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903B1 - 직분사식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직분사식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903B1
KR101893903B1 KR1020180000846A KR20180000846A KR101893903B1 KR 101893903 B1 KR101893903 B1 KR 101893903B1 KR 1020180000846 A KR1020180000846 A KR 1020180000846A KR 20180000846 A KR20180000846 A KR 20180000846A KR 101893903 B1 KR101893903 B1 KR 10189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eatment
treatment tank
collec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민
Original Assignee
차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민 filed Critical 차상민
Priority to KR102018000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야채 엽채 등과 같은 처리물을 세척 또는 증숙 처리할 때, 처리액에서 침전물은 물론 부유물을 간편하게 분리시키고, 정화된 처리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분사식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직분사식 처리장치는 처리물의 처리를 위한 처리액이 수용되고 바닥에는 침전물이 수용되는 침전물포집부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경사벽부가 구비되는 처리조, 처리조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처리액을 처리조에 공급하는 토출노즐유닛과, 토출노즐유닛에 처리액을 전달하는 토출유닛과, 처리조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기체를 처리조에 공급하는 폭기노즐유닛과, 폭기노즐유닛에 기체를 전달하는 폭기유닛과, 침전물포집부에 수용되는 침전물과 처리액의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으로부터 처리액을 분리하여 처리조에 재공급하는 필터유닛과, 처리물의 처리에 따라 처리액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포집시키는 부유물포집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분사식 처리장치{DIRECT INJECTION TYP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직분사식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일, 야채 엽채 등과 같은 처리물을 세척 또는 증숙 처리할 때, 처리액에서 침전물은 물론 부유물을 간편하게 분리시키고, 정화된 처리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분사식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과일이나 야채 등은 그 표면에 잔류 농약과 세균 등의 유해물질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섭취 전에 이를 세척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통상 용기에 담긴 물을 이용하여 손으로 직접 세척하거나 흐르는 물에 씻어서 세척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각종 과일이나 야채의 표면에 응고 상태로 부착된 잔류 농약과 세균 등은 단순히 물로 세척하는 것만으로는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야채의 표면에 굴곡이 형성된 부분 또는 줄기의 끝부분 등 미세한 부분까지 세척력이 미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하측부에서 바람과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는 데 있어, 부유물이 같이 떠올라 세척 효율이 매우 떨어졌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 및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과일 및 야채 등을 손쉽게 위생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20512호(발명의 명칭 : 소채류 잔류농약제거, 멸균, 신선도 연장 장치 및 방법, 2014. 02. 1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일, 야채 엽채 등과 같은 처리물을 세척 또는 증숙 처리할 때, 처리액에서 침전물은 물론 부유물을 간편하게 분리시키고, 정화된 처리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분사식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는 처리물의 처리를 위한 처리액이 수용되고, 바닥에는 상기 처리물의 처리에 따라 상기 처리액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수용되는 침전물포집부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상기 침전물을 상기 침전물포집부로 유도하는 경사벽부가 구비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상기 처리액의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처리액을 상기 처리조에 공급하는 토출노즐유닛; 상기 토출노즐유닛에 상기 처리액을 전달하는 토출유닛; 상기 처리조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처리액이 폭기되도록 기체를 상기 처리조에 공급하는 폭기노즐유닛;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상기 기체를 전달하는 폭기유닛; 상기 침전물포집부에 수용되는 상기 침전물과 상기 처리액의 혼합액을 공급받아 상기 혼합액으로부터 상기 처리액을 분리하여 상기 처리조에 재공급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처리물의 처리에 따라 상기 처리액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포집시키는 부유물포집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유닛에서 재공급되는 상기 처리액의 공급 방향은 상기 토출노즐유닛에서 공급되는 상기 처리액의 공급 방향과 교차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포집유닛은,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침전물포집부에는, 상기 처리조에 재공급되는 상기 처리액의 공급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이루는 유도경사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포집유닛은, 상기 처리액에서 부유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처리조의 가장자리로 안내하는 부유물가이드부; 및 상기 처리조의 측벽으로 이동된 상기 부유물이 포집되는 부유물포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가이드부는, 상기 처리액의 표면에서 상기 부유물을 분산시키는 부유물분산부; 및 상기 부유물분산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부유물분산부에서 분산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포집부로 안내하는 부유물전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는 