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058B1 - 음식재료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재료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058B1
KR101927058B1 KR1020177000741A KR20177000741A KR101927058B1 KR 101927058 B1 KR101927058 B1 KR 101927058B1 KR 1020177000741 A KR1020177000741 A KR 1020177000741A KR 20177000741 A KR20177000741 A KR 20177000741A KR 101927058 B1 KR101927058 B1 KR 101927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casting
container
food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429A (ko
Inventor
켄지 코모리
Original Assignee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Nozz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1 수용공간(103a)이 상부 개방형으로 설치되는 주조(main tank)(103)와; 음식재료가 수용되고 복수의 투공(114)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구부(106)를 가지는 유저 원통형상(bottomed cylindrical shape)의 용기(102)로서, 주조와의 사이에 간극(108)이 형성되도록 주조에 수용되는 용기와; 주조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주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2 수용 공간(104a)이 설치되는 부조(sub tank)(104)와;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서 흘러나온 세정액을 제2 수용 공간으로 인도함과 동시에 세정액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도액부(105)와; 부조에 저장된 세정액을 제1 수용 공간 내에 분사하는 환류 분사부(109)로서, 세정액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고, 제2 수용 공간 내의 세정액을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펌프(110)와,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을 제1 수용 공간에 분사하는 분사 노즐(115)을 구비하는 환류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

Description

음식재료 세정 장치{FOOD MATERIAL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야채 등 음식재료를 세정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채 등의 음식재료를 세정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의 종래 기술로서 수돗물을 음식재료가 수납되는 용기 안에 분사하여 음식재료를 용기 안에서 유동시켜 세정하며, 용기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배출하는 세정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9-20129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1-17332호 공보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용기 안에 수돗물을 분사하여 용기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그대로 버리기 때문에 세정에 사용되는 물의 양이 상당이 많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재료의 세정에 사용하는 물의 양을 줄이고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음식재료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1 수용공간이 상부 개방형으로 설치되는 주조(main tank)와; 음식재료가 수용되고 복수의 투공이 분산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개구부를 가지는 유저 원통형상(bottomed cylindrical shape)의 용기로서, 상기 주조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주조에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주조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주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2 수용 공간이 설치되는 부조(sub tank)와; 상기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서 흘러나온 세정액을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인도하는 도액부와; 상기 부조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에 분사하는 환류 분사부로서, 세정액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의 세정액을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환류 분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이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부조에 음식재료의 통과를 저지하고, 또한 세정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오버 플로우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버 플로우 필터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가 상기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외부로 꺼내진 취출 위치에 걸쳐서 상기 용기를 수평인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시키는 반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1 수용 공간이 상부 개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이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주조와; 상기 주조의 제1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투공이 분산되어 형성되는 정류판과; 상기 주조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주조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2 수용 공간이 설치되는 부조와; 상기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서 흘러나온 세정액을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인도하는 도액부와; 상기 부조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제1 수용 공간 내에 분사하는 환류 분사부로서, 세정액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의 세정액을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주조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면상에서 수직인 폭방향의 일측부로부터 폭방향의 타측부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한 환류 분사부와; 상기 주조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획득하여, 상기 주조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획득한 세정액을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배출하는 순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조의 상기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음식재료를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 음식재료를 수용하여, 공급부에 의해 주조 제1 수용 공간에, 세정액이 제1 수용 공간으로부터 흘러 넘쳐서 세정액이 부조의 제2 수용 공간에 저장될 때까지 세정액을 공급하고, 환류 분사부에 의해 부조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주조로 인도하여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 분사하면, 이와 같이 분사된 세정액에 의해 제1 수용 공간의 음식재료를 세정할 수 있다. 환류 분사부의 분사 노즐에 의해 제1 수용 공간에 세정액이 분사되면 그 분사류는 용기에 닿아 이 용기를 따라 안내된다. 용기를 따라 안내되는 세정액의 일부는 투공을 통과하여 용기와 주조 사이의 간극으로 유출되어 간극의 세정액을 가압한다. 간극의 세정액이 가압됨으로써 제1 수용 공간의 용기와 주조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세정액이 도액부로 흘러 넘치고, 흘러 넘친 세정액은 도액부에 의해, 음식재료로부터 이탈한 이물질 등이 세정액으로부터 분리된 후, 부조의 제2 수용 공간으로 인도된다.
따라서 세정액은 환류 분사부 및 도액부에 의해 주조 제1 수용 공간과 부조의 제2 수용 공간을 순환하고, 이와 같이 순환하는 사이에 제1 수용 공간의 음식재료의 세정에 사용되어 음식재료로부터 이탈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세정액을 세정에 사용한 후 즉시 폐기하는 경우에 비해, 세정에 사용되는 세정액의 양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세정액의 상태를 가급적 세정에 적합한 맑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음식재료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가급적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용기에는 복수의 투공이 분산되어 형성되므로,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정액 분사류의 일부는 투공을 통과하여 상기 간극으로 유출된다. 이를 따라 용기를 따라서 흐름을 방해하는 반사류의 발생을 줄이고 용기 내 전체에 큰 흐름을 형성하여 음식재료를 세정액과 함께 크게 유동시켜 높은 세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류판에는 복수의 투공이 분산되어 형성되므로 분사 노즐에서 분사된 세정액 분사류의 일부는 투공을 통과하여 상기 간극으로 유출된다. 따라서, 정류판을 따라서 흐름을 방해하는 반사류의 발생을 줄이고, 주조 내 전체에 큰 흐름을 형성하며, 순환부에 의해 세정액을 순환시키면서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류에 의해 세정액을 유동시켜 높은 세정력을 달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절단면선 S4-S4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제1 배수부(19)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펌프(15)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분사 노즐(16)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분사 노즐(16)의 분사구(16a)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9a는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나타낸 배면도. 
도 9b는 펌프를 부조(130) 외부에 설치한 경우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0)를 나타낸 배면도. 
도 10은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 특히 용기(20) 내의 세정액 및 음식재료(50)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12a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의 음식재료 세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b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의 음식재료 세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를 단순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위쪽에서 본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의 평면도. 
도 15는 오버 플로우 필터(108)를 나타낸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절단면선 XVI-XVI에서 본 오버 플로우 필터(108)의 단면도. 
도 17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의 용기(102)의 반전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를 단순화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위쪽에서 본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의 평면도. 
도 20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c)를 단순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위쪽에서 본 음식재료 세정 장치(10c)의 평면도. 
