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960B1 - 쌀국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쌀국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960B1
KR101928960B1 KR1020180037029A KR20180037029A KR101928960B1 KR 101928960 B1 KR101928960 B1 KR 101928960B1 KR 1020180037029 A KR1020180037029 A KR 1020180037029A KR 20180037029 A KR20180037029 A KR 20180037029A KR 101928960 B1 KR101928960 B1 KR 10192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ice
rice cake
cutt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건태
Original Assignee
(주)로뎀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뎀푸드 filed Critical (주)로뎀푸드
Priority to KR102018003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2Apparatus for slotting, slitting or perforating the surface of piece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21D13/047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from cereals other than rye or wheat,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21D8/04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00% 순수 쌀로 건각에 유익하면서 맛이 구수하고 감칠맛이 나는 쌀면을 간단한 공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며, 순수 쌀로 된 떡을 장방형의 형틀에서 반건조시켜 얻어진 떡고형체(10)를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30)와, 상기 콘베이어(30)를 일정 간격으로 정지와 이동을 반복 작동하여 떡고형체(10)를 1피치씩 이동시키는 래칫수단(40)과, 상기 콘베이어(30)의 선단에 콘베이어(30)의 작동 방향과 수직하게 위치되며 수직날(51)과 수평날(52)이 각각 구비되는 커터(50)와, 상기 커터(50)를 상하로 승하강 시키는 승강실린더(60)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날(52)은 양쪽 끝단부보다 중앙부가 높은 둥근 호형상으로 성형되고, 수직날(51)들은 일정간격으로 수평날(52)의 형상을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호형상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쌀국수 제조장치{Rice noodle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쌀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00% 순수 쌀로 건각에 유익하면서 맛이 구수하고 감칠맛이 나는 쌀면을 간단한 공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만들어 지지만 비만이나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알려지고, 밀가루를 기피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최근에는 쌀을 원료로 하는 일명 쌀국수를 많이 찾고 있는 실정이다.
쌀국수는 밀가루와 같은 물성과 식감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가공식품으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쌀가루를 100%로 하여 분말화 한 후 면제조기에 투입하여 생산하는 종래 쌀국수는 면이 뚝뚝 끊어지고, 오래 삶으면 쉽게 퍼지게 된다.
그리고, 섭취시 다소 거칠고, 쫄깃함이 없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실제 쌀가루 100%가 아닌 쌀가루와 밀가루 또는 전분을 혼합한 형태의 제품으로 제조되고 있다.
전분이 혼합된 쌀국수는 쌀가루 함량이 30-90%에 이르지만 밀가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식감과 복원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밀가루를 기피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한편, 쌀국수를 제조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증숙된 반죽을 압출하여 성형하는 방식과, 습식가루와 물을 섞어 컨베이어에 일정량 놓고 뜨거운 증기로 증숙하여 면대를 연속적으로 얇은 필름과 같이 만들어 숙성 건조한 후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상기 두 가지 방식 모두 밀가루나 전분이 일정비율로 포함된 경우 제작이 가능하게 되나, 순수 쌀 100%인 경우에는 국수 형태로의 성형이 어려웠다.
또, 조리시간이 길고 섭취하는 과정에서 쉽게 탱탱한 정도나 식감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10-1405424호(등록일자 2014년6월2일) :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10-1461212호(등록일자 2014년11월6일)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순수 쌀만을 이용하여 밀가루나 전분 등의 첨가 없이 쌀국수를 직접 제조하는 것에 의해 쌀 고유의 맛과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쌀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구수하고 탱탱한 식감과 고급스러운 맛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쌀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시간이 짧고 영양 및 맛이 풍부하여 바쁜 직장인과 현대인의 기호에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한 쌀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쌀국수 제조장치는, 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며, 순수 쌀로 된 떡을 장방형의 형틀에서 반건조시켜 얻어진 떡고형체(10)를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30)와,
삭제
상기 콘베이어(30)를 일정 간격으로 정지와 이동을 반복 작동하여 떡고형체(10)를 1피치씩 이동시키는 래칫수단(40)과,
상기 콘베이어(30)의 선단에 콘베이어(30)의 작동 방향과 수직하게 위치되며 수직날(51)과 수평날(52)이 각각 구비되는 커터(50)와,
상기 커터(50)를 상하로 승하강 시키는 승강실린더(60)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날(52)은 양쪽 끝단부보다 중앙부가 높은 둥근 호형상으로 성형되고, 수직날(51)들은 일정간격으로 수평날(52)의 형상을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호형상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래칫수단(40)은 콘베이어(30)의 일측 로울러(31)의 외측에 축 설치되는 래칫휠(41)에 라쳇(42)이 치차 결합되게 하고, 래칫실린더(45)의 전후진 동작으로 로울러(31)의 축으로부터 연결된 회동링크(43)와 막대링크(44)가 굴절 운동하면서 래칫치차의 한 피치씩 콘베이어(30)의 가동과 멈춤이 반복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밀가루나 전분 등의 첨가 없이 순수 쌀만을 이용하여 쌀국수를 직접 제조하는 것에 의해 쌀 고유의 맛과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상품성이 우수하다.