상기 처리조에서 처리가 완료된 상기 처리물을 상기 처리조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에 따르면, 과일, 야채 엽채 등과 같은 처리물을 처리액으로 세척 또는 증숙 처리할 때, 처리액에서 침전물은 물론 부유물을 간편하게 분리시키고, 정화된 처리액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노즐유닛과 폭기노즐유닛의 배치 및 토출유닛과 폭기유닛의 동작에 따라 처리조에서 처리액의 와류가 발생되어 침전물포집부로의 침전물 이동 및 처리조 상부 중앙으로의 부유물 이동을 간편하게 하고, 처리액의 정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유닛의 동작에 따라 처리조에서 처리액의 특정 순환이 발생되어 필터유닛으로의 침전물 이동 및 부유물포집유닛으로의 부유물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처리액의 정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유물포집유닛을 통해 처리액에서 부유물의 제거를 간편하게 하고, 깨끗한 처리물을 배출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경사부를 통해 침전물포집부에 수용된 침전물을 필터유닛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유물포집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처리조에서 부유물을 제거하고, 배출되는 처리물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유물가이드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부유물의 이동 및 처리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처리액에서 침전물과 부유물이 분리된 처리액에서 처리물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채나 과일의 구석구석을 세척하면서 곤드래, 고사리, 시래기 등과 같은 엽채의 경우 증숙까지 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서 공기, 물 또는 스팀을 고압으로 직분사하면서 와류를 일으켜 야채나 과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하측 방향으로 강제 순환시키고, 필터유닛으로 침전물이 수집되면서 다시 정화된 처리액을 재사용할 수 있으며, 정화된 처리액을 처리조에 재공급함으로써, 처리액의 소비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부으로 현재 침전부의 침전물의 양을 직접 확인하여 힌지부를 통해 바디개폐부를 열어 침전부를 분리하여 침전물을 처리하거나 압력센서로 누적 침전량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경보를 울려 필터부가 막히지 않도록 교체시기를 알려주고, 처리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에서 필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에서 필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처리물은 야채, 과일, 엽채 등을 포함하고, 처리물의 처리는 처리물의 세척 또는 증숙 공정을 포함하며, 처리액은 처리물의 처리에 필요한 물 또는 세척액 또는 증숙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분사식 처리장치는 처리조(10)와, 토출노즐유닛(21)과, 토출유닛(20)과, 폭기노즐유닛(31)과, 폭기유닛(30)과, 필터유닛(40)과, 부유물포집유닛(60)을 포함하고, 배출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유닛(40)에서 재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은 토출노즐유닛(21)에서 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과 교차되도록 한다.
처리조(10)는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져 처리물의 처리를 위한 처리액이 수용된다. 처리조(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조(10)의 상부는 처리물을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되며, 별도의 뚜껑(미도시)을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처리조(10)의 바닥에는 침전물포집부(13)가 구비되고, 처리조(10)의 측면에는 경사벽부(12)가 구비된다. 침전물포집부(13)는 처리물의 처리에 따라 처리액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수용된다. 경사벽부(12)는 가라앉은 침전물을 침전물포집부(13)로 유도하도록 침전물포집부(13)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침전물포집부(13) 처리조에 재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침전물포집부(13)에는 처리조(10)에 재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이루는 유도경사부(131)가 포함될 수 있다. 유도경사부(131)는 침전물포집부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침전물포집부(13)의 침전물을 필터유닛(40)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처리조(10)의 측면에는 측벽부(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측벽부(11)는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경사벽부(12)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토출노즐유닛(21)은 처리조(10)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토출노즐유닛(21)은 처리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노즐유닛(21)은 처리액을 처리조(10)에 공급한다. 토출노즐유닛(21)에서 공급되는 처리액은 미스트 형태 또는 액체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토출노즐유닛(21)에서 처리액이 공급됨에 따라 처리조(10)에서 처리액의 와류가 발생되도록 한다. 토출노즐유닛(21)은 측벽부(11)에 구비되고, 처리조(10)에 수용된 처리액에 침지되도록 하여 처리액의 와류 발생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처리액의 와류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처리액의 와류경로(B2)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처리액이 토출노즐유닛(21)에서 공급되면, 처리조(10)의 처리액은 처리조(10)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처리조(10)의 상부 중앙 측으로 이동하여 충돌되고, 처리조(10)의 하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처리조(10)의 상부 측면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나타내면서 처리액의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처리물은 처리액의 와류에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세척 또는 증숙과 같은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처리액에서 침전물이 발생되어 처리조(10)의 바닥으로 가라앉고, 가라앉은 침전물은 침전물포집부(13)에 직접 수용되거나 경사벽부(12)를 거쳐 침전물포집부(13)에 수용될 수 있다.