도 23은 순환부(307)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면선 S4-S4에서 본 단면도이다.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는 주조(11), 세정액 공급부(12), 부조(13), 도액부(14), 펌프(15) 및 분사 노즐(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조(11)에는 제1 수용 공간(17), 덮개부(18) 및 제1 배수부(19)가 설치된다. 제1 수용 공간(17)은 상부 개방형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투공(40)이 형성된 유저 원통형상(bottomed cylindrical shape)의 용기(20)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또한 세정액을 저장한다. 용기(20)의 투공(40)은 용기(20)에 수용되는 음식재료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 그리고 음식재료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음식재료는 예를 들어 양배추, 상추 등 잎이 많은 채소를 5cm×5cm 정도로 절단한 이른바 컷 야채로서, 식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고효율로 높은 이물질 제거율이 요구되는 음식재료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주조(11)는 제1 수용 공간(17)에 수용되는 용기(2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고, 용기(20)가 제1 수용 공간(17)에 수용된 상태에서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면하는 측부 및 바닥의 내부 표면 사이에는 용기(20)의 측벽 및 바닥벽의 외부 표면에 면하고, 그 간격(ΔL)이 불과 예를 들어 5mm 이상 15mm 이하의 간극(41)이 형성된다.
덮개부(18)는 주조(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 수용 공간(17)에 수용된 용기(20)에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폐쇄 위치(P1)와 제1 수용 공간을 상부로 개방하는 개방 위치(P2)에 걸쳐서 수평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 시켜서 개폐 가능하다. 덮개부(18)는 폐쇄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연부(peripheral edge part)가 잔여 부분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제1 배수부(19)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 배수부(19)는 주조(11)의 바닥부(11a)에 설치되고, 제1 수용 공간(17)에 저장된 세정액을 배출한다. 제1 배수부(19)는 배수로(21), 밸브(22) 및 솔레노이드(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수로(21)는 밸브 시트(43)를 갖는 제1 배수관(42a), 제2 배수관(42b), 제3 배수관(42c) 및 제4 배수관(42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로(21)는 주조(11)의 바닥부(11a)에서 제1 수용 공간(17)을 상부를 향하여 개구하여 제1 수용 공간(17)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밸브(22)는 상부에 주조(11)의 바닥부(11a)에 접속된 제1 배수관(42a)의 밸브 시트(43)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 가능한 밸브부(22a)를 갖는다. 개폐 밸브에 의해 실현되는 밸브부(22a)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탄발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22)는 밸브부(22a)가 주조(11)의 바닥부(11a)에 둘레 전체에 걸쳐서 접촉하여 착석되며, 제1 배수부(19)를 통해 제1 수용 공간(17)과 외부 공간이 차단되는 차단 위치와, 밸브부(22a)가 밸브 시트(43)로부터 이격되어 제1 배수부(19)를 통해 제1 수용 공간(17)과 외부 공간이 연통하는 연통 위치에 걸쳐서, 솔레노이드(2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솔레노이드(23)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푸시 로드(23a)를 갖는 전자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실현된다. 솔레노이드(2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푸시 로드(23a)는 수축(degeneracy) 상태에 있으며, 이 때 푸시 로드(23a)와 밸브(22)는 이격되어 있다. 이 때 밸브(22)는 차단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3)에 전력이 공급되면 푸시 로드(23a)가 신장 상태가 되어, 푸시 로드(23a)가 대략 원통형의 가압체(23b)를 통해 밸브(22)를 가압하여 밸브(22)를 위쪽으로 밀어올린다. 이 때 밸브(22)는 개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3)의 푸시 로드(23a)가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상태가 되면 연통 위치에 배치되어 있던 밸브(22)는 밸브 본체(22a)가 자체중량으로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차단 위치에 배치된다.
세정액 공급부(12)는 주조(11)에 세정액인 세정수 및 살균액을 공급한다. 세정액 공급부(12)는 상수도에 연결된 세정액이 공급되는 세정수 공급부(24)와 염소 등의 살균 작용을 가진 성분이 포함된 살균액이 공급되는 살균액 공급부(25)를 가진다. 세정수 공급부(24)에는 주조(11)에 대한 세정액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하는 제1 밸브(24a)가 설치된다. 살균액 공급부(25)에는 주조(11)에 대한 살균액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하는 제2 밸브(25a)가 설치된다. 제1 밸브(24a) 및 제2 밸브(25a)는 예를 들어 전자 개폐 밸브(electromagnetic on-off valve)에 의해 실현되고, 미리 정한 시간에만 개방하고 음식재료에 적합한 농도의 살균제를 함유하는 세정액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조(13)는 주조(1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부조(13)에는 제2 수용 공간(26) 및 제2 배수부(27)가 설치된다. 제2 수용 공간(26)은 세정액을 저장한다. 제2 배수부(27)는 부조(13)의 바닥부에 설치된 제2 수용 공간(26) 내에 세정액을 배출한다. 제2 배수부(27)의 구성 및 동작은 도 5에 도시한 제1 배수부(19)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액부(14)는 주조(11) 상부 및 부조(13)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액부(14)는 도수로(28) 및 필터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수로(28)는 주조(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로부터 흘러 넘쳐 나온 세정액을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 인도한다. 필터부(29)는 예를 들어 메쉬 형태의 원단으로 실현되고, 부조(13)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로부터 흘러 넘쳐 나온 세정액에서 벌레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한다.
도 6은 펌프(15)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펌프(15)는 수중 펌프로 실현되며, 모터(30), 도전선(conductive wire)(31), 임펠러(impeller)(32) 및 케이싱(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30)는 예를 들어 교류 전동기에 의해 실현되고, 도전선(3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로터(30a)가 회전하여 로터(30a)에 연결된 주축(30b)이 회전한다. 임펠러(32)는 원심 임펠러로 실현되며, 모터(30)의 주축(30b)에 동축으로 연결된다. 케이싱(33)은 그 내부에 모터(30) 및 임펠러(32)를 지지한다. 케이싱(33) 내에는 임펠러(32)가 회전함으로써 흡입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34)가 형성된다. 유로(34)는 임펠러(32) 부근에서는 모터(30)의 주축(30b)의 축선을 따름과 동시에, 임펠러(3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유로(34)는 또한 모터(30)의 주축(30b)과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다. 유로(34)의 단부는 케이싱(33)의 외부로 향한다.
펌프(15)는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 내에 배치된다. 펌프(15)는 제2 수용 공간(26) 내에서 유로(34)의 일단부인 흡입구(34a)가 부조(13)의 제2 배수부(27)로 향하고, 유로(34)의 타단부인 토출구(34b)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펌프(15)는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흡입구(34a)가 세정액에 침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30)의 주축(30b)이 회전하면 임펠러(32)도 회전하여 흡입구(34a) 부근의 세정액이 흡인력에 의해 빨려 들어와 유로(34)로 인도되며, 토출구(34b)로부터 토출된다.
