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192B1 -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192B1
KR102212192B1 KR1020190053168A KR20190053168A KR102212192B1 KR 102212192 B1 KR102212192 B1 KR 102212192B1 KR 1020190053168 A KR1020190053168 A KR 1020190053168A KR 20190053168 A KR20190053168 A KR 20190053168A KR 102212192 B1 KR102212192 B1 KR 10221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blind
window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238A (ko
Inventor
박정순
김봉중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192B1/ko
Priority to US17/434,345 priority patent/US12036848B2/en
Priority to PCT/KR2019/005636 priority patent/WO2020226216A1/ko
Publication of KR2020012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된 상태에서 견인됨에 따라 권출되어 자동차의 윈도우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라인드 시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 구동력을 전달받아 블라인드 시트를 견인하여 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코드 유닛 및 일측이 블라인드 시트 모듈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한 쌍의 코드 유닛의 이동을 각각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가이드레일은 블라인드 시트 모듈과의 연결위치가 조절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부를 각각 포함하는 윈도우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폭 조절이 가능한 윈도우 차광장치는 차광장치의 작동기능은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설치 공간, 특히 설치 폭에 대응하여 폭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Window Shad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Width}
본 발명은 윈도우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한 윈도우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에는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윈도우가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큰 면적의 윈도우를 갖는 자동차는 구입자 및 사용자들에게 심미성을 충족 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에 배치되는 큰 면적의 윈도우는 자동차의 사용자들에게 심미성을 향상 시켜 줄 수 있으나, 큰 면적을 가지고 배치된 윈도우를 통해 투과되는 빛의 영향으로 자동차 내부에 열이 축적됨에 따라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공조 장치의 작동 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큰 면적의 윈도우를 통해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실내의 시인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가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실내와 외부를 차단할 수 있는 윈도우 차광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윈도우 차광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26,713호(2014.08.06.공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윈도우 차광장치는 차량별 설치공간에 따라 폭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설치의 정교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동일한 차종이라 하더라도 차량별 크기 오차에 대응하여 설치되지 못하여 완성도 하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26,713호(2014.08.06.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윈도우 차광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설치 공간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한 윈도우 차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권취된 상태에서 견인됨에 따라 권출되어 자동차의 윈도우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라인드 시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 구동력을 전달받아 블라인드 시트를 견인하여 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코드 유닛 및 일측이 블라인드 시트 모듈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한 쌍의 코드 유닛의 이동을 각각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가이드레일은 블라인드 시트 모듈과의 연결위치가 조절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부를 각각 포함하는 윈도우 차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블라인드 시트 모듈은 블라인드 시트를 권취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샤프트, 샤프트 및 권취된 블라인드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샤프트 및 프레임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며, 위치조절부는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와 프레임은 끼움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프레임은 위치조절부와 연결된 위치에서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돌출부 수용홈을 포함하며, 끼움결합은 돌출부가 돌출부 수용홈에 끼워지는 결합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돌출부 수용홈은 위치조절부의 연결위치 조절시에 돌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조절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위치조절부의 연결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연결부와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프레임은 고정부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결구멍을 포함하며, 연결부 및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멍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elongated hol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는 프레임 커버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프레임으로 끼워지며, 프레임 커버는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커버는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연결부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끼워지며, 고정부는 프레임 커버, 프레임 및 연결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는 자동차에 설치시 개별적인 설치공간의 오차에 대응하여 위치조절부의 위치를 조절한 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끼워지거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폭 조절이 가능한 윈도우 차광장치는 차광장치의 작동기능은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설치 공간, 특히 설치 폭에 대응하여 폭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김위치에 대한 윈도우 차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개위치에 대한 윈도우 차광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3에 도시된 코드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4에 도시된 Ⅴ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Ⅴ 영역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4에 도시된 코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Ⅷ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Ⅷ 영역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5에 도시된 Ⅹ-Ⅹ 선의 단면도,
도 11 및 도 12의 (a) 내지 (d)는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의 Ⅹ-Ⅹ 선의 단면도,도 13은 도 8에 도시된 ⅩⅢ-ⅩⅢ 선의 단면도,
도 14는 도2에 도시된 ⅩⅣ-ⅩⅣ 선의 단면 사시도,
도 15는 도1에 도시된 감김위치에 대한 구동유닛과 코드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
도 16은 도2에 도시된 전개위치에 대한 구동유닛과 코드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시트 모듈 및 위치조절부가 나타난 부분확대도이다.
