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411B1 -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및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및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411B1
KR101926411B1 KR1020157013094A KR20157013094A KR101926411B1 KR 101926411 B1 KR101926411 B1 KR 101926411B1 KR 1020157013094 A KR1020157013094 A KR 1020157013094A KR 20157013094 A KR20157013094 A KR 20157013094A KR 101926411 B1 KR101926411 B1 KR 101926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black matrix
substrate
pigment
resin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945A (ko
Inventor
요시히코 이노우에
료스케 아이하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01L27/32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막 두께가 얇고 차광성이 높음에도 상관없이, 반사율이 낮고, 수지 블랙 매트릭스와 디스플레이의 흑색 표시 부분의 색조를 용이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지는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 기판(2)과, 그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3)와, 그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 상에 형성된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4)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막 두께가 0.7㎛ 이상이며 또한 투과 색도 좌표가 0.001≤x≤0.300 및 0.001≤y≤0.250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2층의 광학 농도가 3.5 이상인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및 터치패널{RESIN BLACK MATRIX SUBSTRATE AND TOUCH PANEL}
본 발명은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및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용의 블랙 매트릭스로서, 크롬계 재료를 사용한 금속 박막 대신에, 최근 비용이나 환경 오염의 저감이 가능한 수지 블랙 매트릭스가 개발되어 있다. 수지 블랙 매트릭스는 수지와 카본 블랙 등의 차광재를 함유하는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을 유리 등의 투명 기판 상에 도포 및 건조시켜서 흑색 피막을 형성하고, 이것을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미세 패턴화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면 최근 제안되어 있는 커버 유리 일체형 터치패널에서는 커버 유리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상에 ITO 전극 등의 투명 전극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넓게 보이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의 흑색 표시 부분과 커버 유리 상의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색조를 맞출 필요가 있지만, 수지 블랙 매트릭스 표면의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흑색 표시 부분과의 경계가 명료해지는 것이 문제시되고 있었다.
블랙 매트릭스 표면의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기술로서는, 2층으로 이루어지는 블랙 매트릭스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3). 또한, 흑색 염료를 함유하는 수지층 상에 흑색 안료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적층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2006-0111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7-1342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7-2484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7-07232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블랙 매트릭스는 금속 박막의 층, 또는 금속 미립자를 함유하는 광반사층의 존재를 필수로 하는 것이며, 높은 절연성이 요구되는 터치패널 용도에 사용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흑색 표시 부분과의 색조 일치의 면으로부터도 불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흑색 염료를 함유하는 수지층 상에 흑색 안료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적층한 블랙 매트릭스에 대해서도 색조 조정이 곤란하고, 또한 하층이 내약품성이나 내열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막 두께가 얇고 차광성도 높음에도 상관없이, 반사율이 낮고, 디스플레이의 흑색 표시 부분과의 색조를 맞추는 것이 가능한 수지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투명 기판과, 그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와, 그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 상에 형성된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막 두께가 0.7㎛ 이상이며 또한 투과 색도 좌표가 0.001≤x≤0.300 및 0.001≤y≤0.250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2층의 수지 블랙 매트릭스 광학 농도가 3.5 이상인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2)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는 청색 안료 또는 자색 안료를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3)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는 청색 안료 및 적색 안료를 함유하거나, 또는 자색 안료를 함유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4)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막 두께 1㎛당의 광학 농도가 0.5∼2.0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5) 상기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는 흑색 안료를 함유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6) 상기 흑색 안료는 카본 블랙 또는 티탄 질화물인 상기 (5)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7)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상에 절연막 및 투명 전극이 더 형성된 터치패널.
(8)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의 개구부에 적, 녹 또는 청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 필터 기판.
(9) 상기 (8)에 기재된 컬러 필터 기판과 대향 기판을 접합시키고, 양자 사이의 갭에 액정 화합물이 충전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0) 상기 (8)에 기재된 컬러 필터 기판과 발광 소자를 접합시킨 표시 디바이스.
(11) 상기 발광 소자가 유기 EL 소자인 (10)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에 의하면,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막 두께가 얇고 차광성도 높음에도 상관없이, 반사율이 낮고, 수지 블랙 매트릭스와 디스플레이의 흑색 표시 부분의 색조를 용이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은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막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패널용으로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을 사용한 터치패널 기판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을 사용한 터치패널 기판의 다른 일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수지 블랙 매트릭스(이하, 「수지 BM」) 기판은 투명 기판과, 그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수지 BM(이하, 「수지 BM(A)」)과, 그 수지 BM(A) 상에 형성된 제 2 수지 BM(이하, 「수지 BM(B)」)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 BM(A)의 막 두께가 0.7㎛ 이상이며 또한 투과 색도 좌표가 0.001≤x≤0.300 및 0.001≤y≤0.250의 범위에 있고, 상기 수지 BM(A) 및 상기 수지 BM(B)의 2층의 광학 농도(이하, 「OD값」)가 3.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 BM(A)의 막 두께는 0.7㎛ 이상일 필요가 있고, 0.7∼2.0㎛가 바람직하고, 0.7∼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BM(A)의 막 두께가 0.7㎛ 미만이면 수지 BM(A)과 투명 기판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과, 수지 BM(A)과 수지 BM(B)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의 간섭에 의해 투명 기판측으로부터의 수지 BM의 시인성이 나빠진다. 한편으로, 수지 BM(A)의 막 두께가 2.0㎛를 초과하면 수지 BM 상의 터치패널용 투명 전극 등이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
수지 BM(A)의 투과 색도 좌표는 0.001≤x≤0.300 및 0.001≤y≤0.250의 범위에 있을 필요가 있고, 0.150≤x≤0.300 및 0.010≤y≤0.2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투과 색도 좌표」란 C광원, 2도 시야에서 측정한 CIE1931 표색계에 있어서의 투과 색도의 좌표를 말한다. 수지 BM(A)의 투과 색도 좌표의 측정은 유리 기판 상에 수지 BM(A) 형성용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의 도포막만을 형성한 상태에서, 현미 분광기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막을 측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지 BM(A)의 투과 색도 좌표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투과 색도를 청∼청자색의 색조로 하고, 투명 기판측에서 시인되는 수지 BM을 보다 깊이 있는 흑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지 BM(A) 및 수지 BM(B)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BM(이하, 「2층 BM」)이 형성된 본 발명의 수지 BM 기판에 대해서 수지 BM(A)의 투과 색도 좌표를 측정하려고 할 경우에는, 2층 BM에 있어서 1층째의 수지 BM[수지 BM(A)]이 노출되어 있는 부위[수지 BM(B)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현미 분광기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지 BM(A)이 노출되어 있는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지 BM(A)의 조성을 분석하여 수지 BM(A)의 형성에 사용한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을 재현하고, 유리 기판 상에 측정하고 싶은 수지 BM(A)과 같은 막 두께가 되도록 그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의 도포막만을 형성한 상태에서, 현미 분광기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막을 측정함으로써 투과 색도 좌표를 구할 수 있다.