도 7은 분사 노즐(16)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분사 노즐(16)의 분사구 (16a)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분사 노즐(16)의 일단부는 호스를 통해 펌프 (15)의 토출구(34b)에 접속된다. 분사 노즐(16)의 타단부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여 부분보다 직경이 축소되어 상세하게는 타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분사 노즐(16)은 덮개부(18)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되고, 덮개부(18)가 폐쇄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세정액이 용기(20)의 바닥부(20b)와 측벽(20a) 사이에 분사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역류 분사부를 구성하는 펌프(15) 및 분사 노즐(16)에 의해 용기(20)가 주조(11)에 수용된 상태에서, 부조(13)에 저장된 세정액이 주조(11)에 인도되어 용기(20) 내에 분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분사 노즐(16)의 분사구(16a)는 도 8의 가상 선(16b)과 같이 정면 형상이 원형으로 개방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또한 타원 형사일 수도 있으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각종 다각형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 9a는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9b는 펌프를 부조(130) 외부에 설치한 경우의 비교예로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0)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에서는 펌프(1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33)의 유로(34)가 대략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부조(13)의 제2 배수부(27)에 의해 제2 수용 공간(26)에 저장되는 세정액이 배출되면 펌프(15)의 유로(34)의 세정액도 케이스(33)에서 거의 완전히 배출된다.
한편, 도 9b에 나타낸 음식재료 세정 장치(100)에서는 펌프(150)의 흡입구(151)와 토출구(152)가 거의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따라서 흡입구(151) 및 토출구 (152) 사이의 유로에는 거의 수평한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부조(130) 내의 세정액을 모두 배출하여도 펌프(150) 내에 세정액이 잔존하여 펌프(150)의 세정액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세균이 번식하거나 할 위험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에서는 주조(11) 및 부조(13)의 세정액을 완전히 배출하면 이에 수반하여 펌프(15)의 세정액도 완전히 배출되기 때문에, 펌프(15) 내에서 세정액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세균이 번식하거나 할 위험이 거의 없다.
도 10은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 특히 용기(20) 내의 세정액 및 음식재료 (50)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액이 펌프(15)에 의해 분사 노즐(16)에 공급되고,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수용되어 있는 용기(20) 내에 분사된다. 이 때, 분사 노즐(16)로부터 세정액은 화살표(f0)와 같이 분사 노즐(16)로부터 가장 이격된 용기(20)의 측벽(20a)과 바닥 (20b) 사이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세하게는 분사 노즐(16)로부터 상기 측벽(20a)과 바닥부(20b) 사이를 향하여 하향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따라 부채 모양으로 확산되고 분사된다. 용기(20)의 음식재료(50)는 이러한 화살표(f0)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따라 용기(20)의 측벽(20a) 및 바닥부(20b) 사이를 향해 유동한다.
용기(20)의 측벽(20a)과 바닥부(20b) 사이 부근으로 유동해 온 세정액은 화살표(f1)로 나타낸 용기(20)의 측벽(20a)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흐름과, 화살표(f2)로 나타낸 용기(20)의 바닥부(20b)를 따라 대략 수평으로 향하는 흐름으로 나뉜다. 화살표(f1)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유동해 온 음식재료(50)는 화살표(f3)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측벽(20a)을 따라 상향 유동하고, 나아가 화살표(f4)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측벽(20a)으로부터 덮개부(18)를 향해 유동한다.
상기 측벽(20a)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는 세정액의 흐름(f4)은 분사 노즐(16)로부터 세정액이 분사되지 않은 미유동화 상태에서의 정지(止) 액면(43)의 수위를 넘어서 상승하고자 한다. 이 때 덮개부(18)는 용기(20)에 위쪽으로부터 끼워져 있기 때문에 용기(20)의 음식재료(50)가 새어 나올 수 없다. 화살표(f4)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유동해 온 음식재료(50)는 화살표(f5)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덮개 부(18)을 따라 분사 노즐(16)을 향해 유동한다. 또한, 분사 노즐(16)로부터의 분사 흐름(f0)에 따른 유인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18)를 따라 분사 노즐(16)로 향하는 흐름(f5)은 용기(20)의 측벽(20a)과 바닥부(20b) 사이의 코너부(20c)로 향하는 흐름(f6)을 발생한다. 이러한 화살표(f6)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음식재료(50)는 덮개부(18)로부터 분사 노즐(16)의 분사구(16a)를 향하여 유동한다.
또한, 상기 코너부(20c)에서 분기한 화살표(f2)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유동해 온 음식재료(50)는 화살표(f7)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바닥부(20b)를 따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며, 또한 분사 노즐(16)의 하부에 위치하는 코너 부(20d)로부터 상승하는 화살표(f8)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바닥부(20b)로부터 측벽(20a) 향해 유동한다. 화살표(f8)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유동해 온 음식재료(50)는 화살표(f9)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측벽(20a)을 따라 분사 노즐(16)을 향해 유동한다. 또한, 분사 노즐(16)로부터의 분사류(f0)에 의한 유인력에 의해, 측벽(20a)를 따라 상승하는 흐름(f9)은 분사 노즐(16)로부터의 분사류(f0)를 따르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는 흐름(f10)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화살표(f10)로 나타낸 세정액의 흐름을 타고, 측벽(20a)으로부터 분사 노즐(16)의 분사구(16a) 근처에까지 온 음식재료(50)는 분사류(f0)에 취입되어 코너부(20c)를 향해 유동한다.
이와 같이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수용된 용기(20) 내에서는 세정액의 두 종류의 회전 흐름(f0 f1 → f3 f4 f5 f6, f0 f2 → f7 f8 f9 f10)이 생겨 이러한 흐름을 타고 음식재료(50)가 유동한다. 이와 같이 유동하는 음식재료(50)는 세정액과의 충돌 및 이반을 반복하기 때문에 음식재료(5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용기(20)에는 복수의 투공(40)이 분산되어 형성되므로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의 분사류의 일부는 투공(40)을 통과하여 간극(41)으로 유출되어 정류화되도록 하여, 용기(20)를 따르는 흐름(f1, f3; f2, f7~f9)을 방해하는 반사류의 발생을 줄이고 용기(20) 내 전체에 상술한 바와 같은 큰 흐름을 형성하여, 음식재료(50)를 세정액과 함께 크게 유동시켜 높은 세정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을 살균액으로 한 경우, 살균액을 음식재료(50)의 표면에 골고루 접촉시킬 수 있다. 살균액으로는 농도 200ppm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사 노즐(16)의 분사구(16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 직각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므로, 분사되는 세정액은 분사 노즐(16)로부터 용기(20)의 측벽(20a)과 바닥부(20b) 사이의 코너부(20c)를 향해 하향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FP)을 따라 부채 모양으로 확산되어 분사되므로 용기(20) 내에서 크게 세정액을 유동화시킬 수 있다.
용기(20) 내에 분사된 세정액의 일부는 용기(20)의 투공(40)을 통과하여 간극(41)으로 유출되어, 화살표(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수용 공간(17)로부터 흘러나온다. 이와 같이 제1 수용 공간(17)로부터 흘러 넘쳐 나온 세정액은 도액부(14)의 도수로(28)로 인도되고 부조(13)의 상부 필터부(29)로 유출되며, 필터부(29)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이 분리되어 맑고 깨끗한 여과액이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 유입된다. 이 때 덮개부(18)는 용기(20)에 위쪽으로부터 끼워져 있기 때문에 용기(20)으로부터 음식재료(50)가 새어 나올 수 없다.
