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964B1 -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 Google Patents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964B1
KR102030964B1 KR1020190042688A KR20190042688A KR102030964B1 KR 102030964 B1 KR102030964 B1 KR 102030964B1 KR 1020190042688 A KR1020190042688 A KR 1020190042688A KR 20190042688 A KR20190042688 A KR 20190042688A KR 102030964 B1 KR102030964 B1 KR 102030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tube
stirring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일영
Original Assignee
고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일영 filed Critical 고일영
Priority to KR102019004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94"Venturi" aerat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의 부유물을 펌핑하여 폭기 및 교반시키도록 된 교반기로서, 원뿔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수면에 뜬 부유물인 슬러지를 유입하는 유입캡과 상기 유입캡에 상단부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유입캡에 형성되는 부유부로 이루어진 슬러지유입부와, 상기 연결관부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유입된 부유물를 배출하도록 배출관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체결되는 임펠러로 구성된 펌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에는 유입관부가 체결되고 상기 유입관부의 단부에는 교반관이 체결되며 상기 유입관부에는 공기유입관의 하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관을 통해 상기 유입관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는 하수가 저장되는 하수저장조에 펌핑부와 폭기부, 교반부로 이루어진 장치를 마련하여, 하수저장조에 충진된 하수의 수면에 막을 형성하며 뜬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을 빠르게 펌핑한 후 수중에서 강한 벤츄리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여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하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Aeration stirrer for scum removal}
본 발명은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가 저장되는 하수저장조에 펌핑부와 폭기부, 교반부로 이루어진 장치를 마련하여, 하수저장조에 충진된 하수의 수면에 막을 형성하며 뜬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을 빠르게 펌핑한 후 수중에서 교반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하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시킬 수 있게 되는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은 강, 하천 등으로 방류되기 전에 하.폐수 처리장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폐수처리장에 있어 폭기조에서는 폭기조에 유입된 하.폐수에 산소를 공급하거나 교반시켜 하.폐수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하.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을 제거하여 하.폐수를 정화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하수처리장에는 하수가 충진됨과 아울러 슬러지가 포함되는데, 외부의 산소(공기)가 하수로 전달되면서 하수의 용존산소를 증가시킴에 따라 호기성세균을 활성화시켜 하.폐수와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을 정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액비조나 양식장, 저수지, 정수장 등의 하수처지장에는 충진된 하.폐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이 하수의 상부에 뜬상태로 배치되어 막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산소가 하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수의 용존산소량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호기성세균의 활성화를 저하시켜 하.폐수 및 스컴의 정화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교반이 되지 않아 슬러지가 쌓여 물의 부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스컴은 겨울철에 표면에서 동결되어 폭기조로의 산소 공급이 차단되게 되며 폭기기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65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가 저장되는 하수저장조에 펌핑부와 폭기부(포기부), 교반부로 이루어진 장치를 마련하여, 하수저장조에 충진된 하수의 수면에 막을 형성하며 뜬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을 빠르게 펌핑한 후 수중에서 교반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하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시킬 수 있게 되는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수의 부유물을 펌핑하여 폭기 및 교반시키도록 된 교반기로서,
원뿔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수면에 뜬 부유물인 슬러지를 유입하는 유입캡과 상기 유입캡에 상단부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유입캡에 형성되는 부유부로 이루어진 슬러지유입부와,
상기 연결관부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유입된 부유물를 배출하도록 배출관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체결되는 임펠러로 구성된 펌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에는 유입관부가 체결되고 상기 유입관부의 단부에는 교반관이 체결되며 상기 유입관부에는 공기유입관의 하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관을 통해 상기 유입관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반관에는 수중에 배치되는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교반부가 설치되되,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관을 감싸면서 끼움되는 내측안내관과, 상기 교반관과 상기 내측안내관 사이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가 이동되는 내측교반구와, 상기 내측안내관을 감싸면서 끼움되는 외측안내관과, 상기 내측안내관과 상기 외측안내관 사이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가 이동되는 외측교반구와, 상기 교반구와 상기 내측안내관 및 상기 내측안내관과 상기 외측안내관을 연결하는 연결샤프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측안내관의 단부는 상기 교반관의 끝단보다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내측안내관의 단부는 상기 내측안내관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교반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에 의해 물살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교반구와 상기 외측교반구로 하수처리조의 하수 및 슬러지가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반관은 끝난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안내관과 상기 외측안내관의 내측면에는 탄성분쇄핀들의 일단이 더 고정되어 부유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에는 수면의 위치에 따라 절곡되도록 자바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는 하수가 저장되는 하수저장조에 펌핑부와 폭기부, 교반부로 이루어진 장치를 마련하여, 하수저장조에 충진된 하수의 수면에 막을 형성하며 뜬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을 빠르게 펌핑한 후 수중에서 강한 벤츄리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여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하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사용상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교반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가 하수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교반부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슬러지유입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사용상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교반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가 하수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교반부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슬러지유입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폭기식 교반기라 명명함)는 액비조나 양식장, 저수지, 정수장 등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과 같은 하수의 부유물을 펌핑하여 폭기 및 교반시키도록 된 교반기(10)로서, 이에 이와 같은 교반기(10)는 슬러지유입부(20)와 펌핑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러지유입부(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역 원뿔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수면에 뜬 부유물인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를 유입하는 중공된 구조의 유입캡(21)과 상기 유입캡(21)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연통되게 용접되거나 나사체결되는 연결관부(22)와 상기 유입캡(21)에 형성되는 부유부(23)로이루어진다.