2층 BM의 OD값은 3.5 이상일 필요가 있고,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층 BM의 OD값이 3.5 미만이면 차광성이 불충분해져서 BM 상의 금속 배선이나, 터치패널 기판 배면의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미광(迷光)이 시인되어 버린다. 2층 BM의 OD값은 기지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미 분광기를 이용하여 투명 기판 상에 형성한 2층 BM의 입사광 및 투과광 각각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1)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OD값=log10(I0/I) ···식(1)
I0: 입사광 강도
I: 투과광 강도
수지 BM(A)의 막 두께 1㎛당의 OD값은 0.5∼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BM(A)의 막 두께 1㎛당의 OD값이 0.2 미만이면 원하는 투과 색도 및 차광성을 얻기 위해서 막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해서 수지 BM 상의 터치패널용 투명 전극 등이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 수지 BM(A)의 막 두께 1㎛당의 OD값이 2.0을 초과하면 수지 BM이 함유하는 안료의 농도를 높게 할 필요가 생겨서 수지 BM의 반사율이 높아지게 되어 버린다.
수지 BM(B)의 막 두께 1㎛당의 OD값은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BM(B)의 막 두께 1㎛당의 OD값이 2.5 미만이면 원하는 차광성을 얻기 위해서 막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해서 수지 BM 상의 터치패널용 투명 전극 등이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
수지 BM(A) 및 수지 BM(B)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BM(A) 및 수지 BM(B)을 모두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은 착색재, 알칼리 가용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용매를 함유한다.
수지 BM(A)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착색재, 즉 수지 BM(A)이 함유하게 되는 착색재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또는 염료를 들 수 있다. 내약품성, 내열성 및 내광성이 뛰어난 유기 안료 또는 무기 안료가 바람직하고, 청색 안료 또는 자색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청색 안료 및 적색 안료의 양쪽을 포함하거나, 또는 자색 안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청색 안료/적색 안료의 비율로서는 질량비로 80/20∼30/70이 바람직하고, 또한 80/20∼40/60이 바람직하다. 청색 안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반사 색조가 푸른기가 강한 흑색이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적색 안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반사 색조가 붉은기가 강한 회색에 가까운 흑색이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청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블루 1, 1:2, 9, 14, 15, 15:1, 15:2, 15:3, 15:4, 15:6, 16, 17, 19, 25, 27, 28, 29, 33, 35, 36, 56, 56:1, 60, 61, 61:1, 62, 63, 66, 67, 68, 71, 72, 73, 74, 75, 76, 78 또는 79를 들 수 있지만, C.I.피그먼트 블루 15, 15:1, 15:2, 15:3, 15:4, 15:6 또는 60이 바람직하고, C.I.피그먼트 블루 15:6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바이올렛 1, 1:1, 2, 2:2, 3, 3:1, 3:3, 5, 5:1, 14, 15, 16, 19, 23, 25, 27, 29, 31, 32, 37, 39, 42, 44, 47, 49 또는 50을 들 수 있지만, C.I.피그먼트 바이올렛 19 또는 23이 바람직하고, C.I.피그먼트 바이올렛 23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레드 1, 2, 3, 4, 5, 6, 7, 8, 9, 12, 14, 15, 16, 17, 21, 22, 23, 31, 32, 37, 38, 41, 47, 48, 48:1, 48:2, 48:3, 48:4, 49, 49:1, 49:2, 50:1, 52:1, 52:2, 53, 53:1, 53:2, 53:3, 57, 57:1, 57:2, 58:4, 60, 63, 63:1, 63:2, 64, 64:1, 68, 69, 81, 81:1, 81:2, 81:3, 81:4, 83, 88, 90:1, 101, 101:1, 104, 108, 108: 1, 109, 112, 113, 114, 122, 123, 144, 146, 147, 149, 151, 166, 168, 169, 170,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1, 184, 185, 187, 188, 190, 193, 194, 200, 202, 206, 207, 208, 209, 210, 214, 216, 220, 221, 224, 230, 231, 232, 233, 235, 236, 237, 238, 239, 242, 243, 245, 247, 249, 250, 251,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또는 276을 들 수 있지만, C.I.피그먼트 레드 48:1, 122, 168, 177, 202, 206, 207, 209, 224, 242 또는 254가 바람직하고, C.I.피그먼트 레드 177, 209, 224, 242 또는 254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BM(A)은 이들 청색 안료, 적색 안료 및 자색 안료에 추가해서, 반사 색조를 보다 적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다른 안료를 함유해도 상관없다. 다른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녹색 안료, 황색 안료 또는 오렌지색 안료를 들 수 있다.
녹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그린 1, 2, 4, 7, 8, 10, 13, 14, 15, 17, 18, 19, 26, 36, 45, 48, 50, 51, 54, 55 또는 58을 들 수 있지만, C.I.피그먼트 그린 7, 36 또는 58이 바람직하다.
황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옐로 1, 1:1, 2, 3, 4, 5, 6, 9, 10, 12, 13, 14, 16, 17, 24, 31, 32, 34, 35, 35:1, 36, 36:1, 37, 37:1, 40, 41, 42, 43, 48, 53, 55, 61, 62, 62:1, 63, 65, 73, 74, 75,81, 83, 87, 93, 94, 95, 97, 100, 101, 104, 105, 108, 109, 110, 111, 116, 117, 119, 120, 126, 127, 127:1, 128, 129, 133, 134, 136, 138, 139, 142, 147, 148, 150, 151, 153, 154, 155,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2, 173, 174, 175, 176, 180, 181, 182, 183, 184, 185, 188, 189, 190, 191, 191: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2, 203, 204, 205, 206, 207 또는 208을 들 수 있지만, C.I.피그먼트 옐로 83, 117, 129, 138, 139, 150, 154, 155, 180 또는 185가 바람직하고, C.I.피그먼트 옐로 83, 138, 139, 150 또는 180이 보다 바람직하다.