도 11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는 수위 센서(35), 타이머(36), 조작패널(37) 및 제어부(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 센서(35)는 부조(13)에 설치되고,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의 수위가 미리 정하는 수위인 규정 수위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38)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규정 수위는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에 배치되는 펌프(15)의 흡입구(34a)가 세정액에 침지되는 수위 이상,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의 세정액의 수위 미만이다. 타이머(36)는 시간을 측정하고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 신호를 제어부(38)에 제공한다. 조작 패널(37)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각종 정보가 입력됨과 동시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38)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10)를 통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약칭 CPU),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패널은 표시면에 터치 패널 등의 시트 스위치가 부착된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 센서(35)는 예를 들어 플로트식(float type) 수위 센서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36)는 예를 들어 수정 발진기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의 음식재료 세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0에서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의 각 밸브(22)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정할 음식재료(50)를 작업자가 용기(20)에 수용하고, 이 용기(20)를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수용하며, 덮개부(18)을 폐쇄 위치(P1)에 배치하고 조작 패널(37)의 시작 버튼(SW)을 누르면 음식재료(50)의 세정 단계가 시작되고 단계 s1로 진행한다.
단계 s1에서는 제어부(38)는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의 각 밸브(22)를 닫도록 제어하여 단계 s2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는 제어부(38)는 세정액을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공급하도록 세정수 공급(24)를 제어하여 단계 s3로 진행한다. 이 단계 s3에서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세정액이 공급되어 제1 수용 공간(17)으로부터 넘쳐 나온 세정액은 도액부(14)에 의해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 인도된다.
단계 s3에서는 제어부(38)는 수위 센서(35)가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의 세정액의 수위가 미리 규정한 수위 이상인 것을 검출하였는지 여부의 판단을 규정 수위 이상인 것으로 검출될 때까지 실시하여, 규정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는 제어부(38)는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으로의 세정액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세정수 공급(24)를 제어하여 펌프(15)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타이머(36)에 시간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여 단계 s5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4에 있어서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의 세정액이 펌프(15)에 의해 분사 노즐(16)에 공급되어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의 용기(20) 내에 분사된다.
단계 s5에서는 제어부(38)는 타이머(3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미리 정한 규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의 판단을 규정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실시하여, 규정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하면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는 제어부(38)는 펌프(15)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의 각 밸브(22)를 열도록 제어하여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는 제어부(38)는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 및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로부터 세정액이 모두 배출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을 세정액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실시하여, 세정액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 및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부터 세정액이 모두 배출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의 각 밸브(22)를 열고 나서 미리 측정해 둔 배수 시간을 제어부(38)의 RAM에 기억시키고 기억되어 있는 배수 시간을 타이머(36)의 타이밍 신호에 동기시켜서 시간을 측정하여 배수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 및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부터 세정액이 모두 배출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를 통과하는 액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검출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포토인터럽터 등의 광학 센서 또는 플로트식의 접점 스위치 등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단계 s8에서는 제어부(38)는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의 각 밸브(22)를 닫도록 제어하여 단계 s9으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는 제어부(38)는 살균액을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공급하도록 살균액 공급부(25)를 제어하여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s9에서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살균액이 공급되고, 제1 수용 공간(17)으로부터 흘러나온 살균액은 도액부(14)에 의해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 인도된다.
단계 s10에서는 제어부(38)는 수위 센서(35)가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의 살균액의 수위가 미리 규정한 수위 이상인 것을 검출했는지 여부의 판단을 규정 수위 이상인 것으로 검출될 때까지 실시하여, 규정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단계 s11로 진행한다.
단계 s11에서는 제어부(38)는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으로의 살균액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살균액 공급부(25)를 제어하고 펌프(15)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타이머(36)에 시간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여 단계 s12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11에서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의 살균액이 펌프(15)에 의해 분사 노즐(16)에 공급되어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의 용기(20) 내에 분사된다.
단계 s12에서는 제어부(38)는 타이머(3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미리 정한 규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의 판단을 규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실시하여, 규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하면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는 제어부(38)는 펌프(15)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의 각 밸브(22)를 열도록 제어하여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는 제어부(38)는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 및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부터 살균액이 모두 배출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을 살균액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실시하여, 살균액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s15으로 진행한다.
단계 s15에서는 제어부(38)는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의 각 밸브(22)를 닫도록 제어하여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는 제어부(38)는 세정액을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으로 공급하도록 세정액 공급부(24)를 제어하여 단계 s17으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16에서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으로 세정액이 공급되어 제1 수용 공간(17)으로부터 넘쳐 나온 세정액은 도액부(14)에 의해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 인도된다.
단계 s17에서는 제어부(38)는 수위 센서(35)가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의 세정액의 수위가 미리 정한 규정 수위이상인 것을 검출했는지 여부의 판단을 규정 수위 이상인 것으로 검출될 때까지 실시하여, 규정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단계 s18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서는 제어부(38)는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으로의 세정액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세정액 공급부(24)를 제어하고 펌프(15)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타이머(36)에 시간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18에서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의 세정액이 펌프(15)에 의해 분사 노즐(16)에 공급되어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의 용기(20) 내에 분사된다.
단계 s19에서는 제어부(38)는 타이머(3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미리 정한 규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의 판단을 규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실시하여, 규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하면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상기 규정 시간은 피세정물인 음식재료(50)의 종류, 크기, 컷 모양, 경도, 세정액의 온도, 1 배치(batch)당 피세정물의 투입량 등에 따라 예를 들어 30초 이상 10min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일례를 들면, 피세정물이 커트 된 양상추로서 투입량이 5kg인 경우, 30초 내지 1분으로 설정된다.
단계 s20에서는 제어부(38)는 펌프(15)에 전력 공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제1 배수부(19) 및 제2 배수부(27)의 각 밸브(22)를 열도록 제어하여 단계 s21로 진행한다.
단계 s21에서는 제어부(38)는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 및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부터 세정액이 모두 배출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을 세정액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실시하여, 세정액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는 제어부(38)는 조작 패널(37)에 설치되는 부저를 울려 음식재료(50)의 세정이 끝난 것을 작업자에게 통지하여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모든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주조(11)는 보유 수량이 60리터 내지 120리터의 용량을 가지며, 720L/hr 내지 1200L/hr의 사용 수량으로 10kg/hr 내지 20kg/hr로 대파, 양배추, 양상추 등의 커트 된 야채를 세정 처리할 수 있다.
