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238B1 - 포장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238B1
KR101933238B1 KR1020137032458A KR20137032458A KR101933238B1 KR 101933238 B1 KR101933238 B1 KR 101933238B1 KR 1020137032458 A KR1020137032458 A KR 1020137032458A KR 20137032458 A KR20137032458 A KR 20137032458A KR 101933238 B1 KR101933238 B1 KR 10193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holding member
partition plate
main body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109A (ko
Inventor
아키토미 고하마
다카시 우에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3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약제라도, 수용수를 늘리면서 막힘 등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신속하게 불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포장 약제 불출 장치는,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타단측에 배출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1)와, 나선형의 연속체로 이루어지고, 장치 본체(1)의 내부 공간에, 그 축심 방향이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복수의 유지 부재(6)와, 유지 부재(6)의 내측 공간을, 그 축심 방향을 따라 2분할하는 칸막이판(7)과, 유지 부재(6)를 회전시켜, 유지 부재(6)와 칸막이판(7)에 의해 형성된 각 영역에 유지한 포장 약제(13)를, 순차적으로 배출부에 배출시키는 구동 수단(15, 16)과, 각 유지 부재(6) 사이에 배치되며, 장치 본체(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판(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포장 약제 불출 장치{PACKAGED-MEDICINE ISSUING DEVICE}
본 발명은 포장 약제 불출(拂出)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불출 장치로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타단측에 배출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나선형의 연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그 축심 방향이 내부 공간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내측 공간을, 그 축심 방향을 따라 2분하는 칸막이판과, 상기 유지 부재를 회전시켜, 유지 부재와 칸막이판에 의해 형성된 각 영역에 유지한 포장 약제를, 순차적으로 배출부에 배출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구성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불출 장치로서, 외부 상자 내에, 스프링(나선)형의 스파이럴 상품 선반과, 이 스파이럴 상품 선반 내를 2분할하는 스파이럴 가이드를 마련하고, 스파이럴 가이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파이럴 상품 선반에 유지한 상품을 하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상기한 불출 장치는 모두에서, 나선형의 부재(유지 부재, 스파이럴 상품 선반)는 단일의 것이며, 물품의 수용수가 제한되어, 종합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대량의 포장 약제의 불출에는 알맞은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이 경우, 단순히 나선형의 부재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물품의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응할 수 없다. 특히, 봉지에 약제를 수용한 포장 약제이면, 봉지의 귀 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막힘의 원인이 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스파이럴 가이드가 회전하기 때문에, 이 문제는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한 불출 장치 모두에서, 물품의 수용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복수 대를 병설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가 커질 뿐만 아니라, 물품을 충전할 때에는, 장치 본체 등을 각각 개방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 되어, 작업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105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 공개 소화62-187390호 공보
본 발명은, 포장 약제라도, 수용수를 늘리면서, 막힘 등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신속하게 불출할 수 있는데다가, 점유 스페이스를 증대시키는 일없이, 작업 효율 좋게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타단측에 배출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나선형의 연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지 부재와, 상기 각 유지 부재의 내측 공간을, 그 축심 방향을 따라 각각 2분할하는 복수의 칸막이판과, 상기 유지 부재를 회전시켜, 유지 부재와 칸막이판에 의해 형성된 각 영역에 유지한 포장 약제를, 순차적으로 배출부에 배출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각 유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판을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칸막이판에 의해 2분할된 복수의 유지 부재에 각각 유지되는 포장 약제를, 각 유지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불출할 수 있다. 