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901B1 -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901B1
KR101927901B1 KR1020120036103A KR20120036103A KR101927901B1 KR 101927901 B1 KR101927901 B1 KR 101927901B1 KR 1020120036103 A KR1020120036103 A KR 1020120036103A KR 20120036103 A KR20120036103 A KR 20120036103A KR 101927901 B1 KR101927901 B1 KR 101927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guide
frame
guide rails
fabr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151A (ko
Inventor
그베놀레 제오
귄터 렌쯔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11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1.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
2.1. 본 발명은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권취 샤프트(60), 적재 상태에 있는 때에 권취 샤프트(60) 상에 권취되고 기능작용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권취 샤프트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권취해제될 수 있으며 측부 에지들에 슬라이딩 요소들을 구비한 유연한 직물 시트, 직물 시트의 측부 에지들에 부착된 슬라이딩 요소들을 안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들, 및 프레임을 구비하며, 그 가이드 레일들은 요망되는 간격을 두고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30a) 상에서 가변적인 횡방향의 거리를 두고 체결될 수 있다.
2.2.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서 안내되는 구동 체인을 위한 견고한 가이드 튜브(90a, 90b)가 프레임(30, 30a, 30b)으로부터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 상의 고정된 위치에 장착된 피드-인 조각(80)까지 연장되며,
가이드 튜브(90a, 90b)를 횡방향(2)의 가변적인 위치들에서 프레임(30, 30a, 30b)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고정시킴을 가능하게 하는 제1 고정 장치(first fixing device; 54)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Roll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그 롤러 조립체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권취 샤프트, 유연한 직물 시트로서 적재 상태에서는 권취 샤프트에 권취되고 또한 기능작용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권취해제(unwind)될 수 있으며 또한 자신의 측부 에지들에 슬라이딩 요소가 구비된 직물 시트, 직물 시트의 측부 에지들에 부착된 슬라이딩 요소들을 안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들, 및 프레임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그 가이드 레일들은, 프레임 상에서 가변적인 횡방향 거리를 두고 체결됨으로써 요망되는 거리(desired distance)가 그 체결을 통해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롤러 조립체들은 자동차에서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이용된다. 특히, 롤러 조립체는 화물 격실용 커버(cover for freight compartment), 구획용 네트(partition net), 또는 롤러 차양(roller shade)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차양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창문 표면들과, 실질적으로 수평인 창문 표면들(특히 루프 창문(roof window)) 둘 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상기 루프 창문과 관련하여, 직물 시트가 기능작용 위치에 있는 때에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직물 시트의 재료 특성은 반드시 전체적으로 균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측부들에서 직물 시트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들이 서로로부터 고정된 거리를 두고 장착되고 또한 이로 인하여 동일한 유형의 롤러 조립체들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더라도, 위와 같은 점이 염려되는 것이다.
통상적인 롤러 조립체에서는, 가변적인 간격(spacing)을 두고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들을 구비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처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직물 시트의 절단 크기 또는 재료 특성이 약간 상이한 때에도, 가이드 레일들의 조정된 간격으로 인하여, 동일한 설계형태의 롤러 조립체들에 대해서는 그 직물 시트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관된 늘어짐이 작고 허용가능한 정도로 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정은, 조립의 과정 중에 수행되는바, 보통은 롤러 조립체가 자동차 제조사로 전달되기 전에 수행된다.
직물 시트를 적재 위치와 기능작용 위치 간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자동차에 장착되는 롤러 조립체와 함께 전기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는 하나인, 힘을 인가하는 전기 모터로부터 직물 시트의 양 측부들로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 체인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구동 체인은 인장력과 압축력 둘 다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또한 구동 유니트와 특정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가이드 튜브에 보유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이드 레일들이 횡방향에서 가변적인 간격을 가질 수 있다면, 그러한 구동 체인들 및 가이드 튜브들을 구비한 통상적인 롤러 조립체의 적절한 기능성을 보장함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물 시트의 슬라이딩 요소들 또는 진정으로는 구동 체인을 위한 가이드 레일에 부착된 피드-인 조각들로서,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가변적인 간격으로 인하여 가이드 레일들에 부착되기만 할 뿐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는 않는 피드-인 조각들은, 구동 체인에 의해 인가되는 힘 때문에 그들에 부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가이드 레일에 대해 움직이고, 따라서 롤러 조립체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가능한 가장 쉬운 조립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높은 신뢰성을 갖는 일반적인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튜브 안에서 안내되는 구동 체인을 위한 견고한 가이드 튜브가 프레임으로부터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 