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914B1 -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914B1
KR101932914B1 KR1020180001134A KR20180001134A KR101932914B1 KR 101932914 B1 KR101932914 B1 KR 101932914B1 KR 1020180001134 A KR1020180001134 A KR 1020180001134A KR 20180001134 A KR20180001134 A KR 20180001134A KR 101932914 B1 KR101932914 B1 KR 101932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vehicle
coupled
clutch pi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자
Original Assignee
강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자 filed Critical 강성자
Priority to KR102018000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차의 도어가 개방되면서 함께 전개되는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으로서, 자동차 도어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고정파트, 상기 고정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파트 하부에서 상기 자동차 측부로 이동되는 스텝파트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텝파트를 연결하는 관절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통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텝파트를 이동시키며, 일부에 토션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스텝파트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멀티브라켓파트를 포함하는 오토사이드스텝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VEHICLE AUTOMATIC SIDE STEP}
본 발명은 차량 도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사이드스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센서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전개되는 방식의 오토사이드스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오토캠핑 등과 같은 여가를 즐기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오토캠핑 등과 같은 여가를 즐기는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각종 캠핑장비들을 충분히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는 SUV차량이나 미니밴 또는 캠핑용 캐러밴 등의 구입 비중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위와 같은 SUV 차량이나 미니밴, 캠핑용 캐러밴 등과 같은 차량은 온로드와 오프로드를 아우르는 다목적 차량이다 보니 일반적인 승용차에 비하여 차고가 높게 제작되어 탑승자의 승하차 시 불편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최근에는 가족단위의 나들이가 많아짐으로써 노약자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승하차시 겪게 되는 불편함이 더욱 크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탑승자의 승하차 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 도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차체에 사이드 스텝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사이드 스텝의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 중 추돌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된 설치범위를 갖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원활한 승하차를 위한 충분한 스텝 폭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사이드 스텝의 경우 일반적으로 상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설치됨과 동시에 주행 중 여러 장애물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차체 폭 밖으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탑승자의 원활한 승하차를 위한 충분한 스텝 폭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상기 사이드 스텝을 밟고 차량에 승하차 하는 경우에 탑승자는 발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만 제한적으로 상기 사이드 스텝을 밟은 상태에서 차량에 승하차를 해야 하므로 자칫 몸의 균형을 잃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사이드 스텝의 제한된 스텝 폭으로 인해 다른 사람의 보조를 받아 승하차 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를 위해 자동으로 전개되는 사이드스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나, 이러한 자동화 사이드스텝의 경우, 모터에 의해 이동되는 형태로 구성되면서 탑승자가 사이드스텝을 밟을 때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해주는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제한된 설치범위를 가지는 사이드스텝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취해 도어의 개방에 따라 전개되는 형태의 오토사이드스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오토사이드스텝이 전개되면서 탑승자의 하중을 견디는 견고한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차의 도어가 개방되면서 함께 전개되는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으로서, 자동차 도어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고정파트, 상기 고정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파트 하부에서 상기 자동차 측부로 이동되는 스텝파트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텝파트를 연결하는 관절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통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텝파트를 이동시키며, 일부에 토션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스텝파트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멀티브라켓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브라켓파트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텝파트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일단이 상기 고정파트 측면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게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브라켓, 일단이 상기 고정파트 측면에서 제2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스텝파트가 전개되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제2브라켓과 접촉되어 상기 스텝파트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고정파트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간을 설정하는 제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브라켓파트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제1회전축으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반경을 따라 일부에 회전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일부가 삽입되는 클러치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핀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이 상기 클러치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클러치핀의 회전에 따라 양단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락과 사이드스텝이 연결되어, 도어의 개방과 함께 자동으로 전개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도어락과 사이드스텝 간의 연결을 온/오프 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사이드스텝을 폴딩된 상태 또는 언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오토사이드스텝이 폴딩 또는 언폴딩된 상태를 지지해 준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관절구조가 서로 접촉되는 면적이 커서, 폴딩 또는 언폴딩된 상태에서 서로가 충분이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가 도어 하부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이 폴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이 언폴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이 폴딩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언폴딩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이 도어락과 연동되어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에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가 도어(20) 하부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이 폴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이 언폴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토사이드스텝(10)은, 일반적인 차량에 주로 사용되며 차량의 도어(20)와 연동되어 개폐된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도어(20)가 장착된 차량의 도어(20) 하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도어(20)의 개방과 함께 자동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은 슬라이딩도어(20)가 형성된 차량으로 도시하였지만, 도어(20)가 구비된 이동수단이라면 경차에서부터 트럭까지 다양하게 장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오토사이드스텝(10)은 차량의 도어락(22)과 연동된다.