오렌지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오렌지 1, 2, 5, 13, 16, 17, 19, 20, 21, 22, 23, 24, 34, 36, 38, 39, 43, 46, 48, 49, 61, 62, 64, 65, 67, 68, 69, 70, 71, 72, 73, 74, 75, 77, 78 또는 79를 들 수 있지만, C.I.피그먼트 오렌지 38 또는 71이 바람직하다.
수지 BM(B)이 함유하는 착색재로서는 수지 BM(B)의 차광성을 높이기 위해서, 흑색 안료가 바람직하다. 흑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수지 피복 카본 블랙, 티탄 블랙, 산화크롬, 산화철, 아닐린 블랙, 페릴렌계 안료, C.I.솔벤트 블랙 123; 티탄, 망간, 철, 구리 또는 코발트를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및 적색 안료, 청색 안료, 녹색 안료 등의 착색 안료를 혼합한 유사 흑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높은 차광성을 갖기 때문에 카본 블랙 또는 티탄 블랙이 바람직하고, 카본 블랙 또는 티탄 질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병용해도 상관없다. 높은 차광성과 높은 절연성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카본 블랙과 티탄 질화물을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티탄 질화물의 혼합 범위로서는 질량비로 10/90∼50/50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티탄 블랙이란 TiN으로 나타내어지는 질화티탄, TinO2n-1(1≤n≤20)로 나타내어지는 저차원 산화티탄, TiNxOy(0<x<2.0, 0.1<y<2.0)로 나타내어지는 산질화티탄 및 티탄 질화물을 가리킨다. 티탄 질화물은 주성분으로서 질화티탄을 포함하고, 통상 부성분으로서 산화티탄, 저차원 산화티탄 및 산질화티탄을 함유한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실록산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들 수 있다. 도막의 내열성이나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고,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말산 또는 비닐아세트산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sec-부틸, 메타크릴산 sec-부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tert-부틸, 메타크릴산 tert-부틸, 아크릴산 n-펜틸, 메타크릴산 n-펜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또는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알킬에스테르; 스티렌, p-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아미노알킬에스테르;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글리시딜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카르복실산 비닐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화합물;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등의 지방족 공역 디엔; 또는 각각 말단에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의 2∼4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를 적절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0∼10만이며 또한 산가가 70∼150(㎎KOH/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측쇄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노광 및 현상시의 감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로서는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가 바람직하다. 측쇄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의 카르복실기에 글리시딜기 또는 지환식 에폭시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부가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측쇄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의 아크릴 수지인 사이클로머(등록상표)P[다이셀 카가쿠 코교(주)] 또는 알칼리 가용성 카르도 수지를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용매나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을 적절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0∼10만이며 또한 산가가 70∼150(㎎KOH/g)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측정 시료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캐리어로 해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에 의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환산해서 얻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더 함유해도 상관없다.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다관능 또는 단관능의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다관능의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카르바메이트, 변성 비스페놀A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아디프산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무수 프탈산 프로필렌옥시드(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 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로진 변성 에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키드 변성(메타)아크릴레이트,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포르말,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2,2-비스[4-(3-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비스[4-(3-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메탄, 비스[4-(3-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술폰, 비스[4-(3-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에테르, 4,4'-비스[4-(3-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시클로헥산, 9,9-비스[4-(3-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3-메틸-4-(3-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3-클로로-4-(3-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비스페녹시에탄올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녹시에탄올플루오렌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크레졸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비스크레졸플루오렌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다관능 또는 단관능의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적당하게 선택해서 조합시킴으로써, 노광 및 현상시의 감도나 가공성을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능기가 3 이상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관능기가 5 이상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이 광가교에 유효한 자외선을 흡수하는 흑색 안료 등을 함유할 경우에는,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에 추가해서, 분자 중에 방향환을 많이 포함하고 발수성이 높은 플루오렌환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플루오렌환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90∼40질량부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10∼6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옥산톤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벤조옥사졸계 화합물,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카르바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또는 티타네이트 등의 무기계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N,N'-테트라에틸-4,4'-디아미노벤조페논, 4-메톡시-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1-프로판, 일가큐어(등록상표) 369(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 동 379(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탄온), 동 OXE01(1,2-옥탄디온, 1-[4-(페닐티오)-2-(O-벤조일옥심)]), 동 OXE02[에탄온,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 1-(0-아세틸옥심)]CGI-113(2-[4-메틸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 또는 CGI-242(에탄온,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 1-(O-아세틸옥심); 이상, 모두 치바스페셜티 케미컬(주) 제], t-부틸안트라퀴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2,3-디클로로안트라퀴논, 3-클로로-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1,4-나프토퀴논, 9,10-페난트렌퀴논, 1,2-벤조안트라퀴논, 1,4-디메틸안트라퀴논, 2-페닐안트라퀴논, 2-(o-클로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2량체,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2-메르캅토벤조옥사졸, 4-(p-메톡시페닐)-2,6-디-(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또는 아사히덴카 코교(주) 제의 카르바졸계 화합물인 아데카(등록상표) 옵토머-N-1818, 동 N-1919 또는 아데카 아쿨즈(등록상표) NCI-831을 들 수 있지만, 일가큐어(등록상표)379, 동 OXE02, 아데카(등록상표) 옵토머N-1919 및 아데카 아쿨즈 NCI-83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은 유리판 또는 규소 웨이퍼 등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밀착 개량제를 함유해도 상관없다. 밀착 개량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란커플링제 또는 티탄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밀착 개량제의 첨가량은 알칼리 가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2∼20질량부 정도가 일반적이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은 착색재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분자 분산제를 함유해도 상관없다. 고분자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민계 고분자 분산제,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분산제 또는 폴리알릴아민계 고분자 분산제를 들 수 있다. 