상의 고정된 위치에 장착된 안내 조각까지 연장되며, 가이드 튜브의 프레임 단부를 횡방향에 대한 가변적인 위치들에서 프레임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고정시킴을 가능하게 하는 제1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설계안에서는, 구동 체인이 내부에 보유되는 가이드 튜브가 프레임으로부터 가변적인 횡방향 간격을 가진 가이드 레일들 중 적어도 하나까지 연장되고, 이 가이드 튜브가 프레임에 부착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구동 체인의 개념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의 목적을 갖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연장 로드(extension rod)의 양 측부들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는 목적을 가진 체인들도, 본 발명의 관점에서는 구동 체인들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프레임이,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서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머무르는 롤러 조립체들의 모든 구성요소들, 특히 구동 유니트나 프레임 내의 동기화 유니트(synchronisation unit)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가이드 레일들은 가변적인 횡방향 간격을 가지고 프레임에 부착된다. 가장 간편한 경우에서는, 프레임이, 두 개의 가이드 레일들을 함께 연계시키고 따라서 그 사이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단순한 횡단-부재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에 대한 가이드 레일들의 가변적인 상대 위치 때문에, 프레임에서의 가이드 튜브의 프레임 단부의 비가변적인 상대 위치는 유리하지 못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고정 장치는 프레임에 대한 가이드 튜브의 고정된 위치를 보장하는 것으로서, 가변적이고 선택가능한 위치들에 이 고정된 위치를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한편으로는 가이드 레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 측에 제공된 고정 장치, 특히 구동 유니트 사이에 있고, 동일한 유형의 두 개의 롤러 조립체들 간에 달라질 수 있는 횡방향 간격은, 상기 튜브가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되 반드시 하나의 특정된 영구적 위치에 부착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보상된다. 그러므로, 프레임에 대한 특정 가이드 레일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사용되는 다양한 다수의 가이드 튜브 유형들을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1 고정 장치는, 횡방향에서 프레임에 대한 가이드 튜브의 가변적인 상대 위치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mm로 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 장치가, 프레임 상에 제공된 구동 유니트에 제공된다. 이것은, 구동 유니트로부터 가이드 레일들 중의 하나로 연장된 구동 체인의 병진 움직임을 위해 설계된 것인데, 이에 의하여 직물 시트가 적재 위치로부터 기능작용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다. 이 구동 유니트는 다른 프레임 구성요소들에 대한 결정된 위치에서 프레임의 일부분으로서 구현된다. 가이드 레일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구동 유니트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가변적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에 제공된 구동 유니트가, 구동 체인에 의하여 직물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 에지, 바람직하게는 직물 시트의 양 측부들에 힘을 적용하도록 구현된다.
구동 유니트 대신에, 두 개의 가이드 레일들로부터 동기화 유니트까지 연장되는 두 개의 가이드 튜브들 내에 보유되는 두 개의 구동 체인들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유니트를 제공할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정렬오류의 방지를 위하여, 수동으로 작동되는 롤러들에서 유익할 수 있다.
프레임 단부에서의, 특히 구동 유니트에 대한 가이드 튜브의 부착은,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가 프레스 연결(pressed connection)에 의하여 프레임에 보유되도록 함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가변적이게 될 수 있다. 연속적인 조정가능성은, 예를 들어 반대측 스크류와의 나사체결 연결에 의하여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고정 장치는 가이드 튜브를 다수의 분리된 위치들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분리된 위치들이 2 mm 미만만큼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가이드 튜브를 프레임, 특히 구동 유니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들을 분리되게 구현함은, 실제에 있어서 롤러 조립체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용이한 조립 과정의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단순한 설계안은, 예를 들어 프레임에서 가이드 튜브의 단부가 그 단면에 있어서의 변형, 특히 단면의 폭확장 영역 형태를 가짐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데, 롤러 조립체의 횡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떨어진 복수의 섹션들을 갖는 프레임에 가이드 튜브를 위한 튜브 수용부가 제공되며, 가이드 튜브를 변형된 단면의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 튜브 수용부는 가이드 튜브의 변형된 단면에 들어맞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횡방향에 대해서 형태-잠금이 형성되어서, 프레임에 대한 가이드 튜브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위에 대해 저항하게 된다. 그러한 형태-잠금은, 그 상대적인 위치가 수년동안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특히 유리한 것이다. 가이드 튜브가 그 단면에 있어서 변형을 가지고 또한 가이드 튜브가 프레임에서, 특히 구동 유니트의 하우징에서 그에 들어맞는 다수의 섹션들 중의 하나와 맞물림에 의하여 부착되는 설계형태는, 특히 조립이 용이하다. 프레임 상의 하나 이상의 들어맞는 러그들과 맞물릴 수 있는 단면에 대한 다수의 변형, 특히 목형성(necking)이 가이드 튜브에 적용되는 설계형태는, 가능하기는 하지만 위에서 설명된 설계형태와 비교할 때는 불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용이한 조립성을 갖는 가변적인 위치선정이 얻어질 수 있다.
조립의 관점에서는, 상기 튜브 수용부가 가이드 튜브의 프레임 단부를 수용하는 두 개의 절반-외피부들을 포함하고, 조립된 때에 그 절반-외피부들이 가이드 튜브를 완전히 둘러싸며, 가이드 튜브의 변형된 단면과 들어맞는 형상을 가진 섹션 또는 섹션들이 그 두 개의 절반-외피부들 중의 하나 또는 그 둘 다에 만들어지는 것이 더더욱 유리할 것이다. 절반-외피부들, 또는 절반-외피부들이 만들어지는 하우징의 부분들이 스냅-인 연결(snap-in connection)을 이루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면 특히 유리할 것이다.
