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861B1 -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861B1
KR101272861B1 KR1020110027638A KR20110027638A KR101272861B1 KR 101272861 B1 KR101272861 B1 KR 101272861B1 KR 1020110027638 A KR1020110027638 A KR 1020110027638A KR 20110027638 A KR20110027638 A KR 20110027638A KR 101272861 B1 KR101272861 B1 KR 10127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tank
defoaming
su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221A (ko
Inventor
탁봉열
Original Assignee
디에이치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치엠(주) filed Critical 디에이치엠(주)
Priority to KR102011002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86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농도 유기성 오폐수를 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출액의 상호간 충격으로 발생 되는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폐수를 담수 하거나 저장하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에서 발생 되는 거품(101)을 제거하는 거품제거기(200)와, 상기 거품제거기(200)를 지지하고 높이를 조절하는 인양장치(300)를 포함하는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기(200)는, 상기 수조(100)에 담겨져 있는 오폐수의 수면(102)을 기준으로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거품(101)을 흡입하기 위하여 인양장치(300)에 의한 견인 위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거품 흡입부(201); 상기 수조(100)의 주변부에 위치하여 상기 거품 흡입부(201)를 통해 흡입되는 거품(101)을 소포하는 소포탱크(202); 상기 거품 흡입부(201)와 상기 소포탱크(202)를 연결하여 거품(101)을 흡입하는 통로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흡입라인(203); 상기 소포탱크(202)에 흡입압력을 전달하여 수조(100)의 거품(101)을 소포탱크(202)로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송풍기(20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폐수 거품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WASTEWATER BUBBLE}
본 발명은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농도 유기성 오폐수를 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출액의 상호 충격으로 발생 되는 거품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폐수 그리고 화학약품이 함유된 액체를 비롯하여 오수 및 폐수의 여과와 정화 그리고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 되는 배출액은 배출액 상호 간 충격으로 인해 거품이 발생 된다.
예를 들면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호기성 미생물로 처리하는 일반적인 폐수 처리공정에서는 계면활성성분이 있는 고 점도의 거품이 발생 되는데 이렇게 발생된 거품은 잘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거품제거용 처리탱크로 집수하는 경우 수면위로 부상된 거품이 흘러 넘쳐 주위 민원을 야기한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임시방편적으로 처리 탱크의 실제 담수 용량보다 수위를 낮추어 처리액을 관리하게 되어 탱크의 유효 용량을 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적정 체류 시간 보다 조기에 처리액을 방류함으로서 부적정 폐수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오픈 된 처리 탱크 내에서 발생 된 거품은 탱크를 넘쳐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오수 방류 시 하천 등에서 발생 된 거품은 수질 오염을 일으키고 시각적으로 혐오 물질로 비추어진다.
거품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액체의 배출속도를 줄이면서 벽면을 따라서 공급하거나 발생한 기포를 탈포 장치로 제거하기도 한다. 그러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서 액체의 배출속도를 줄이는 것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탈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설비 시설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거품을 제거하는 탈포 작업에서는 액체의 공급을 중단하여야 하고, 고농도의 액체를 넣는 경우는 탈포가 곤란하다.