표 1은 음식재료로 2mm로 얇게 썬 양파를 손으로 씻고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에 의해 세정하고 세정 후의 양파 1그램당 발생하는 일반 생균 및 대장균 수를 비교하여 나타낸 표이다. 표 2는 음식재료로 1mm 폭으로 채를 썬 양배추를 종래의 세정 장치 및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에 의해 세정하고 세정 후 양배추 1그램당 발생하는 일반 세균 및 대장균 수를 비교하여 나타낸 표이다.
양파(2mm 슬라이스) 일반 생균수 대장균군수
손으로 씻기 1.8×103 20
음식재료 세정 장치(10) 6 0
양배추(1mm 채썰기) 일반 생균수 대장균군수
종래의 세정장치 1.8×104 7.2×102
음식재료 세정 장치(10) 20 0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에 의해 세정된 음식재료는 손으로 씻기 및 기존의 세정 장치에 비해 일반 세균 수는 100분의 1미만, 대장균군수는 0개가 되어 매우 좋은 세정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에 따르면, 용기(20)에 음식재료를 수납하여 용기(20)를 주조(11)에 수용하고 덮개부(18)을 폐쇄 위치에 배치하여 세정액 공급부(12) 의해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에, 세정액이 제1 수용 공간(17)로부터 흘러 넘쳐 세정액이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에 저장될 때까지 세정액을 공급하고, 펌프(15) 및 분사 노즐(16)에 의해 부조(13)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주조(11)로 인도하여 용기(20) 내에 분사하면, 분사된 세정액에 의해 용기(20)의 음식재료(50)를 세정할 수 있다.
펌프(15) 및 분사 노즐(16)에 의해 용기(20) 내에 세정액이 분사되면 제1 수용 공간(17)로부터 세정액이 흘러 넘치고, 흘러 넘친 세정액은 도액부(14)에 의해 음식재료(50)로부터 이탈한 이물질이 세정액에서 분리되어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으로 인도된다.
따라서 세정액은 펌프(15) 및 분사 노즐(16) 그리고 도액부(14)에 의해,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과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을 순환하고, 이와 같이 순환하는 동안에 용기(20) 내의 음식재료(50)의 세정에 사용되며, 음식재료에서 이탈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세정액을 세정에 사용한 후 즉시 폐기하는 경우에 비해서 세정에 사용되는 세정액의 양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세정액의 상태를 가급적 세정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 세정한 후, 주조(11)의 제1 배출부(19) 및 부조(13)의 제2 배수부(27)에 의해 주조(11)의 제1 수용 공간(17) 및 부조(13)의 제2 수용 공간(26)의 세정액을 배출하고, 다시 세정액 공급부(12)에 의해 주조(11)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용기(20) 내의 음식재료(50)의 세정을 반복함으로써 음식재료(50)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용기(20)에는 복수의 투공(40)이 분산되어 형성되는 동시에 주조(11)와 용기(20) 사이에는 간극(41)이 형성되므로, 용기(20) 내에서 측벽(20a)를 따르는 상승류와 바닥부(20b)를 따르는 수평류에 의한 피세정물인 음식재료의 교반 및 충돌이 촉진되어 음식재료로부터 분리된 벌레, 먼지 등의 이물질을 신속하게 도액부(28)로 배출하여 용기(20) 내에서 격렬하게 유동하는 세정액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의 피세정물에 대한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를 단순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상부에서 본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의 평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주조, 부조 펌프를 포함하는 환류 분사부, 도액부, 제어부 등의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는 복수의 투공(101)이 분산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오목한 형상의 용기(102)와, 용기(102)가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103a)을 갖는 주조(103)와, 주조(103)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주조(103)에서 흘러나온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2 수용 공간(104a)을 가진 부조(104)와, 주조(103)에서 흘러나온 세정액을 부조(104)로 인도하고, 세정액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도액부(105)와, 부조(104)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주조(103)로 인도하여 제1 수용 공간(103a) 내에 분사하는 환류 분사부(109)와, 용기(102)의 개구(106)를 규정하는 개구부(107)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버 플로우 필터(108)를 구비한다.
환류 분사부(109)는 부조(104)의 제2 수용 공간(104a)의 세정액을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토출구로부터 배출하는 펌프(110)와 복수의 분사 노즐(115)을 포함한다. 각 분사 노즐(115)로부터 화살표(B) 방향으로 분사되는 세정액의 분사류에 의해, 분사 노즐(115a~115f)(총칭하는 경우에는 첨자 a~f를 생략하고 숫자 "115"이라고 함)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을 주조(103)의 제1 수용 공간(103a)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분사하여 제1 수용 공간(103a)에 저장된 세정액을 용기(102) 내에서 화살표(A1,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유동시켜 용기(102) 내의 개별 음식재료에 대한 세정액에 커다란 상대 속도 차이를 일으켜서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용기(102)는 도 13에 나타낸 측면 방향에서 본 단면이 오목 형상, 구체적으로는 U자형의 둘레벽(111)과, 둘레벽(111)의 축선 방향(도 13의 지면에 수직 방향)의 양단부를 막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112)(113)을 갖는다. 둘레벽(111)은 예를 들어 내경 2.0mmφ의 복수의 투공(114)이 서로 3.0mm 간격으로 격자 모양으로 분산되어 형성된다. 둘레벽(111)의 원주 방향 일단부에는 각 분사 노즐(115)에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여 복수의 통수공(water passing holes)(117)이 형성된다. 용기(102)와 주조(103)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간극(108)이 형성되고, 이 간극(108)에 용기(102)의 투공(114)을 통해 유출되고자 하는 흐름의 일부가 빠져나감으로써, 각 분사 노즐(115)로부터의 분사 흐름을 방해하는 흐름을 배제하여 분사류의 혼란을 억제하고 정류화하여 흐름 전체를 일정한 흐름(A1, A2, B)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재료를 크게 유동시켜 대량의 음식재료를 손상없이 교반하여 높은 세정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5는 오버 플로우 필터(108)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절단면 선 XVI-XVI에서 본 오버 플로우 필터(108)의 단면도이다. 오버 플로우 필터(108)는 도 15의 좌우 방향인 각 분사 노즐(115)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의 분사 방향(B)에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서로 10mm 내지 20mm 정도의 중심 간격(ΔL11)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직경 2.5 mmφ 내지 3.5mmφ 정도의 봉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필터로드(120)와, 각 필터로드(120)의 기단측의 일단부가 예를 들어 용접되어 고정된 직사각형 판상의 장착 부재(121)와, 장착 부재(12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예를 들어 용접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편(engagement pieces)(122a)(122b)을 갖는다. 이러한 오버 플로우 필터(108)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필터로드(120)는 스테인리스강의 둥근 봉으로 이루어져 대량 L자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장착 부재(121) 및 각 결합편(122a)(122b)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판재로 이루어진다. 각 결합편(122a)(122b)은 장착 부재(121)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입상부분(rising part)(123)과, 입상부분(123)에 수직으로 굴곡되어 이어지며 장착 부재(121)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선단부가 장착 부재(121)로부터 돌출되는 평행 부분(124)을 갖는다.