절반-외피부들을 이용하는 설계형태는 매우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튜브는 특정 롤러 조립체에 들어맞는 요망되는 상대 위치에 있는 절반-외피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튜브의 변형된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절반-외피부 안에 놓여지고, 그 다음에는 그 가이드 튜브가 절반-외피부들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두 번째 절반-외피부가 부착되며, 따라서 그 이후에는 절반-외피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들어맞는 형상으로부터 횡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미끄러질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그것이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조립 단계를 가능한 단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절반-외피부들이 상기 스냅-인 연결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이들이 더 이상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분리된 구성요소로서 구현된 피드-인 조각이 가이드 레일들 각각과 연계되고, 피드-인 조각들 각각은 슬라이딩 요소들을 위한 피드-인 개구, 및/또는 관련된 구동 체인을 위한 피드-인 개구를 구비한다. 피드-인 조각들은, 가이드 레일들과 함께 서로로부터 가변적인 횡방향 거리를 취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레일들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에 그리고 피드-인 조각에 협력하는 제2 고정 수단이 제공되어서, 피드-인 조각이 프레임 상의 가변적인 위치에 고정됨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피드-인 조각들이 프레임에 대해 비틀리지 않게끔 고정된다.
위에서 설명된 제1 형태와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직물 시트가 기능작용 위치에 있는 때에 직물 시트의 균일한 외관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들과 함께, 그들 사이에 가변적인 간격을 갖는 가이드 레일들 둘 다에 피드-인 조각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 피드-인 조각들을 가이드 레일들에만 부착시켜서 프레임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경우에는, 직물 시트가 움직여지는 때에 구동 체인과 가이드 튜브에 작용하는 힘들로 인하여 비틀림이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그 피드-인 조각들이 제2 체결 수단에 의하여 프레임에도 부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체결의 적절한 설계안을 통하여, 피드-인 조각들이 조립 중에 형성되는 간격을 신뢰성있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롤러 조립체의 적절한 기능작용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에의 고정을 위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장형 구멍이 제2 고정 수단의 일부로서 프레임에 또는 피드-인 조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제2 고정 수단을 통하여 프레임에 대한 피드-인 조각의 가변적인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즉 직물 시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축 주위로 피드-인 조각이 원치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제2 고정 수단이, 피드-인 조각이 조립된 상태에 있는 때에 서로 맞물리는 형태-잠금식의 협력적 체결 수단을 피드-인 조각과 프레임에 구비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와 같은 형태-잠금식 체결은 맞물림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종장형 구멍들과 관련하여 남아 있는 위험, 즉 그들에 의하여 체결된 피드-인 조각이 비틀릴 위험이 현저히 감소된다.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한 상기 맞물림 리브들의 상호 맞물림은 프레임에 대한 피드-인 조각의 회전을 방지한다.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추가적인 나사체결은, 프레임과 피드-인 조각에서의 맞물림 리브들의 맞물림이 해제(풀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방식으로 구성된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a 및 1b 에는 도 1 에 도시된 조립된 롤러 조립체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2a, 및 2b 에는 프레임, 구동 유니트, 및 권취 샤프트가 구비된 롤러 조립체의 베이스 조립체(base assembly)가 도시되어 있는바, 그 각 부분들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도 3a 및 도 3b 에는 가변적으로 부착되는, 롤러 조립체용 특정 구성요소(component)들을 구비한 베이스 조립체의 확장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4a 내지 도 6b 에는 베이스 조립체에 가변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위치선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1a, 및 1b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의 목적은 그늘을 제공하는 것인바, 이 때문에 그 롤러 조립체는 차량의 유리 지붕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화물 격실용 커버와 같은 다른 용도를 위하여 차량 내에 그에 상응하는 설계형태를 가진 롤러 조립체가 채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10)는 차량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횡단-부재들(cross-members; 30a, 30b)을 구비한 프레임(30)을 갖는다. 차량(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70)들 각각의 외측 단부에는, 횡단-부재(30a, 30b)가 부착된다. 또한, 횡단-부재(30b)에는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 40)들이 제공되는바, 권취 샤프트(60)는 그 베어링 블록에 의해 장착되며, 그 장착에 있어서는 권취 샤프트가 차량(2)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권취 샤프트(60)는 직물 시트(62)를 보유하도록 제공되고, 그 직물 시트(62)는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서 길이방향(4)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직물 시트(62)의 더 멀리 떨어진 단부에 당김 로드(pull-out rod; 64)가 제공된다. 또한, 슬립 밴드(slip band)가 직물 시트의 측부 에지들(62a, 62b) 각각에 부착되는바, 그것은 가이드 레일(70)들 내의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요부(recess)를 통해서 (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는 방식으로) 길이방향(4)으로 위치변경될 수 있다. 직물 시트(62)가 권취 샤프트(60) 상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권취된 적재 위치와, 직물 시트(62)가 적어도 대부분 권취 샤프트(60)로부터 권취해제(풀림)(unwind)되어 있는 도 1 에 도시된 기능작용 위치 간으로, 직물 시트(62)의 자동 위치변경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동 유니트(50)가 제공되며, 또한 구동 유니트(50)는 횡단-부재(30b) 상의 고정 위치에 장착된다. 자체적으로 견고한 튜브 조각들(tube pieces; 90a, 90b)은 이 구동 유니트(50)로부터 피드-인 조각(80)들로 연장되고, 그 피드-인 조각(80)들은 도 1 에 도시된 사시도의 관점(point of view)으로부터 볼 때 가이드 레일(70)들의 우측 단부들인 것에 부착되며, 그들은 그들의 간격에 무관하게 가이드 레일(70)들에 대한 고정된 위치에 머무른다.