그밖에 초음파나 원심력 등을 이용하여 탈포 하는 방식도 있으나 복잡한 시설과 과도한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2-19808호 공보에는 탱크에 액체를 공급할 때 탱크 내의 액체 낙하부에 벽을 설치하고, 이것으로서 액체 낙하시의 거품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장치를 사용하면 대량의 액체를 급속으로 공급할 수 있지만 장벽 통과 후의 액체가 난류로 되어 탱크에 공급되기 때문에 장벽 통과 후의 액체에도 다소의 기포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장벽에 공급된 액체 중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도 곤란하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1-379876호 공보에는 상방에 요철형 곡면을 갖는 액체 안내부재를 탱크내의 액체중에 침적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안내 부재 상부에 액체 공급관이 배설되어 있는 액체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액체가 비산 하는데 따른 거품발생을 방지할 수 있지만 액체 안내 부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액체가 난류 상태이기 때문에 유속이 빠르면 거품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공급된 액체 중의 기포를 제거할 수 없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공개번호 제1995-09060호에는 거품을 형성시키지 않고 탱크에 액체를 공급하는 방법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탱크 중앙 소정 높이 중앙 위치를 정점으로 하고 그 하단이 탱크 내주 벽면 근방으로 연장하는 하강 사면을 갖는 액체 안내부와, 액체 안내부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 유로 형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액체로부터 발생 되는 거품을 줄일 수 있으나 경사면과 탱크 내 액체가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공개번호 제2009-0010851호에는 수조에 설치하는 거품제거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기술의 거품제거기(20) 및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거품제거기(20)는, 오폐수를 담는 수조(10)에 설치되고 전원인가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11) 및 회전축(12)에 결합 되어 거품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수조(10)의 수상에 발생된 거품을 침수시켜 제거시키는 임펠러(13)로 구성된 것이다.
거품제거기(20)는 지지프레임(14)에 와이어(15)를 통해 수직 낙하 상태로 수조(10)속으로 담겨지고 와이어(15)를 당기고 풀어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거품 제거 방식은 임펠러(13)를 통하여 거품을 수조(10)에 침수시키는 형식이다. 즉 임펠터(13)의 회전은 오폐수를 축 방향 흐름을 갖도록 함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오폐수는 거품과 함께 하부로 이송되어 침수되고 하부로 이송된 오폐수 및 거품은 거품이 제거되어 오폐수만이 수조(10)의 가장자리로 이송된 후 상승한다. 그리고, 상승된 오폐수는 거품과 함께 재차 하부로 이송되어 침수되도록 하는 공정을 반복하면서 거품을 제거하는 형식이다.
그러나, 계면활성 성분이 있는 고 점도의 거품(30)이 수조(10)의 수면(30) 위로 거품층을 형성하는 경우 임펠러(13)를 통한 거품의 침수 작용이 지연되고 오폐수의 양을 적기에 조절하지 못하면 수면의 거품이 밖으로 흘러 넘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고농도 유기성 오폐수를 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출액 상호 간 충격으로 발생되는 거품을 빠르고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폐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이 수조 상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조 공간에서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조의 수면 위로 부상된 거품의 조기 제거를 통해 오폐수 담수 용량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폐수 처리에 관한 적정 체류 시간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거품제거장치는,
오폐수를 담수 하거나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서 발생 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기와, 상기 거품제거기를 지지하고 높이를 조절하는 인양장치를 포함하는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기는,
상기 수조에 담겨져 있는 오폐수의 수면을 기준으로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거품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인양장치에 의한 견인 위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거품 흡입부; 상기 수조의 주변부에 위치하여 상기 거품 흡입부(201)를 통해 흡입되는 거품을 소포 제거하는 소포탱크; 상기 거품을 소포탱크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 역할을 하도록 거품 흡입부와 상기 소포탱크를 연결하는 흡입라인; 상기 소포탱크에 흡입압력을 전달하여 수조의 거품을 소포탱크로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송풍기;로 이루어지며,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거품 흡입부는,
거품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와 결합 되어 상기 흡입라인과 헤드를 연결하여 거품을 흡입라인을 통해 소포탱크로 보내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헤드의 흡입구에 가해지는 흡입 압력으로 회전하면서 거품을 분쇄하여 흡입라인으로 보내는 임펠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포탱크는,
삭제