고분자 분산제의 첨가량은, 통상 착색재 100질량부에 대하여 1∼40질량부 정도가 일반적이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착색재/수지 성분의 조성비는 질량비로 80/20∼40/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밀착성, 패턴 가공성 및 OD값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75/25∼50/5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지 성분이란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폴리머, 모노머, 올리고머 및 고분자 분산제를 말한다. 수지 성분이 과소하면 수지 BM과 기판의 밀착성이 불량이 된다. 한편으로, 착색재가 과소하면 수지 BM의 광학 농도(OD값/㎛)가 낮아지게 되어 버린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용매로서는, 분산되는 착색재의 분산 안정성 및 첨가하는 수지 성분의 용해성에 맞추어 물 또는 유기 용제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스테르류, 지방족 알콜류, (폴리)알킬렌글리콜에테르계 용제, 케톤류, 아미드계 극성 용매 또는 락톤계 극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비점 247℃), 벤질아세테이트(비점 214℃), 에틸벤조에이트(비점 213℃), 메틸벤조에이트(비점 200℃), 말론산 디에틸(비점 199℃), 2-에틸헥실아세테이트(비점 199℃), 2-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비점 192℃),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비점 188℃), 옥살산 디에틸(비점 185℃), 아세토아세트산 에틸(비점 181℃), 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비점 174℃),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비점 173℃), 아세토아세트산 메틸(비점 172℃),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비점 170℃), 2-에틸부틸아세테이트(비점 162℃), 이소펜틸프로피오네이트(비점 160℃),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비점 160℃), 아세트산 펜틸(비점 150℃)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비점 146℃)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 124℃),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비점 135℃),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비점 133℃),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 193℃), 모노에틸에테르(비점 135℃), 메틸카르비톨(비점 194℃), 에틸카르비톨(202℃),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 12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비점 133℃), 프로필렌글리콜터셔리부틸에테르(비점 153℃)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 188℃)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에테르계 용제, 아세트산 에틸(비점 77℃), 아세트산 부틸(비점 126℃) 또는 아세트산 이소펜틸(비점 142℃) 등의 지방족 에스테르류, 부탄올(비점 118℃), 3-메틸-2-부탄올(비점 112℃) 또는 3-메틸-3-메톡시부탄올(비점 174℃) 등의 지방족 알콜류, 시클로펜탄온 또는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크실렌(비점 144℃), 에틸벤젠(비점 136℃) 또는 솔벤트 나프타[석유 유분(留分): 비점 165∼178℃]를 들 수 있다.
또한, 투명 기판의 대형화에 따라 다이 코팅 장치에 의한 도포가 주류로 되어 오고 있는 중, 적당한 휘발성 및 건조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비점이 150∼200℃인 용매를 30∼75질량% 함유하는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은 도포성 및 착색 피막의 평활성을 확보하면서 베나르 셀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함유해도 상관없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착색재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1∼1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황산 암모늄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스테아릴아민아세테이트 또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또는 라우릴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또는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주골격으로 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또는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매를 제거하는 고형분의 농도로서는 도포성이나 건조성의 관점으로부터 2∼30질량%가 바람직하고, 5∼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BM의 형성에 사용하는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산기를 이용하여 수지 용액 중에 직접 안료를 분산시키는 방법, 또는 분산기를 이용하여 물 또는 유기 용매 중에 안료를 분산시켜서 안료 분산액을 제작하고, 그 후에 안료 분산액과 수지 용액을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안료의 분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볼 밀, 샌드 그라인더, 3단 롤 밀 또는 고속도 충격 밀을 들 수 있다. 분산 효율이나 미분산화의 관점으로부터, 비드 밀이 바람직하다. 비드 밀로서는, 예를 들면 코볼 밀, 바스켓 밀, 핀 밀 또는 다이노 밀을 들 수 있다. 비드 밀에 사용하는 비드로서는, 예를 들면 티타니아 비드, 지르코니아 비드 또는 지르콘 비드가 바람직하다. 분산에 사용하는 비드의 직경으로서는 0.01∼5.0㎜가 바람직하고, 0.03∼1.0㎜가 보다 바람직하다. 안료의 1차 입자 지름 또는 1차 입자가 응집해서 형성된 2차 입자의 입자 지름이 작을 경우에는, 분산에 사용하는 비드의 직경으로서는 0.03∼0.10㎜와 같은 미소한 비드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미소한 비드와 분산액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원심 분리 방식에 의한 세퍼레이터를 갖는 비드 밀을 이용하여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서브미크론 정도의 조대 입자를 함유하는 안료를 분산시킬 경우에는, 충분한 분쇄력을 얻기 위해서 비드의 직경이 0.10㎜ 이상인 비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BM 기판의 제법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을 투명 기판 상에 도포한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딥법, 롤 코터법, 스피너법, 다이 코팅법 또는 와이어 바에 의한 방법, 기판을 용액 중에 침지하는 방법 또는 용액을 기판에 분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할 경우, 실란커플링제, 알루미늄 킬레이트제 또는 티타늄 킬레이트제 등의 접착 조제에 의해 기판 표면을 처리해 둠으로써 도포막과 기판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명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석영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규산염 유리 또는 표면을 실리카 코팅한 소다 라임 유리 등의 무기 유리류; 또는 유기 플라스틱의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한 후, 바람으로 건조, 가열 건조 또는 진공 건조 등에 의해 도포막의 가열 건조 및 경화를 시켜서 건조 피막을 형성한다. 건조 피막을 형성할 때의 건조 불균일이나 반송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서,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기판을 가열 장치를 구비한 감압 건조기에서 감압 건조한 후, 가열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건조 피막은 필요에 따라서 산소 차단막을 형성한 후에, 포토리소그래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패턴 가공된다. 그 후에, 필요에 따라서 산소 차단막을 제거한 후, 가열 건조 및 경화를 더 시킴으로써 수지 BM이 얻어진다. 열경화 조건은 수지에 따라 다르지만,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200∼250℃로 1∼60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BM의 반사 색도로서는 기판측의 면으로부터 측정을 행하고, JIS-Z8729의 방법에 따라서, 표준 C광원에 대한 반사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CIE L*a*b*표색계에 의해 계산된 색도값(a*, b*)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지 BM 기판이 있어서의 수지 BM은 다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층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이 간섭하여 측정값과 시인되는 색상이 맞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쇄 잉크에 의해 형성한 견본 BM을 비교 대상으로 삼고, 태양광 아래, 육안에 의한 관능 평가에 의해 판단을 행했다. 반사 색조로서는 광택이 적고, 푸른기의 반사 색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 기판은 본 발명의 수지 BM 기판 상에 절연막 및 투명 전극이 더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BM 기판 을 이용하여 제작된 터치패널 기판의 제조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투명 기판(2) 상에 제 1 수지 BM(3) 및 제 2 수지 BM(4)을 형성한 후에, 투명 기판(2) 상에 ITO 등의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점퍼 배선(5)을 형성한다. 점퍼 배선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스퍼터링법 또는 진공 증착법에 의해 2층 BM을 형성한 투명 기판(2) 상에 ITO막을 형성한다. 상기 ITO막 상에 노볼락계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그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건조, 노광 및 현상한 후에, 산에 의해 ITO막을 에칭하여 ITO막을 패터닝한다. 그 후에, 알칼리에 의해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박리함으로써 점퍼 배선(5)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점퍼 배선(5) 상에 제 1 절연막(6)을 형성한다. 제 1 절연막(6)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지 BM의 보호를 목적으로서 수지 BM 상에 제 2 절연막(10)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절연막으로서는 유기막 및 무기막 모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기막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은 일반적인 아크릴계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도포, 건조, 노광, 현상 및 열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어서, 수지 BM 상 및/또는 제 2 절연막 상에 금속 배선(7)을 형성한다. 금속 배선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에 의해 Mo층, Al층, Mo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3층 구조의 금속막을 형성한 후, 그 금속막을 상기 점퍼 배선과 마찬가지로 해서 패터닝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어서, 투명 기판(2) 상에 금속 배선(7)과 도통시키는 형태로, 상기 점퍼 배선(5)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투명 전극(8)을 형성한다.