도 18은 블라인드 시트 모듈과 가이드 레일의 연결부분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과 가이드 레일의 연결부분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블라인드 시트 모듈과 위치조절부의 연결부분이 나타난 확대단면도이다.
도 21은 위치조절부의 연결위치를 조절하는 개념이 나타난 부분단면도이다.
도 22는 위치조절시 윈도우 차광장치의 부분적인 외형변화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하에서 ‘폭 방향’이라 함은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뜻하며, 블라인드 시트 모듈이 연장되는 방향을 뜻함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장치(1)는 본 발명에서 미도시된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선루프와 같은 윈도우 영역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김위치에 대한 윈도우 차광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개위치에 대한 윈도우 차광장치의 사시도, 그리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장치(1)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 가이드레일(guide rail)(70), 구동유닛(80) 및 코드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차광장치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 가이드 레일이 차량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블라인드 시트를 전개위치와 감김위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샤프트(230), 블라인드 시트(240), 쉐이드 바(250), 프레임(210) 및 프레임 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라인드 시트(240)는 차량의 내측에서 윈도우를 통하여 투과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블라인드 시트(240)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 내에 권취되어 있는 감김위치와 권출되어 윈도우를 가리게 되는 차단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블라인드 시트(240)는 권취와 권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충분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직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230)는 블라인드 시트(240)를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샤프트(230)는 블라인드 시트(240)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샤프트(23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된 양측이 후술할 프레임 커버(22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샤프트(230)는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블라인드 시트(24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며, 견인력이 없는 경우 회전력에 의해 블라인드 시트(240)를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쉐이드 바(250)는 블라인드 시트(240)를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쉐이드 바(25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블라인드 시트(240)의 일측과 연결된다. 쉐이드 바(250)는 폭 방향의 양측이 코드 유닛과 연결되며, 코드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수평자세를 유지한 채로 전진 및 후진하면서 블라인드 시트(240)의 권취 및 권출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210)은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레임(2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전술한 블라인드 시트(240)의 적어도 일부 및 샤프트(2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프레임(210)은 샤프트(230)의 회전방향으로 판형부재를 구부려 내측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210)은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블라인드 시트(240)가 쉐이드 바(250)를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폭 방향을 따라 개방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220)는 프레임(210)의 폭 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을 측방에서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프레임 커버(220)는 각각 내측에 샤프트(230)와 연결되는 샤프트(230) 연결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할 위치 조절부(75)의 위치 조절에도 샤프트(2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 커버(220)와의 연결위치가 고정된다.
가이드레일(70)은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블라인드 시트(240)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레일(70)은 샤프트(230)와 쉐이드 바(25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레일(70)은 가이드레일 몸체(72)와, 가이드레일 몸체(72) 내부에 형성되어 코드 조립체(100)의 코드유닛(300)이 이동되는 이동로 역할을 하는 가이드 홀(74)을 포함하며, 일측이 위치조절부가 구비되어 전술한 블라인드 시트 모듈과 연결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레일(70)은 윈도우 차광장치(1)를 자동차의 측면에 부착 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블라인드 시트 모듈은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자동차의 후방 선반 또는 자동차의 판넬에 연결되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70)은 예를 들면 C-필러를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C-필러를 예를 들었으나, D-필러 또는 썬루프 주변과 같은 다양한 위치의 유리창 주변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유닛(80)은 블라인드 시트(240)가 전개위치와 감김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유닛(80)은 코드 조립체(100)와 연결되어 발생된 구동력을 코드 조립체(1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구동유닛(80)은 모터(82)와 회전 기어(84)를 포함한다. 모터(82)는 블라인드 시트(240)가 전개위치와 감김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고, 회전 기어(84)는 모터(8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82)의 회전 구동력에 따라 회전 운동한다. 여기서, 회전 기어(84)는 후술할 코드 조립체(100)의 기어유닛(500)과 치합되어 기어유닛(500)에 회전 운동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드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Ⅴ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Ⅴ영역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코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Ⅷ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Ⅷ영역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Ⅹ-Ⅹ 선의 단면도, 도 11 및 도 12의 (a) 내지 (d)는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의 Ⅹ-Ⅹ 선의 단면도, 도 12은 도 8에 도시된 ⅩⅢ-ⅩⅢ 선의 단면도,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ⅩⅣ-ⅩⅣ 선의 단면 사시도이다.