인접하는 유지 부재 사이에는 분할판이 배치되어 있어, 유지 부재를 복수 병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지한 포장 약제끼리가 서로 간섭하여 막힘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포장 약제를 유지 부재에 보충하는 경우에도, 분할판에 의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판과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는 보조 분할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인접하는 유지 부재 사이뿐만 아니라, 하나의 유지 부재 중에서도, 칸막이판 이외의 위치에서, 포장 약제끼리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분할판은, 적어도 상기 유지 부재로부터 포장 약제가 배출되는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포장 약제가 유지 부재로부터 불출될 때, 배출 위치에서 인접하는 다른 포장 약제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막힘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칸막이판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유지 부재에 유지된 포장 약제가, 유지 부재의 내측에 몰입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부재는, 하단부에 불출된 포장 약제를 압출(押出) 가능한 압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유지 부재의 하단측에서의 포장 약제의 막힘 등을 효과적으로 해제하여 불출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부재의 하방측에, 낙하한 포장 약제를 반송(搬送)하고,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와 상기 반송 부재의 사이에는, 포장 약제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큰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유지 부재로부터 불출한 포장 약제를, 원활하게 배출부로부터 배출시켜 다른 장소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반송 부재에 낙하한 포장 약제를, 적어도 소정 치수 반송한 위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약제 검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포장 약제의 유지 부재로부터의 낙하 상태에 관계없이, 약제 검출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이 포장 약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유지 부재에 포장 약제를 충전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유지 부재에 칸막이판에 의해 분할되어 유지된 각 열의 포장 약제를 정렬시키는 복수의 릿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여 유지 부재에 포장 약제를 충전한 후, 도어를 폐쇄하는 것만으로, 릿지부에 의해 포장 약제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후의 불출 동작으로 포장 약제의 원활한 이동을 실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장치 본체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릿지부 중, 상기 지지축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릿지부를, 상기 유지 부재에 포장 약제를 충전할 때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도어의 개방 위치를 충분히 마련할 수 없는 조건 하에서도, 릿지부를 회동시킴으로써, 포장 약제의 충전을 무리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부재를 회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약제 검출 부재로 포장 약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반송 부재를 역회전 구동시킨 후, 재차 정회전 구동시키는 제1 복구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1 복구 처리로 복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지 부재를 역회전시킨 후, 재차 정회전시키는 제2 복구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간단한 2단계의 방법으로 포장 약제의 막힘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부재를 복수 구비하기 때문에, 유지 가능한 포장 약제의 수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인접하는 유지 부재 사이에는 분할판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약제끼리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원활한 충전 및 불출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약제 불출 장치를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장 약제 불출 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로부터 배면판을 탈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면 도어를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으로부터 또 다른 부품을 탈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방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하방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과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와이어 스프링 및 칸막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와이어 스프링의 각 위치에 포장 약제를 충전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약제 불출 장치에서의 복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상」, 「하」, 「측」, 「단」을 포함하는 용어)를 이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약제 불출 장치를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로부터 배면판을 탈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포장 약제 불출 장치는, 대략, 장치 본체(1)의 약제 수용실(2)을, 세퍼레이터(3)에 의해 2분할하고, 분할된 각 공간[제1 수용실(4) 및 제2 수용실(5)]에 스파이럴 와이어(6)와 칸막이판(7)을 각각 수용하며, 하방 부분에 벨트 컨베이어(8)를 배치한 구성이다.
장치 본체(1)는, 중공의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전면 개구부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9)를 갖는 전면 도어(10)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전면 도어(10)의 내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의 4개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릿지부(11)가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각 릿지부(11)는, 후술하는 세퍼레이터(3)에 의해서 4분할된 각 영역의 중앙 부분에 침입하고, 스파이럴 와이어(6)에 유지된 약제의 수용 상태를 안정시킨다.