흡입송풍기의 흡입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을 형성하는 밀폐된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라인을 따라 흡입되는 거품이 충돌되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비산 되도록 유도하고 거품의 직진성 비산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로 꺾여진 절곡부를 갖는 충돌판과,
상기 충돌판에 부딪히는 거품에 소포액을 분사하여 거품의 소포를 촉진시키기 위해 탱크 본체에 설치된 소포액 분사노즐과,
상기 소포탱크에 형성되는 자체 흡입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탱크 본체에 설치된 압력 조절밸브와,
상기 탱크 본체에 전달되는 흡입력 세기 및 개폐 제어를 위해 탱크 본체와 흡입송풍기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탱크 본체에 집수된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탱크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고농도 유기성 오폐수를 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출액의 상호 간 충격으로 발생 되는 거품을 빠르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폐수 처리과정에서 발생 되는 거품이 수조 상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조 공간에서 제거하고, 수조의 수면 위로 부상된 거품의 조기 제거를 통해 오폐수 담수 용량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폐수 처리에 관한 적정 체류 시간을 유지시켜 오폐수 처리 작업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품 흡입부의 헤드 구성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품 흡입부의 후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품 흡입부의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포탱크의 설명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포탱크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양장치의 구성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품 흡입부의 헤드 구성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일측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품 흡입부의 후드의 구성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품 흡입부의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포탱크의 설명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포탱크 구성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거품제거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폐수를 담수 하거나 저장하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에서 발생 되는 거품(101)을 제거하는 거품제거기(200)와, 상기 거품제거기(200)를 지지하고 높이를 조절하는 인양장치(300)를 포함한다.
주요 부분은, 거품제거기(200)의 거품 흡입부(201)를 수조(100)의 수면(102)을 기준으로 인양장치(300)를 통해 높이를 조절하여 위치시키고, 여기에 흡입 압력을 가하여 거품(101)을 소포탱크(202)로 흡입한 뒤 소포탱크(202) 내부에서 거품(101)을 충돌과 비산으로 확산시킨 후 안정화 과정을 거쳐 액상의 오폐수로 수거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거품제거기(2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수조(100)에 담겨져 있는 오폐수 수면(102)을 기준으로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거품(101)을 흡입하기 위하여 인양장치(300)에 의한 견인 위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거품 흡입부(201)가 구성된다. 인양장치(300)는 도 3과 같이, 와이어(301)를 당기고 풀어주기 위한 전동 구동과 수조작 가능한 인양용 윈치(302)가 장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304)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조정하기 위한 조정용 핸들(30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100)의 주변부에 위치하여 거품 흡입부(201)를 통해 흡입되는 거품(101)을 소포하는 소포탱크(202)가 구성된다.
그리고, 거품 흡입부(201)와 상기 소포탱크(202)를 연결하여 거품(101)을 흡입하는 통로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흡입라인(203)이 구성된다.
그리고, 소포탱크(202)에 흡입압력을 전달하여 수조(100)의 수면 거품(101)을 소포탱크(202)로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송풍기(205)로 구성된다.
또한, 거품 흡입부(201)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품(101)을 흡입하는 흡입구(206)가 형성된 헤드(207)와, 헤드(207)와 결합 되어 상기 흡입라인(203)과 헤드(207)를 연결하여 거품(101)을 흡입라인(203)을 통해 소포탱크(202)로 보내는 후드(207a)와, 후드(207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헤드(207)의 흡입구(206)에 가해지는 흡입 압력으로 회전하면서 거품(101)을 분쇄하여 흡입라인(203)으로 보내는 임펠러(208b)로 구성된다.
여기서, 임펠러(208b)는 흡입송풍기(205)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흡입압력에 의해 무동력으로 회전된다. 임펠러(208b)는 흡입라인(203)을 따라 소포탱크(202)로 이동되는 거품(101)을 잘게 부수고 와류를 형성하여 거품(101)의 유체화를 가속시켜 소포탱크(202)로 진입시킨다.
또한, 후드(207a)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거품(101)을 입자상으로 부수기 위한 분사액 살포노즐(208a)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소포탱크(202)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송풍기(205)의 흡입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을 형성하는 탱크 본체(208)로 구성된다. 여기서, 탱크는 진공 형성이 가능한 밀폐된 용기가 적당하다.
