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851U - 오폐수 거품 제거기 - Google Patents

오폐수 거품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851U
KR20090010851U KR2020080005247U KR20080005247U KR20090010851U KR 20090010851 U KR20090010851 U KR 20090010851U KR 2020080005247 U KR2020080005247 U KR 2020080005247U KR 20080005247 U KR20080005247 U KR 20080005247U KR 20090010851 U KR20090010851 U KR 200900108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ter
motor
impeller
coupled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문주
오진순
Original Assignee
임문주
오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문주, 오진순 filed Critical 임문주
Priority to KR2020080005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851U/ko
Publication of KR20090010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2Prevention of foa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오폐수 거품 제거기는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조에 설치되며, 전원인가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오폐수 거품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수조의 수상에 발생된 거품을 침수시켜 제거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Figure P2020080005247
오폐수, 거품, 제거, 침수

Description

오폐수 거품 제거기{APPARATUS FOR REMOVING WASTEWATER BUBBLE}
본 고안은 오폐수 거품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축분 등의 축산용 오폐수 및 음식물 찌꺼기 등의 농업 및 가정용 오폐수의 액비 발효시 발생되는 거품을 수중으로 침수시켜 제거하면서 구성을 간단하게 한 오폐수 거품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활동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즉, 축분 등의 축산용 오폐수 및 음식물 찌꺼기 등의 농업 및 가정용 오폐수)는 환경오염으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교반기에 의해 정화 처리되거나, 액비를 생산하기 위해 발효처리 하고 있다.
여기서 교반기는 그 방식 및 형태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수중에 임펠러를 잠수시켜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서 교반시키는 수중교반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오폐수는 일정한 공간을 갖는 수조의 내부에 수용되며, 교반기는 수조에 수용된 오폐수를 교반하여 오폐수에 용해산소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를 정화한다.
그런데 오폐수는 공기 중의 산소를 용해시키거나 액비 발효를 위해 오폐수를 분쇄하거나 충돌시켜야 하므로 분쇄 충돌에 따른 거품이 발생된다. 그리고 발생된 거품은 그 양이 많을 경우 수조를 넘치거나, 공기와 접촉이 많아져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액비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처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많은 거품이 발생된다.
따라서 오폐수 액비 발생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설비가 제시되고 있고, 그 일예로 대한민국특허 2006년 특허 제575900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 제575900호는 수조의 내부에 폭기관과, 산기노즐, 분사노즐, 고수압 분사관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조의 자체에 거품 제거용 수조로 시공하여야 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기존에 일정한 공간만을 제공하는 수조에는 별도로 시공하여야 하므로 바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폐수를 하부에서 공급하여 상부에서 분사하는 경우에는 분사에 따른 오폐수의 냉각으로 발효처리가 되지 못하므로 액비 생산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오폐수 교반 및 액비 발효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침수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기존의 수조에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거품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오폐수 거품 제거기는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조에 설치되며, 전원인가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오폐수 거품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수조의 수상에 발생된 거품을 침수시켜 제거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임펠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를 일정한 높이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임펠러가 일정한 수위에서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상부 링과, 상기 상부 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 링과, 상기 상부 링과 상기 하부 링에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는 방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 우징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와, 임펠러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오폐수 거품 제거기는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가조가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거품을 제거할 수 있게 시공되지 않는 수조에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거품 제거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거품 제거기를 보인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거품 제거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폐수 거품 제거기(100)는 수조(1)에 설치된다. 여기서 수조(1)에는 오폐수 및 발효 액비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수조(1)에는 교반을 통해 폭기가 발생되거나, 액비가 발효될 수 있게 미도시한 교반기가 설치된다. 여기서 교반 및 액비 발효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거품 제거기(100)는 수조(1)에 설치된다.
이때 수조(1)에 설치되는 거품 제거기(100)는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치프레임(40)에 의해 일정한 높이가 되게 설치된다. 또한, 거치프레임(40)에 설치되어 상, 하 가변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거품 제거기(100)는 모터(10)와 임펠러(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터(10)는 수조(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조(1)에 수용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수중에도 설치될 수 있게 방수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모터(10)는 모터(10)를 감싸는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은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거품 제거기(100)는 임펠러가 액비발효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거품 층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오폐수의 상부에서 거품이 오폐수에 침수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임펠러(20)는 모터(10)의 회전축(12)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여기서 임펠러(20)는 회전축(12)에 결합되는 종동축(21)이 마련되고, 상기 종동축(21)을 중심으로 외주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임펠러(20)는 회전되어 오폐수를 축 방향의 흐름을 갖도록 이송시키며, 본 고안에서의 오폐수 흐름방향은 상부에서 하부로 강제 이송으로 침수시킨다. 따라서 임펠러(20)가 회전하게 되면, 임펠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폐수는 거품과 함께 하부로 이송되어 침수되고, 하부로 이송된 오폐수 및 거품은 거품이 제거 되어 오폐수만이 가장자리로 이송된 후 상승한다. 그리고 상승된 오폐수는 거품과 함께 재차 하부로 이송되어 침수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모터(10)에서 임펠러(2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전달로드(13)가 마련된다. 전달로드(13)는 일단이 모터(10)의 회전축(12)에 결합되고, 타단은 임펠러(20)의 종동축(21)에 결합된다.
그리고 임펠러(20)는 임펠러(20)를 보호하는 지지프레임(30)이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30)은 임펠러(2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수조(10)에 설치되는 교반기 등의 다른 기기들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조(1)의 바닥에 설치될 경우 임펠러(20)가 수조(1)의 일정한 높이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30)은 모터(10)의 하우징(11)에 결합되는 상부 링(31)과, 상기 상부 링(31)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하부 링(32), 그리고 상기 상부 링(31)과 하부 링(3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지지대(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링(31)은 상기 지지대(33)가 모터(10)의 하우징(11)에 직접 결합될 경우에는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33)에는 나선을 형성하여 상부 링(31)과 하부 링(32)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부 링(31)과 하부 링(32)에는 지지대(33)가 삽입되는 상부 체결 홀과 하부 체결 홀이 마련된다. 여기서 하부 링(32)은 상부 링(31)에 비해 그 직경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오폐수 거품 제거기(100)는 모터(10)와 임펠러(20)의 결합 으로 거품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 거품을 제거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해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오폐수 거품 제거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거품 제거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거품 제거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거품 제거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거품 제거기 10: 모터
11: 하우징 12: 회전축
13: 전달로드 20: 임펠러
21: 종동축 22: 날개
30: 지지프레임 31: 상부 링
32: 하부 링 33: 지지대
40: 거치프레임