전면 도어(10)의 지지축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 릿지부(11)[제1 릿지부(11A)]는, 축부(12a)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대략 L자형의 단면을 갖는 아암 부재(12)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 도어(10)를 폐쇄할 때에는, 아암 부재(12)는 도 4에 나타내는 제1 회동 위치에 위치 결정되며, 릿지부(11)가 전면 도어(1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전면 도어(10)를 개방할 때에는, 아암 부재(12)는 제2 회동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암 부재(12)의 각 회동 위치에의 위치 결정은 영구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아암 부재(12)를 제2 회동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는 이격되어, 스파이럴 와이어(6)에 포장 약제(13)를 보급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1 릿지부(11A)에 인접하는 릿지부(11)[제2 릿지부(11B)]는, 상단부가 모따기되어, 아암 부재(12)를 제2 회동 위치에 회동시켰을 때의 간섭이 회피되고 있다. 여기서 설명한 아암 부재(12)의 구성은, 복수 대의 포장 약제 불출 장치가 병설되고, 전면 도어(10)의 회동 범위가 폐쇄 위치로부터 90도의 개방 위치까지 제한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상방 부분[천장 유닛(14)]에는, 제1 모터(15)와 제2 모터(16)가 수용되어 있다. 제1 모터(15)는, 도시하지 않는 기어를 통해 후술하는 제1 스파이럴 와이어(6A)를 정역회전시키는 것이며, 제2 모터(16)는, 도시하지 않는 기어를 통해 후술하는 제2 스파이럴 와이어(6B)를 정역회전시키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배면판(17)과 벨트 컨베이어(8) 사이의 간극은 배출부를 구성하고 있다. 배면판(17)의 하단 중앙부에는 절결부(18)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벨트 컨베이어(8)까지의 치수가 넓어져 있다. 또한, 절결부(18)의 폭 치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스파이럴 와이어(6)로부터 불출되는 약제의 2개소(합계 4개소)의 불출 위치(제1 불출 위치, 제2 불출 위치, 제3 불출 위치, 제4 불출 위치) 중, 내측의 각 1개소(합계 2개소: 제2 불출 위치, 제3 불출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절결부(18)는, 제2 불출 위치 및 제3 불출 위치에 불출된 약제가 길이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가 된 경우라도, 장치 본체(1)의 배면판(17)이 간섭하지 않거나, 혹은 거의 간섭하지 않도록(간섭하여도 문제가 없도록), 벨트 컨베이어(8)와의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3)는, 약제 수용실(2)을 제1 수용실(4) 및 제2 수용실(5)로 2분할하기 위한 메인 세퍼레이터(3A)와, 제1 수용실(4) 및 제2 수용실(5)에 각각 마련된 제1 서브 세퍼레이터(3B) 및 제2 서브 세퍼레이터(3C)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세퍼레이터(3A, 3B, 3C)는, 천장 유닛(14)의 하면에 나사 고정되어 한쪽의 측방 가장자리부가 전면 도어(10)의 근방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메인 세퍼레이터(3A)는, 판형이며, 상하 단부에서는, 전면 도어측의 가장자리가 경사부(19)를 통해 광폭부(20)[상방측 광폭부(20a) 및 하방측 광폭부(20b)]에 연결되어 있다. 메인 세퍼레이터(3A)는, 스파이럴 와이어(6)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스파이럴 와이어(6A)에 유지된 포장 약제(13)와, 제2 스파이럴 와이어(6B)에 유지된 포장 약제(13)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방측 광폭부(20a)는, 스파이럴 와이어(6)에 포장 약제(13)를 충전할 때, 인접하는 다른 포장 약제(13)와의 사이에서,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방측 광폭부(20b)는, 스파이럴 와이어(6)로부터 불출되는 포장 약제끼리가 간섭하여 배출 불량(막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 광폭부(20)는 상하 단부뿐만 아니라, 전체에 걸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인 세퍼레이터(3A)의 하단측 광폭부(20b)의 배면측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서브 세퍼레이터(3B) 및 제2 서브 세퍼레이터(3C)는, 제1 스파이럴 와이어(6A) 및 제2 스파이럴 와이어(6B)에 대하여 전면 도어측에 배치되며, 제1 수용실(4) 및 제2 수용실(5)의 전방측을 2분할한다. 제1 서브 세퍼레이터(3B) 및 제2 서브 세퍼레이터(3C)는, 메인 세퍼레이터(3A)와 비교하면, 협폭이며, 하단으로부터 축부(3a)가 돌출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파이럴 와이어(6)[제1 스파이럴 와이어(6A) 및 제2 스파이럴 와이어(6B)]는, 나선형의 와이어부(21)와, 와이어부(21)의 상단부에 일체화된 원반부(22)를 구비한다. 원반부(22)의 중심에는 상단 축부(22a)가 형성되고, 그 선단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는 기어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원반부(22)에는, 상단 축부(22a)를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의 위치 2개소에 영구 자석(23)이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23)은, 천장 유닛측에 마련된 위치 검출 센서(24)에 의해 검출된다. 