도어락(22)은 차량내에서 실내등과 연동된 센서의 역할로, 본 발명의 사이드스텝은 도어락(22)과 연동되어 도어(20)가 개방되면 자동차(1) 하부에서 언폴딩되고, 자동차 도어(20)가 폐쇄되면 폴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은 크게 고정파트(100), 스텝파트(700) 및 멀티브라켓파트(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파트(100)는 도어(20)와 인접한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는데, 한쌍이 서로 연결되어 차량에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파트(100)는 내부에 구동모터(M)가 구비되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파트(100) 한 쌍을 서로 연결하여 균형을 맞추도록 고정파트연결스틱(110)이 구비된다.
고정파트연결스틱(110)은 길게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파트(100)를 서로 연결하며 간격을 유지시킨다.
본 설명에서 고정파트(100) 및 멀티브라켓파트(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멀티브라켓파트(200)가 스텝파트(700)에 결합된다. 아래 설명부터는 어느 하나의 구조를 대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고정파트(100)는 자동차(1)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구동모터(M)가 장착되어 측면에 연결되는 멀티브라켓파트(200)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스텝파트(700)를 지지하게 된다.
한 쌍의 고정파트(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멀티브라켓파트(200)는 고정파트(100)에서 스텝파트(700)를 폴딩 또는 언폴딩하도록 다관절 구조가 절첩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멀티브라켓파트(200)는 구동모터(M)와 스텝파트(700)를 연결하고 복수의 브라켓이 연결된 관절구조로 형성되어 구동모터(M)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멀티브라켓파트(200)의 단부는 스텝파트(700)와 연결되어 있어서 스텝파트(700)를 자동차(1)의 도어(20) 하부에서 절첩 또는 전개시키도록 구동된다.
한편 스텝파트(7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1)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20)의 개방과 함께 전개되도록 멀티브라켓파트(200)와 결합된다.
스텝파트(700)는 자동차(1)에 탑승자의 하중을 견디도록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자동차(1)도어(20)가 개방될 시 도어(20)의 문틈의 하단과 대응되는 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도어(20)가 완전 개방되면, 스텝파트(700)를 밟고 차량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스텝파트(700)는 멀티브라켓파트(200)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돌출부(720)가 형성된다.
돌출부(720)는 한 쌍으로 구비된 멀티브라켓파트(200)에 대응하여 한 쌍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멀티브라켓의 단부에 결합된다.
멀티브라켓파트(200)를 자세히 살펴보면 지지브라켓(240), 제1브라켓(220) 및 제2브라켓(230)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240)은 길게 형성되어 스텝파트(700)에 결합되고, 제1브라켓(220) 및 제2브라켓(230)은 지지브라켓(24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브라켓(240)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브라켓(220) 및 제2브라켓(230)이 각각 서로 다른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게 결합되며, 제1브라켓(220) 및 제2브라켓(230)이 지지브라켓(240)을 통해 스텝파트(700)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1브라켓(220)은 고정파트(100)의 측부에 결합되고 고정파트(100)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M)와 연결되어 회전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22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본 제1실시예에서 구동모터(M)는 하나의 제1브라켓(220)에 연결되기 때문에 한 쌍의 제1브라켓(220)을 연결하는 제1브라켓연결스틱(221)이 구비된다.
제1브라켓연결스틱(221)은 고정파트연결스틱(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을 이룬다.