상기 부유부(23)는 부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기타 부력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캡(21)에 나사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유입캡(21)의 상면은 상기 부유부(23)에 의해 수면과 일치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입캡(21)의 상면에 부유부(23)를 나사 등으로 체결하여, 상기 유입캡(21)의 상면이 수면보다 낮게 수중에 배치시켜 하수와 부유물이 상기 유입캡(21)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30)는 상기 연결관부(22)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부에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측면에 유입된 부유물을 배출하도록 배출관(312)이 형성된 하우징본체(31)와 상기 하우징본체(31)에 마련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축에 체결되는 임펠러(33)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31)의 유입구(311)에는 상기 연결관부(22)의 하단부가 연통되게 나사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에 의해 수면의 부유물을 상기 하우징본체(31)로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펌핑부(30)는 하수처리조의 바닥에 배치되어, 하수가 충진된 하수처리조의 수면에 배치되는 부유물을 하수처리조의 바닥부분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킴으로써, 부유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임펠러(33)와 연결관부(22)에 마찰되어 교반된 후 수중에 배출되어, 수면의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물이 수면을 덮어 하수로 외부의 공기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관(312)에는 유입관부(34)가 체결되고 상기 유입관부(34)의 단부에는 교반관(35)이 체결되며 상기 유입관부(34)에는 공기유입관(36)의 하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관(36)을 통해 상기 유입관부(34)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관(36)의 상단부는 외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공기유입관(36)에는 공기펌프가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관(36)을 통해 상기 유입관부(34)로 전달하게 됨으로써, 상기 배출관(312)으로 배출되는 부유물이 포함된 하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되도록 하여, 부유물의 분쇄 및 분해효율을 높이게 되고, 하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게 된다.
상기 교반관(35)에는 교반부(40)가 더 마련되고, 상기 교반부(40)는 상기 교반관(35)을 감싸면서 끼움되는 내측안내관(41)와, 상기 교반관(35)과 상기 내측안내관 사이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가 이동되는 내측교반구(42)와, 상기 내측안내관(41)를 감싸면서 끼움되는 외내측안내관(43)와, 상기 내측안내관(41)와 상기 외내측안내관(43) 사이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가 이동되는 외측교반구(44)와, 상기 교반관(35)과 상기 내측안내관(41) 및 상기 내측안내관(41)와 상기 외내측안내관(43)를 연결하여 나사체결되는 연결샤프트(45)들로 이루어져, 상기 교반관(35)으로 배출되는 부유물이 포함된 하수에 의한 물살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내측교반구(42)와 외측교반구(44)로 하수가 관통하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배출되는 부유물과 내측교반구(42)와 외측교반구(44)를 관통하는 하수의 혼합되면서 물살에 의해 재차 부유물이 교반되어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교반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안내관(41)의 단부는 상기 교반관(35)의 끝단보다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내측안내관(43)의 단부는 상기 내측안내관(41)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교반관(35)에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에 의해 물살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교반구(42)와 상기 외측교반구(44)로 하수처리조의 하수 및 슬러지가 관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교반관(35)은 끝난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부유물이 포함된 하수의 배출효율을 높이게 되고, 상기 내측안내관(41)와 상기 외내측안내관(42)의 내측면에는 탄성분쇄핀(46)들의 일단이 더 고정되어 부유물을 분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분쇄핀(46)에 의해 상기 내측교반구(42)와 상기 외측교반구(44)를 관통하는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충돌하면서 분쇄되어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교반관(35)의 외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교반구(42)로 이동하는 하수가 유입되어 부유물과 교반되거나, 상기 교반관(35)으로 이동하는 부유물이 관통하면서 충돌하여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교반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관(35)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연결샤프트(45)를 통해 상기 내측안내관과 상기 외측안내관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반관(35)을 통해 이동되는 부유물과 상기 내측안내관(41)와 상기 외내측안내관(43)를 통해 이동되는 부유물에 전달되어 교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부(22)에는 수면의 위치에 따라 절곡되도록 자바라부(22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자바라부(221)는 상기 연결관부(22)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수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관부(22)가이 절곡되도록 한다.
