 상호 분리되어 있다. 제동 장치(1)는 현시점에서 작동되지 않는다: 브레이크 요소(7)의 제 1 브레이크 표면(8)는 롤러(4)의 제 2 브레이크 표면(9)에 접촉하여 위치되지 않고, 브레이크 유닛(10)은 개방된다. 롤러(4)는 스프링 요소(14)에 의해 이 제 1 위치 내에 유지된다.
도 3b에서, 스프링 요소(14)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횡력(21)이 롤러(4) 상에 축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횡방향 제어력(21)은, 예를 들면, 그라운드/플로어(22) 상에서 구르는 롤러(4)를 틸팅(tilting)시킴으로써, 즉 롤러 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트보드를 그 종축선을 중심으로 틸팅시키거나, 및/또는 그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롤러(4)는 차축(3) 상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2 개의 커플링 표면(11, 12)은 그라운드/플로어(22)로부터 롤러(4)에 가해지는 일부의 토크(23)를 커플링 디스크(13)가 디커플링시키도록 상호 마찰 맞물림된다.
클러치 유닛(16)의 출력에서 커플링 디스크(13)는 디커플링된 토크(24)로 캠(17)을 구동한다. 구동된 캠(17)은 더욱 레버(18) 상에 작용하고, 레버는 브레이크 작동력(19)을 브레이크 요소(7) 상에 전달하고; 브레이크 슈(7')의 제 1 브레이크 표면(8)은 브레이크 작동력(19)에 의해 롤러(4)의 제 2 브레이크 표면(9)에 대하여 가압되고, 브레이크 유닛(10)은 폐쇄된다. 이제 제동 장치(1)가 작동된다. 이동 방향에 대향하는 제동력(25)은 롤러(4)와 그라운드/플로어(22) 사이에 축적될 수 있고; 롤러 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트보드는 제동된다.
도 2의 캠(17)의 예시적 형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량의 디커플링된 토크(24)가 존재하는 경우, 캠(17)은 더 넓은 각도로 회전되고, 따라서 레버(18) 상의 그 작용, 및 이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력(19) 및 제동력(25)은 증대된다. 디커플링된 토크(24)의 크기는 횡방향 제어력(21)의 함수이고, 커플링 표면(11, 12)의 마찰 맞물림의 강도이다. 구조적 설계, 예를 들면, 캠(17)의 피치, 레버(18)의 아암 길이, 커플링 표면(11, 12)의 위치, 크기, 마찰 계수, 및 브레이크 유닛(10)의 구성에 따라, 다량의 토크(24)가 단지 작은 횡방향 제어력(21)으로 디커플링될 수 있고, 또는 높은 브레이크 작동력, 이에 따라 높은 제동력(25)이 소량의 디커플링된 토크(24)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제동 장치(1)는 본질적으로 "자기 증폭"을 위해 롤러(4)로부터의 토크(23)를 사용한다.
브레이크 작동력(19)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트랜스미션 유닛(20)은 클러치 유닛(16)과 캠(17) 사이에서 작용하는 기어(26), 예를 들면,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유성 기어, 스퍼 기어, 또는 케이블 기어를 더욱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도시되지 않음), 캠(17)은 클러치 유닛(16)에 의해 구동되는, 그리고 레버(18) 상에 직접 작용하는 케이블로 대체될 수 있고, 또는 이와 같은 케이블은 레버(18)를 대체할 수 있고, 브레이크 요소(7) 상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횡방향 제어력(21)이 감소되는 경우, 디커플링된 토크(24)는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캠(17)의 선회 각도, 레버(18)의 위치 및 이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력(19) 및 제동력(25)도 감소된다. 횡방향 제어력(21)이 스프링 요소(14)의 힘보다 낮게 감소되는 경우, 클러치 유닛(16)의 마찰 맞물림은 완전히 해제된다. 캠(17), 레버(18), 및 브레이크 슈(7')는 도 2 및 도 3a에 따른 그 각각의 출발 위치로 선회되고, 롤러(4)는 다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브레이크 유닛(10)의 해제를 더 촉진하기 위해, 제동 장치(1)는 (스프링 요소(14) 외에) 선택적으로 복원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이것은 브레이크 작동력(19)에 대항하여 브레이크 슈(7')를 및/또는 캠(17)의 작동 방향에 대항하여 캠(17)을 이동시키도록 스프링 하중을 사용하고, 그 결과 브레이크 유닛(10)은 비작동된 출발 위치로 복귀된다.