토출유닛(20)은 토출라인(22)을 매개로 토출노즐유닛(21)에 연결되어 토출노즐유닛(21)에 처리액을 전달한다. 토출유닛(20)은 펌프를 포함하여 처리액의 펌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처리액을 토출노즐유닛(21)에 전달할 수 있고, 토출노즐유닛(21)에서 처리액의 공급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노즐유닛(21)에서 공급되는 처리액은 필터유닛(40)을 거쳐 정화된 처리액, 처리조의 처리액, 외부에서 공급되는 처리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20)은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폭기노즐유닛(31)은 처리조(10)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폭기노즐유닛(31)은 처리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폭기노즐유닛(31)은 기체를 처리조(10)에 공급한다. 폭기노즐유닛(31)에서 기체가 공급됨에 따라 처리조(10)에 수용된 처리액이 폭기되도록 한다. 폭기노즐유닛(31)은 토출노즐유닛(21)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측벽부(11)와 경사벽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처리액의 폭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때, 폭기노즐유닛(31)에서 공급되는 기체는 도 3에 도시된 처리액의 와류경로(B2)에 공급됨에 따라 처리액에서 부유물이 발생되어 처리조(10)의 상부로 부유되고, 부유되는 부유물은 도 3에 도시된 처리액의 와류경로(B2)를 따라 이동하여 처리조(10)의 상부 중앙 측에 모이게 된다.
폭기유닛(30)은 폭기라인(32)을 매개로 폭기노즐유닛(31)에 연결되어 폭기노즐유닛(31)에 기체를 전달한다. 폭기유닛(30)은 컴프레셔를 포함하여 기체의 펌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폭기노즐유닛(3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폭기노즐유닛(31)에서 분사되는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처리액의 와류를 증폭시키거나 처리액의 와류에 기체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폭기유닛(30)은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필터유닛(40)은 침전물포집부(13)에 수용되는 침전물과 처리액의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으로부터 처리액을 분리하여 처리조(10)에 재공급한다.
필터유닛(40)은 중공의 필터바디부(41)와, 필터바디부(41)를 개폐하는 바디개폐부(42)와, 필터바디부(41)의 내부에 구비되어 혼합액으로부터 처리액을 분리하는 필터부(43)와, 혼합액으로부터 분리된 침전물이 수용되는 침전부(44)와, 혼합액으로부터 분리된 처리액을 재공급하기 위한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리턴구동부(45)를 포함하고, 침전부(44)에서 침전물의 누적 침전량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바디부(41)에는 투시창부(411)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투시창부(411)를 통해 침전부(44)에 누적되는 침전물의 양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바디개폐부(42)는 힌지부(421)를 매개로 필터바디부(41)에 탈착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필터바디부(41)의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압력센서(46)의 동작에 따라 누적 침전량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70)는 경보를 울려 사용자에게 필터부(43)의 교체시기, 침전부(44)의 침전물 배출시기 등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리턴구동부(45)는 리턴라인(47)을 매개로 재공급부(471)에 연결되고, 필터바디부(41) 또는 침전부(44)는 공급라인(48)을 매개로 침전물포집부(13)와 연결된다. 재공급부(471)는 처리조(10)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필터유닛(4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리턴구동부(45)가 동작되고, 침전물포집부(13)의 침전물과 처리액이 공급라인(48)을 거쳐 필터바디부(41)로 이동된다. 필터바디부(41)의 혼합액은 리턴구동부(45)의 펌핑력에 의해 필터부(43)를 통과함에 따라 처리액과 침전물로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침전물은 침전부(44)에 수용되고, 분리된 처리액은 리턴라인(47)을 거쳐 재공급부(471)에 전달되어 처리조(10)에 처리액을 재공급할 수 있다.