코드 조립체(100)는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코드유닛(300) 및 기어유닛(500)을 포함한다. 또한, 코드 조립체(100)는 결합유닛(700), 체결유닛(800) 및 가이드 피스(900)를 더 포함한다. 코드 조립체(100)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70)에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코드 조립체(100)는 구동유닛(80)의 작동에 따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리니어 운동하여 블라인드 시트(240)를 전개위치와 감김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코드유닛(300)은 블라인드 시트(10)에 연결되며 구동유닛(8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블라인드 시트(240)를 전개위치와 감김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실질적으로 코드유닛(300)은 블라인드 시트(240)의 일측에 배치된 쉐이드 바 (250)를 매개로 하여 블라인드 시트(240)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코드유닛(300)은 블라인드 시트(240)와 쉐이드 바(250)를 통해 연결된다. 코드유닛(300)은 가이드레일(70)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영역에서 가이드레일(70)의 내측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구동유닛(8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따라 가이드레일(70)의 길이 방향으로 리니어 왕복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코드유닛(300)의 단면 형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가이드레일(70)과 복수 개로 점 접촉되는 스텔라(stellar)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코드유닛(300)은 블라인드 시트(240)가 윈도우를 커버하는 전개위치와 커버 해제하는 감김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 가이드레일(70)과 복수 개로 선 접촉 이동된다.
본 발명의 코드유닛(300)은 코드부재(320)와 와이어 부재(340)를 포함한다. 코드부재(320)는 가이드레일(70)과 접촉되어 구동유닛(8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코드부재(320)는 코어(core)부(322) 및 코어부(322)의 외표면을 따라 돌출되어 가이드레일(7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324)를 포함한다. 또한, 코드부재(320)의 접촉부(324)는 코어부(322)의 외표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7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코드부재(3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322)와 접촉부(324)의 단면 형상이 가이드레일(70)의 내측면에 복수 개로 점 접촉되는 스텔라(stellar)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 11 및 도 12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부재(320)의 코어부(322)와 접촉부(324)는 도 10에 도시된 스텔라 형상의 코드부재(320)와 달리 다른 실시 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코드부재(320)는 도 10에 도시된 코드부재(32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도 10의 접촉부(324)와 달리 상대적으로 가이드레일(70)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더 큰 접촉부(324)를 갖는다. 도 11의 (b)에 도시된 코드부재(320)는 사각 단면 형상의 코어부(322)와 코어부(322)의 4개의 변으로부터 돌출된 접촉부(324)를 갖는다. 도 12의 (c)에 도시된 코드부재(320)는 삼각 단면 형상의 코어부(322)와 코어부(322)의 3개의 변으로부터 돌출된 접촉부(324)를 갖는다. 그리고, 도 12의 (d)에 도시된 코드부재(320)는 원형 단면 형상의 코어부(322)와 코어부(322)의 원주로부터 돌출된 1개의 접촉부(324)를 갖는다.
여기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코드부재(320)의 단면 형상과 달리, 코드부재(320)의 코어부(322)와 접촉부(324)는 블라인드 시트(10)가 윈도우를 커버하는 전개위치와 커버 해제하는 감김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 가이드레일(70)과 복수 개의 영역에서 접촉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코드부재(320)의 단면 형상은 가이드레일(70)의 내측면과 복수 개로 점 접촉되는 스텔라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구동유닛(80)으로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이동 시 가이드레일(70)의 내측면과 복수 개로 선 접촉되어 이동된다.