이에 의해, 스파이럴 와이어(6)를 180도 단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스파이럴 와이어(6A)와 제2 스파이럴 와이어(6B)의 와이어부(21)의 나선 방향은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스파이럴 와이어(6A)에서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고, 제2 스파이럴 와이어(6B)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포장 약제를 불출하는 경우의 제1 스파이럴 와이어(6A)와 제2 스파이럴 와이어(6B)의 회전 방향도 역방향이며, 전자(前者)가 반시계 방향, 후자(後者)가 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파이럴 와이어(6A)와 제2 스파이럴 와이어(6B)의 회전은 교대로 행해지며, 180도 회전할 때마다, 차례로 하나씩 포장 약제(13)를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부(21)의 하단측에는, 압출편(25)이 일체화되어 있다. 압출편(25)은, 와이어부(21)의 나선 형상을 따라 하방측을 향해 갈수록 서서히 하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압출편(25)은, 와이어부(21)의 도중에 포장 약제(13)가 막혔다고 해도, 강제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부(21)의 하단부에는, 나선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6)와, 그 하단으로부터 중심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는 반경부(27)와, 그 선단부에 형성된 통부(28)가 연속해 있다. 통부(28)에는, 후술하는 칸막이판(7)의 회전 축부가 관통하며, 배면판(17)에 나사 고정한 대략 L자형의 지지 부재(2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직부(26)를 마련함으로써 반경부(27)가 나선형의 와이어부(21)보다 소정 치수 하방측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스파이럴 와이어(6)의 유지 상태가 해제되어 낙하한 포장 약제(13)에 대하여 벨트 컨베이어(8)에 의한 반송 방향으로 압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7)[제1 칸막이판(7A) 및 제2 칸막이판(7B)]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스파이럴 와이어(6)의 내주에, 그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판(7)의 하단부 중앙에는, 축부(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축부(30)는, 스파이럴 와이어(6)의 통부(28)를 관통하고, 스파이럴 와이어(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칸막이판(7)의 축부(30)의 선단 부분이 대략 D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며, 지지 부재(29)에 회전 불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칸막이판(7)은 전방 개구부측에서 보아 각 스파이럴 와이어(6)를 좌우로 2분할한다. 그리고, 스파이럴 와이어(6)가 회전하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기 때문에, 포장 약제(13)가 스파이럴 와이어(6)의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4개소의 각 불출 위치로부터 각각 배출 가능하게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8)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한 쌍의 롤러(31)에 벨트(32)를 걸친 것으로, 한쪽의 롤러(31)를 모터(33)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스파이럴 와이어(6)로부터 공급된 포장 약제(13)를 반송한다. 벨트 컨베이어(8)에 의한 반송 방향의 단부에는, 양측에,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대향하는 한 쌍의 약제 검출 센서(34)가 상하로 2조 마련되어, 통과하는 포장 약제(13)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위치에 약제 검출 센서(34)(도 2 참조)를 마련함으로써, 스파이럴 와이어(6)의 바로 아래에서 포장 약제(13)의 낙하 상황에 따라서는 검출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모터(15), 제2 모터(16) 및 벨트 컨베이어(8)는, 위치 검출 센서(24), 약제 검출 센서(34)로부터의 입력 신호나, 도시하지 않는 서버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불출 명령 등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구동 제어된다.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의 포장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1) 내의 공간이, 세퍼레이터(3) 및 칸막이판(7)에 의해 좌우로 4분할되고, 스파이럴 와이어(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으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포장 약제(13)를 세팅하는 경우,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도어(10)를 개방하고,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 내에서, 세퍼레이터(3), 칸막이판(7) 및 스파이럴 와이어(6)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 영역에, 전방측으로부터 포장 약제(13)를 삽입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3)의 측방 가장자리부가 전면 도어(10)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약제(13)의 삽입 작업이 용이하며, 포장 약제끼리가 간섭하는 일도 없다.