도 1, 도 3a 및 도 3b는, 커플링 표면(11, 12)이 브레이크 표면(8, 9) 내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치되고, 개재되는 트랜스미션 유닛(20)이 브레이크 표면(8, 9)의 제동력(25) 상에서 디커플링된 토크(24)의 힘을 증대시키므로 표면적의 관점에서 더 작을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제동 장치(1)의 대안적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제 2 커플링 표면(12)을 구비하는 클러치 유닛의 커플링 요소(27)는 트랜스미션 유닛(20)(개략적으로만 도시됨)에 인접하는 롤러 지지체(2) 상에 안착되고, 트랜스미션 유닛(20)은 또한 여기서 롤러 지지체(2) 내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지지체(6)를 통해 브레이크 요소(7)에 작용하고, 브레이크 요소(7)는 롤러(4)의 제 2 브레이크 표면(9) 상에 작용한다.
도 4에서 브레이크 유닛(10)은 마찬가지로 드럼 브레이크이지만, 대안적으로는 다른 마찰 브레이크일 수도 있고, 롤러(4)는 필요 시에 횡방향 표면 및/또는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현되는 외주 상에 제 2 브레이크 표면(9)을 구비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5는 제동 장치(1)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브레이크 유닛(10)은 적어도 2 개의 브레이크 패드(7")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이고, 브레이크 패드(7")는 트랜스미션 유닛(20)을 통해 작동되고, 또 브레이크 표면(9)을 구비하는 롤러(4) 상에 구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28)의 양 측면 상에서 에지의 주변을 감싸고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경우, 브레이크 패드(7")는 복원 요소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력(19)에 대항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 조합, 및 개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디스크를 구비하는 실시형태에서, 브레이크 유닛(10), 클러치 유닛(16), 및 트랜스미션 유닛(20)은 도 1에서 드럼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제동 장치(1)에 대해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롤러(4)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더욱, 롤러(4)는 횡단면도로 도시된 둥근 주행 표면에 대비되는 평평한 주행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당연히, 본 제동 장치(1)는 롤러 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트보드 내의 하나 또는 심지어 모든 종래의 롤러를 교체할 수 있다.

Claims (14)

  1. 롤러 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트보드용 제동 장치(1)로서,
    롤러 지지체(2)를 포함하고,
    롤러(4)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제 1 위치와 제동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롤러 지지체(2)에 장착되고,
    작동 가능한 브레이크 유닛(10)이 상기 롤러 지지체(2)에 대해 지지되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10)의 브레이크 작동력(19)은 하류의 트랜스미션 유닛(20)을 갖는 클러치 유닛(16)을 통해 상기 롤러(4)의 토크(23)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클러치 유닛(16)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개방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폐쇄되는, 제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는 상기 롤러 지지체(2)에 대해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 제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16)은, 상기 롤러(4)의 차축(3)에 수직하고 또한 상호 마찰 맞물림될 수 있는 2개의 커플링 표면(11, 12)을 가지고, 상기 커플링 표면(11, 12) 중 제 1 표면은 상기 롤러(4)에 회전 고정 상태로 접합되고, 제 2 표면은 토크(24)가 디커플링될 수 있도록 상기 차축(3)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표면(11, 12)은 상기 브레이크 유닛(10)의 브레이크 표면(8, 9)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제동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커플링 표면(11, 12) 사이에서 작용하는 디스크 스프링(14)이 제공되는, 제동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유닛(20)은 상기 클러치 유닛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캠(17)을 갖고, 상기 캠(17)은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19)을 생성하기 위해 레버(18) 상에 작용하는, 제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17)은 자신의 작동 방향에 대항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는, 제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유닛(20)은 클러치 유닛(16)과 캠(17) 사이에서 작용하는 기어(26)를 더 갖는, 