이렇게 코드유닛(300)의 코드부재(320)의 외표면과 가이드레일(70)의 내측면이 코드유닛(300)의 리니어 이동 방향으로 복수 개의 영역에서 접촉됨에 따라 가이드레일(70)의 내부에서 코드유닛(300)의 이동성을 향상함과 함께 마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우수한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부(324) 사이의 함몰 영역에는 코드유닛(300)과 가이드레일(70) 사이의 윤활을 위한 윤활유가 일부 수용될 수 있으므로, 코드유닛(300)과 가이드레일(70) 사이의 마찰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의 누유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 부재(340)는 코드부재(3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와이어 부재(340)는 코드부재(320)의 왕복 이동 시 코드부재(32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한다. 코드유닛(300)은 코드부재(320)와 와이어 부재(340)의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상세하게 코드부재(3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형성되고, 와이어 부재(340)는 코드부재(320)의 열 변형에 따른 길이 변화를 제한하기 위하여 금속과 비철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실질적으로 코드부재(3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연한 재질 특성이 있으나, 강성이 취약하고 외부의 열적 조건에 따라 길이 변화를 한다. 이러한 코드부재(320)의 강성의 취약과 열적 조건에 따른 길이 변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코드부재(320)의 내부에 와이어 부재(340)를 배치한다. 특히, 와이어 부재(340)는 코드부재(320)의 열적 조건에 따라 길이 변화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윈도우 차광장치(1)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어유닛(500)은 코드유닛(300)의 일측에 연결된다. 기어유닛(500)은 회전 기어(84)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 기어(84)의 회전 운동을 코드유닛(300)의 리니어 운동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기어유닛(500)은 기어부재(520) 및 기어 와이어 부재(540)를 포함한다.
기어부재(520)는 회전 기어(84)와 치합되어 회전 기어(84)의 회전 운동을 리니어 운동으로 변환한다. 기어부재(520)는 기어부(522)와 스토퍼부(524)를 포함한다. 기어부(522)는 블라인드 시트(240)를 전개위치와 감김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코드유닛(300)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며 회전 기어(84)와 치합되는 래크(rack)가 형성된다. 즉, 기어부(522)는 실질적으로 블라인드 시트(10)가 이동되는 거리에 대응되어 코드유닛(300)이 리니어 운동되도록 래크 형상의 기어가 형성된다. 스토퍼부(524)는 래크를 사이에 두고 회전 기어(84)와 치합되지 않는 외표면을 가지고 배치, 즉 회전 기어(84)와 치합되는 기어의 형상이 없는 외표면을 갖는다. 스토퍼부(524)는 블라인드 시트(10)의 전개위치와 감김위치 사이에서 코드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세하게 스토퍼부(524)는 블라인드 시트(10)의 전개위치에서 코드유닛(300)이 더 이동되지 않도록 및/또는 블라인드의 감감위치에서 코드유닛(300)이 더 이동되지 않도록 코드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스토퍼부(52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윈도우 차광장치(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할 때 보다 상세하게 하기로 한다.
기어 와이어 부재(54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재(520)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어 와이어 부재(540)는 기어부재(520)가 회전 기어(84)와 치합되어 리니어 이동될 때 기어부재(52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한다. 기어유닛(500)은 기어부재(520)와 기어 와이어 부재(540)의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기어부재(5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기어 와이어 부재(540)는 기어부재(520)의 열 변형에 따른 길이 변화를 제한하기 위하여 금속과 비철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실질적으로 기어부재(5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연한 재질 특성이 있으나, 강성이 취약하고 외부의 열적 조건에 따라 길이 변화를 한다. 이러한 기어부재(520)의 강성의 취약과 열적 조건에 따른 길이 변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기어부재(520)의 내부에 기어 와이어 부재(540)를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어 와이어 부재(540)는 코드부재(320)의 열적 조건에 따라 길이 변화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회전 기어(84)와 기어부재(520)의 기어 치합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윈도우 차광장치(1)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합유닛(70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유닛(300)에 연결된 제1 결합부(720), 기어유닛(500)에 연결된 제2 결합부(740) 및 제1 결합부(720)와 제2 결합부(740)에 관통 형성된 결합 홀(7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결합부(720) 및 제2 결합부(74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코드유닛(300)과 기어유닛(50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구분함을 알려둔다. 이러한 제1 결합부(720) 및 제2 결합부(740)의 면 접촉 결합에 의해 코드유닛(300)과 기어유닛(500) 사이에서 발생하는 길이 변화를 제한할 수 있다.
체결유닛(800)은 결합유닛(700)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유닛(700)을 상호 체결한다. 상세하게 체결유닛(800)은 제1 결합부(720)와 제2 결합부(740)에 각각 형성된 결합 홀(760)에 관통 삽입되는 핀과 나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1 결합부(720)와 제2 결합부(740)를 핀 결합과 나사 결합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 방식으로 상호 체결한다.