또한, 약제 불출 장치가 복수 대 병설되어 있는 것이면, 전면 도어(10)를 90도 이상으로는 개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 10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도어(10)의 배면측에 마련된 제1 릿지부가 포장 약제(13)의 삽입 작업의 방해가 된다. 그래서, 도 10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부재(12)를 제1 회동 위치로부터 제2 회동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릿지부가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포장 약제(13)의 삽입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포장 약제(13)의 삽입이 완료되면, 전면 도어(10)를 폐쇄하고, 불출 명령에 대비한다. 이때, 아암 부재(12)는 제1 회동 위치에 위치 결정해 둔다. 전면 도어(10)의 배면에는 4열로 릿지부(11)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도어(10)를 폐쇄하였을 때, 이들 릿지부(11)가 장치 본체(1) 내로 침입하고, 스파이럴 와이어(6)에 의해 유지된 각 포장 약제(13)에 접촉하여 정렬시킨다. 이 때문에, 스파이럴 와이어(6)를 회전시켜, 차례로 포장 약제(13)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 막힘 등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안정된 동작을 실현 가능하게 된다.
불출 명령(예컨대, 처방 데이터)이 입력되면, 모터(15 또는 16)를 구동시킴으로써, 스파이럴 와이어(6)를 교대로 회전시킨다. 스파이럴 와이어(6)의 회전량은, 반경부(27)가 반주(半周), 즉 180도 회전하는 반피치로 한다. 이에 의해, 각 영역에 유지된 포장 약제(13)는, 칸막이판(7)에 의해 회전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면서, 스파이럴 와이어(6)가 1회전할 때마다, 그 나선 형상을 따라 1단씩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포장 약제(13)에는 스파이럴 와이어(6)의 회전에 의해 마찰력이 작용하고, 칸막이판(7)에 대해 밀어 붙여지지만, 칸막이판(7)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이럴 와이어(6)의 내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 부재(29)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 약제(13)가 칸막이판(7)의 하방측에서 스파이럴 와이어(6)와의 사이에 침입하여 막히는 등의 문제점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각 스파이럴 와이어(6)의 최하단까지 이동한 포장 약제(13)는, 각 스파이럴 와이어(6)가 반피치 회전할 때마다, 포장 약제(13)가 각 불출 위치로부터 하나씩 불출되게 된다.
제1 불출 위치 및 제4 불출 위치에서는, 스파이럴 와이어(6)의 회전에 의해 그 지지를 소실하여 배면측으로부터 먼저 낙하하기 시작한다. 즉, 포장 약제(13)가 스파이럴 와이어(6)의 지지를 소실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8) 상에 낙하할 때에는, 반송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먼저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포장 약제(13)는, 벨트 컨베이어(8)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제2 불출 위치 및 제3 불출 위치에서, 포장 약제(13)는 스파이럴 와이어(6)의 회전에 의해 그 지지를 소실하여 전면측으로부터 먼저 낙하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포장 약제(13)의 전면측의 단부가 먼저 벨트 컨베이어(8)에 접촉한 시점에서는, 포장 약제(13)에는 기립시키는 것 같은 힘이 작용한다. 단, 배면판(17)에는, 제2 불출 위치 및 제3 불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포장 약제(13)가 기립하게 되었다고 해도, 배면판(17)에 간섭하는 일없이, 벨트 컨베이어(8)에 의해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럴 와이어(6)의 하단부에는, 압출편(25)이 일체화되며, 와이어부(21)로부터 수직부(26)가 연장된 후, 반경부(27)에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스파이럴 와이어(6)로부터 낙하 직후의 포장 약제(13)에 대하여, 압출편(25)과 반경부(27)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8)에 의한 반송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세퍼레이터(3)에는 하방측 광폭부(20b)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포장 약제(13)가 인접하는 다른 포장 약제(13)와 완전하게 분리되게 되고, 배출 위치에서 인접하는 포장 약제(13)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 약제(13)를 막힘 등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원활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벨트 컨베이어(8)에 의해 반송된 포장 약제(13)는, 약제 검출 센서(34)에 의해 검출된다. 스파이럴 와이어(6)를 회전시킨 후, 소정 시간 내에 약제 검출 센서(34)에 의해 포장 약제(13)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막힘이나 배출 불량 등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복구 처리를 실행한다.
