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671B1 -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671B1
KR101923671B1 KR1020120027561A KR20120027561A KR101923671B1 KR 101923671 B1 KR101923671 B1 KR 101923671B1 KR 1020120027561 A KR1020120027561 A KR 1020120027561A KR 20120027561 A KR20120027561 A KR 20120027561A KR 101923671 B1 KR101923671 B1 KR 101923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acrificial layer
substrate
growth substrate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993A (ko
Inventor
허정훈
최주원
신수진
이충민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671B1/ko
Priority to PCT/KR2013/002227 priority patent/WO2013141561A1/ko
Priority to CN201380015444.6A priority patent/CN104221170B/zh
Priority to US14/386,775 priority patent/US9263255B2/en
Publication of KR2013010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993A/ko
Priority to US15/040,969 priority patent/US988208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66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 H01L33/007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93Wafer bonding; Removal of the growth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83Periodic patterns for optical field-shaping in or on the semiconductor body or semiconductor body package, e.g. photonic bandgap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 기판; 및 상기 지지 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의 반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층들 중 최상부층은 그 표면이 불규칙한 거칠기를 갖는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METHOD FOR SEPARATING EPITAXIAL GROWTH LAYER FROM GROWTH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기본적으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인 PN 접합 다이오드이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한 뒤, 상기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흘려주면, 상기 P형 반도체의 정공은 상기 N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N형 반도체의 전자는 상기 P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 및 정공은 상기 PN 접합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PN 접합부로 이동된 전자는 전도대(conduction band)에서 가전대(valence band)로 떨어지면서 정공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도대와 가전대의 높이 차이 즉,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발산하는데, 상기 에너지가 광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광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친환경, 저 전압, 긴 수명 및 저 가격 등의 특징이 있으며, 종래에는 표시용 램프나 숫자와 같은 단순 정보표시에 많이 응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산업기술의 발전, 특히 정보표시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 분야, 자동차 헤드램프, 프로젝터 등 다방면에 걸쳐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반도체층은 그것을 성장시킬 수 있는 동종의 기판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워,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갖는 성장 기판 상에서 금속유기화학기상증착법(MOCVD) 또는 분자선 증착법(molecular beam epitaxy; MBE) 등의 공정을 통해 성장된다.
상기 성장 기판은 육방 정계의 구조를 갖는 사파이어(Sapphire) 기판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사파이어는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므로, 그 상부에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조를 제한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사파이어와 같은 성장 기판 상에 상기 반도체층과 같은 에피층을 성장시킨 후, 상기 성장 기판을 분리하여 수직형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성장 기판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기판 연마 가공에 의한 기판 제거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성장 기판, 즉, 사파이어 기판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으로 LLO(laser lift-off)법, SLO(stress lift-off)법 또는 CLO(chemical lift-off)법이 주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LLO법은 성장 기판 상에 에피층을 성장시키고, 상기 에피층 상에 본딩 기판을 본딩한 후, 상기 사파이어 기판을 통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기술이다.
상기 SLO법은 성장 기판의 일측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성장 기판의 일부 영역 상에서만 에피층이 성장되도록 다른 영역은 절연막 등으로 패시베이션하고, 두꺼운 에피층을 성장시킨 후 냉각하게 되면 표면 스트레스에 의해 상기 에피층이 분리되는 기술이다.
상기 CLO법은 상기 성장 기판의 표면 상에 화학적 손상이 쉬운 물질을 패턴 등의 형태로 형성하고, 에피층을 성장시킨 후, 전기화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상기 화학적 손상이 쉬운 물질을 제거하여 분리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상술한 성장 기판을 분리하는 방법들 중, 상기 LLO법은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발생된 열이 에피층에 영향을 주어 에피층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고, 상기 SLO법 또는 CLO법은 에피층을 성장하기 전에 상기 성장 기판의 표면을 가공하는 별도의 공정을 진행하여 공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에피층을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양산성에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SLO법의 경우에는 상기 에피층을 두껍게 성장시켜야만 상기 에피층이 분리되기 때문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피층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 기판; 및 상기 지지 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의 반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층들 중 최상부층은 그 표면이 불규칙한 거칠기를 갖는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최상부층의 표면은 상기 최상부층의 절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최상부층의 표면은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이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최상부층의 표면은 상기 최상부층을 식각하는 식각 용액에 의해 V자형으로 식각된 복수의 식각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최상부층은 그 아래층의 다른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는 오픈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이며, 상기 반도체층들은 적어도 활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최상부층은 상기 N형의 반도체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성장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성장 기판의 일측 표면에 복수의 철부 및 요부를 구비한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철 패턴의 철부들 상에 희생층을 에피 성장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에 ECE(Electro Chemical Etching) 공정을 실시하여 복수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상에 복수의 반도체층을 에피 성장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들 상에 지지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성장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희생층 상에 반도체층들을 에피 성장한 후에는 상기 희생층 내에는 상기 미세 기공들이 합쳐지거나 성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보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희생층을 에피 성장하기 전에, 상기 요철 패턴의 요부들에 성장 억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부는 그 단면 형상이 아랫변은 좁고 윗변은 넓은 사다리 형태의 홈일 수 있다.