한편, 결합유닛(700)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유닛(300)에 연결된 제1 결합부(720)와 기어유닛(500)에 연결된 제2 결합부(74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결합유닛(70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결합유닛(700)과 달리 체결유닛(800) 없이 상호 결합된다. 상세하게 제1 결합부(720)와 제2 결합부(740)는 상호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720)와 제2 결합부(74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제1 결합부(720)와 제2 결합부(740)의 상호 끼움 결합 시 이탈 방지 및 결합력 보강을 위하여 제1 결합부(720)와 제2 결합부(740)를 압착하여 상호 단단히 결합되고 연결될 수 있다.가이드 피스(900)는 쉐이드 바(250)와 코드유닛(300)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 피스(900)는 코드유닛(300)의 리니어 운동을 쉐이드 바(250)에 제공한다. 즉, 가이드 피스(900)는 쉐이드 바(250)와 코드유닛(300)의 상호 연결하여 블라인드 시트(240)가 전개위치와 감김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가이드 피스(9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코드유닛(3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어 쉐이드 바(250)와 코드유닛(30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 15은 도 1에 도시된 감김위치에 대한 구동유닛과 코드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전개위치에 대한 구동유닛과 코드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장치(1)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도 1 및 도 15는 블라인드 시트(240)가 감김위치에 위치한 윈도우 차광장치(1)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블라인드 시트(240)가 윈도우를 커버하지 않는 감김위치에 있을 때 블라인드 시트(240)는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후방 선반에 위치된다. 이때, 코드 조립체(100)는 회전 기어(84)가 회전 운동을 하더라도 기어유닛(500)의 스토퍼부(52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상술한 도 2 및 도 16은 블라인드 시트(240)가 감김 위치로부터 윈도우를 커버하는 전개위치로 이동된 윈도우 차광장치(1)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15에 도시된 감김 위치에서 도 2 및 도 16과 같이 블라인드 시트(10)가 전개위치로 이동될 때, 회전 기어(84)는 회전 운동을 하고 회전 기어(84)와 치합된 한 쌍의 코드 조립체(100)의 각각의 기어유닛(500)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리니어 운동된다. 이때, 코드유닛(300)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70)의 내부와 복수 개의 점 접촉부를 갖는 스텔라 형상으로 점 접촉되고, 실질적으로 가이드레일(70)의 내부에서 리니어 운동 시 복수 개로 선 접촉된다. 이러한 코드유닛(300)의 형상에 따른 가이드레일(70)과의 접촉 방식, 즉 리니어 이동 시 복수 개로 선 접촉됨에 따라 코드유닛(300)의 이동성을 향상함과 함께 가이드레일(70)과 코드유닛(300) 사이의 마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시트(240)가 전개위치에 위치될 때 회전 기어(84)가 회전 운동하더라도 스토퍼부(524)에 의해 회전 기어(84)와 기어유닛(500)이 치합되지 않음에 따라 코드유닛(300)의 이동은 제한된다.
이에, 가이드레일과 복수 개로 점 접촉되는 스텔라(stellar) 형상을 갖는 코드유닛에 의해 가이드레일과 코드유닛이 상호 복수 개로 선 접촉되어 코드유닛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코드유닛의 이동성 향삼과 함께 가이드레일과 코드유닛 사이의 마찰 소음을 저감하여 제품의 품위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코드유닛을 리니어 이동하는 기어유닛에는 구동유닛의 구동에 무관하게 코드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품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 및 위치조절부(75)가 결합된 상태로 나타난 부분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의 폭 방향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70)이 각각 구비된다. 각각의 가이드레일(70)에는 위치조절부(75)가 구비되어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과 연결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장치(1)가 차량에 설치될 때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되어 가이드레일(70)이 차량의 양측 C 필러를 따라 정교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8은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과 가이드레일(70)의 연결되는 부분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과 가이드레일(70)의 연결부(76)분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75)에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76)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10)은 후술할 위치조절부(75)의 돌출부(77)가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 수용홈(2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커버(220)는 후술할 연결부(76)가 프레임 커버(220)를 통과하여 프레임(21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연결부(76)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연결부 삽입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위치조절부(75)에 의해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과 가이드레일(70)간의 폭 방향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에 대하여는 차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위치조절부(75)는 가이드레일(70)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폭 방향으로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과 연결되는 위치가 조절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위치조절부(75)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76)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 측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소정 길이 내에서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과의 폭 방향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76)는 프레임(2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프레임 커버(220) 를 폭 방향으로 관통한 뒤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76)는 프레임(210)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210)의 구부러진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76)와 프레임(210)은 끼움구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76)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77)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210)은 돌출부(77)에 대응하여 돌출부(77)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출부 수용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조절부(75)가 프레임 커버(220)에 끼워진 경우 돌출부(77)가 돌출부 수용홈(211)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돌출부(77) 수용부는 돌출부(77)가 끼워진 상태에서 위치조절부(75)가 폭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7)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76)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부(76)는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부(76)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77)가 구비되고, 프레임(210)에는 3개의 돌출부(77)의 위치에 대응하여 돌출부 수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멍(400)은 프레임(210), 프레임 커버(220) 및 위치조절부(75)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4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레임(210) 및 프레임 커버(220) 에는 연결되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의 체결구멍(400)이 구비된다. 