그리고 제1브라켓연결스틱(221)은 한 쌍의 제1브라켓(220)을 연결하여, 어느 한 쪽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될 때, 다른 한 쪽에도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제2브라켓(230)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파트(100)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모터(M)에서 전달된 구동력으로 한 쌍이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제2브라켓연결스틱(231)이 형성된다.
제2브라켓연결스틱(231)은 고정파트연결스틱(110)과 평행을 이루며, 제1브라켓연결스틱(221)과도 평행을 이루어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된 멀티브라켓파트(200) 중 어느 한쪽에 연결된 구동모터(M)의 구동력이 분배되어 전달 될 수 있게 한다.
계속해서 제1브라켓(220)은 길게 형성되고 둘레가 다양한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구동모터(M)와 연결되어 제1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고, 타단은 지지브라켓(240)과 폴딩되게 연결된다.
제1브라켓(220)은 회전되는 반경을 따라 구동모터(M)와 인접한 위치에 제한홈(224)이 형성된다.
제한홈(224)은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파트(100)에서 제1돌기(120)가 돌출되어 제1브라켓(220)이 회전되는 구간을 한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1브라켓(220)은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이 되지만 제한홈(224)에 의해 일정한 구간만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브라켓(230)은 일단이 고정파트(100)에서 제2회전축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브라켓(240)과 회전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2브라켓(230)은 제1브라켓(220)이 회전되는 구동력을 지지브라켓(240)을 통해 전달받아서 제2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게 되며, 제1브라켓(220)의 타단과 제2브라켓(230)의 타단이 스텝파트(700)와 연결되어 스텝파트(700)가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관절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스텝파트(700)는 제1브라켓(22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지지브라켓(240)과 제1브라켓(220) 또는 지지브라켓(240)과 제2브라켓(230)이 폴딩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스텝파트(700)를 이동시키며, 상기 각도가 작으면 스텝파트(700)가 자동차(1) 하부를 향해 폴딩되고, 각도가 커지면 자동차 도어(20) 하부로 전개된다.
따라서 스텝파트(7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1브라켓(220)과 제2브라켓(230)이 지지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브라켓파트(200)가 한쌍으로 구비됨으로 스텝파트(7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텝파트(700)가 폴딩 또는 언폴딩 될 때, 제1브라켓(220)과 제2브라켓(230)이 서로 접촉되어 있어서 스텝파트(700)의 하중을 분산하는 효과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220)이 둘레가 다양한 각도로 절곡 되게 형성되고, 제2브라켓(230)은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제1브라켓(220)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접촉면적을 크게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멀티브라켓파트(200)는 구동모터(M)와 연결되어 제1회전축으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반경을 따라 일부에 회전홈(252)이 형성되어 제1브라켓(220)의 일부가 삽입되는 클러치핀(250)을 포함한다.
클러치핀(250)은 제1브라켓(22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모터(M)와 직결로 연결된다.
앞선 설명에서 제1브라켓(220)이 구동모터(M)에서 구동력을 전달받는다고 설명했지만, 정확하게는 제1회전축으로 회전되는 제1브라켓(220)은 동일한 제1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고 구동모터(M)와 연결된 클러치핀(250)을 통해 구동된다.
제1브라켓(220)은 회전홈(252)에 삽입되는 제2돌기(222)가 형성되어 클러치핀(25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회전홈(252)은 제한홈(224)과 동일하게 일정 곡률을 가지고 휘어지게 형성되며, 제한홈(224)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라인을 그리면 회전홈(252)과 동일한 형상이 된다.
이를 통해 클러치핀(250)이 회전되면서 양단에 제2돌기(222)가 접촉되면서 제1브라켓(22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클러치핀(250)이 구비된 이유는 구동모터(M)의 구동력으로 스텝파트(700)가 전개될 시 전개되는 힘을 조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멀티브라켓파트(200)는 클러치핀(250)과 제1브라켓(220)을 연결하는 토션스프링(260)이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클러치핀(250)은 토션스프링의 일단(262)을 고정하는 제1스프링고정부재(254)가 형성되고, 제1브라켓(220)은 토션스프링의 타단(264)을 고정하는 제2스프링고정부재(226)가 형성된다.