구동 유니트(50)의 전기 모터(51)에 전력을 공급함에 의하여, 도 1 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튜브 세그먼트들(tube segments; 90a, 90b)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그 튜브 세그먼트들 내부에서 연장되는 구동 체인들을 위치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그 구동 체인들을 가이드 레일(70)들 안으로 멀어넣거나 가이드 레일(70)들 밖으로 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동 체인들은 당김 로드(64)에 결합되는바, 이로써 가이드 레일들 내에서의 구동 체인들의 이와 같은 위치변경은 당김 로드(64)의 위치변경으로 귀결되며, 또한 권취 샤프트(60)로부터의 직물 시트(62)의 권취해제 또는 권취 샤프트 상에의 직물 시트(62)의 권취로 귀결된다.
직물 시트(62)에는 그 재료 특성들 또는 절단 크기에 있어서 약간의 편차가 있을 수 있고, 이것은 동일한 유형의 롤러 조립체들 모두에 대해서 가이드 레일(70)들의 간격이 항상 동일하다면 직물 시트(62)가 늘어질 위험으로 귀결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70)들은 횡방향(2)에서 가변적인 상대 간격을 가지고 프레임(30a, 30b)에 부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직물 시트(62)의 절단 크기 및/또는 상이한 재료 특성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유형의 다양한 롤러 조립체들에 있어서 일관된 외관이 얻어질 수 있다.
횡방향(2)에서의 가변적인 간격은 가이드 레일(70)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레일(70)들 상에 제공된 튜브 세그먼트들(90a, 90b) 및 피드-인 조각(80)들에도 영향을 미친다.
도 1a 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피드-인 조각(80)들은 가이드 레일(70)들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그 가이드 레일(70)들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압출된 섹션들로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연결 수단(means of connection; 82)이 제공되는바, 가이드 레일(70)들과 피드-인 조각(80)들 간의 연결은 이 연결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이 연결 수단은 피드-인 조각(80)들 상의 푸쉬-인 조각(push-in piece; 82)들로 이루어지는바, 그것의 형상은 가이드 레일(70)들의 단면 형상과 들어맞고, 그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70)들과 피드-인 조각(80)들 간의 횡방향에서의 형태-잠금 결합(form-locking coupling)이 형성된다.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조각들(90a, 90b)은 상기 피드-인 조각(80)들로부터 구동 유니트(50)로 연장되는바, 여기에서 그들은 구동 유니트(50)의 두 개의 절반-외피부들(52a, 52b)로 이루어지는 하우징(housing; 52) 안으로 삽입된다.
가이드 레일(70)들의 가변적인 간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구성요소들의 위치선정의 용이한 적합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롤러 조립체가 설계되는 방안에 관하여는, 뒤따르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 2a, 2b 에는 베이스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는바, 그 베이스 조립체는 횡단-부재(30b), 구동 유니트(50), 및 횡단-부재(30b) 상에 제공된 베어링 블록(40)들을 포함한다. 이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위치선정은 변화하지 않으며, 직물 시트(62)의 가변성에 응답하여 조정되지 않는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수용부(54)들이 구동 유니트(50)의 하우징(52)에 제공되어 튜브 섹션들(90a, 90b)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바, 그들 각각은 그들의 연장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주변 주위로 형성된 다수의 홈(54a)들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튜브 섹션들(90a, 90b)의 위치선정이 최초로 조정 및 고정될 수 있는바, 이 방식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설명하기로 한다.
피드-인 조각(80)들을 가변적인 거리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베어링 블록(40)들 각각에는 고정용 스크류들을 수용하는 두 개의 구멍(42)들이 제공된다. 또한, 길이방향(4)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된 잠금 러그(locking lug; 46)들을 구비한 잠금 래더(locking ladder)들이 베어링 블록(40)들의 상부에 제공된다.