제동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유닛(10)은 상기 레버(18)에 의해 작동되는, 그리고 상기 롤러(4)에 의해 형성되는 브레이크 드럼 상에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슈(7')를 갖는 드럼 브레이크인, 제동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유닛(10)은 상기 레버(18)에 의해 작동되는, 그리고 상기 롤러(4) 상에 구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28) 상에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패드(7")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인, 제동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7')는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19)에 대항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는, 제동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7")는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19)에 대항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는, 제동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의 차축(3)은 상기 롤러 지지체(2)에 회전 고정식으로 접합되고, 상기 레버(18) 및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브레이크 슈(7')의 양자 모두를 지지하는 디스크형 브레이크 지지체(6)가 상기 롤러 지지체(2) 상에 안착되는, 제동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의 차축(3)은 상기 롤러 지지체(2)에 회전 고정식으로 접합되고, 상기 레버(18) 및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7")의 양자 모두를 지지하는 디스크형 브레이크 지지체(6)가 상기 롤러 지지체(2) 상에 안착되는, 제동 장치.
KR1020147000201A 2011-07-06 2012-06-19 롤러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 KR101935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988/2011 2011-07-06
ATA988/2011A AT511218B1 (de) 2011-07-06 2011-07-06 Selbstverstärkende bremse für rollschuhe
PCT/AT2012/050082 WO2013003875A1 (de) 2011-07-06 2012-06-19 Bremsvorrichtung für rollschuhe, rollbretter od. dg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626A KR20140050626A (ko) 2014-04-29
KR101935379B1 true KR101935379B1 (ko) 2019-01-04

Family

ID=4660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201A KR101935379B1 (ko) 2011-07-06 2012-06-19 롤러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11471B2 (ko)
EP (1) EP2729224B1 (ko)
KR (1) KR101935379B1 (ko)
CN (1) CN103717276B (ko)
AT (1) AT511218B1 (ko)
BR (1) BR112014000119B1 (ko)
CA (1) CA2839325C (ko)
WO (1) WO2013003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346Y1 (ko) 2015-11-05 2018-06-14 정신우 제동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보드
US10471336B2 (en) 2016-09-02 2019-11-12 Dustin Dharma Skates with a stowable and/or removable roller, blade, ski, or track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of use
DE102017207067A1 (de) * 2017-04-27 2018-10-31 Robert Bosch Gmbh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 Radvorrichtung
DE102018220875A1 (de) * 2018-12-03 2020-06-0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Ermitteln von Referenzwerten eines Sensors
CN112604263B (zh) * 2020-11-25 2022-08-12 重庆科技学院 一种快速转弯的轮滑结构及快速转弯的轮滑鞋
CN113580842B (zh) * 2021-03-31 2024-05-03 化州市联合民生轮业有限公司 一种pu轮
CN113581274B (zh) * 2021-08-31 2022-12-27 曹小明 一种童车的刹车机构及童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3102A1 (en) 2005-02-02 2006-08-10 Seok Ki Yun Inline skates having straight drive type join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215A (en) * 1973-05-18 1975-09-09 Andrew Bardy Walking roller skate
US3871672A (en) * 1973-05-18 1975-03-18 Andrew Bardy Walking-rollerskate device
GB1433268A (en) * 1974-05-17 1976-04-22 Service Automater Ab Roller ski or roller skate or the like
US4300781A (en) * 1980-01-28 1981-11-17 Riggs Dennis D Roller skate braking system