각 결합편(122a)(122b)의 평행 부분(124)과 장착 부재(121) 사이에 용기(102)의 개구부(107)의 분사 노즐(115)측의 일측부가 끼워져 결합되고, 오버 플로우 필터(108)가 용기(102)의 개구부(107)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필터로드(110)는 개구부(107)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음식재료의 통과를 저지하고 또한 세정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간극(ΔL12)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오버 플로우 필터(108)가 용기(102)에 설치되므로, 각 분사 노즐(115)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의 분사류(B)에 의해 생긴 교반류(A1)(A2)의 일부를 화살표(C)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102)의 개구부(107)로부터 오버 플로우 필터(108)를 통과하여 도액부(105)로 월류(오버 플로우)시켜, 음식재료를 용기(102)로부터 유출시키지 않고 이물질을 포함하는 세정액만을 도액부(105)로 인도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세정액을 부조(104) 및 환류 분사부(109)에 의해 순환시키면서 단시간에 세정할 수 있다.
도 17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의 용기(102)의 반전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는 용기(102)를 개구(106)가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주조(103)의 제1 수용 공간(103a)에 수용한 수용 위치(P11)와, 용기(102)를 개구(106)가 측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제1 수용 공간(103a)의 외부에 배치한 배출 위치(P12) 에 걸쳐서 용기(102)를 수평인 축선(L3) 둘레에 각도를 변위시키는 반전 구동부(125)를 더 포함한다.
반전 구동부(125)는 스트로크(ST)를 갖는 피스톤 로드(129)를 가지는 복동 공압 실린더(130)와, 부조(104)의 일측벽의 상부에, 이 일측벽에 대하여 수직(즉, 수평)으로 고정되는 지지축(131)과, 기단부가 지지축(131)에 수평한 축선(L4)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며, 유단부(遊端部)에 제1 핀(132)에 의해 피스톤 로드(129)의 선단부가 연결되는 요동 레버(133)와, 일단부가 요동 레버(133)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제1 링크 부재(134)와, 일단부가 제1 링크 부재(134)의 타단부에 상기 축선(L4)에 평행한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135)와, 제1 링크 부재(134)의 타단부와 제2 링크 부재(135)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링크핀(136)과, 제2 링크 부재(135)의 타단부와 용기(102)의 각 측벽(112a)(112b)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링크핀(137)을 갖는다.
제2 링크 부재(135)는 한 쌍의 링크편(135a)(135b)과, 각 링크편(135a)(135b)을 공통적인 축선상에서 서로 근접/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커플링(135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 커플링(135c)은 각 링크편(135a)(135b)의 서로 인접하는 측의 일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너트(138)(139)와, 각 너트(138)(139)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40)를 포함하며, 볼트(140)를 그 축선 주위에 회동시킴으로써 각 너트(138)(139)에 대한 볼트(140)의 나사 결합 위치가 변화하고, 제1 링크핀(136) 및 제2 링크핀(137) 사이의 거리(W)를 변화시켜 용기(102)의 축선 (L3) 둘레의 반전각도(
Figure 112017002956587-pct00001
)를 용기(102) 내의 음식재료를 화살표(D) 방향으로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는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동 공압 실린더(double acting pneumatic cylinder)(130)의 하단부는 공장 바닥 등의 수평인 설치면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141)에, 핀(142)에 의해 축선(L5)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용기(102)의 반력(reaction force)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각 축선(L1~L5)은 서로 평행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를 단순화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은 도 18의 상부에서 본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의 평면도이다. 또한, 선행하여 서술한 실시형태의 주조, 부조, 펌프를 포함하는 환류 분사부, 도액부, 제어부 등의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는 3개의 용기(200a)(200b)(200c)와, 각 용기(200a~200c)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 공간(201a)(201b)(201c)을 갖는 3개의 주조(202a)(202b)(202c)와, 각 주조(202a~202c)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2 수용 공간(203a)(203b)(203c)이 각각 설치되는 3개의 부조(204a)(204b)(204c)와, 하류측의 2개의 주조(202a)(202b)의 제1 수용 공간(201a)(201b)으로부터 흘러나온 세정액을 부조(204a~204c)의 제2 수용 공간(203a~ 203c)으로 인도함과 동시에 세정액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도액부(205a)(205b)(205c)와, 부조(204a~204c)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주조(202a~202c)로 인도하여 제1 수용 공간(201a~201c) 내에 분사하는 환류 분사부(206a)(206b)(206c)와, 각 용기(200a~200c)의 개구부에서의 하류측의 측연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버 플로우 필터(207a)(207b)(207c)와, 각 용기(200a~200c)를 반전축(208a)(208b)(208c)의 축선 주위로 화살표(E1)(E2) 방향으로 각도를 변위시키는 반전 구동부(209a)(209b)(209c)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는 상술한 도 13 내지 도 17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a)와 같은 장치를 거친 애벌 세정(rough washing), 살균 세정, 헹굼 냉각의 각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3가지 기구를 인접하여 배치하고 살균 세정 공정 및 헹굼 냉각 공정의 주조(202b)(202c)로부터 흘러 넘친 세정액은 도액부(205a~205c)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수통(214)을 거쳐 애벌 세정을 수행하는 주조(202a)로 되돌려져서 애벌 세정에 사용된다.
이러한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에서도 각 용기(200a~200c)와 각 주조(202a~202c)와의 사이에는 ΔL=5mm이상 15mm 이하의 간극(210a~210c)이 형성된다. 환류 분사부(206a~206c)에 설치되는 각 분사 노즐(211a)(211b)(211c)로부터 분사류에 의한 동압(dynamic pressure)에 의해 각 용기(200a~200c)의 투공(212a)(212b)(212c)으로부터 간극(210a~210c)으로 세정액이 이물질과 함께 압출된다.
각 간극(210a~210c)으로 압출된 세정액은 각 분사 노즐(211a~211c)로부터의 세정액의 분사에 의해 발생하는 노즐 배후의 낮은 압력 영역(213a)(213b)(213c)으로 인도되어, 대부분은 분사에 수반되는 유수(flowing water)로서 각 용기(200a~200c) 내를 화살표(f)와 같이 유동하고, 나머지는 주조(202b)(202c)를 화살표(G)와 같이 흘러 넘쳐 도수통(214)으로 배출된다. 또한,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애벌 세정용 주조(202a) 내의 세정액은 하류측의 주조(202b)(202c) 내의 세정액에 비해 이물질이 많고 세정액보다도 비중이 큰 모래, 흙 등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주조(202a)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드레인관(216)으로부터 배출된다.