재공급부(471)에서 재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은 처리액의 와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나타내므로, 재공급부(471)에서 처리액이 재공급됨에 따라 처리액은 도 2에 도시된 처리액의 순환경로(B1)를 나타낸다. 다른 표현으로, 재공급부(471)를 통해 처리액이 처리조(10)에 재공급되면, 처리조(10)의 상부에서 처리액은 부유물포집유닛(60) 측으로 이동하였다가 처리조(10)의 하부로 이동되고, 다시 처리조(10)의 하부에서 공급라인(48)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처리조(10)의 상부에서 처리액이 부유물포집유닛(60) 측으로 이동하므로, 처리조(10)의 상부 중앙에 모인 부유물 및 처리조(10)에서 처리되는 처리물이 부유물포집유닛(6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부유물은 도 1에 도시된 부유물 이동경로(A)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부유물포집부(62)에 수용되고, 처리물은 도 2에 도시된 처리물 이동경로(C)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부유물포집유닛(60)의 부유물가이드부(61) 하측을 통과하여 배출유닛(50)에 전달되므로, 깨끗한 상태의 처리물을 배출유닛(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처리조(10)의 하부에서는 처리액이 공급라인(48)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침전물포집부(13)에 수용된 침전물도 도 2에 도시된 침전물 이동경로(D)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침전물도 공급라인(48)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부유물포집유닛(60)은 처리물의 처리에 따라 처리액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포집시킨다. 부유물포집유닛(60)은 처리액에서 부유된 부유물을 처리조(10)의 가장자리로 안내하는 부유물가이드부(61)와, 처리조(10)의 측벽으로 이동된 부유물이 포집되는 부유물포집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유물가이드부(61)는 "V" 자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부유물가이드부(61)는 처리조(10)에 재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에 대응하여 처리조(10)의 중앙으로부터 처리조(10)의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부유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부유물가이드부(61)는 처리액의 표면에서 부유물을 분산시키는 부유물분산부(611)와, 부유물분산부(611)에서 이격되어 부유물분산부(611)에서 분산된 부유물을 부유물포집부(62)로 안내하는 부유물전달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유물분산부(611)는 처리조(10)의 중앙 부분에 "V" 자 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고, 부유물전달부(612)는 부유물분산부(611)와 배출유닛(50) 사이에서 부유물분산부(611)로부터 부유물포집부(62)를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유물포집유닛(60)은 처리조(1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부유물가이드부(61)는 처리조(1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부유물포집부(62)는 부유물가이드부(61)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거나, 부유물가이드부(61)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부유물포집유닛(60) 또는 부유물가이드부(61)는 별도의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처리조의 상부에서 처리조(10)에 재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부유물포집유닛(60) 또는 부유물가이드부(61)는 별도의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재공급부(471)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이송수단(미도시)은 컨베이어를 포함함으로써, 부유물가이드부(61)가 재공급부(471)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된 다음, 다시 배출유닛(50) 측으로 리턴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송수단(미도시)은 부유물포집유닛(60) 또는 부유물가이드부(61)의 슬라이드 이동 및 승강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유물가이드부(61)가 재공급부(471)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된 다음, 처리액에서 이격되도록 상승하고, 다시 배출유닛(50) 측으로 리턴하여 배출유닛(50) 전방에서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부유물포집유닛(60) 또는 부유물가이드부(61)는 배출유닛(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서, 배출유닛(50) 측으로 부유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유물포집부(62)는 별도의 이송라인(미도시)을 매개로 필터유닛(40)과 연결됨으로써, 부유물포집부(62)에 수용되는 부유물을 필터유닛(40)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필터유닛(40)이 동작되면, 처리조에서 처리액이 순환됨으로써, 침전물포집부(13)에 수용되는 침전물은 필터유닛(40) 측으로 이동되고, 부유물은 필터유닛(40)에서 재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부유물포집유닛(60)에 전달되는 것이다.