그리고, 탱크 본체(208)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라인(203)을 따라 흡입되는 거품(101)이 충돌되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비산되도록 유도하고 거품(101)의 직진성 비산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로 꺾여진 절곡부(209a)를 갖는 충돌판(209)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돌판(209)에 부딪히는 거품(101)에 소포액을 분사하여 거품(101) 소포를 촉진시키기 위해 탱크 본체(208)설치된 소포액 분사노즐(209b)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충돌판(209)은 거품(101)이 분쇄되지 않고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거품(101)을 충돌시켜 잘게 부서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체화를 촉진시킨다. 충돌판(209)에 형성된 절곡부(209a)는 흡입 압력으로 흡입되어 충돌되는 거품(101)이 몇 단계로 나뉘어 굴절되도록 유도하여 거품을 액체상의 오폐수로 환원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소포탱크(202)에 형성되는 자체 흡입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탱크 본체(208)에 압력 조절밸브(210)가 설치된다.
그리고, 탱크 본체(208)에 전달되는 흡입력 세기 및 개폐 제어를 위해 탱크 본체(208)와 흡입송풍기(205)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개폐밸브(211)가 구성된다.
그리고, 탱크 본체(208)에 집수된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탱크 본체(208)의 하부에 드레인 밸브(212)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거품 흡입부(201)와 소포탱크(202)를 연결하는 흡입라인(203)은 휨 변형이 가능하고 복원 탄성이 있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서, 휨 변형과 복원 탄성이 있는 흡입라인(203)을 적용하면, 거품제거기(200)의 거품 흡입부(201)의 높이 변화와 위치에 연동하여 자유롭게 변형 되고 복원 가능하다.
또한, 흡입라인(203)은 인양장치(300)의 견인와이어(301)에 연결끈(213)을 통해 지지 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흡입라인(203)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쳐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간결하면서도 휨 굴절 자유도가 있는 유동적인 거품 흡입 통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농도 유기성 오폐수를 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액상 의 오폐수 배출액 상호 간 충격으로 발생 되는 거품을 빠르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호기성 미생물로 처리하는 일반적인 폐수 처리공정에서는 계면활성성분이 있는 고 점도의 거품이 발생 되는데 이런 종류의 거품은 잘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가지 방법들이 거품 제거에 이용되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다. 특히 고 점도 성분이 함유된 거품은 자연 침전, 낙하, 안정화, 분해, 충돌 등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유체화 되지 않고 거품 형상이 대부분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거품제거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품제거기(200)의 거품 흡입부(201)를 수조(100)의 수면(102)을 기준으로 인양장치(300)를 통해 높이를 조절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인양장치(300)에는 견인 와이어(301)를 당기고 풀어주는 윈치(303)가 있다. 윈치(303)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거품제거기(200)의 거품 흡입부(201)의 헤드(207)를 수면(102) 위에 떠 있는 거품(101) 형성층에 정확히 일치시켜 조정이 가능하다.
인양장치(300)에 의한 거품 흡입부(201)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흡입송풍기(205)를 구동시켜 소포탱크(202)에 흡입압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소포탱크(202)의 흡입압력은 거품(101)을 거품 흡입부(201)를 통해 흡입한다.
거품 흡입과정에서 거품(101)을 흡입하는 흡입구(206)가 형성된 헤드(207)의 흡입구(206)를 따라 흡입 압력으로 임펠러(208b)가 회전되면서 거품(101)을 분쇄하여 흡입라인(203)을 따라 소포탱크(202) 내부로 흡입되도록 유도한다.
소포탱크(202)의 탱크 본체(208) 내부로 유입되는 거품(101)은 충돌판(209)에 충돌되어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비산각으로 퍼져나가면서 잘게 부서진다. 충돌판(209)에 부딪히는 거품(101)의 직진성 비산을 제어하기 위해 절곡부(209a)를 형성하면 거품(101)을 액상화 하는데 더 유리하다. 소포액 분사노즐(209b)을 통해 충돌판(209a)을 향해 액상 소포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면 거품(101) 제거 효율이 좋아진다.