또, 첨가물이 없으므로 쌀 고유의 점도와 구수하고 탱탱한 식감 및 고급스러운 맛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떡 성형과정에서 1차 쌀을 찐 상태이므로, 국수의 조리시간이 짧고 영양 및 맛이 풍부하여 바쁜 직장인과 현대인의 기호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커터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커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떡고형체가 절단되는 과정을 보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순수 쌀만을 이용하여 장방형상으로 된 떡고형체를 국수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쌀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다.
떡고형체(10)는 순수 쌀 분말을 증숙후 압축기를 통과하여서 얻어진 떡을 장방형의 형틀에 넣은 후 저온에서 1일 내지 2일 동안 숙성과 동시에 반건조시켜서 완성된다.
순수 쌀 떡을 가공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얻어지게 되며,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국수 형태로 절단 가공하기 위해 떡을 주어진 크기의 형틀에 넣은 후 절단이 용이한 상태의 반건조된 떡고형체(10)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떡고형체(10)를 완전 건조시키게 되면 딱딱해져 커터(50)의 칼날들이 무뎌져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성형성과 장치의 부품 수명을 감안하여 반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한다.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후레임(20)에는 콘베이어(3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그 상부에 안착된 떡고형체(10)를 커터(50)의 설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래칫수단(40)에 의해 콘베이어(30)의 회전을 일정 간격으로 정지와 이동을 반복 작동하여 떡고형체(10)를 1피치씩 이동시키게 된다.
래칫수단(40)의 작동 거리(피치)는 완성되는 국수의 두께를 결정하게 되며, 후술하는 커터(50)의 수평날(52)과 수직날(51)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게 된다.
상기 래칫수단(40)은 콘베이어(30)의 일측 로울러(31)의 외측에 축 설치되는 래칫휠(41)에 라쳇(42)이 치차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라쳇(42)은 로울러(31)의 축으로부터 연결된 회동링크(43)의 중간에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막대링크(44)가 회동링크(43)의 끝단부와 유동가능하게 핀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막대링크(44)의 단부는 래칫실린더(45)와 연결되어, 이 래칫실린더(45)의 전후진 동작으로 회동링크(43)와 막대링크(44)가 굴절 운동하면서 래칫치차들을 라쳇(42)이 걸어서 일방향으로 한 피치만큼씩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베이어(30)의 가동과 멈춤이 반복되므로 그 상부에 얹쳐진 떡고형체(10)가 전진 이동과 멈춤이 반복된다.
상기 커터(50)는 콘베이어(30)의 이동방향쪽 선단에 콘베이어(30)의 작동 방향과 수직하게 위치되며 수직날(51)과 수평날(5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수직날(51)은 떡고형체(10)를 수직하게 절단하는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고정 배치되어 있다.
또, 수평날(52)은 수직날(51)과 거리를 두고 승강실린더(60)에 의해 함께 하강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떡고형체(10)을 절단시켜 대략 사각단면의 가는 국수 형태로 절단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날(52)은 양쪽 끝단부보다 중앙부가 높은 둥근 호형상으로 성형되고, 수직날(51)들은 일정간격으로 수평날(52)의 형상을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호형상으로 각각 배치된다.
수평날(52)을 둥근 호형상으로 성형하는 이유는 떡고형체(10)의 양쪽 모서리부에서 먼저 접촉된 후 계속 하강되면서 절단 하중을 분산시켜 일직선으로 칼날이 형성되는 경우 보다 떡의 형상을 뭉게지지 않고 부드럽게 절단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수직날(51)들도 이 수평날(52)을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호형상으로 각각 고정 배치하는 것이다.
수직날(51)들은 도 5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절단 저항을 줄여 절단효율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커터(50)는 로드(61)에 고정된 상태로 승강실린더(60)의 구동으로 상하로 승하강 된다.
이때, 승강실린더(60)의 승하강 타임은 회로에 의해 래칫수단(40)의 작동시기에 맞춰 콘베이어(30)가 1피치 수평 이동하고 멈추면 하강되고, 다시 떡고형체(10)을 완전히 절단한 후 커터(50)가 완전히 상승되면 래칫실린더(45)가 작동되도록 하여 서로 간섭 없이 원활하게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여기서 커터(50)와 콘베이어(30)의 호형 선단부 사이에는 떡고형체(10)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작동으로 순수 쌀로된 떡고형체(10)로부터 국수형태로 절단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쌀국수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쌀국수의 길이는 떡고형체(10)의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쌀국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순수 쌀을 분말화하여 증숙후 압축기를 통과하여서 떡을 성형하는 떡성형단계(a)가 수행된다.
순수 쌀 떡을 가공하는 방법은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얻어지게 된다.
이어서 떡성형단계(a)에서 얻어진 떡을 장방형의 형틀에 투입하여 떡형상을 변형하는 형상변형단계(b)가 수행된다.