즉, 도 11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스파이럴 와이어(6)를 회전시킨 후(스텝 S1), 약제 검출 센서(34)에 의해 포장 약제(13)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그리고, 다른 쪽의 스파이럴 와이어(6)를 회전시키기까지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 이 동안, 포장 약제(13)의 미검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면(스텝 S2: YES), 포장 약제(13)가 반송 도중에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벨트 컨베이어(8)를 역회전 구동시키고(스텝 S4), 소정 시간[포장 약제(13)가 벨트 컨베이어(8)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반대측으로 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스텝 S5), 재차 정회전 구동시킨다(스텝 S6). 그리고, 약제 검출 센서(34)에 의해 포장 약제(13)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 포장 약제(13)가 검출되면, 불출 작업을 속행한다. 한편, [포장 약제(13)의 막힘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는] 소정 시간 경과한 후(스텝 S8), 포장 약제(13)가 검출되지 않으면, 이번에는 스파이럴 와이어(6)를 역회전시킨다(스텝 S9). 그리고, [포장 약제(13)의 막힘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는] 소정 시간 경과한 후(스텝 S10), 재차 스파이럴 와이어(6)를 정회전시킨다(스텝 S11). 그리고 재차, 약제 검출 센서(34)에 의해 포장 약제(13)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 검출되면 불출 작업을 속행하고, 검출되지 않으면, [포장 약제(13)의 막힘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는] 소정 시간 경과한 후(스텝 S13), 에러를 통지한다(스텝 S14).
이와 같이, 포장 약제(13)의 불출 작업 중에, 막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라도, 벨트 컨베이어(8)를 역회전 구동시키고, 그래도 복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파이럴 와이어(6)를 추가적으로 역회전시킨다고 하는 2단계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간단한 처리임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포장 약제(13)의 불출 작업을 복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본체(1) 내에 제1 스파이럴 와이어 및 제2 스파이럴 와이어를 수용하여 폭방향으로 4분할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스파이럴 와이어(6)를 더 수용하여, 6분할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스파이럴 와이어(6)로부터 차례로 포장 약제를 불출하도록 하였지만, 동시에 불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불출된 포장 약제(13)의 수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약제 검출 센서(34)와는 별도로 각 열에 센서를 마련하는 것 등이 고려된다.
1 : 장치 본체 2 : 약제 수용실
3 : 세퍼레이터(분할판) 3A : 메인 세퍼레이터
3B : 제1 서브 세퍼레이터 3C : 제2 서브 세퍼레이터
4 : 제1 수용실 5 : 제2 수용실
6 : 스파이럴 와이어(유지 부재) 6A : 제1 스파이럴 와이어
6B : 제2 스파이럴 와이어 7 : 칸막이판
7A : 제1 칸막이판 7B : 제2 칸막이판
8 : 벨트 컨베이어 9 : 손잡이
10 : 전면 도어 11 : 릿지부
11A : 제1 릿지부 11B : 제2 릿지부
12 : 아암 부재 13 : 포장 약제
14 : 천장 유닛 15 : 제1 모터(구동 수단)
16 : 제2 모터(구동 수단) 17 : 배면판
18 : 절결부 19 : 경사부
20 : 광폭부 20a : 상방측 광폭부
20b : 하방측 광폭부 21 : 와이어부
22 : 원반부 22a : 상단 축부
23 : 영구 자석 24 : 위치 검출 센서
25 : 압출편 26 : 수직부
27 : 반경부 28 : 통부
29 : 지지 부재 30 : 축부
31 : 롤러 32 : 벨트
33 : 모터 34 : 약제 검출 센서

Claims (10)

  1.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타단측에 배출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나선형의 연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제1 방향으로 병설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지 부재와,
    상기 각 유지 부재의 내측 공간을, 그 축심 방향을 따라 각각 2분할하는 복수의 칸막이판과,
    상기 유지 부재를 회전시켜, 유지 부재와 칸막이판에 의해 형성된 각 영역에 유지한 포장 약제를, 순차적으로 배출부에 배출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각 유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판과,
    상기 유지 부재의 하방에 수평 배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한 포장 약제를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반송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2.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타단측에 배출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나선형의 연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지 부재와,
    상기 각 유지 부재의 내측 공간을, 그 축심 방향을 따라 각각 2분할하는 복수의 칸막이판과,
    상기 유지 부재를 회전시켜, 유지 부재와 칸막이판에 의해 형성된 각 영역에 유지한 포장 약제를, 순차적으로 배출부에 배출시키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유지 부재에 포장 약제를 충전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장치 본체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유지 부재에 칸막이판에 의해 분할되어 유지된 각 열의 포장 약제를 정렬시키는 복수의 릿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릿지부 중, 상기 지지축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릿지부를, 상기 유지 부재에 포장 약제를 충전할 때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상기 도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3.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타단측에 배출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나선형의 연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지 부재와,
    상기 각 유지 부재의 내측 공간을, 그 축심 방향을 따라 각각 2분할하는 복수의 칸막이판과,