최후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형성한 각 부재를 피복하도록 보호막(9)을 형성한다. 보호막(9)으로서는 유기막, 무기막 모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본 발명의 수지 BM 기판 상의 2층 수지 BM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하, 개구부라고 부름)에 적, 녹 또는 청의 화소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한 기판 상에 2층 수지 BM을 형성한 후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 녹 또는 청의 화소를 형성한다.
화소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임의의 광만을 투과하도록 막 두께 제어된 무기막, 또는 염료 또는 안료가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착색 수지막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안료가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착색 수지막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내열성 및 내약품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안료로서는 내광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레드 9, 48, 97, 122, 123, 144, 149, 166, 168, 177, 179, 180, 190, 192, 209, 215, 216, 217, 220, 223, 224, 226, 227, 228, 240 또는 254를 들 수 있다.
오렌지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오렌지 13, 31, 36, 38, 40, 42, 43, 51, 55, 59, 61, 64, 65 또는 71을 들 수 있다.
황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옐로 12, 13, 14, 17, 20, 24, 83, 86, 93, 94, 95, 109, 110, 117, 125, 129, 137, 138, 139, 147, 148, 150, 153, 154, 166, 168, 173, 180 또는 185를 들 수 있다.
자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바이올렛 19, 23, 29, 30, 32, 36, 37, 38, 40 또는 50을 들 수 있다.
청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블루 15, 15:3, 15:4, 15:6, 22, 60, 64 또는 80을 들 수 있다.
녹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그린 7, 10, 36 또는 58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료는 필요에 따라서 로진 처리, 산성기 처리, 염기성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되어 있어도 상관없고, 또한 분산제로서 안료 유도체가 첨가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화소 상에 필요에 따라서 오버코트막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오버코트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막, 아크릴에폭시막, 아크릴막, 실록산 폴리머계의 막, 폴리이미드막, 규소 함유 폴리이미드막, 폴리이미드실록산막 등을 들 수 있다. 오버코트막 상에 투명 도전막을 더 형성할 경우도 있다. 투명 도전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막 두께 0.1㎛ 정도의 ITO 등의 산화물 박막을 들 수 있다. ITO막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 또는 진공 증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 기판과 대향 기판을 접합시키고, 양자 사이의 갭에 액정 화합물을 충전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 기판은 고정된 스페이서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고정된 스페이서란 컬러 필터 기판의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을 때에 대향 기판과 접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대향 기판과의 사이에 일정한 갭이 유지되고, 이 갭 사이에 액정 화합물이 충전된다. 고정된 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구 형상 스페이서를 살포하는 행정이나, 밀봉제 내에 로드 형상의 스페이서를 혼련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 기판과 발광 소자를 접합시킴으로써, 표시 디바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발광 소자로서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시 디바이스는 2층 수지 BM 기판이 고OD이며 저반사라고 하는 특징을 살리고, 흑색 표시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여분의 광을 효과적으로 차광함과 아울러 외광의 반사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고 선명한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BM 기판의 투명 기판으로서 폴리이미드 수지막을 사용했을 경우, 유연한 컬러 필터 기판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컬러 필터 기판과 발광 소자를 접합시킴으로써, 유연한 표시 디바이스를 얻을 수 있다.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면 유연한 유기 EL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방법>
[투과 색도 좌표]
두께 0.7㎜의 화학 강화 유리(Gorilla; 코닝 제) 상에 원하는 막 두께의 수지 BM을 형성하고, 현미 분광기(MCPD2000; 오츠카 덴시 제)를 사용해서 C광원, 2도 시야에서 측정한 CIE1931 표색계에 있어서의 투과 색도 좌표를 측정했다.
[OD값]
2층의 수지 BM의 OD값은 투명 기판 상에 형성한 2층의 수지 BM을 현미 분광기(오츠카 덴시 제, MCPD300)를 사용해서 측정하고, 입사광 강도와 투과광 강도로부터, 이하의 식(1)으로부터 산출했다.
수지 BM의 막 두께 1㎛당의 OD값은 두께 0.7㎜의 화학 강화 유리 상에 막 두께 1.0㎛의 수지 BM을 형성하고, 현미 분광기(오츠카 덴시 제, MCPD300)를 사용해서 수지 BM 도막면으로부터의 입사광 및 투과광 각각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1)으로부터 산출했다.
OD값=log10(I0/I) ···식(1)
I0: 입사광 강도
I: 투과광 강도.
[반사 색도]
두께 0.7㎜의 화학 강화 유리 상에 원하는 막 두께의 수지 BM을 형성하고, 분광 광시계(UV-2500PC;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를 사용해서 유리면으로부터의 반사 색도를 측정했다(측정 파장 영역: 300∼780㎚, 샘플링 피치: 1.0㎚, 스캔 속도: 저속, 슬릿 폭: 2.0㎚).
[반사 색조]
두께 0.7㎜의 화학 강화 유리 상에 흑색 인쇄 잉크(GLS-912; 테이코쿠 잉크사 제)를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230메시판을 이용하여 인쇄한 후, 150℃에서 30분간 오븐 건조를 행하여 견본 BM을 제작했다.