반면, 연결부(76)의 체결구멍(400)은 고정부(450)가 삽입된 채로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공(elongated hole)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 커버(220) 는 프레임(210)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샤프트(230)를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으며, 위치조절부(75)는 프레임 커버(220) 와 독립적으로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위치조절시의 위치변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위치조절부(75)의 연결 전후의 개념이 나타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레임(210), 프레임 커버(220) 및 위치조절부(75)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었다. 도 2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은 프레임(210)과 프레임 커버(220) 및 샤프트(230)가 먼저 연결된다. 이후 도 2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75)가 폭 방향으로 프레임 커버(220) 커버를 통과하여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위치조절부(75)는 연결부(76)에 구비된 돌출부(77)가 프레임(210)의 돌출부 수용홈(211)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임시 연결상태가 된다.
도 21은 위치조절부(75)의 연결위치를 조절하는 개념이 나타난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차광장치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에 위치조절부(75)가 끼워진 후 연결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치되는 차량별 실내 공간의 오차에 대응하여 폭 방향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한 후 폭 방향의 길이를 고정하게 된다. 연결 위치의 변화의 예로서, 도 21 (a)와 같이 위치조절부(75)가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와 도 21 (b)와 같이 최대로 밀착된 위치 사이의 일 지점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조절 거리는 도 21 (a)와 같이 d 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블라인드 시트(240)의 양측에서 폭 조절이 가능하므로 최대 조절 가능한 길이는 2d 가 될 수 있다. 한편, 블라인드 시트 모듈(200)의 폭 방향의 길이와 위치조절부(75)의 위치 조절 거리는 차량의 평균적인 실내공간의 오차 데이터를 근거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수 mm 가 될 수 있다.
도 22는 위치조절시 윈도우 차광장치의 부분적인 외형변화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간 중 상측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설치위치에 맞게 가이드레일(70)을 다소 변형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공간 중 하측에 오차가 발생하여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위치조절부(75)의 연결위치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폭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상측과 하측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을 조합하여 오차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폭 조절이 가능한 윈도우 차광장치(1)는 설치 공간, 특히 설치 폭에 대응하여 폭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윈도우 차광장치
70: 가이드레일(guide rail) 75: 위치조절부
76: 연결부 77: 돌출부
80: 구동유닛
82: 모터 84: 회전 기어
100: 코드 조립체
200: 블라인드 시트 모듈
210: 프레임 211: 돌출부 수용홈
220: 프레임 커버 221: 연결부 삽입홀
230: 샤프트 240: 블라인드 시트
250: 쉐이드 바
300: 코드유닛 301: 코드 커버
320: 코드부재 340: 와이어 부재
400: 체결구멍 450: 고정부
500: 기어유닛 520: 기어부재
522: 기어부 524: 스토퍼부
540: 기어 와이어 부재 700: 결합유닛
800: 체결유닛 900: 가이드 피스(guide piece)

Claims (12)

  1. 권취된 상태에서 견인됨에 따라 권출되어 자동차의 윈도우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라인드 시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트 모듈;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블라인드 시트를 견인하여 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코드 유닛; 및
    일측이 상기 블라인드 시트 모듈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코드 유닛의 이동을 각각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블라인드 시트 모듈과의 연결위치가 조절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시트 모듈은,
    상기 블라인드 시트를 권취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및 권취된 블라인드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폭 방향 양측에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 커버를 상기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으로 끼워지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은 끼움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위치조절부와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돌출부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결합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출부 수용홈에 끼워지는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수용홈은 상기 위치조절부의 연결위치 조절시에 상기 돌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조절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의 연결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결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멍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elongated hol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끼워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커버,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자동차에 설치시 개별적인 설치공간의 오차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절부의 위치를 조절한 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끼워지거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장치.