도 20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20(1)은 애벌 세정에 사용되는 세정 유닛(10b1)의 용기(200a)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20(2)은 살균 세정에 사용되는 세정 유닛(10b2)의 용기(200b)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20(3)은 헹굼 냉각에 사용되는 세정 유닛(10b3)의 용기(200c)의 위치를 나타낸다. 시각 t1에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구비된 시작 버튼이 눌러지면, 모든 세정 유닛(10b1~10b3)의 각 용기(200a~200c)는 주조(202a~202c)에 수용된 수용 위치로부터 애벌 세정용 세정 유닛(10b1)의 용기(200a) 및 헹굼 냉각용 세정 장치(10b3)의 용기(200c)만이 반전 구동부(209a)(209c)에 의해 취출 위치에 각도 변위 구동되어, 시간 W1이 유지된 후, 시각 t2에서 수용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시간 W1은 예를 들어 30초~60초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애벌 세정 후의 용기(200a)의 음식재료는 살균 세정 용기(200b)로 내보내지고, 헹굼 냉각 후의 용기(200c) 내의 음식재료는 외부로 내보내져서 배출된다.
다음으로, 시각 t2로부터 시간 W2가 경과한 후의 시각 t3에서 살균 세정용 용기(200b)는 반전 구동부(209b)에 의해 수용 위치로부터 취출 위치에 각도 변위 구동되고, 살균 세정 후의 음식재료가 헹굼 냉각용 용기(200c)로 내보내지며, 시각 t2로부터 시간 W3 후의 시각 t4에서 수용 위치로 복귀된다. 시각 t4로부터 시간 W4이 경과하면 시각 t5에서 다시 애벌 세정용 용기(200a)(200c)가 수용 위치로부터 취출 위치로 각도 변위 구동되고, 시간 W1에 걸쳐서 취출 위치에 지지되며, 각 용기(200a)(200c)의 음식재료가 버킷(216)으로 내보내져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각 t6에서 각 용기(200a)(200c)를 취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복귀시킨다. 각 용기(200a)(200c) 및 용기(200b)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대량의 음식재료가 연속적으로 세정 처리된다.
이와 같은 음식재료 세정 장치(10b)에서도 각 용기(200a~200c)에는 복수의 투공(212a~212c)이 분산되어 형성되므로, 각 분사 노즐(211a~211c)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의 일부는 투공(212a~212c)을 통해 간극(210a~210c)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흐름 (A1, A2, B)의 혼란을 억제하고 정류화하며 음식재료를 크게 유동시켜 높은 세정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c)를 단순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은 도 21의 상부에서 본 음식재료 세정 장치(10c)의 평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주조, 부조, 펌프를 포함하는 환류 분사부, 도액부 및 제어 등의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음식재료 세정 장치(10c)는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1 수용 공간(301)을 가지며,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박스 모양의 주조(300)와, 주조(300)의 수평면상에서 길이방향에 수직인 폭방향 일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2 수용 공간(302)을 갖는 복수의 부조(303a)(303b)(303c)와, 주조(300)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304)와, 주조(300)의 제1 수용 공간(301)에서 흘러나온 세정액을 부조(303a~303c)의 제2 수용 공간(302a~302c)으로 인도함과 동시에 세정액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도액부(305)와, 환류 분사부(306)와, 순환부(307)를 포함한다.
환류 분사부(306)는 세정액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며, 부조(303a~303c)의 제2 수용 공간(302) 내의 세정액을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펌프(308a)(308b)(308c)와, 펌프(308a~308c)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을 제1 수용 공간(301)에 분사하는 분사 노즐(309a)(309b)(309c)과, 주조(30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주조(300)의 각 분사 노즐(309a~309c)의 하부 내벽을 따라 설치되며 복수의 투공(314)이 분산되어 형성되는 사각형의 정류판(315)과, 제1 수용 공간(30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음식재료를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310)를 갖는다.
주조(300), 부조(303A~303C), 도액부(305), 격벽체(311)(313), 스크류(313), 정류판(315)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다.
도 23은 순환부(307)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순환부(307)는 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주조(300)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역U자 형상의 격벽체(311)와, 격벽체(311)에 의해 주조(30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양단이 개방된 유로(312)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측의 영역에 배치되는 스크류(313)와, 스크류(313)가 선단부에 고정되는 출력축(317)을 갖는 모터(318)와, 출력축(317)이 관통하는 주조(300)의 측벽부에 설치되고, 출력축(317)을 수밀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체(316)를 포함한다.
베어링체(316)는 주조(30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의 측판의 하부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중앙에 출력축(317)이 삽입되는 축공(319)을 갖는 고정 부재(320)와, 고정 부재(320)의 축공(319)에 장착되는 밀봉 부재(322)와, 밀봉 부재(322)를 축공(319) 내에 빠짐을 방지하는 대략 원통형의 빠짐 방지 부재(stopper member)(323)와, 빠짐 방지 부재(323)가 끼워지는 감합공(fitting hole)(324)을 가지며 빠짐 방지 부재(323)를 감합공(324)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지지하는 홀더(325)와, 홀더(325)의 축선 방향 일측 단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더(325)를 고정 부재(3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원형 고리 모양의 누름링(326)과, 누름링(326) 및 홀더(325)를 삽입 통과하여 고정 부재(320)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327)를 포함한다.
격벽체(31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개구(328a)가 형성되어 반출 컨베이어(3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격벽체(311)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는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328b)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링(326)에는 슬리브(329)의 일단부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슬리브(329)의 축방향 양단부에는 출력축(317)을 축지지하는 베어링(330)(331)이 설치되고, 또한 슬리브(329)의 축방향 일단부에는 모터(318)가 장착되는 장착플랜지(mounting flange)(332)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각 베어링(330,331)은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 실현된다.
모터(318)에 제어부(미도시)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출력축(317) 및 스크류(313)가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격벽체(311) 내의 세정수가 이 격벽체(31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의 타단부로 유동하며, 격벽체(31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의 개구(328a)로부터 주조(300) 내의 세정액이 흡인되고, 격벽체(311)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의 개구(328b)로부터 이 격벽체(311) 내의 세정액이 배출된다.