도 2 에 도시된 베이스 조립체로부터 시작하여, 각 가이드 레일(70)의 조립 과정에서는, 피드-인 조각(80) 및 그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튜브 섹션(90a 또는 90b)으로 이루어진 하위-조립체가 먼저 임시적으로 부착된다.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니트(50)를 향하여 대면하는 단부에서 폭확장 영역(widened region; 92)을 갖는 각각의 튜브 섹션(90a, 90b)이 구동 유니트(50)의 하우징(52)의 하측 절반-외피부(52a) 내에 배치된다. 동시에, 대응되는 피드-인 조각(80)이 해당 베어링 블록(40)에 위치되어, 피드-인 조각(80)에 제공된 종장형 구멍(84)들이 베어링 블록(40)에 있는 구멍(42)들과 정렬된다. 이것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이 행해지자 마자, 롤러 조립체(10)의 개별 조정이 수행된다. 여기에서 도 3b 에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레일(70)들은, 직물 시트(62)가 권취 샤프트(60)로부터 권취해제된 때에 요망되는 정도의 늘어진 상태를 취하도록, 횡방향(2)으로의 거리를 두게끔 설정된다. 그 다음, 가이드 레일(70)들이 프레임(30a, 30b)에서 적절한 거리를 두고 체결된다. 가이드 레일(70)들의 간격은 피드-인 조각(80)들의 간격과도 관련되는바, 그 피드-인 조각은 구동 체인 및 슬립 밴드를 위하여 제공된 피드-인 영역(feed-in region; 88a, 88b)을 구비하고, 이로써 피드-인 영역(88)들은 연결 수단(82)을 통하여 횡방향(2)에서 가이드 레일(70)들에 대한 형태-잠금 연결(form-locking connection)을 갖게 된다. 그러나, 피드-인 조각(80)들과 가이드 레일(70)들 간의 직접적인 연결은 작동시 피드-인 조각(70)의 요망되는 위치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데에는 적절치 못할 것이고, 또한 그에 따라 고장이 우려되기 때문에, 피드-인 조각(80)들이 베어링 블록(40)들에 부가적으로 고정된다. 이것은, 가이드 레일(70)들에 대응되는 피드-인 조각(80)들이 횡방향으로 밀리고, 피드-인 조각(80)들 각각의 저부에 제공된 일 세트(set)의 이빨부(86)가 베어링 블록(40)의 대응되는 이빨부(46)에 대한 많은 가능한 위치들 중 하나에 위치됨으로써 행해진다. 도 4a 및 도 4b 에는 이와 같은 위치선정이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는 직물 시트(62)가 요망되는 인장력을 갖게 되자 마자, 가이드 레일(70)들 뿐만 아니라 피드-인 조각(80)들이 프레임(30)에 대한 조정된 위치에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피드-인 조각(80)들의 종장형 구멍(84)들을 통해서 베어링 블록(40)들의 구멍(42)들 안으로 나사들이 나사체결되는바, 이 결과로서 피드-인 조각(80)들과 베어링 블록(40)들 간의 상대 위치가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적절한 여건 하에서는, 피드-인 조각(80)들의 위치가 고정됨을 보장함에 있어서, 상기 이빨부(46, 86)의 세트들 없이 상기 나사체결에 의한 연결 자체로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이빨부(46, 86)들의 세트는, 튜브 섹션들(90a, 90b) 내에서 안내되는 코드(cord)에 의해 당김 로드(64)가 구동되는 때에 힘을 받게 되어서 피드-인 조각(80)이 수직축 주위로 비틀리지 않게 됨을 특히 충분히 보장한다.
베어링 블록(40)들에 대한 피드-인 조각들의 위치선정 중에는, 폭확장 영역(92)이 제공되어 있는 튜브 섹션들(90a, 90b)의 대향되게 위치된 내측 단부들이 구동 유니트(50)의 하우징(52)에 아직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튜브 수용부(54)의 각각 대략 2mm 이격된 홈(54a)들에 대해서 폭확장 영역(92)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피드-인 조각(80)들이 그들의 최종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특정의 개별적 경우에 있어서 적절한 홈(54a)을 선택하고, 또한 튜브 섹션(90a, 90b)의 내향을 향하는 단부에서 폭확장 영역(92)을 그 홈 안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 에는 이것이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이 수행되자 마자, 구동 유니트(50)의 하우징(52)은 도 6a 및 도 6b 에 도시된 방식으로 폐쇄되어서, 구동 유니트를 향하여 대면하는 튜브 섹션(90a 또는 90b)의 단부가 하우징 섹션들(50a, 50b)의 주변부 주위에서 홈들에 의해 특정의 적절한 위치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는 가이드 레일들의 간격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피드-인 조각들과 가이드 튜브들의 면에서 적절한 작동에 필요한 후속의 조정을 특히 간편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조립 중의 곤란성을 해결한다.