Claims (5)

  1.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조에 설치되며, 전원인가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오폐수 거품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수조의 수상에 발생된 거품을 침수시켜 제거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거품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임펠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거품 제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일정한 높이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임펠러가 일정한 수위에서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거품 제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상부 링;
    상기 상부 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 링;
    상기 상부 링과 상기 하부 링에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거품 제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방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거품 제거기.
KR2020080005247U 2008-04-21 2008-04-21 오폐수 거품 제거기 KR200900108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247U KR20090010851U (ko) 2008-04-21 2008-04-21 오폐수 거품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247U KR20090010851U (ko) 2008-04-21 2008-04-21 오폐수 거품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51U true KR20090010851U (ko) 2009-10-26

Family

ID=4153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247U KR20090010851U (ko) 2008-04-21 2008-04-21 오폐수 거품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851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34B1 (ko) * 2010-10-21 2012-06-25 덕지산업주식회사 기포제거용 이송펌프
KR101272861B1 (ko) * 2011-03-28 2013-06-10 디에이치엠(주)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KR101301267B1 (ko) * 2012-05-29 2013-08-28 (주) 케이오더블유 거품 내지 수처리가 용이한 정화장치의 부력체구조
KR200470086Y1 (ko) * 2012-09-18 2013-11-29 명형식 오폐수 처리조의 거품제거장치
KR101398348B1 (ko) * 2013-08-26 2014-05-22 장대정 스컴 해소가 가능한 폐수 처리 장치
KR20190068798A (ko) 2017-12-11 2019-06-19 왕기연 축산폐수 액비화설비의 거품제거장치
KR20210157041A (ko) 2020-06-19 2021-12-28 장춘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34B1 (ko) * 2010-10-21 2012-06-25 덕지산업주식회사 기포제거용 이송펌프
KR101272861B1 (ko) * 2011-03-28 2013-06-10 디에이치엠(주)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KR101301267B1 (ko) * 2012-05-29 2013-08-28 (주) 케이오더블유 거품 내지 수처리가 용이한 정화장치의 부력체구조
KR200470086Y1 (ko) * 2012-09-18 2013-11-29 명형식 오폐수 처리조의 거품제거장치
KR101398348B1 (ko) * 2013-08-26 2014-05-22 장대정 스컴 해소가 가능한 폐수 처리 장치
KR20190068798A (ko) 2017-12-11 2019-06-19 왕기연 축산폐수 액비화설비의 거품제거장치
KR20210157041A (ko) 2020-06-19 2021-12-28 장춘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851U (ko) 오폐수 거품 제거기
US6499727B1 (en) Internal drive aerator for body of liquids
KR100512089B1 (ko)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JP4602241B2 (ja) 液中撹拌装置
JP5851134B2 (ja) 汚泥消化装置
CN106378075A (zh) 一种浮球定位除泡的反应釜
KR100988361B1 (ko) 산소 용해 장치
JP2000354889A (ja) 曝気装置
KR100734094B1 (ko) 고농도 폐수 교반기
JP2008284421A (ja) 矩形の攪拌反応槽
KR102030964B1 (ko)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JP2007083108A (ja) 液体処理方法および液体処理装置
KR100743860B1 (ko) 스컴제거형 교반기
KR10249960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처리장치
KR20120045571A (ko) 배오존이 적은 고효율 오존 용해장치
JP2009178619A (ja) 曝気攪拌機
JP2006320777A (ja) 排水処理装置
JP2005211738A (ja) 汚水処理施設の曝気装置
KR200470651Y1 (ko) 상하수 및 오폐수처리용 교반장치의 포밍 플레이트
JP2006061780A (ja) 曝気槽と、その曝気槽における消泡方法
CN205011455U (zh) 用于污水生物强化处理的浮动式搅拌装置
KR100836149B1 (ko) 반액상 유기 폐기물 처리용 혐기성 소화장치
CN210261307U (zh) 一种立式曝气搅拌机
KR100478385B1 (ko) 폐수처리장치의 담체 유동반응기
JP2000301190A (ja) 曝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