이처럼 토션스프링(260)은 클러치핀(250)과 제1브라켓(220)에 각각 고정되어 양단이 간격의 변화에 따라 비틀림 효과가 적용되어 스텝파트(70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스텝파트(700)를 언폴딩할 경우, 클러치핀(250)이 회전되어 제1브라켓(220)을 자동차 도어(20)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토션스프링(260)의 비틀림으로 스텝파트(70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스텝파트(700)를 폴딩할 경우, 클러치핀(250)이 회전되어 제1브라켓(220)은 자동차(1)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스텝파트(700)는 폴딩된 상태에서도 토션스프링(260)에 의해 폴딩된 상태가 탄성력이 발생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멀티브라켓파트(200)의 관절구조와 구동모터(M)를 이용하여 스텝파트(700)를 폴딩 또는 언폴딩하며, 최대 폴딩상태에서 토션스프링(260)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폴딩상태를 지지하게 되고, 최대 언폴딩상태에서 토션스프링(260)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언폴딩상태가 지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파트(700)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제1브라켓(220) 및 제2브라켓(230)은 폴딩 및 언폴딩상태에서 하중을 분산하도록 접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이 폴딩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220)과 제2브라켓(230)이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언폴딩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이 폴딩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220) 및 제2브라켓(230)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1브라켓(220)의 제1접촉면(228)과 제2브라켓(230)의 제2접촉면(238)이 서로 맞닿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파트(700)를 통해 탑승자의 하중이 멀티브라켓파트(200)에 전달되면서 제1브라켓(220)과 제2브라켓(230)이 하중을 분산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폴딩된 상태에서는 하중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제1접촉면(228)과 제2접촉면(238)이 크지 않지만, 도 6과 같이 언폴딩된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제1브라켓(220)과 제2브라켓(230)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어 스텝파트(700)에서 제공되는 하중을 분산하게 되는 것이다.
스텝파트(70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220)의 접촉면은 제3접촉면(227)이라하고, 제2브라켓(230)의 접촉면은 제4접촉면(237)이라한다.
구체적으로 제3접촉면(227)과 제4접촉면(237)이 접촉된 면적은 제1접촉면(228)과 제2접촉면(238)이 접촉된 면적보다는 커서, 스텝파트(700)에 제공된 하중의 분산이 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토사이드스텝(10)은 도어락(22)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별도의 온/오프 컨트롤러를 통해 오토사이드스텝(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이 도어락(22)과 연동되어 스위치(24)에 의해 온/오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오토사이드스텝(10)은 도어락(22)과 접촉 또는 해제 될 수 있는 스위치(24)가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오토사이드스텝(10)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오토사이드스텝(10)은 도어락(22)과 연동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24)가 구비되어 도어(20)의 개폐와 무관하게 오토사이드스텝(10)을 폴딩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언폴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10)은 차량 하부에서 도어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키트(KIT) 형태로 장착이 가능하여, 여닫이 문이 형성된 차량에 대해서는 도어(20)에 대응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토사이드스텝(10)이 장착되는 개수 및 스텝파트의 너비, 길이의 변경에 대해서는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자동차
10: 오토사이드스텝
20: 자동차 도어
22: 도어락
24: 스위치
100: 고정파트
110: 고정파트연결스틱
120: 제1돌기
200: 멀티브라켓파트
220: 제1브라켓
221: 제1브라켓연결스틱
222: 제2돌기
224: 제한홈
226: 제2스프링고정부재
227: 제3접촉면
228: 제1접촉면
230: 제2브라켓
231: 제2브라켓연결스틱
237: 제4접촉면
238: 제2접촉면
240: 지지브라켓
250: 클러치핀
252: 회전홈
254: 제1스프링고정부재
260: 토션스프링
262: 토션스프링의 일단
264: 토션스프링의 타단
700: 스텝파트
720: 돌출부

Claims (7)

  1. 자동차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차의 도어가 개방되면서 함께 전개되는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으로서,
    자동차 도어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고정파트;
    상기 고정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파트 하부에서 상기 자동차 측부로 이동되는 스텝파트;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텝파트를 연결하는 관절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통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텝파트를 이동시키며, 일부에 토션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스텝파트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멀티브라켓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브라켓파트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텝파트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고정파트 측면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게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고정파트 측면에서 제2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제1회전축으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반경을 따라 일부에 회전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일부가 삽입되는 클러치핀을 포함하는 오토사이드스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스텝파트가 전개되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제2브라켓과 접촉되어 상기 스텝파트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오토사이드스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고정파트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간을 설정하는 제한홈이 형성되는 오토사이드스텝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핀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오토사이드스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이 상기 클러치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클러치핀의 회전에 따라 양단의 간격이 변화되는 오토사이드스텝.