Claims (10)

  1.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권취 샤프트(winding shaft; 60);
    적재 상태(stowed condition)에 있는 때에 권취 샤프트(60) 상에 권취되고, 기능작용 위치(functioning position)에 도달하기 위하여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 4)으로 권취해제될 수 있는, 유연한 직물 시트(fabric sheet; 62)로서, 그 측부 에지들(side edges; 62a, 62b)을 따라서 슬라이딩 요소(sliding element)들이 구비된, 직물 시트;
    직물 시트의 측부 에지들에 제공된 슬라이딩 요소들을 안내하기 위하여 길이방향(4)으로 연장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 70)들; 및
    프레임(frame; 30, 30a, 30b);을 구비한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로서,
    가이드 레일(70)들은 프레임(30, 30a, 30b) 상에 가변적인 횡방향 거리를 가지고 체결될 수 있고, 이로써 그들은 요망되는 간격을 두고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에서 구동 체인(drive chain)이 안내되는 견고한 가이드 튜브(guide tube; 90a, 90b)는, 프레임(30, 30a, 30b)으로부터 가이드 레일(70) 또는 가이드 레일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는 피드-인 조각(feed-in piece; 80)까지 연장되고,
    가이드 튜브(90a, 90b)의 프레임 단부를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 2)에 대해 가변적인 위치들에서 프레임(30, 30a, 30b)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고정시킴을 가능하게 하는 제1 고정 장치(first fixing device; 54)가 제공되며,
    피드-인 조각(80)이 프레임 상의 가변적인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피드-인 조각(80)에 또는 프레임 상에 적어도 하나의 종장형 구멍(8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구동 체인의 병진 움직임을 위해 설계된 구동 유니트(drive unit; 50)가 제공되고, 구동 체인은 구동 유니트(50)로부터 가이드 레일(70)들 중의 하나까지 연장되며, 구동 체인에 의하여 직물 시트(62)가 적재 위치(stowed position)로부터 기능작용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고, 가이드 튜브(90a, 90b)는 구동 유니트(50)로부터 가이드 레일(70) 또는 가이드 레일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는 피드-인 조각(80)까지 연장되며, 구동 유니트(50)에 고정 장치(54)가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고정 장치(54)는, 복수의 분리된 위치(54a)들 중 하나에 가이드 튜브(90a, 90b)를 고정시키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이드 튜브(90a, 90b)의 프레임 단부에서는 단면(cross-section; 92)에 대한 변형이 이루어지고, 프레임 상에는 가이드 튜브(90a, 90b)를 위한 튜브 수용부(tube receptacle; 54)가 제공되며, 상기 튜브 수용부는, 단면(92) 변화에 들어맞는 형상을 가지며 또한 횡방향(2)으로 서로 떨어져 이격된 복수의 섹션(54a)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
  5. 제 4 항에 있어서,
    튜브 수용부(54)는 가이드 튜브(90a, 90b)의 프레임 단부를 수용하는 두 개의 절반-외피부들(half-shells; 52a, 52b)을 포함하고, 절반-외피부들(52a, 52b)은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 튜브의 주변부(perimeter)를 둘러싸며, 상기 두 개의 절반-외피부들(52a, 52b) 중의 하나 또는 그 둘 다에는 단면(92) 변화에 들어맞는 형상을 가진 섹션(54a)들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
  6. 제 5 항에 있어서,
    절반-외피부들(52a, 52b), 또는 절반-외피부들이 제공되어 있는 하우징 부분들은, 도구없이는 풀릴 수 없는 스냅-인 연결(snap-in connection)을 이루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
  7.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권취 샤프트(60);
    적재 상태에 있는 때에 권취 샤프트(60)에 권취되고, 기능작용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길이방향(4)으로 권취해제될 수 있는, 유연한 직물 시트(62)로서, 그 측부 에지들(62a, 62b)을 따라서 슬라이딩 요소들이 구비된, 직물 시트;
    직물 시트의 측부 에지들에 제공된 슬라이딩 요소들을 안내하도록 길이방향(4)으로 연장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70)들; 및
    프레임(30, 30a, 30b);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로서,
    가이드 레일(70)들은 프레임(30, 30a, 30b) 상에 가변적인 횡방향 거리를 가지고 체결될 수 있고, 이로써 그들은 요망되는 간격을 두고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피드-인 조각(80)은 분리된 구성요소로서 가이드 레일(70)들 각각에 배정되며, 피드-인 조각(80)들 각각은 구동 체인용 피드-인 개구(feed-in opening) 및/또는 슬라이딩 요소들용 피드-인 개구를 구비하고, 피드-인 조각(80)들은 가이드 레일(70)들과 함께 서로로부터 가변적인 횡방향 간격을 취하도록 가이드 레일(70)들에 결합되며, 피드-인 조각(80)에 그리고 프레임(30, 40) 상에는 협력하는 제2 고정 수단(second means of fixing; 42, 84, 46, 86)이 제공되어서, 피드-인 조각(80)들이 프레임(30, 30) 상의 가변적인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프레임(30, 40)에 대한 피드-인 조각(80)들의 비틀림에 대한 안정성이 제공되고,
    제2 체결 수단(second means of fastening; 84)은 피드-인 조각(80)에 또는 프레임 상에 종장형의 구멍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제2 체결 수단이 피드-인 조각(80)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맞물림 리브들(engaging ribs; 86)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30, 40)의 대응되는 맞물림 리브들(46)이 상기 맞물림 리브들(86)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10).