배출유닛(50)은 처리조(10)에서 처리가 완료된 처리물을 처리조(10)로부터 배출시킨다. 처리물이 부유물포집유닛(60)을 통과하면, 처리조(10)에서 처리물의 처리가 완료된 것이므로, 배출유닛(50)은 부유물포집유닛(60)을 통과한 처리물을 처리조(10)로부터 배출시킨다. 배출유닛(50)은 필터유닛(40)의 동작에 의해 처리조(10)에 재공급되는 처리액의 공급 방향을 따라 처리물이 이동될 때, 부유물포집유닛(60)을 통과하는 처리물을 처리조(10)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유닛(50)은 처리물의 이동을 위한 컨베이어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닛(50)은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유닛(50)은 처리조(10)의 길이 방향 후방에 구비되고, 배출유닛(50)의 전방에는 부유물가이드부(61)가 이격 배치되며, 부유물가이드부(61)의 전방으로는 재공급부(471)가 이격 배치된다. 재공급부(471)는 처리조(10)의 길이 방향 전방에 구비된다. 또한, 부유물가이드부(61)와 재공급부(471) 사이의 처리조(10) 측면에는 토출노즐유닛(21)과 폭기노즐유닛(31)이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70은 처리조(10)에서 처리물의 처리를 위해 토출유닛(20)과, 폭기유닛(30)과, 필터유닛(40)과, 배출유닛(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상술한 직분사식 처리장치에 따르면, 과일, 야채 엽채 등과 같은 처리물을 처리액으로 세척 또는 증숙 처리할 때, 처리액에서 침전물은 물론 부유물을 간편하게 분리시키고, 정화된 처리액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토출노즐유닛(21)과 폭기노즐유닛(31)의 배치 및 토출유닛(20)과 폭기유닛(30)의 동작에 따라 처리조(10)에서 처리액의 와류가 발생되어 침전물포집부(13)로의 침전물 이동 및 처리조(10) 상부 중앙으로의 부유물 이동을 간편하게 하고, 처리액의 정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닛(40)의 동작에 따라 처리조(10)에서 처리액의 특정 순환이 발생되어 필터유닛(40)으로의 침전물 이동 및 부유물포집유닛(60)으로의 부유물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처리액의 정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도경사부(131)를 통해 침전물포집부(13)에 수용된 침전물을 필터유닛(40)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부유물포집유닛(60)을 통해 처리액에서 부유물의 제거를 간편하게 하고, 깨끗한 처리물을 배출유닛(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부유물포집유닛(6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처리조(10)에서 부유물을 제거하고, 배출되는 처리물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유물가이드부(61)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부유물의 이동 및 처리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닛(5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처리액에서 침전물과 부유물이 분리된 처리액에서 처리물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야채나 과일의 구석구석을 세척하면서 곤드래, 고사리, 시래기 등과 같은 엽채의 경우 증숙까지 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서 공기, 물 또는 스팀을 고압으로 직분사하면서 와류를 일으켜 야채나 과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하측 방향으로 강제 순환시키고, 필터유닛(40)으로 침전물이 수집되면서 다시 정화된 처리액을 재사용할 수 있으며, 정화된 처리액을 처리조(10)에 재공급함으로써, 처리액의 소비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부(411)으로 현재 침전부(44)의 침전물의 양을 직접 확인하여 힌지부(421)를 통해 바디개폐부(42)를 열어 침전부(44)를 분리하여 침전물을 처리하거나 압력센서(46)로 누적 침전량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경보를 울려 필터부(43)가 막히지 않도록 교체시기를 알려주고, 처리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처리조 11: 측벽부 12: 경사벽부
13: 침전물포집부 131: 유도경사부 20: 토출유닛
21: 토출노즐유닛 22: 토출라인 30: 폭기유닛
31: 폭기노즐유닛 32: 폭기라인 40: 필터유닛
41: 필터바디부 411: 투시창부 42: 바디개폐부
421: 힌지부 43: 필터부 44: 침전부
45: 리턴구동부 46: 압력센서 47: 리턴라인
471: 재공급부 48: 공급라인 50: 배출유닛
60: 부유물포집유닛 61: 부유물가이드부 611: 부유물분산부
612: 부유물전달부 62: 부유물포집부 70: 제어부
A: 부유물의 이동경로 B1: 처리액의 와류경로
B2: 처리액의 순환경로 C: 처리물의 이동경로
D: 침전물의 이동경로

Claims (6)

  1. 처리물의 처리를 위한 처리액이 수용되고, 바닥에는 상기 처리물의 처리에 따라 상기 처리액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수용되는 침전물포집부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상기 침전물을 상기 침전물포집부로 유도하는 경사벽부가 구비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상기 처리액의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처리액을 상기 처리조에 공급하는 토출노즐유닛;
    상기 토출노즐유닛에 상기 처리액을 전달하는 토출유닛;
    상기 처리조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처리액이 폭기되도록 기체를 상기 처리조에 공급하는 폭기노즐유닛;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상기 기체를 전달하는 폭기유닛;
    상기 침전물포집부에 수용되는 상기 침전물과 상기 처리액의 혼합액을 공급받아 상기 혼합액으로부터 상기 처리액을 분리하여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구비된 재공급부를 통해 재공급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처리물의 처리에 따라 상기 처리액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포집시키는 부유물포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에서 재공급부를 통해 재공급되는 상기 처리액의 공급 방향은 상기 토출노즐유닛에서 공급되는 상기 처리액의 공급 방향과 교차되고,