상기 요부는 그 단면 형상이 V자 형태의 홈일 수 있다.
상기 희생층의 에피 성장은 상기 철부들 각각으로부터 에피 성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성장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희생층에 응력을 가해 분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성장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요철 패턴의 요부에 상기 희생층을 식각하는 식각 용액을 주입하여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피층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0)는 지지 기판(110), 본딩층(120) 및 복수의 반도체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110)은 상기 반도체층들(130)을 지지하는 어떠한 종류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110)은 사파이어 기판, 유리 기판, 실리콘카바이드 기판, GaN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일 수도 있고,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기판일 수도 있고, PCB 등과 같은 회로 기판일 수도 있으며,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기판일 수도 있다.
상기 본딩층(120)은 상기 지지 기판(110) 상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 기판(110)과 반도체층들(13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딩층(120)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기판(110)과 반도체층들(130)이 상기 본딩층(120)이 없어도 체결될 수 있는 구조 또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 기판(110)을 상기 반도체층들(130) 상에 증착하여 형성하거나, 도금하여 형성하거나 압착 등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들(130)은 제1형 반도체층(132), 활성층(134), 제2형 반도체층(136) 및 희생층(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들(130)이 적어도 상기 활성층(134)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반도체 소자(100)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은 제1형 불순물, 예컨대, P형 불순물이 도핑된 Ⅲ-N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Al, In, Ga)N 계열의 Ⅲ족 질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은 P형 불순물이 도핑된 GaN층, 즉, P-GaN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은 초격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활성층(134)은 Ⅲ-N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Al, Ga, In)N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활성층(134)은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어도 일정 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층(134)은 하나의 웰층(미도시)을 포함하는 단일 양자웰 구조일 수도 있고, 웰층(미도시)과 장벽층(미도시)이 교대로 반복되어 적층된 구조인 다중 양자웰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웰층(미도시) 또는 장벽층(미도시)은 각각 또는 둘 다 초격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형 반도체층(136)은 제2형 불순물, 예컨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Ⅲ-N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Al, Ga, In)N 계열의 Ⅲ족 질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제2형 반도체층(136)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GaN층, 즉, N-GaN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형 반도체층(136)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 예컨대, 상기 제2형 반도체층(134)이 다중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초격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희생층(138)은 제2형 불순물, 예컨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Ⅲ-N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Al, Ga, In)N 계열의 Ⅲ족 질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GaN층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형 반도체층(136)과 상기 희생층(138)이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필요에 의해 상기 제2형 반도체층(136)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들(130)은 초격자층(미도시) 또는 전자 브로킹층(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브로킹층(미도시)은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과 활성층(134)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자 및 전공의 재결합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밴드갭을 갖는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브로킹층(미도시)은 (Al, In, Ga)N 계열의 Ⅲ족 질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Mg이 도핑된 P-AlGaN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초격자층(미도시)은 상기 활성층(134)와 제2형 반도체층(136)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Ⅲ-N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Al, Ga, In)N 반도체층이 복수층으로 적층된 층, 예컨대, InN층과 InGaN층이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초격자층(미도시)은 상기 활성층(124) 이전에 형성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활성층(124)으로 전위(dislocation) 또는 결함(defect) 등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활성층(124)의 전위 또는 결함 등의 형성을 완화시키는 역할 및 상기 활성층(134)의 결정성을 우수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희생층(138)은 상기 반도체층들(130)의 최상부층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희생층(138)이 이후 설명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들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성장 기판(210)으로부터 상기 반도체층들(130)을 분리될 때 이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희생층(138)은 그 일측 표면의 일정 영역에 거친면(14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거친면(140)은 절단면(142),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144) 및 V자형으로 식각된 복수의 식각홈(14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거치면(140)이 상기 절단면(142),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144) 및 V자형으로 식각된 복수의 식각홈(146) 모두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절단면(142)은 상기 희생층(138)의 일측 표면 중 일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는 거친면(140)으로, 상기 희생층(138)을 수평 방향(즉, 상기 지지 기판(110)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응력(stress)을 주어 파단될 때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일 수 있다.