두께 0.7㎜의 화학 강화 유리 상에 원하는 수지 BM을 형성하고, 태양광 아래, 상기 견본 BM과 육안 비교하고, 이하의 판단 기준에 의거하여 반사 색조를 판단했다.
A: 시인성이 매우 양호(칠혹이며 깊이가 있는 흑색)
B: 시인성이 양호(푸른기가 있는 흑색)
C: 시인성이 불량(회색에 가까운 흑색)
[아크릴 폴리머(P-1)의 합성]
문헌(일본 특허 제 3120476호 공보; 실시예 1) 기재의 방법에 의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질량 조성비 30/40/30)를 합성 후, 얻어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40질량부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시켜 정제수로 재침지했다. 얻어진 침전을 여과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평균 분자량(Mw) 10,000, 산가 110(㎎KOH/g)의 아크릴 폴리머(P-1) 분말을 얻었다.
(착색재 분산액의 제조)
청색 유기 안료 PB15:6[토요 잉크(주) 제]을 120g, 아크릴 폴리머(P-1)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이하, 「PMA」) 35질량% 용액을 114g, 고분자 분산제로서 디스퍼빅 LPN-21116(DP-1; 빅케미사 제; PMA 40질량% 용액)을 100g 및 PMA 666g을 탱크에 투입하고, 호모믹서(프라이믹스 제)로 20분 교반하여 예비 분산액을 얻었다. 그 후에, 0.05㎜φ 지르코니아 비드(YTZ볼; 네츠렌 제)를 75% 충전한 원심 분리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울트라 아펙스 밀(고토부키 코교 제)에 예비 분산액을 공급하고, 회전 속도 8m/s로 3시간 분산을 행하여 고형분 농도 20질량%, 착색재/수지(질량비)=60/40의 착색재 분산액 DB-1을 얻었다.
착색재로서 청색 유기 안료 PB 15:6 대신에 적색 유기 안료 PR 254(BASF 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착색재 분산액 DB-1과 마찬가지로 해서 착색재 분산액 DR-1을 얻었다.
착색재로서 청색 유기 안료 PB 15:6 대신에 자색 유기 안료 PV 23(클라리언트 제)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착색재 분산액 DB-1과 마찬가지로 해서 착색재 분산액 DV-1을 얻었다.
고저항 카본 블랙[카봇(주) 제]을 175g, 아크릴 폴리머(P-1)의 PMA 35질량% 용액을 171g, 고분자 분산제로서 디스퍼빅 LPN-21116을 38g 및 PMA 616g을 탱크에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20분 교반하여 예비 분산액을 얻었다. 그 후에, 0.05㎜φ 지르코니아 비드를 75% 충전한 원심 분리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울트라 아펙스 밀에 예비 분산액을 공급하고, 회전 속도 8m/s로 3시간 분산을 행하여 고형분 농도 25질량%, 착색재/수지(질량비)=70/30의 착색재 분산액 DK-1을 얻었다.
열플라즈마법에 의해 제조한 티탄 질화물 입자[닛신엔지니어링(주) 제]를 200g, 아크릴 폴리머(P-1)의 PMA 35질량% 용액을 114g, 고분자 분산제로서 3급 아미노기와 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디스퍼빅 LPN-21116을 25g 및 PMA 661g을 탱크에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20분 교반하여 예비 분산액을 얻었다. 그 후에, 0.05㎜φ 지르코니아 비드를 75% 충전한 원심 분리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울트라 아펙스 밀(고토부키 코교 제)에 예비 분산액을 공급하고, 회전 속도 8m/s로 3시간 분산을 행하여 고형분 농도 25질량%, 착색재/수지(질량비)=80/20의 착색재 분산액 DK-2를 얻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1의 제조)
PMA를 50.93g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아데카 아쿨즈(등록상표) NCI-831을 1.25g 첨가하고, 고형분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했다.
또한, 아크릴 폴리머(P-1)의 PMA 35질량% 용액을 24.94g, 다관능 모노머로서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를 6.24g, 밀착 개량제로서 KBM5103(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을 0.60g, 계면활성제로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BYK333의 PMA 10질량% 용액을 0.40g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감광성 레지스트를 얻었다. 이 감광성 레지스트에 청색 안료 분산액 DB-1을 6.25g, 적색 안료 분산액 DR-1을 9.38g 첨가함으로써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10/90, 청색 안료/적색 안료(질량비)=40/6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1을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2의 제조)
PMA를 42.00g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아데카 아쿨즈(등록상표) NCI-831을 1.06g 첨가하고, 고형분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했다.
또한, 아크릴 폴리머(P-1)의 PMA 35질량% 용액을 19.08g,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를 5.29g, KBM5103을 0.60g,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BYK333의 PMA 10질량% 용액을 0.40g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감광성 레지스트를 얻었다. 이 감광성 레지스트에 청색 안료 분산액 DB-1을 12.63g, 적색 안료 분산액 DR-1을 18.94g 첨가함으로써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20/80, 청색 안료/적색 안료(질량비)=40/6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2를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3의 제조)
PMA를 23.57g에, 아데카 아쿨즈(등록상표) NCI-831을 0.67g 첨가하고, 고형분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했다.
또한, 아크릴 폴리머(P-1)의 PMA 35질량% 용액을 6.98g,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3.35g, KBM5103을 0.60g,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BYK333의 PMA 10질량% 용액을 0.40g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감광성 레지스트를 얻었다. 이 감광성 레지스트에 청색 안료 분산액 DB-1을 25.77g, 적색 안료 분산액 DR-1을 38.66g 첨가함으로써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40/60, 청색 안료/적색 안료(질량비)=40/6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3을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4의 제조)
청색 안료 분산액 DB-1을 18.94g, 적색 안료 분산액 DR-1을 12.63g 첨가한 것 이외에는 착색 수지 조성물 A-2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20/80, 청색 안료/적색 안료(질량비)=60/4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4를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5의 제조)
착색 안료 분산액으로서, 청색 안료 분산액 DB-1 및 적색 안료 분산액 DR-1 대신에 자색 안료 분산액 DV-1을 31.57g 첨가한 것 이외에는 착색 수지 조성물 A-2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20/80, 자색 안료=10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5를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6의 제조)
청색 안료 분산액 DB-1을 25.26g, 적색 안료 분산액 DR-1을 6.31g 첨가한 것 이외에는 착색 수지 조성물 A-2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20/80, 청색 안료/적색 안료(질량비)=80/2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6을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7의 제조)
적색 안료 분산액 DR-1을 첨가하지 않고, 청색 안료 분산액 DB-1을 31.57g 첨가한 것 이외에는 착색 수지 조성물 A-2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20/80, 청색 안료=10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7을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8의 제조)
청색 안료 분산액 DB-1을 6.31g, 적색 안료 분산액 DR-1을 25.26g 첨가한 것 이외에는 착색 수지 조성물 A-2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20/80, 청색 안료/적색 안료(질량비)=20/8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8을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9의 제조)
PMA를 50.15g에, 아데카 아쿨즈(등록상표) NCI-831을 1.13g 첨가하고, 고형분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했다.