    상기 침전물포집부에는 상기 처리조에 재공급되는 상기 처리액의 공급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이루는 유도경사부;가 포함되며,
    상기 부유물포집유닛은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분사식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포집유닛은,
    상기 처리액에서 부유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처리조의 가장자리로 안내하는 부유물가이드부; 및
    상기 처리조의 측벽으로 이동된 상기 부유물이 포집되는 부유물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분사식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가이드부는,
    상기 처리액의 표면에서 상기 부유물을 분산시키는 부유물분산부; 및
    상기 부유물분산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부유물분산부에서 분산된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포집부로 안내하는 부유물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분사식 처리장치.
KR1020180000846A 2018-01-03 2018-01-03 직분사식 처리장치 KR10189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46A KR101893903B1 (ko) 2018-01-03 2018-01-03 직분사식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46A KR101893903B1 (ko) 2018-01-03 2018-01-03 직분사식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903B1 true KR101893903B1 (ko) 2018-08-31

Family

ID=6340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846A KR101893903B1 (ko) 2018-01-03 2018-01-03 직분사식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6915A (zh) * 2023-10-31 2023-12-01 山东省寿光蔬菜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丽蚜小蜂蜂蛹分离纯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09Y1 (ko) * 2001-05-26 2001-10-17 메이트무역 주식회사 야채류 세정기
KR100593175B1 (ko) *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동식 플로트장치
KR101690004B1 (ko) 2016-05-27 2016-12-27 차상민 직분사식 세척 및 증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09Y1 (ko) * 2001-05-26 2001-10-17 메이트무역 주식회사 야채류 세정기
KR100593175B1 (ko) *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동식 플로트장치
KR101690004B1 (ko) 2016-05-27 2016-12-27 차상민 직분사식 세척 및 증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6915A (zh) * 2023-10-31 2023-12-01 山东省寿光蔬菜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丽蚜小蜂蜂蛹分离纯化装置
CN117136915B (zh) * 2023-10-31 2024-04-09 山东省寿光蔬菜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丽蚜小蜂蜂蛹分离纯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6586C1 (ru) Способ мойки внутренних частей моечной машины для бутылок или сосудов, а также мое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бутылок или сосудов
GB1588312A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cleaning containers
JP2011019415A (ja) 食品洗浄機
KR101272861B1 (ko)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KR101893903B1 (ko) 직분사식 처리장치
JP2011172555A (ja) 食材洗浄処理装置
RU2391153C2 (ru) Бутылк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US6294085B1 (en) Sewage screening apparatus
US4306493A (en) Device for washing and cooling the granulate of cottage cheese, curd or the like
US66889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workpieces by wet blasting
KR100264143B1 (ko) 야채 살균 세정기
JP4716204B2 (ja) 汚砂・し渣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汚砂・し渣洗浄処理装置
JP2006000845A (ja) 連続洗浄方法
NL1017690C2 (nl) Werkwijze alsmede inrichting voor het anaeroob zuiveren van een organische bestanddelen bevattende slurry.
GB15801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sing soiled chips of synthetic plastics material
KR20210016693A (ko) 버블수압식 식기 세척시스템
EP3436226B1 (en) Method for washing and separating pieces of plastics material, and washing and separating group for pieces of plastics
KR102395318B1 (ko)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US3215276A (en) Adjustable baffle grit chamber
JPH08239A (ja) 食品殺菌装置
JP2006333820A (ja) 異物除去装置
KR101389118B1 (ko) 천일염 세척 장치
JPS63218265A (ja) 砂利水洗装置
JP4065061B2 (ja) 茶生葉洗浄装置
WO1995024979A1 (e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