소포탱크(202)에 설치된 압력 조절밸브(210)는 개폐량 조절을 통해 탱크 자체 압력을 적절히 조절한다.
탱크 본체(208)와 흡입송풍기(205)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211)를 조작하면, 탱크 본체(208)에 전달되는 흡입력 세기 조절이 가능하고 개폐 제어도 가능하다.
탱크 본체(208)에 집수 되는 오폐수는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212) 조작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거품제거장치는, 흡입 압력을 통해 거품을 일차적으로 분쇄하고 분쇄된 거품을 연속적으로 독립된 소포탱크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여 흡입압력에 의해 소포탱크 내부에서 거품이 이차적으로 충돌되도록 하여 거 제거함으로서 일반 폐수처리에서 발생 되는 거품을 포함하여 고 점도 유기성 폐수처리에서 발생 되는 거품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수조
101: 거품
102: 수면
200: 거품제거기
201: 거품흡입부
202: 소포탱크
203: 흡입라인
205: 흡입송풍기
206: 흡입구
207: 헤드
207a: 후드
208: 탱크본체
208b: 임펠러
208a: 살포노즐
209: 충돌판
209a: 절곡부
209b: 소포액분사노즐
210: 압력조절밸브
211: 개폐밸브
212: 드레인밸브
213: 연결끈
300: 인양장치
301: 견인와이어

Claims (6)

  1. 오폐수를 담수 하거나 저장하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에서 발생 되는 거품(101)을 제거하는 거품제거기(200)와, 상기 거품제거기(200)를 지지하고 높이를 조절하는 인양장치(300)를 포함하는 오폐수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기(200)는,
    상기 수조(100)에 담겨져 있는 오폐수의 수면(102)을 기준으로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거품(101)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인양장치(300)에 의한 견인 위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거품 흡입부(201); 상기 수조(100)의 주변부에 위치하여 상기 거품 흡입부(201)를 통해 흡입되는 거품(101)을 소포 제거하는 소포탱크(202); 상기 거품(101)을 소포탱크(202)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 역할을 하도록 거품 흡입부(201)와 상기 소포탱크(202)를 연결하는 흡입라인(203); 상기 소포탱크(202)에 흡입압력을 전달하여 수조(100)의 거품(101)을 소포탱크(202)로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송풍기(205);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품 흡입부(201)는,
    거품(101)을 흡입하는 흡입구(206)가 형성된 헤드(207)와,
    상기 헤드(207)와 결합 되어 상기 흡입라인(203)과 헤드(207)를 연결하여 거품(101)을 흡입라인(203)을 통해 소포탱크(202)로 보내는 후드(207a)와,
    상기 후드(207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헤드(207)의 흡입구(206)에 가해지는 흡입 압력으로 회전하면서 거품(101)을 분쇄하여 흡입라인(203)으로 보내는 임펠러(208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탱크(202)는,
    흡입송풍기(205)의 흡입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을 형성하는 밀폐된 탱크 본체(208)와,
    상기 탱크 본체(208)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라인(203)을 따라 흡입되는 거품(101)이 충돌되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비산 되도록 유도하고 거품(101)의 직진성 비산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로 꺾여진 절곡부(209a)를 갖는 충돌판(209)과,
    상기 충돌판(209)에 부딪히는 거품(101)에 소포액을 분사하여 거품(101)의 소포를 촉진시키기 위해 탱크 본체(208)에 설치된 소포액 분사노즐(209b)과,
    상기 소포탱크(202)에 형성되는 자체 흡입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탱크 본체(208)에 설치된 압력 조절밸브(210)와,
    상기 탱크 본체(208)에 전달되는 흡입력 세기 및 개폐 제어를 위해 탱크 본체(208)와 흡입송풍기(205)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211)와,
    상기 탱크 본체(208)에 집수된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탱크 본체(208)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2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10027638A 2011-03-28 2011-03-28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KR10127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38A KR101272861B1 (ko) 2011-03-28 2011-03-28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38A KR101272861B1 (ko) 2011-03-28 2011-03-28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221A KR20120109221A (ko) 2012-10-08