  10. 롤러 블라인드(roller blind)를 구비한 자동차로서,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20036103A 2011-04-07 2012-04-06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 KR101927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7004A DE102011007004B8 (de) 2011-04-07 2011-04-07 Rollobau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007004.4 2011-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151A KR20120115151A (ko) 2012-10-17
KR101927901B1 true KR101927901B1 (ko) 2018-12-11

Family

ID=4602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103A KR101927901B1 (ko) 2011-04-07 2012-04-06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81789B2 (ko)
EP (1) EP2508376A1 (ko)
KR (1) KR101927901B1 (ko)
CN (1) CN102733747B (ko)
DE (1) DE102011007004B8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7620B4 (de) * 2011-04-18 2014-05-28 Bos Gmbh & Co. K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Rollosystems und Vorrichtung hierfür
DE102012219523B4 (de) * 2012-10-25 2016-02-18 Bos Gmbh & Co. Kg Rollo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20150224857A1 (en) * 2014-02-12 2015-08-13 Craig Calkins Rear window sunshade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CN105888522B (zh) * 2015-01-04 2017-10-20 马燕翔 一种电动卷帘装置
US9944216B2 (en) 2015-02-13 2018-04-17 Bos Automotive Products, Inc. Automated soft tonneau cover
DE102016125284B4 (de) * 2016-12-21 2018-07-05 Webasto SE Fahrzeugdach mit Trägerabschnitt und Rolloanordnung
US11318826B2 (en) 2017-02-24 2022-05-03 Bos Automotive Products, Inc. Stacking rigid cover
US11142050B2 (en) 2018-06-21 2021-10-12 Bos Automotive Products, Inc. Rigid tonneau cover
US11884145B2 (en) 2017-02-24 2024-01-30 Bos Automotive Products, Inc. Stacking rigid cover
WO2018156921A1 (en) 2017-02-24 2018-08-30 Bos Automotive Products, Inc. Automated rigid tonneau cover
DE102018108354B4 (de) * 2018-04-09 2022-02-24 Webasto SE Fahrzeugdach, umfassend eine Rolloanordnung mit Lagereinheiten für Rollobahn
KR20200129237A (ko) * 2019-05-07 2020-11-18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윈도우 차광장치의 코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KR102212192B1 (ko) * 2019-05-07 2021-02-04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DE102019131964A1 (de) * 2019-11-26 2021-05-27 Webasto SE 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nordnung für eine Verdunkel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dach und Fahrzeugdach für ein Kraftfahrzeug
JP7274021B1 (ja) * 2022-04-28 2023-05-15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ルーフ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547A (ja) * 2001-05-09 2002-11-27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l Gmbh 車両ルーフ用巻取り式日除け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8452C2 (de) * 1978-02-28 1985-04-04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5 Gauting Schiebedach für Kraftfahrzeuge
JPS6390431A (ja) * 1986-10-01 1988-04-2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サンル−フ装置
JP2597524Y2 (ja) * 1990-07-10 1999-07-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DE4481036B4 (de) * 1994-07-05 2006-04-27 Asc Inc., Southgate Sonnenschutz für das Dach eines Automobils
US5551744A (en) * 1995-01-12 1996-09-03 Energy Conservation Partnership, Ltd. Motor vehicle windshield curtain structure
JP3291193B2 (ja) * 1996-01-12 2002-06-10 シュウ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被覆装置
DE69821452T2 (de) * 1997-11-07 2004-12-23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Konstruktion eines öffnungsfähigen Fahrzeugdaches
DE10057762A1 (de) * 2000-11-22 2002-06-06 Bos Gmbh Fensterrollo mit Ausgleich gegen Verzug
DE10066230B4 (de) * 2000-11-22 2006-06-22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variabler Abschattungswirkung
DE10057763C2 (de) 2000-11-22 2002-10-24 Bos Gmbh Doppelrollo mit vereinfachtem Antrieb
DE10057759A1 (de) * 2000-11-22 2002-06-06 Bos Gmbh Fensterscheibe mit daran befestigtem Fensterrollo
DE10062690A1 (de) * 2000-12-16 2002-07-04 Bos Gmbh Fensterrollo mit vereinfachter Montage
DE10151872B4 (de) * 2001-10-24 2007-10-04 Bos Gmbh & Co. Kg Geteiltes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8805A1 (de) * 2002-03-01 2003-09-18 Daimler Chrysler Ag Dachhimmel eines Fahrzeugs mit einer an einem beweglichen Schiebehimmel angeordneten Lichtquelle
DE10253816B3 (de) * 2002-11-18 2004-02-05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Rollo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EP1449692B1 (de) * 2003-02-19 2008-04-09 ArvinMeritor GmbH Sonnen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331143B8 (de) * 2003-07-09 2007-03-08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r Dachöffnung und einer bewegbaren Dachschließeinrichtung
US7314079B2 (en) * 2003-09-09 2008-01-01 Asmo Co., Ltd. Sunshade system having blind sheet
US20070210620A1 (en) * 2003-11-11 2007-09-13 Michael Heidan Roof ope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DE102005013115A1 (de) * 2005-03-18 2006-09-28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JP4560442B2 (ja) * 2005-05-23 2010-10-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開閉装置
DE102005030707A1 (de) * 2005-06-29 2007-01-04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mit formschlüssigem Anschlag auf dem Betätigungsglied