또한, 아크릴 폴리머(P-1)의 PMA 35질량% 용액을 20.50g,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5.65g, KBM5103을 0.60g,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BYK333의 PMA 10질량% 용액을 0.40g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감광성 레지스트를 얻었다. 이 감광성 레지스트에 카본 블랙 분산액 DK-1을 21.57g 첨가함으로써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20/80, 카본 블랙=10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9를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A-10의 제조)
PMA를 51.04g에, 아데카 아쿨즈(등록상표) NCI-831을 1.14g 첨가하고, 고형분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했다.
또한, 아크릴 폴리머(P-1)의 PMA 35질량% 용액을 22.26g,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5.70g, KBM5103을 0.60g,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BYK333의 PMA 10질량% 용액을 0.40g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감광성 레지스트를 얻었다. 이 감광성 레지스트에 티탄 질화물 분산액 DK-2를 18.86g 첨가함으로써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20/80, 티탄 질화물=100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10을 조제했다.
(착색 수지 조성물 B-1의 제조)
PMA를 37.78g에, 아데카 아쿨즈(등록상표) NCI-831(0.73g)을 첨가하고, 고형분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했다.
또한, 아크릴 폴리머(P-1)의 PMA 35질량% 용액을 7.78g,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3.63g, KBM5103을 0.60g,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BYK333의 PMA 10질량% 용액을 0.40g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감광성 레지스트를 얻었다. 이 감광성 레지스트에 카본 블랙 분산액 DK-1을 38.00g, 티탄 질화물 분산액 DK-2를 11.08g 첨가함으로써 전체 고형분 농도 20%, 안료/수지(질량비)=46/54, 카본 블랙/티탄 질화물(질량비)=75/25의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B-1을 조제했다.
(실시예 1)
조제한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1을 2㎛의 테플론(등록상표)제 필터로 여과 후, 막 두께가 1.5㎛(포스트베이킹 후)가 되도록 두께 0.7㎛의 화학 강화 유리 기판 상에 미카사(주) 제 스핀코팅 장치 1H-DS로 도포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 A-1을 도포한 기판을 90℃의 핫플레이트 상의 핀 형상 돌기물에서 2분 가열 처리하고, 또한 2분간 핫플레이트 상에 직접 기판을 정치해서 프리베이킹을 행했다. 이 도포막에 마스크 얼라이너[PEM-6M; 유니온 코가쿠(주) 제]를 사용하고, 해상도 테스트용 마스크를 통해서 자외선을 200mJ/㎠의 노광량으로 노광했다.
이어서, 0.045질량% 수산화칼륨 수용액의 알칼리 현상액으로 현상하고, 계속해서 순수 세정함으로써 패터닝 기판을 얻었다. 얻어진 패터닝 기판을 열풍 오븐 중 230℃로 30분 유지하고, 포스트베이킹을 행함으로써 BM(A)-1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을 제작했다.
(실시예 2)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를 제작했다.
(실시예 3)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2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3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3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3을 제작했다.
(실시예 4)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2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0.7㎛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4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4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4를 제작했다.
(실시예 5)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3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5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5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6을 제작했다.
(실시예 6)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3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6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6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6을 제작했다.
(실시예 7)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3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0.7㎛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7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7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7을 제작했다.
(실시예 8)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4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8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8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8을 제작했다.
(실시예 9)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4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9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9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9를 제작했다.
(실시예 10)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4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0.7㎛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0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0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0을 제작했다.
(실시예 11)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5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1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1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1을 제작했다.
(실시예 12)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5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2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2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2를 제작했다.
(실시예 13)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5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0.7㎛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3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3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3을 제작했다.
(실시예 14)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6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4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4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4를 제작했다.
(실시예 15)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6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5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5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5를 제작했다.
(실시예 16)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6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0.7㎛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6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6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6을 제작했다.
(실시예 17)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7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7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7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7을 제작했다.
(실시예 18)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7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8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8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8을 제작했다.
(실시예 19)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7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0.7㎛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9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19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19를 제작했다.
(비교예 1)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1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0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0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0을 제작했다.
(비교예 2)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2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0.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1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1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1을 제작했다.
(비교예 3)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3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0.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2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2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2를 제작했다.
(비교예 4)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4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0.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3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3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3을 제작했다.
(비교예 5)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5를 사용하고, 막 두께가 0.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4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4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4를 제작했다.
(비교예 6)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6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5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5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5를 제작했다.
(비교예 7)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6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6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6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6을 제작했다.
(비교예 8)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7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7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7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7을 제작했다.
(비교예 9)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7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8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8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8을 제작했다.
(비교예 10)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8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9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29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29를 제작했다.
(비교예 11)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8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BM-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30 기판을 얻었다.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BM(A)-30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BM(B)-1을 형성하여 2층 BM-30을 제작했다.
(참고예 1)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로서 A-1을 사용하지 않고,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BM(A)-1과 마찬가지로 해서 유리 기판 상에 막 두께가 1.4㎛가 되도록 단층 BM-31을 형성했다.
(참고예 2)
두께 0.7㎜의 화학 강화 유리 기판 상에 흑색 인쇄 잉크(GLS-912; 제국 잉크사 제)를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230메시판으로 인쇄한 후, 150℃에서 30분간 오븐 건조를 행하여 단층 BM-32를 형성했다.