US5351974A (en) * 1990-11-05 1994-10-04 Cech Donald E In-line skate braking assembly and method
US5401038A (en) * 1993-08-26 1995-03-28 David G. Peck Mechanical brake for in-line roller skates
DE19616641A1 (de) * 1996-04-26 1997-10-30 Viktor Dipl Ing Schatz Rollschuhe mit Bremsfunktion durch Querstellung zur Laufrichtung
US6666463B2 (en) * 1997-10-24 2003-12-23 K-2 Corporation Flexing base skate
DE19837364B4 (de) * 1998-08-18 2007-03-29 Dieter Sieber Bremsvorrichtung für einspurigen Rollschuh
US6102168A (en) * 1998-10-23 2000-08-15 Brandriff; Robert C. Brake system for wheeled skates
US6637827B2 (en) 2000-02-28 2003-10-28 Myron Stuart Hurwitz Generation of in-line skates and skate-boards wtih safety “edging friction control™”
KR20010109787A (ko) * 2000-06-02 2001-12-12 홍성호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가진 롤러 스케이트
DE10048786A1 (de) * 2000-10-01 2002-10-31 Kludszuweit Alfred Räder mit axial betätigten innenliegenden gekapselten Bremsen für Skater und Roller
US6666462B2 (en) * 2001-12-07 2003-12-23 Alron Brake for inline skates
US6948723B1 (en) * 2003-01-27 2005-09-27 Alex R. Bellehumeur Inline skate brake
DE10333378A1 (de) * 2003-07-23 2005-02-17 Helmut Gottschalk Inline-Rollerskates mit axial wirksamem Bremssystem
US20070170017A1 (en) * 2006-01-26 2007-07-26 Brandriff Robert C Inline skate brake
KR20120100166A (ko) * 2011-03-03 2012-09-12 성진영 바퀴달린 스케이트
CN103623563B (zh) * 2013-10-21 2016-01-20 周宝春 一种可灵活制动的轮滑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3102A1 (en) 2005-02-02 2006-08-10 Seok Ki Yun Inline skates having straight drive type join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9325C (en) 2019-06-04
BR112014000119B1 (pt) 2020-11-17
EP2729224B1 (de) 2015-07-29
EP2729224A1 (de) 2014-05-14
US20140131146A1 (en) 2014-05-15
AT511218B1 (de) 2012-10-15
BR112014000119A2 (pt) 2017-02-14
US9211471B2 (en) 2015-12-15
KR20140050626A (ko) 2014-04-29
CA2839325A1 (en) 2013-01-10
BR112014000119A8 (pt) 2018-07-10
CN103717276A (zh) 2014-04-09
CN103717276B (zh) 2016-01-27
AT511218A4 (de) 2012-10-15
WO2013003875A1 (de)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379B1 (ko) 롤러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위한 제동 장치
US5088748A (en) Anti-lock braking system for skates
US7455305B2 (en) Vertically reciprocating skate brake
US5752707A (en) Cuff-activated brake for in-line roller skate
US5375859A (en) Mechanical brake for in-line roller skate
JPH07503881A (ja) スケートのブレーキ
US5401038A (en) Mechanical brake for in-line roller skates
US5704617A (en) In-line skate brake
EP0853964B1 (fr) Patin à roulettes en ligne muni d'un frein agissant sur les roulettes
CN101951997A (zh) 轮滑鞋制动系统
US5924704A (en) Foot supporting rolling device
US6598887B2 (en) In-line roller skates with braking device
EP1166836A1 (en) Brake system for a wheeled article
US6131922A (en) Roller skate brake arrangement
US5630596A (en) Brake device for in-line skates
JPH07196069A (ja) 自動二輪車用制動装置
TWI400175B (zh) 剎車系統、方法以及使用此剎車系統、方法的雙輪車輛
JP2002528199A (ja) ホイールスケート用のブレーキ装置
NO345988B1 (no) Bremsesystem for rulleski
US7472915B2 (en) Speed control device
JPH06339555A (ja) スケートボード用ブレーキ装置
KR200400880Y1 (ko) 이중 브레이크 구조를 가진 인라인스케이트
WO1997018020A1 (fr) Dispositif de freinage d'un article de sport de glisse
KR200326912Y1 (ko) 인라인스케이트용 힐 브레이크 시스템
FR2777202A1 (fr) Dispositif de freinage pour patin a roulet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