DE102005033819A1 (de) * 2005-07-11 2007-01-25 Bos Gmbh & Co. Kg Laderaumschutz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r Wickelwelle
DE102005038373B4 (de) * 2005-08-13 2016-12-22 Fkt Technische Produkte Gmbh Sonnenschutzvorrichtung
DE102005052618A1 (de) * 2005-11-02 2007-05-03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ohne Restlichtspalt
FR2892977A1 (fr) * 2005-11-07 2007-05-11 Wagon Sas Cadre d'occultation pour pavillon vitre d'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correspondant
KR100819407B1 (ko) * 2006-01-06 2008-04-04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용 차양장치
DE102006003983A1 (de) * 2006-01-27 2007-08-09 Macauto Industrial Co., Ltd., Yung-Kang Sonnenblenden-Vorrichtung
DE102006019322B4 (de) * 2006-04-24 2008-02-21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bewegbaren Deckel und einem unter diesem angeordneten öffnungsfähigen Rollo
JP4192196B2 (ja) * 2006-05-25 2008-12-03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ガイドパイプの取り付け構造
JP4247753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4247751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4247752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DE602008000436D1 (de) * 2007-06-26 2010-02-04 Wagon Sas Rollo mit Mitteln zur Verlangsamung der Aufwicklung und entsprechendes Beförderungsmittel
DE102007039255A1 (de) * 2007-08-20 2009-02-26 Bos Gmbh & Co. Kg Heckscheibenrollo mit Winkeltragschiene
DE202007012981U1 (de) * 2007-09-11 2009-02-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 Abdeck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S7455345B1 (en) * 2007-12-12 2008-11-25 Korea Fuel-Tech Corporation Sunshade apparatus for automobiles
DE102008035514B4 (de) * 2008-07-30 2010-06-10 Bos Gmbh & Co. Kg Manuelles Dachfensterrollo mit Spannern
JP5168114B2 (ja) * 2008-12-05 2013-03-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5357843B2 (ja) * 2009-08-27 2013-12-04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のフレーム構造
JP5528790B2 (ja) * 2009-12-28 2014-06-2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EP2353906B1 (en) * 2010-01-26 2013-03-20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Roof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a sieve member
JP2011156938A (ja) * 2010-01-29 2011-08-18 Yachiyo Industry Co Ltd 車両ルーフ構造
JP5108903B2 (ja) * 2010-01-29 2012-12-26 八千代工業株式会社 車両ルーフ構造
US8708028B2 (en) * 2010-08-26 2014-04-29 Korea Fuel-Tech Corporation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JP5646934B2 (ja) * 2010-09-24 2014-12-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10063450A1 (de) * 2010-12-17 2012-06-21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081348A1 (de) * 2011-08-22 2013-02-28 Bos Gmbh & Co. Kg Dachfenstereinheit und Fahrzeug mit einer Dachfenstereinhe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547A (ja) * 2001-05-09 2002-11-27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l Gmbh 車両ルーフ用巻取り式日除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07004B4 (de) 2012-10-25
DE102011007004A1 (de) 2012-10-11
EP2508376A1 (de) 2012-10-10
US8881789B2 (en) 2014-11-11
CN102733747B (zh) 2016-12-14
DE102011007004B8 (de) 2013-01-10
CN102733747A (zh) 2012-10-17
KR20120115151A (ko) 2012-10-17
US20120255690A1 (en)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901B1 (ko) 자동차용 롤러 조립체
CA2075375C (en) A greenhouse provided with a profiled frame for guiding a foil and also provided with a snap-on frame for the affixing thereof, as well as a profiled frame, a profiled snap-on frame, a clamping construction and a profiled beam
US7430831B2 (en) Fixing clamp for windows, which is intended for motor vehicle window regulators
US10316570B2 (en) Window regulator for vehicle
KR20130021341A (ko) 선루프 장치 및 선루프 장치를 가진 차량
EP0945577A3 (de) Vorrichtung zum Abstützen von Fenster- oder Türrahmen an der Begrenzung einer Wandöffnung
KR101321686B1 (ko)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US20140116631A1 (en) Roller blind device for a motor vehicle
EP1859977A2 (en) Assembly for moving blinds and the like, particularly in motor vehicles
US20210345809A1 (en) Electric curtain
EP2940239B1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US20170355248A1 (en) Protection device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EP1491312A2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schäumten Fahrzeugteils sowie dadurch hergestelltes Dachmodul oder dadurch hergestellter Fahrzeuginnenhimmel
EP0370985B1 (en) Method and blank for producing a substantially u-shaped guide rail in a window frame groove
US10704646B2 (en) Bungee cord lock and method of use
US20200386045A1 (en) Motorized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a movable screen, having a roll-up fabric, of a window covering or projection screen device
EP1782985B2 (fr) Cadre d'occultation pour pavillon vitré d'un véhicule automobile, et véhicule correspondant
EP1447516B1 (en) Cord tensioner
CN109414977B (zh) 用于车辆车身的卷帘组件和用于组装卷帘组件的方法
CN110965924A (zh) 一种中空玻璃内置遮阳产品的电动卷绳装置
EP3447209B1 (en) Awning structure
EP1588011B1 (en) A venetian blind
KR102598636B1 (ko) 직진형 밴드케이블
DE10215331A1 (de) Sonnenschutzrollo für Fensterscheiben von Kraftfahrzeugtüren
US20060070707A1 (en) Longitudinal frame member and sp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