실시예 1∼19,및 비교예 1∼12에서 사용한 착색재 분산액의 조성을 표 1에,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감광성 착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BM(A), BM(B) 및 2층 BM의 평가 결과를 표 3 및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47723115-pct00001
Figure 112015047723115-pct00002
Figure 112015047723115-pct00003
Figure 112015047723115-pct00004
실시예에서 제작한 2층 BM은 막 두께가 3.0㎛로 얇고 차광성도 OD=4.5 이상으로 높음에도 상관없이, 반사율이 낮고, 반사의 색조도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착색재로서 안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염료를 사용한 BM과 비교해서 내약품성이나 내열성이 뛰어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수지 BM 기판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EL 표시 장치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등의 표시 디바이스의 BM 기판 및 장식용 기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터치패널용 수지 BM 기판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커버 유리 일체형 터치패널용 수지 BM 기판으로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터치패널 기판 2 : 투명 기판
3 :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 4 :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
5 : 점퍼 배선 6 : 제 1 절연막
7 : 메탈 배선 8 : 투명 전극
9 : 투명 보호막 10 : 제 2 절연막

Claims (11)

  1.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와,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 상에 형성된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는 청색 안료 및 적색 안료를 함유하거나, 또는 자색 안료를 함유하고,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막 두께가 0.7㎛ 이상이며 또한 투과 색도 좌표가 0.150≤x≤0.300 및 0.010≤y≤0.250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2층의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광학 농도가 3.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는 청색 안료 또는 자색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블랙 매트릭스의 막 두께 1㎛당의 광학 농도는 0.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 블랙 매트릭스는 흑색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안료는 카본 블랙 또는 티탄 질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상에 절연막 및 투명 전극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의 개구부에 적, 녹 또는 청의 화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기판.
  8. 제 7 항에 기재된 컬러 필터 기판과 대향 기판을 접합시키고, 양자 사이의 갭에 액정 화합물이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기재된 컬러 필터 기판과 발광 소자를 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가 유기 EL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디바이스.
  11. 삭제
KR1020157013094A 2013-02-19 2014-02-07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및 터치패널 KR101926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9624 2013-02-19
JP2013029624 2013-02-19
PCT/JP2014/052888 WO2014129320A1 (ja) 2013-02-19 2014-02-07 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タッチ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945A KR20150118945A (ko) 2015-10-23
KR101926411B1 true KR101926411B1 (ko) 2018-12-07

Family

ID=5139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094A KR101926411B1 (ko) 2013-02-19 2014-02-07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및 터치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65298B2 (ko)
KR (1) KR101926411B1 (ko)
CN (1) CN105074804B (ko)
TW (1) TWI597530B (ko)
WO (1) WO2014129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3300A (zh) * 2016-03-18 2017-09-26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触控显示面板
JP6954273B2 (ja) * 2017-03-29 2021-10-27 東レ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硬化膜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WO2019026858A1 (ja) * 2017-07-31 2019-0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9028308A (ja) * 2017-07-31 2019-0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19028370A (ja) * 2017-08-02 2019-0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用前面板及び表示装置
JP2019066613A (ja) * 2017-09-29 2019-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およびタイリング表示装置
KR102109544B1 (ko) * 2019-10-16 2020-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965A (ja) 2003-09-02 2005-03-24 Toray Ind Inc 黒色被膜組成物、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14848A (ja) 2008-07-02 2010-01-21 Toray Ind Inc 黒色樹脂組成物、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0070929A1 (ja) 2008-12-19 2010-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基板および基板を備えた表示パネル
JP2012123287A (ja) 2010-12-10 2012-06-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横電界駆動式液晶表示装置、ブラックマトリクスの形成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WO2013018591A1 (ja) 2011-07-29 2013-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基板および電気光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207A (ja) * 1993-05-12 1994-11-25 Toppan Printing Co Ltd 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43519A (ja) * 1993-07-30 1995-02-14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
JPH0772321A (ja) * 1993-08-31 1995-03-17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48412A (ja) * 1994-03-11 1995-09-26 Fujitsu Ltd カラーフィルタと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H07318950A (ja) * 1994-05-27 1995-12-08 Sony Corp 電気光学表示セルのスペーサ形成方法
US5780201A (en) * 1996-09-27 1998-07-14 Brewer Science, Inc. Ultra thin photolithographically imageable organic black matrix coating material
JPH1123836A (ja) * 1997-07-04 1999-01-29 Toray Ind Inc ブラックマトリクス、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762842B2 (ja) * 1998-12-28 2006-04-05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207175B2 (ja) * 2008-03-31 2013-06-1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光学部材、表示パネル、コントローラ、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965A (ja) 2003-09-02 2005-03-24 Toray Ind Inc 黒色被膜組成物、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14848A (ja) 2008-07-02 2010-01-21 Toray Ind Inc 黒色樹脂組成物、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0070929A1 (ja) 2008-12-19 2010-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基板および基板を備えた表示パネル
JP2012123287A (ja) 2010-12-10 2012-06-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横電界駆動式液晶表示装置、ブラックマトリクスの形成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WO2013018591A1 (ja) 2011-07-29 2013-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基板および電気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74804A (zh) 2015-11-18
CN105074804B (zh) 2018-02-13
KR20150118945A (ko) 2015-10-23
WO2014129320A1 (ja) 2014-08-28
JPWO2014129320A1 (ja) 2017-02-02
JP6365298B2 (ja) 2018-08-01
TWI597530B (zh) 2017-09-01
TW201447394A (zh)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411B1 (ko)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및 터치패널
KR102020812B1 (ko) 적층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485436B1 (ko) 흑색 수지 조성물, 수지 블랙 매트릭스, 컬러 필터 및 액정표시장치
JP5577659B2 (ja) 感光性黒色樹脂組成物、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119104B2 (ja) 感光性黒色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タッチパネル
WO2019059359A1 (ja) 着色樹脂組成物、着色膜、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5068893A (ja) 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
JP6569220B2 (ja) タッチパネル用黒色樹脂組成物
US20180039176A1 (en) Colored resin composition, colored film, decorative substrate and touch panel
KR102548098B1 (ko) 착색 수지 조성물
JP5540649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赤色着色組成物、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5001654A (ja) 積層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6330412B2 (ja) 遮光膜形成基板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5026049A (ja) 積層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01655A (ja) 積層樹脂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
KR102667981B1 (ko) 착색 수지 조성물과 그의 제조 방법, 근적외선 투과 차광막 및 장식 기판
KR102291856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CN115210322B (zh) 树脂组合物、布线基板及导电性图案的制造方法
KR20160103277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510303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20131512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도전 패턴이 형성된 기판, 적층체의 제조 방법, 터치 패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20240090123A (ko) 착색 수지 조성물, 착색막, 가식 기판
CN116736632A (zh)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使用其制造的滤色器及包括该滤色器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