KR1020190053168A 2019-05-07 2019-05-07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KR10221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68A KR102212192B1 (ko) 2019-05-07 2019-05-07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US17/434,345 US12036848B2 (en) 2019-05-07 2019-05-10 Window shading apparatus having installation width adjustment function
PCT/KR2019/005636 WO2020226216A1 (ko) 2019-05-07 2019-05-10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68A KR102212192B1 (ko) 2019-05-07 2019-05-07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38A KR20200129238A (ko) 2020-11-18
KR102212192B1 true KR102212192B1 (ko) 2021-02-04

Family

ID=7305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68A KR102212192B1 (ko) 2019-05-07 2019-05-07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036848B2 (ko)
KR (1) KR102212192B1 (ko)
WO (1) WO2020226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1955B (zh) * 2021-12-30 2024-08-13 济南国宏建材有限公司 一种可提升遮光效果的百叶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990B1 (ko) 2010-08-26 2012-12-04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US20170349035A1 (en) 2014-12-15 2017-12-07 Bos Gmbh & Co. Kg Protective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and rear shelf for an interior of a passenger ca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323U (ko) 1995-07-08 1997-02-19 황병기 줄넘기용 손잡이
DE102007063594A1 (de) 2007-05-21 2008-12-04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mit Hutablage als Trägerelement
US8708028B2 (en) * 2010-08-26 2014-04-29 Korea Fuel-Tech Corporation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US20120048488A1 (en) * 2010-08-26 2012-03-01 Korea Fuel-Tech Corporation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DE102011007004B8 (de) * 2011-04-07 2013-01-10 Bos Gmbh & Co. Kg Rollobau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KR101286982B1 (ko) * 2011-12-02 2013-07-16 주식회사 세이프로드 차선분리대
DE102012219523B4 (de) * 2012-10-25 2016-02-18 Bos Gmbh & Co. Kg Rollo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101934A1 (de) * 2014-02-12 2015-08-13 Inteva Products, Llc Heckscheibensonnenblende für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CN105662000B (zh) * 2016-03-17 2018-04-03 东莞市伟宏五金塑胶制品有限公司 铰链安装插套
KR102655931B1 (ko) * 2022-03-28 2024-04-11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샤프트 조립체, 이를 갖는 자동차의 윈도우 차광용 장치 및 러기지 스크린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990B1 (ko) 2010-08-26 2012-12-04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US20170349035A1 (en) 2014-12-15 2017-12-07 Bos Gmbh & Co. Kg Protective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and rear shelf for an interior of a passenge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3095A1 (en) 2022-05-19
KR20200129238A (ko) 2020-11-18
WO2020226216A1 (ko) 2020-11-12
US12036848B2 (en) 202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9622B2 (en) Vehicle roof having a roller blind arrangement
US7014243B2 (en) Sunshade device
EP2272699B1 (en) Roller shade apparatus for vehicle
MXPA03008427A (es) Estructura curva de soporte de vidrio y regulador de ventana.
US20140224436A1 (en) Roller shade
US20120048489A1 (en)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US20020139054A1 (en) Safety device for a door window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5936207A (zh) 遮阳组件以及设有遮阳组件的天窗结构
US7721487B2 (en) Glass attachment for movable vehicle window
JP2018070150A (ja) サンルーフウインドデフレクタシステム
KR102212192B1 (ko)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US9725044B2 (en) Protective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US20150191953A1 (en) Window regulator guide rail
US7013946B2 (en) Roller blind, particularly window roller blind, for motor vehicles
US20230406241A1 (en) Assembly of an adjustment device of a motor vehicle, and window lifter
JP2007131208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713756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US11827083B2 (en) Roller blind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KR101264631B1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JP2000052763A (ja) 電動サンシェード装置
CN109414977B (zh) 用于车辆车身的卷帘组件和用于组装卷帘组件的方法
KR20200129237A (ko) 윈도우 차광장치의 코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US5186512A (en) Rear window sliding visor
KR20170032562A (ko) 도어커튼의 세이드바 구조
KR102260847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장치의 가이드 레일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