    상기 유지 부재를 회전시켜, 유지 부재와 칸막이판에 의해 형성된 각 영역에 유지한 포장 약제를, 순차적으로 배출부에 배출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유지 부재의 하방측에, 낙하한 포장 약제를 반송(搬送)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반송 부재와,
    상기 반송 부재에 낙하한 포장 약제를, 적어도 정해진 치수 반송한 위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약제 검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를 회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약제 검출 부재로 포장 약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반송 부재를 역회전 구동시킨 후, 재차 정회전 구동시키는 제1 복구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1 복구 처리로 복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지 부재를 역회전시킨 후, 재차 정회전시키는 제2 복구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과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는 보조 분할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적어도 상기 유지 부재로부터 포장 약제가 배출되는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하단부에 불출한 포장 약제를 압출(押出) 가능한 압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하방측에, 낙하한 포장 약제를 반송(搬送)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와 상기 반송 부재의 사이에는, 포장 약제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큰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에 낙하한 포장 약제를, 적어도 정해진 치수 반송한 위치에서 검출하기 위한 약제 검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불출 장치.
KR1020137032458A 2011-07-22 2012-07-20 포장 약제 불출 장치 KR101933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1267 2011-07-22
JP2011161267 2011-07-22
PCT/JP2012/068520 WO2013015227A1 (ja) 2011-07-22 2012-07-20 袋入り薬剤払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109A KR20140037109A (ko) 2014-03-26
KR101933238B1 true KR101933238B1 (ko) 2018-12-27

Family

ID=4760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458A KR101933238B1 (ko) 2011-07-22 2012-07-20 포장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24661B2 (ko)
KR (1) KR101933238B1 (ko)
WO (1) WO2013015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20140108027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WO2015041220A1 (ja) 2013-09-18 2015-03-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包装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9448A (ja) * 2004-11-11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0110560A (ja) * 2008-11-10 2010-05-20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袋入り薬剤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2977U (ja) * 1982-12-09 1984-06-23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自動販売機
JPS62187390U (ko) * 1986-05-19 1987-11-28
JP3146869B2 (ja) * 1994-08-19 2001-03-19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スパイラル式商品収納ラック
JPH09305851A (ja) * 1996-05-17 1997-11-28 Sanden Corp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9448A (ja) * 2004-11-11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0110560A (ja) * 2008-11-10 2010-05-20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袋入り薬剤払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015227A1 (ja) 2015-02-23
KR20140037109A (ko) 2014-03-26
WO2013015227A1 (ja) 2013-01-31
JP6024661B2 (ja)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8446C (en) Device for dispensing vial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TWI430922B (zh) Pharmaceutical packaging device
CA2683523C (en) Device for offloading capped vial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EP3480139B1 (en) Baffle stop type medicament dispensing unit for bottled medicaments
KR101933238B1 (ko) 포장 약제 불출 장치
JP4544929B2 (ja) 薬剤供給装置
KR20130038908A (ko) 약제 구분 장치
JP2018519119A (ja) 自動薬剤調合装置のための薬剤供給キャニスタ
JP5349362B2 (ja) 薬品類カセット
NL9401296A (nl) Houdertoevoerinrichting.
CA2534297A1 (en) Medicine delivery device and medicine filling device
JP2010035683A (ja)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JP7269618B2 (ja) 薬剤供給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
JP7249013B2 (ja) 薬剤供給装置
KR100996580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994626B1 (ko) 약제 포장장치
KR20090114189A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KR20180004719A (ko) 약제 포장을 위한 장치
JP6714569B2 (ja) 薬剤取出装置
US20060096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articles
JP6118977B2 (ja) 調剤装置の薬剤取り出し機構
KR20140049434A (ko) 블리스터 포장 약제 불출 박스
KR100996579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102051801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