따라서, 주조(300) 내의 격벽체(311)의 외측에 저장되는 세정액은 주조(30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도 21에서는 좌측의 음식재료 투입측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의 일단부 (도 21에서는 우측의 음식재료 반출측 단부)를 향해 예를 들어 약 200~600L/min의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분사 노즐(309a~309c)로부터의 분사류에 의해, 수평면상에서 길이방향에 수직인 폭방향에서 화살표(G) 방향으로 유동시켜 음식재료를 교반하면서 반출 컨베이어(310)를 향해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순환부(307)에 의해, 주조(300) 내에 저장된 세정액을 주조(30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흡입하여 유로(312)를 거쳐 주조(30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배출하여, 주조(300) 내의 세정액을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사 노즐(309a~309c)로부터의 분사류에 의해 세정액을 유동시키면서 음식재료를 세정 및 반송하고 배출 컨베이어(310)에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주조(300) 내에 분산되어 복수의 투공(314)이 형성된 정류판(315)이 설치됨으로써, 주조(300) 내의 세정액을 분사 노즐(309a~309c)의 분사류를 방해하는 흐름을 배제하여 화살표(G) 방향의 흐름을 정류화함으로 흐름 전체를 일정한 큰 흐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재료를 크게 유동시켜 대량의 음식재료를 손상없이 교반하고 높은 세정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나타낸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은 아무런 구속력이 없다. 또한, 청구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음식재료 세정 장치 11: 주조
12: 세정액 공급부 13: 부조
14: 도액부 15: 펌프
16: 분사 노즐 17: 제1 수용 공간
18: 덮개부 19: 제1 배수부
26: 제2 수용 공간 27: 제2 배수부

Claims (6)

  1.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1 수용공간이 상부 개방형으로 설치되는 주조(main tank)와;
    음식재료가 수용되고 복수의 투공이 분산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개구부를 가지는 유저 원통형상(bottomed cylindrical shape)의 용기로서, 상기 주조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주조에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주조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주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2 수용 공간이 설치되는 부조(sub tank)와;
    상기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서 흘러나온 세정액을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인도하는 도액부와;
    상기 부조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에 분사하는 환류 분사부로서, 세정액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의 세정액을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환류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용기 내에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와 측벽 사이로 분사액이 분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부조에 음식재료의 통과를 저지하고, 세정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오버 플로우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플로우 필터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외부로 꺼내진 취출 위치에 걸쳐서 상기 용기를 수평인 축선 주위로 각도 변위시키는 반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
  5.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1 수용 공간이 상부 개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이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주조와;
    상기 주조의 제1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투공이 분산되어 형성되는 정류판과;
    상기 주조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주조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세정액을 저장하는 제2 수용 공간이 설치되는 부조와;
    상기 주조의 제1 수용 공간에서 흘러나온 세정액을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인도하는 도액부와;
    상기 부조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제1 수용 공간 내에 분사하는 환류 분사부로서, 세정액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의 세정액을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주조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면상에서 수직인 폭방향의 일측부로부터 폭방향의 타측부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한 환류 분사부와;
    상기 주조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획득하여, 상기 주조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획득한 세정액을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배출하는 순환부;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역U자 형상의 격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격벽체에 의해 상기 주조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양단이 개방된 유로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측의 영역에 배치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의 상기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음식재료를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 세정 장치.
KR1020177000741A 2014-07-14 2014-07-14 음식재료 세정 장치 KR101927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8730 WO2016009482A1 (ja) 2014-07-14 2014-07-14 食材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429A KR20170020429A (ko) 2017-02-22
KR101927058B1 true KR101927058B1 (ko) 2018-12-10

Family

ID=5507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741A KR101927058B1 (ko) 2014-07-14 2014-07-14 음식재료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6009482A1 (ko)
KR (1) KR101927058B1 (ko)
CN (1) CN106535666B (ko)
WO (1) WO2016009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0031B (zh) * 2017-07-24 2023-03-31 贵州光秀生态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板栗清洗箱
CN114468319A (zh) * 2021-12-28 2022-05-13 无为县新栗荸荠种植专业合作社 一种具有防破损功能的荸荠加工用清洗装置及清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72Y1 (ko) * 2003-08-06 2003-11-07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야채 세척장치
JP2008072911A (ja) * 2006-09-19 2008-04-03 Als Co Ltd 食品処理装置
JP2009106184A (ja) * 2007-10-30 2009-05-21 Yuki Chemical:Kk 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294A (ja) 1996-01-29 1997-08-05 Brother Ind Ltd 食品洗浄装置
JPH10242105A (ja) * 1997-02-28 1998-09-11 Sony Corp ウェット処理装置
JP2001017332A (ja) 1999-07-13 2001-01-23 Juki Corp 野菜果物洗浄兼用洗米機
JP2002315557A (ja) * 2001-04-20 2002-10-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農産物洗浄装置
JP3848644B2 (ja) * 2003-08-12 2006-11-22 細田工業株式会社 食材洗浄装置
JP2007189993A (ja) * 2006-01-23 2007-08-02 Yoshiizumi Sangyo Kk 食品洗浄装置
JP2008073102A (ja) * 2006-09-19 2008-04-03 Als Co Ltd 食品処理装置
CN201303584Y (zh) * 2008-09-16 2009-09-09 农业部规划设计研究院 淹没水射流式蔬菜清洗机
JP4796162B2 (ja) * 2009-03-03 2011-10-19 小嶺機械株式会社 食品洗浄装置
CN101926497A (zh) * 2009-06-24 2010-12-29 兴化市李工蔬菜机械有限公司 一种果蔬涡旋清洗机
JP5515092B2 (ja) * 2009-07-14 2014-06-11 吉泉産業株式会社 食品洗浄機
CN202618223U (zh) * 2012-04-10 2012-12-26 云南宏斌绿色食品有限公司 鼓泡式洗椒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72Y1 (ko) * 2003-08-06 2003-11-07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야채 세척장치
JP2008072911A (ja) * 2006-09-19 2008-04-03 Als Co Ltd 食品処理装置
JP2009106184A (ja) * 2007-10-30 2009-05-21 Yuki Chemical:Kk 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35666A (zh) 2017-03-22
JPWO2016009482A1 (ja) 2017-04-27
KR20170020429A (ko) 2017-02-22
WO2016009482A1 (ja) 2016-01-21
CN106535666B (zh)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067B1 (en) Portable food tray pre-wash and water recycling apparatus
US10058806B2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CN1550200A (zh) 餐具清洗机
US20120031135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Flake Ice and Method for Cleaning, Descaling and/or Disinfect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Flake Ice
JP5365968B2 (ja) ベルト式光学選別機
KR101927058B1 (ko) 음식재료 세정 장치
CN1280876C (zh) 基板处理装置
JPH1070103A (ja) 半導体ウェーハウェットエッチング処理装置
JP6707110B2 (ja) 食材洗浄装置
US9770164B2 (en) Endoscope reprocessor
KR100264143B1 (ko) 야채 살균 세정기
TW202120439A (zh) 廢棄液處理裝置
TW201603764A (zh) 食材洗淨裝置
KR20040068977A (ko) 식기세척기내에서 폐수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0179783B1 (ko)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치
JP3848644B2 (ja) 食材洗浄装置
JP5327527B2 (ja) 搾乳用バケット洗浄装置及び接続構造
JP5119173B2 (ja) 洗浄装置
KR20070060205A (ko)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
CN211412988U (zh) 一种超声波清洗装置
JP2007325998A (ja) ディスポーザ
KR101893903B1 (ko) 직분사식 처리장치
KR20170138335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JP6582934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CN218773267U (zh) 一种火腿肠杀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