형상변형단계(b)는 국수 형태로 절단 가공하기 위해 떡을 주어진 크기의 장방형의 형틀에 넣은 후 일정 시간 동안 숙성건조단계(c)을 거쳐 형틀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떡고형체(10)가 얻어지게 된다.
이때 건조 시간은 떡을 형틀에 넣은 후 저온상태(3-10℃)에서 1-2 일간 숙성과 동시에 반건조시키게 된다.
여기서 떡고형체(10)를 완전 건조시키게 되면 딱딱해져 커터(50)의 칼날들이 무뎌져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성형성과 장치의 부품 수명을 감안하여 반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한다.
이렇게 숙성건조단계(c)를 경과하여 얻어진 떡고형체(10)는 반건조된 상태로 상기 콘베이어(30)와 래칫수단(40) 및 커터(50)와 승강실린더(60)로 이루지는 상기한 제조장치에 의해 일정한 국수 형태로 절단하는 커팅단계(d)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 커팅단계(d)에서 완성된 쌀국수를 수거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e)가 마지막으로 상기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쌀국수의 제조 과정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떡고형체 20 - 후레임
30 - 콘베이어 40 - 래칫수단
41 - 래칫휠 42 - 라쳇
43 - 회동링크 44 - 막대링크
45 - 래칫실린더 50 - 커터
51 - 수직날 52 - 수평날
60 - 승강실린더

Claims (4)

  1. 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며, 순수 쌀로 된 떡을 장방형의 형틀에서 반건조시켜 얻어진 떡고형체(10)를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30)와,
    상기 콘베이어(30)를 일정 간격으로 정지와 이동을 반복 작동하여 떡고형체(10)를 1피치씩 이동시키는 래칫수단(40)과,
    상기 콘베이어(30)의 선단에 콘베이어(30)의 작동 방향과 수직하게 위치되며 수직날(51)과 수평날(52)이 각각 구비되는 커터(50)와,
    상기 커터(50)를 상하로 승하강 시키는 승강실린더(60)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날(52)은 양쪽 끝단부보다 중앙부가 높은 둥근 호형상으로 성형되고, 수직날(51)들은 일정간격으로 수평날(52)의 형상을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호형상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수단(40)은 콘베이어(30)의 일측 로울러(31)의 외측에 축 설치되는 래칫휠(41)에 라쳇(42)이 치차 결합되게 하고, 래칫실린더(45)의 전후진 동작으로 로울러(31)의 축으로부터 연결된 회동링크(43)와 막대링크(44)가 굴절 운동하면서 래칫치차의 한 피치씩 콘베이어(30)의 가동과 멈춤이 반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4. 삭제
KR1020180037029A 2018-03-30 2018-03-30 쌀국수 제조장치 KR10192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29A KR101928960B1 (ko) 2018-03-30 2018-03-30 쌀국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29A KR101928960B1 (ko) 2018-03-30 2018-03-30 쌀국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960B1 true KR101928960B1 (ko) 2018-12-13

Family

ID=6467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029A KR101928960B1 (ko) 2018-03-30 2018-03-30 쌀국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9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255Y1 (ko) * 2001-05-25 2001-10-15 임희동 인절미 성형장치
KR101248455B1 (ko) * 2011-09-23 2013-03-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쌀국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255Y1 (ko) * 2001-05-25 2001-10-15 임희동 인절미 성형장치
KR101248455B1 (ko) * 2011-09-23 2013-03-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쌀국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01869U (zh) 一种捏花机
CN112042701A (zh) 一种家用小型面条挤压成型设备
JP6057205B2 (ja) 刀削麺の製造方法
CN210519951U (zh) 卷面式面食机
KR101928960B1 (ko) 쌀국수 제조장치
CN211254009U (zh) 一种米线生产用传送装置
CN210642192U (zh) 一种多功能面点成型机
CN103385266A (zh) 带式油酥面皮整型装置
KR100529831B1 (ko) 원형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868137B1 (ko)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CN112754051B (zh) 一种蜜桔粗粮米粉挤压成型装置
KR20000009635A (ko) 가래떡에 내부충진물을 주입한 떡볶이 제조방법 및 장치
CN103385265A (zh) 带式油酥面皮整型方法
KR101068006B1 (ko) 홍삼정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기
KR102219708B1 (ko) 숙성울금을 이용한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CN103110058A (zh) 一种戗面馒头的生产装置
CN206760597U (zh) 一种硬面火烧自动成型机
CN206836053U (zh) 一种硬面火烧成型前输送揉搓系统
CN1669444A (zh) 意大利饺子(合子)及轧合机
CN208992775U (zh) 一种面包切片装置
KR20020078160A (ko) 메밀냉면 또는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N203087394U (zh) 馒头机
CN205030421U (zh) 松塔酥饼制作专用纵向分切成型装置
CN107711948A (zh) 一种包饺子装置
CN213604076U (zh) 一种挂面生产线用低位上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