상기 절단면(142)은 이후 설명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들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보이드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또는 식각 용액에 의해 식각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희생층(138)에 응력이 가해져서 절단되어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144)은 원형, 타원형 또는 기타 형태의 보이드가 절단되어 그 내부 표면이 노출되어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144)은 이후 설명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들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희생층(138) 내에 구비된 보이드가 상기 희생층(138)이 절단 또는 식각될 때, 나누어짐으로써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V자형으로 식각된 복수의 식각홈(146)은 상기 희생층(138)이 식각 용액에 노출되어 식각되되, V자형으로 식각됨으로써 노출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V자형으로 식각된 복수의 식각홈(146)은 이후 설명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들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희생층(138)을 식각 용액으로 식각하되, 상기 성장 기판(210)의 요부(222)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희생층(138)의 일정 영역이 우선적으로 식각됨으로써 V자형으로 식각되어 노출되는 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0)는 지지 기판(110) 및 반도체층들(130)을 포함하되, 상기 반도체층들(130) 중, 최상부층, 즉, 희생층(138)은 그 표면이 불규칙한 거칠기를 가져 거친면(140)을 구비하며, 상기 거친면(140)은 상기 희생층(138)의 절단면(142),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144) 또는 V자형으로 식각된 복수의 식각홈(146)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반도체 소자(100)가 발광 다이오드 소자인 경우, 상기 반도체층들(130) 중 하나의 층일 수 있는 활성층(134)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최상부층으로 용이하게 추출되어 발광 효율이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200)는 지지 기판(210), 본딩층(220) 및 복수의 반도체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들(230)들은 제1형 반도체층(232), 활성층(234), 제2형 반도체층(236) 및 희생층(2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0)와 비교하여 상기 희생층(238)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함으로 상기 지지 기판(210), 본딩층(220) 및 상기 제1형 반도체층(232), 활성층(234) 및 제2형 반도체층(236)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2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지지 기판(210), 본딩층(220) 및 상기 제1형 반도체층(232), 활성층(234) 및 제2형 반도체층(236)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230)은 각각 상기 지지 기판(110), 본딩층(120) 및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 활성층(134) 및 제2형 반도체층(136)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130)을 참조한다.
본 실시 예의 상기 희생층(238), 즉, 상기 반도체층들(230)의 최상부층은 그 하부의 다른 반도체층, 예컨대, 상기 제2형 반도체층(236)을 노출시키는 오픈 영역(24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픈 영역(240)은 상기 희생층(238)의 일부를 패터닝하여 상기 희생층(238)의 하부를 노출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후 설명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들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희생층(238)을 성장 기판(310)의 철부(324)들 각각으로 에피 성장시키 형성하되 하나의 층으로 합쳐질 정도로는 성장시키기 않아, 이웃하는 철부(324)들 각각 성장된 층들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상기 오픈 영역(24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성장 기판(310)을 준비한다.
상기 성장 기판(310)은 반도체층이 에피 성장할 수 있는 어떠한 기판이여도 무방하다. 상기 성장 기판(310)은 사파이어 기판, 유리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판 또는 실리콘(Si) 기판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장 기판(310)은 사파이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성장 기판(310)의 일측 표면에 요부(322)와 철부(324)를 구비한 요철 패턴(320)을 형성한다.