KR101272861B1 true KR101272861B1 (ko) 2013-06-10

Family

ID=4728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38A KR101272861B1 (ko) 2011-03-28 2011-03-28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770B1 (ko) * 2012-08-21 2014-12-03 한국가스공사 거품 제거 장치
KR101653242B1 (ko) * 2014-10-29 2016-09-02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거품 처리장치 및 시스템
CN108423754A (zh) * 2018-04-09 2018-08-21 新疆八钢铁股份有限公司 悬浮式油液收集装置
CN109762725A (zh) * 2019-01-15 2019-05-17 海安艾拉新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技术的新材料生产装置
KR102035489B1 (ko) * 2019-04-16 2019-10-23 함창우 발전소 방류 냉각수의 친환경 거품 제거 시스템
CN113023910A (zh) * 2021-04-28 2021-06-25 朗森特环境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循环水系统零排污的无磷环保型药剂及其加工设备
CN115155112A (zh) * 2022-06-22 2022-10-11 江西铜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采用物理方式消除浓密机上泡沫的系统及工艺
KR102546797B1 (ko) * 2022-10-07 2023-06-26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부생가스 및 온실가스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482A (ja) * 1991-09-30 1993-04-06 Trinity Ind Corp 液面上浮遊物の吸取装置
JPH09323001A (ja) * 1996-06-06 1997-12-16 Ebara Corp 消泡装置
KR20040006690A (ko) * 2002-07-13 2004-01-24 주식회사 포스코 폭기조 내 거품 제거장치
KR20090010851U (ko) * 2008-04-21 2009-10-26 임문주 오폐수 거품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482A (ja) * 1991-09-30 1993-04-06 Trinity Ind Corp 液面上浮遊物の吸取装置
JPH09323001A (ja) * 1996-06-06 1997-12-16 Ebara Corp 消泡装置
KR20040006690A (ko) * 2002-07-13 2004-01-24 주식회사 포스코 폭기조 내 거품 제거장치
KR20090010851U (ko) * 2008-04-21 2009-10-26 임문주 오폐수 거품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221A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861B1 (ko)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ES2740983T3 (es) Aparato para la limpieza de material contaminado
US7763173B1 (en) Method for remediating solids in waste lifting stations
KR101844734B1 (ko)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
CN111892115B (zh) 一种废水处理用气浮池
JP5317887B2 (ja) 洗浄装置
JP6316156B2 (ja) 沈殿池
KR100398490B1 (ko) 가압 부상조
JP3811887B2 (ja) 洗浄処理装置
KR100630579B1 (ko) 송풍을 이용한 부유물질의 탈기 및 이송방법과 이를이용한 부유물질의 제거장치
KR101385535B1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JP4074927B2 (ja) 洗浄処理装置
KR20190018884A (ko) 혐기소화조의 침전물 제거장치
CN205328658U (zh) 一种改进了除杂功能的气浮机
KR101999620B1 (ko) 부상슬러지 및 침전슬러지의 동시처리장치
KR200245294Y1 (ko) 가압 부상조
KR101433820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사이클론 가압부상 장치
KR102409673B1 (ko) 침사 분리시스템
JP7112795B1 (ja) 導水渠システム
JPS6337118Y2 (ko)
JP2000050797A (ja) 茶生葉洗浄装置
JP2018153792A (ja) 沈砂洗浄設備
KR20220076638A (ko) 폐수처리시스템을 위한 슬러지 처리장치
JP2023178930A (ja) 汚水浄化装置
JP5834286B2 (ja) マイクロバブルを使用した洗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