즉, 하수가 증말되어 하수처리조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상기 유입캡(21)의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관부(22)가 가압되면서 상기 자바라부(221)가 절곡되어, 지속적으로 수면에 배치된 부유물을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바라부(221)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연결관부(22)와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융착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부(34)와 연결되는 상기 교반관(35)의 일단에는 분쇄망을 더 형성하고, 상기 교반관(35)의 외면에 분쇄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상기 유입관부(35)로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상기 분쇄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진동되는 상기 분쇄망과 충돌하면서 분쇄되어 관통됨으로써, 슬러지의 분쇄 및 교반효율을 높이게 되고, 유입되는 공기도 진동되는 분쇄망을 관통하면서 미세공기방울 형태로 형성되어, 폭기효율을 높이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관(35)에는 내부에 축부가 형성 배치되고, 상기 교반관(35)에는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모터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축부에는 회전관이 끼움되고 상기 축부와 연결샤프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회전관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교반날개들이 일체로 더 형성되어, 상기 교반관으로 유입되어 이동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 및 공기가 회전되는 회전관의 교반날개와 관통공에 충돌하면서 교반효율 및 폭기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의 테두리에는 금속재료 이루어진 분쇄핀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시켜 슬러지를 분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
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는, 하수저장조에 슬러지유입부와 펌핑부와 교반부로 이루어진 교반기를 마련하여, 슬러지를 펌핑한 후 교반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슬러지와 거품 및 세균의 결합체인 스컴(scum)이 하수저장조의 수면을 덮어 충진된 하수가 외부의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 발생하는 용존산소량의 저하에 따른 슬러지분해능력이 저감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교반기 20 : 슬러지유입부
21 : 유입캡 22 : 연결관부
221 : 자바라부 23 : 부유부
30 : 펌핑부 31 : 하우징본체
311 : 유입구 312 : 배출관
32 : 구동모터 33 : 임펠러
34 : 유입관부 35 : 교반관
36 : 공기유입관 40 : 교반부
41 : 내측안내관 42 : 내측교반구
43 : 외내측안내관 44 : 외측교반구
45 : 연결샤프트 46 : 탄성분쇄핀

Claims (5)

  1. 하수의 부유물을 펌핑하여 폭기 및 교반시키도록 된 교반기로서,
    원뿔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수면에 뜬 부유물인 슬러지를 유입하는 유입캡과 상기 유입캡에 상단부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유입캡에 형성되는 부유부로 이루어진 슬러지유입부와,
    상기 연결관부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유입된 부유물를 배출하도록 배출관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체결되는 임펠러로 구성된 펌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에는 유입관부가 체결되고 상기 유입관부의 단부에는 교반관이 체결되며 상기 유입관부에는 공기유입관의 하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관을 통해 상기 유입관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관에는 수중에 배치되는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교반부가 설치되되,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관을 감싸면서 끼움되는 내측안내관과, 상기 교반관과 상기 내측안내관 사이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가 이동되는 내측교반구와, 상기 내측안내관을 감싸면서 끼움되는 외측안내관과, 상기 내측안내관과 상기 외측안내관 사이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가 이동되는 외측교반구와, 상기 교반관과 상기 내측안내관 및 상기 내측안내관과 상기 외측안내관을 연결하는 연결샤프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안내관의 단부는 상기 교반관의 끝단보다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안내관의 단부는 상기 내측안내관의 단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교반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에 의해 물살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교반구와 상기 외측교반구로 하수처리조의 하수 및 슬러지가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교반관의 외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교반구로 이동하는 하수가 유입되어 부유물과 교반되거나, 상기 교반관으로 이동하는 부유물이 관통하면서 충돌하여 교반되도록 하고,