상기 요부(322)는 수㎛ 이하의 너비 및 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철부(324)는 수㎛ 이하의 너비 및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는 상기 요부(322) 및 철부(324)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요철 패턴(320)은 상기 철부(324)를 복수 개를 구비하나, 상기 철부(324)들 각각을 둘러싸는 하나의 연결된 요부(322)로 구비(즉, 일 표면에서 상기 철부(324)들이 돌출된 형태와 동일함)될 수 있고, 상기 요부(322) 및 철부(324)가 반복하여 구비되되, 상기 요부(322) 및 철부(324)가 스트라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부(322)로 식각 용액이 주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요부(322)들은 서로 연결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부(322)는 그 단면 형상이 아랫변은 좁고 윗변은 넓은 사다리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 패턴(320)은 상기 요부(322)를 식각 공정으로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성장 기판(310)의 요부(322)에 성장 억제층(330)을 형성한다.
상기 성장 억제층(330)은 상기 요철 패턴(320)의 요부(322)에서 반도체층들(130)이 성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성장 억제층(330)은 상기 요부(322)의 바닥면을 덮을 정도로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이후 설명되는 반도체층들(130)의 에피 성장은 상기 요부(322)와 철부(324) 사이의 측면 상에서는 거의 성장되지 않지 않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성장 기판(310) 상에 상기 반도체층들(130) 중의 하나의 층인 희생층(138)을 에피 성장시킨다.
상기 희생층(138)은 N-Ga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MOCVD 등과 같은 화학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에피 성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희생층(138)은 도핑되는 N형 불순물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이후 설명되는 ECE(Elctro Chemical Etching) 공정의 공정 조건, 즉, 인가 전압, 공정 시간 또는 공정 온도에 따라 적절이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N형 불순물의 조절과 상기 ECE 공정의 공정 조건의 조절을 통해 이후 설명되는 미세 기공(330)을 조절하고, 상기 미세 기공(330)을 조절함으로써 보이드(340)의 크기, 갯수 또는 형성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희생층(138)은 3㎛ 이하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희생층(138)에 ECE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희생층(138)의 표면에서 일정 깊이로 복수의 미세 기공(330)을 형성한다.
상기 ECE 공정은 상기 희생층(138)이 형성된 상기 성장 기판(310)을 식각 용액, 예컨대, 옥산살(oxalic acid) 용액에 장입한 후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ECE 공정은 상기 인가 전압, 공정 시간 또는 식각 용액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미세 기공(330)들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세 기공(330)들은 상기 희생층(138)이 2㎛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1㎛의 깊이로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미세 기공(330)들의 깊이는 조절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희생층(138) 상에 반도체층들, 즉, 제2형 반도체층(136), 활성층(134) 및 제1형 반도체층(132)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 활성층(134) 및 제2형 반도체층(136)은 MOCVD 등과 같은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로 에피 성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희생층(138)에 미세 기공(330)들을 형성한 후 재성장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에서는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희생층(138) 상에 상기 희생층(138)과 동일한 층, 즉, 추가 희생층(미도시)을 더 에피 성장시킨 후,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 활성층(134) 및 제2형 반도체층(136)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을 에피 성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추가 희생층(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반도체층들을 에피 성장시킴으로 인해 상기 미세 기공(330)들로부터 복수의 보이드(3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이드(340)들 각각은 복수의 미세 기공(330)이 하나로 합쳐짐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미세 기공(330)이 성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추가 희생층(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반도체층들을 상기 희생층(138) 상에 에피 성장시킬 때, 상기 에피 성장의 성장 온도 또는 주입되는 가스의 종류 및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보이드(340)의 크기, 위치 및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반도체층들(130) 상에 지지 기판(11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지지 기판(110)과 반도체층들(130)의 부착은 상기 지지 기판(110)과 반도체층들(130) 사이에 본딩층(120)을 형성한 후, 상기 지지 기판(110)과 반도체층들(130) 사이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딩층(12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본딩층(12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본딩층(120)의 생략은 상기 지지 기판(110)과 반도체층들(130)은 상기 지지 기판(110)을 상기 반도체층들(130)에 열적 또는 기계적으로 압착하여 부착하거나, 상기 지지 기판(110)을 상기 반도체층들(130) 상에 증착 또는 도금 등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 기판(110)과 반도체층들(130)이 직접 부착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반도체층들(130)을 포함하는 지지 기판(110)으로부터 상기 성장 기판(310)을 분리한다.