KR1020180001134A 2018-01-04 2018-01-04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 KR10193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134A KR101932914B1 (ko) 2018-01-04 2018-01-04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134A KR101932914B1 (ko) 2018-01-04 2018-01-04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914B1 true KR101932914B1 (ko) 2018-12-27

Family

ID=6495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134A KR101932914B1 (ko) 2018-01-04 2018-01-04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9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5703A (zh) * 2019-04-18 2019-06-18 广州天箭汽车用品有限公司 汽车电动伸缩踏板装置及汽车
KR102473634B1 (ko) 2022-06-30 2022-12-06 조범종 탑승자의 승하차 시 흔들림을 차단하는 리어 어셈블리가 구비된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KR102498171B1 (ko) 2022-06-30 2023-02-10 조범종 자체 구동력을 제외한 힘의 전달을 차단하는 구동력 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841B1 (ko) * 2017-02-01 2017-07-26 김기호 차량용 보조발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841B1 (ko) * 2017-02-01 2017-07-26 김기호 차량용 보조발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5703A (zh) * 2019-04-18 2019-06-18 广州天箭汽车用品有限公司 汽车电动伸缩踏板装置及汽车
CN109895703B (zh) * 2019-04-18 2024-02-23 广州天箭汽车用品有限公司 汽车电动伸缩踏板装置及汽车
KR102473634B1 (ko) 2022-06-30 2022-12-06 조범종 탑승자의 승하차 시 흔들림을 차단하는 리어 어셈블리가 구비된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KR102498171B1 (ko) 2022-06-30 2023-02-10 조범종 자체 구동력을 제외한 힘의 전달을 차단하는 구동력 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14B1 (ko) 차량용 오토사이드스텝
JP4216194B2 (ja) 揺動可能な表示スクリーンを備えたトリムパネル
US5491875A (en) Extended cab pickup truck concealed cargo door hinge
KR100545339B1 (ko) 트럭, 밴 또는 브레이크와 같은 차량용의 접을 수 있는 지붕
EP1215080B1 (en) Pick up truck
US6068321A (en) Motor vehicle including a power actuated tailgate
JPS6390432A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US7677632B2 (en) Roof construction for motor vehicles
CN114687635A (zh) 车门的两级打开结构
JP3494169B2 (ja) 車両のスロープ装置
JPS60185651A (ja) ドアミラ−
CN114683818A (zh) 用于辅助打开和关闭下门的结构
US20230212896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KR950002751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KR20230126455A (ko) 분리형 자동 사이드 스텝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00212262B1 (ko) 자동차의 실내 접이식 백미러
KR200256007Y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200369200Y1 (ko) 자동차 출입문용 빗물 차단장치
KR20230109439A (ko) 차량의 도어 암레스트 구조
JP4926573B2 (ja) トランクの仕切り機構
KR0116317Y1 (ko) 백미러 스테이의 접동구조
KR20230087880A (ko) 전동 사이드스텝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사이드스텝 구조체
JP2024089992A (ja) サイドミラー格納構造
KR100950827B1 (ko) 자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