    상기 교반관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연결샤프트를 통해 상기 내측안내관과 상기 외측안내관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반관을 통해 이동되는 부유물과 상기 내측안내관와 상기 외측안내관을 통해 이동되는 부유물에 전달되어 교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관은 끝난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안내관과 상기 외측안내관의 내측면에는 탄성분쇄핀들의 일단이 더 고정되어 부유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에는 수면의 위치에 따라 절곡되도록 자바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KR1020190042688A 2019-04-11 2019-04-11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KR102030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88A KR102030964B1 (ko) 2019-04-11 2019-04-11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88A KR102030964B1 (ko) 2019-04-11 2019-04-11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964B1 true KR102030964B1 (ko) 2019-11-08

Family

ID=6854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88A KR102030964B1 (ko) 2019-04-11 2019-04-11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7512A (zh) * 2020-07-10 2020-10-09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河道生态修复的微扰动曝气装置
KR20210115337A (ko) 2020-03-12 2021-09-2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공기주입형 다목적 교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999U (ko) * 1987-04-13 1988-10-27
KR20080110267A (ko) * 2007-06-15 2008-12-18 (주) 그린텍 스컴 제거장치
JP3155673U (ja) * 2009-09-15 2009-11-26 有限会社中尾テクノ・サービス 排水貯水槽の小型水中曝気装置
KR101083279B1 (ko) * 2011-07-05 2011-11-14 한상복 수중교반 이송펌프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556558B1 (ko) 2015-02-04 2015-10-01 고일영 부유물 회수펌프
KR20160036545A (ko) * 2016-03-18 2016-04-04 (주)황산 폭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999U (ko) * 1987-04-13 1988-10-27
KR20080110267A (ko) * 2007-06-15 2008-12-18 (주) 그린텍 스컴 제거장치
JP3155673U (ja) * 2009-09-15 2009-11-26 有限会社中尾テクノ・サービス 排水貯水槽の小型水中曝気装置
KR101083279B1 (ko) * 2011-07-05 2011-11-14 한상복 수중교반 이송펌프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556558B1 (ko) 2015-02-04 2015-10-01 고일영 부유물 회수펌프
KR20160036545A (ko) * 2016-03-18 2016-04-04 (주)황산 폭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337A (ko) 2020-03-12 2021-09-2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공기주입형 다목적 교반장치
CN111747512A (zh) * 2020-07-10 2020-10-09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河道生态修复的微扰动曝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402B1 (en) Submersible in-situ oxygenator
US3856272A (en) Floating mixer
KR100512089B1 (ko)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KR101587265B1 (ko) 슬러지 교반 및 건조장치
KR102030964B1 (ko) 부유물 제거용 폭기식 교반기
US5980100A (en)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s
JP2009202038A (ja) 太陽光発電による浮体式水循環ろ過エアレーション水質浄化装置
WO2009116711A2 (en)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s
KR100971998B1 (ko) 혐기성 소화조 장치
EP0583509A1 (en) Enhanced gas dissolution
KR20140139898A (ko) 해양 오염 방제 무기포 산소용해장치
CN104341021A (zh) 序进式气浮装置
KR100762885B1 (ko) 다단 혼합 구조를 갖는 슬림형 고속 폭기장치
KR102030971B1 (ko) 부유물 및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교반장치
KR100398490B1 (ko) 가압 부상조
KR10228098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JP2007083108A (ja) 液体処理方法および液体処理装置
KR102037638B1 (ko) 부력부가 마련된 부유물 및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순환펌프장치
KR100805166B1 (ko) 초미세 기포 폭기장치
KR100743860B1 (ko) 스컴제거형 교반기
KR10223444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20210062512A (ko) 플라즈마와 오존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JP2002066539A (ja) 加圧浮上装置
CN213537658U (zh) 一种水产养殖废水处理装置
KR102195868B1 (ko) 단일 반응조형 가압부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