상기 성장 기판(310)의 분리는 상기 희생층(138)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성장 기판(310)의 분리는 상기 희생층(138)에 응력을 가해 상기 희생층(138)이 파단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희생층(138)의 파단은 상기 희생층(138) 내에 보이드(130)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희생층(138)에 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보이드(130)들에게 응력이 집중되고, 상기 보이드(130)들과 상기 보이드(130)들 사이의 영역들이 파괴되어 상기 희생층(138)이 파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희생층(138)은 그 표면에 상기 희생층(138)이 파단되면서 생성되는 절단면(142) 또는 상기 보이드(130)들이 절단되면서 생성되는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144)을 형성하면서 분리된다.
한편, 분리된 상기 성장 기판(310)은 그 표면에 잔류하는 희생층(138)의 일부 등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진행한 후, 재사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제조 방법과는 상기 성장 기판(310)을 분리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고, 그 이전의 공정은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내부에 상기 보이드(340)들이 형성된 희생층(138)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130) 상에 상기 본딩층(120)을 이용하여 지지 기판(110)을 부착한 후, 상기 성장 기판(310)의 요부(322)들로 식각 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희생층(138)을 식각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식각 용액은 상기 희생층(138)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는 어떠한 식각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과산화수소 및 순수를 포함하는 식각 용액, 수산화칼륨 및 순수를 포함하는 식각 용액 또는 황산을 포함하는 식각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식각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희생층(138)을 계속 식각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희생층(138)에 V자형으로 식각된 식각홈(146)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이드(340)들을 따라 상기 식각 용액이 상기 희생층(138)의 측면 방향으로 식각하여 상기 희생층(138)을 식각하여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희생층(138)의 일부 영역(350)은 상기 식각 용액이 침투되지 않아 분리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일부 영역(350)은 식각 공정을 조절하여 남아 있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식각 용액으로 상기 희생층(138)을 식각하여 또는 상기 식각 용액으로 상기 희생층(138)을 식각한 후, 상기 희생층(138)에 응력을 인가하여 상기 성장 기판(310)을 상기 희생층(138)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1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에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반도체체 소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기판(110) 상의 상기 희생층(138)은 그 표면에 상기 절단면(142),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144) 또는 V자형으로 식각된 복수의 식각홈(14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상기 성장 기판(310)의 요철 패턴(320)의 형상이 상이하고, 이로 인해 상기 성장 억제층(330)이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공정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성장 기판(310)을 준비하는 공정에서 상기 요철 패턴(320)을 형성하되, 요부(326)를 그 단면 형상이 아랫변은 좁고 윗변은 넓은 사다리 형태의 홈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단면 형상이 V자 형태의 홈으로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요부(326)는 상기 성장 기판(310)을 식각하는 식각 용액, 예컨대, 황산 또는 인산을 포함하는 식각 용액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장 기판(310)이 사파이어 기판인 경우, 상기 요부(326)는 상기 식각 용액이 상기 사파이어 기판의 c-면과 r-면을 식각하여 형성된 V자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상기 성장 기판(310)의 요철 패턴(320)의 형상이 상이하고, 이로 인해 상기 성장 억제층(330)이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공정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의 요철 패턴(320)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서 설명한 요부(326)와 철부(324)를 포함하는 요철 패턴(32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조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반도체 소자(200)의 제조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성장 기판(310)을 준비하고, 상기 성장 기판(310)의 일측 표면에 요부(322) 및 철부(324)를 복수 개 구비한 요철 패턴(3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요철 패턴(320)은 도 13 또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V자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요부(326) 및 철부(324)를 포함하는 요철 패턴(3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희생층(138)과 같이 상기 성장 기판(310) 상에 에피 성장으로 상기 희생층(238)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희생층(138)은 복수의 철부(324)에서 각각 성장한 여러 개의 시드층(미도시)들이 하나로 합쳐져서 형성되는 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철부(324)들 각각에서 성장한 여러 개의 시드층(미도시)들이 하나로 합쳐지기 전에 에피 성장을 멈추게 하여 복수의 오픈 영역(260)을 구비한 희생층(238)은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희생층(138)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상기 희생층(138)을 형성한 후, 이를 식각 공정 등을 이용하여 상기 희생층(1348)의 일부분들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오픈 영역(260)을 구비한 희생층(238)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희생층(238)을 형성한 후에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1형 반도체층(132), 활성층(134), 제2형 반도체층(136), 본딩층(120) 및 지지 기판(110)을 형성 및 부착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1형 반도체층(232), 활성층(234), 제2형 반도체층(236), 본딩층(220) 및 지지 기판(210)을 형성 및 부착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 기판(210)을 상기 반도체층들(230) 상에 부착한 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성장 기판(310)의 분리 방법과 동일한 방법, 즉, 상기 희생층(238)에 응력을 가하여 상기 성장 기판(310)을 분리하여 반도체 소자(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희생층(238)은 그 표면에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절단면(142) 및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144)과 동일한 방법으로 절단면(242) 및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2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생층(238)은 그 하부의 반도체층, 예컨대, 상기 제2형 반도체층(236)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오픈 영역(360)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픈 영역(360)들은 각각 상기 성장 기판(310)의 요부(322)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형성될 것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 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지지 기판 120 : 본딩층
130 : 반도체층들 140 : 거친면
142 : 절단면 144 : 절단된 보이드의 내부 표면
146 : V자형으로 식각된 복수의 식각홈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성장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성장 기판의 일측 표면에 복수의 철부 및 요부를 구비한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철 패턴의 철부들 상에 희생층을 에피 성장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에 ECE(Electro Chemical Etching) 공정을 실시하여 복수의 미세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상에 복수의 반도체층을 에피 성장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들 상에 지지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성장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희생층 상에 반도체층들을 에피 성장한 후에는 상기 희생층 내에는 상기 미세 기공들이 합쳐지거나 성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보이드가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을 에피 성장하기 전에,
    상기 요철 패턴의 요부들에 성장 억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그 단면 형상이 아랫변은 좁고 윗변은 넓은 사다리 형태의 홈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그 단면 형상이 V자 형태의 홈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의 에피 성장은 상기 철부들 각각으로부터 에피 성장되어 이루어지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성장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희생층에 응력을 가해 분리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성장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요철 패턴의 요부에 상기 희생층을 식각하는 식각 용액을 주입하여 분리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20120027561A 2012-03-19 2012-03-19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KR101923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561A KR101923671B1 (ko) 2012-03-19 2012-03-19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PCT/KR2013/002227 WO2013141561A1 (ko) 2012-03-19 2013-03-19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CN201380015444.6A CN104221170B (zh) 2012-03-19 2013-03-19 用于分离外延层与生长基板的方法及使用其的半导体器件
US14/386,775 US9263255B2 (en) 2012-03-19 2013-03-19 Method for separating epitaxial layers from growth substrates,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US15/040,969 US9882085B2 (en) 2012-03-19 2016-02-10 Method for separating epitaxial layers from growth substrates,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561A KR101923671B1 (ko) 2012-03-19 2012-03-19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993A KR20130105993A (ko) 2013-09-27
KR101923671B1 true KR101923671B1 (ko) 2018-11-29

Family

ID=4945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561A KR101923671B1 (ko) 2012-03-19 2012-03-19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95B1 (ko) 2019-12-23 2021-05-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284B1 (ko) * 2014-06-24 2021-01-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반도체 성장용 템플릿,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제조 방법
KR20160008382A (ko) 2014-07-14 2016-0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반도체 적층 구조, 이를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층 분리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7872A (ja) * 2010-03-11 2011-09-22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7872A (ja) * 2010-03-11 2011-09-22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95B1 (ko) 2019-12-23 2021-05-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1667524B2 (en) 2019-12-23 2023-06-06 Hyundai Kefico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993A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085B2 (en) Method for separating epitaxial layers from growth substrates,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JP6025933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JP5074396B2 (ja) 半導体ウエハの横方向分断のための方法及び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構成素子
US9711354B2 (en) 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 through forming a template for growing semiconductor and separating growth substrate
TWI401823B (zh) 發光二極體元件的製造方法
KR20160034987A (ko) 기판 웨이퍼 상에 형성된 발광 디바이스들을 분리시키는 방법
US93686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W-mesa street
TW201539787A (zh) 發光二極體
KR101507129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5775A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23671B1 (ko)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KR20140083357A (ko)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130091501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9026A (ko) 에피층을 성장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KR20140011071A (ko) 질화물 반도체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KR101923673B1 (ko) 질화갈륨계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10568B1 (ko) 에피층과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KR101012638B1 (ko) 수직형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140047869A (ko) 성장 기판 분리 방법 및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KR101364719B1 (ko)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KR20130067514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1899474B1 (ko)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KR20150016759A (ko) 발광 소자 제조용 템플릿 재생 방법
KR20130104921A (ko)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110113311A (ko) 기판 분리 기술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