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910B1 -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910B1
KR101921910B1 KR1020170100472A KR20170100472A KR101921910B1 KR 101921910 B1 KR101921910 B1 KR 101921910B1 KR 1020170100472 A KR1020170100472 A KR 1020170100472A KR 20170100472 A KR20170100472 A KR 20170100472A KR 101921910 B1 KR101921910 B1 KR 101921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sector gear
shaft
rest bar
r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장창희
홍석빈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인 단순화를 통해 중량을 줄여주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작동시에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며 외부하중에 의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샤프트를 통해 시트에 결합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스트바;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레스트바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되며 일측단 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타측단 전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섹터기어; 상기 레스트바의 일측면에 록커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레스트바의 작동시 섹터기어의 기어부에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레스트바의 록온 및 록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커; 상기 섹터기어의 전면에 겹쳐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록커에 걸려짐으로서 레스트바의 회전방향을 따라 록커가 회전될 경우 연동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져 회전각도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록커만 회전되도록 하여 록커가 분리된 섹터기어가 다시 섹터기어에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브래킷; 상기 록커축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측단은 록커에 걸려져 록커가 섹터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록온방향으로 회전 성향을 갖도록 가압해주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브래킷에 걸려져 록커와 가이드브래킷을 연결하여 가이드브래킷에 록커와 연동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Armrest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구조적인 단순화를 통해 품질을 향상하고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또는 열차 등의 시트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탑승자의 팔을 상부에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가 설치된다.
상기 암레스트(armrest)는 장시간의 탑승으로 인한 승객의 피로를 해소시켜 주거나 자동차의 급격한 출발, 주행시 급격한 회전 및 급제동을 할 경우 승객이 한쪽으로 갑자기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암레스트는 시트백의 양측면 또는 어느 한 측면에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암레스트는 시트백의 측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승객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해 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암레스트는 실내의 바닥면과 수평인 상태에서 팔을 얹혀 놓았다가,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일측에 구비된 축을 중심을 회동시켜 시트의 등받이와 평행인 상태로 회동시키게 된다.
종래의 암레스트는 등록특허 제10-1482032호에서와 같이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작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암레스트는 많은 부품의 조립을 통해 구성되어 각 부품을 제작하는 비용이 증가되고 부품간 치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482032호 등록특허번호 제10-167968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인 단순화를 통해 중량을 줄여주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작동시에 부품간 치수 불량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며 외부하중에 의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샤프트를 통해 시트에 결합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스트바;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레스트바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일측단 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타측단 전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섹터기어; 상기 레스트바의 일측면에 록커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레스트바의 작동시 섹터기어의 기어부에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레스트바의 록온 및 록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커; 상기 섹터기어의 전면에 겹쳐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록커에 걸려짐으로서 레스트바의 회전방향을 따라 록커가 회전될 경우 연동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져 회전각도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록커만 회전되도록 하여 록오프된 록커가 다시 섹터기어에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브래킷; 상기 록커축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측단은 록커에 걸려져 록커가 섹터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록온방향으로 회전 성향을 갖도록 가압해주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브래킷에 걸려져 록커와 가이드브래킷을 연결하여 가이드브래킷에 록커와 연동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섹터기어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샤프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섹터기어몸체; 상기 섹터기어몸체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록커가 맞물리게 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록커가 걸려지게 되는 하부돌출부; 상기 기어부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하부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록커가 록오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록커가 상기 경사면을 타고 섹터기어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돌출부; 상기 섹터기어몸체의 타측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섹터기어와 록오프된 록커가 레스트바를 따라 회전 한 후 걸려지게 됨으로써 레스트바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록커지지부; 상기 섹터기어몸체의 타측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커는, 상기 록커축이 설치될 수 있도록 록커축홀이 형성되어 있는 록커몸체; 상기 록커몸체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섹터기어의 기어부와 맞물려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어부; 상기 록커몸체의 타측 측면에 형성되어 레스트바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부; 상기 록커몸체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래킷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브래킷은, 상기 샤프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섹터기어와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브래킷몸체; 상기 브래킷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섹터기어와의 사이 공간으로 스프링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도록 브래킷몸체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록커가 록온 상태에서 걸려지게 되는 제1걸림단 및 상기 제1걸림단의 상부에서 제1걸림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섹터기어와의 잠금 해제된 록커가 다시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제2걸림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록커걸림부; 상기 브래킷몸체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섹터기어의 걸림돌기 하부에 걸려짐으로써 록온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섹터기어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록커와 가이드브래킷이 스프링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동되고, 록온, 록오프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구조적인 단순화를 할 수 있고, 부품 개수 축소를 통해 중량을 저감시켜 원가를 절감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적인 단순화에 의한 작동 오류를 최소화시키고 외부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일부분을 확대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가 록온 상태에서 다단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오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가 록오프 상태에서 최후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가 록온 상태의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연속적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일부분을 확대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를 나타낸 결합사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샤프트(600)를 통해 시트에 결합되고 샤프트(600)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스트바(100)와, 상기 샤프트(6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레스트바(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섹터기어(200)와, 상기 레스트바(100)의 일측면에서 록커축(450)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레스트바(100)의 작동시 상기 섹터기어(200)와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어 레스트바(100)의 록온(LOCK ON) 및 록오프(LOCK OFF)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커(400)와, 상기 섹터기어(200)의 전면에 겹쳐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600)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커(400)와 연동되면서 섹터기어(200)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록커(400)가 다시 섹터기어(200)에 맞물릴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브래킷(300)과, 상기 록커축(450)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측단은 록커(400)에 걸려져 록커(400)가 섹터기어(20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록온방향으로의 회전 성향을 갖도록 가압해주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브래킷(300)에 걸려져 록커(400)와 가이드브래킷(300)을 연결하여 가이드브래킷(300)에 록커(400)와 연동되도록 하는 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스트바(100)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6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단에 관통홀(110)이 형성되고 관통홀(110)로 끼워진 샤프트(600)를 중심으로 하여 상, 하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레스트바(100)의 관통홀(110) 외측에 고정됨으로써 조립 단차를 확보해주는 보스(650) 및 상기 보스(650)에 끼워짐으로써 샤프트(60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쉬(6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600)는 상기 섹터기어(200)와 가이드브래킷(3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면에 끼움부(620)가 돌출되어 있는 샤프트 머리부(610)와, 상기 끼움부(620)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스트바(100)의 관통홀(110)을 통해 끼워져 시트에 결합되는 샤프트몸체(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620)는 상기 가이드브래킷(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끝단에는 상기 섹터기어(200)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상, 하부에 단턱부(6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섹터기어(200)는 후술되는 섹터기어몸체(210)에 형성되는 샤프트홀(211)이 상기 단턱부(621)에 걸려질 수 있도록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어 샤프트(600)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섹터기어(200)는 상기 샤프트(600)의 끼움부(6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턱부(621)에 걸려질 수 있도록 장방형 형태의 샤프트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섹터기어몸체(210)와, 상기 섹터기어몸체(210)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록커(400)가 맞물리게 됨으로써 록온(LOCK ON)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어부(220)와, 상기 기어부(220)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커(400)가 이탈되지 않고 걸려지게 되는 하부돌출부(230)와, 상기 기어부(220)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하부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41)을 갖도록 구성되어 록커(400)가 록오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록커(400)가 상기 경사면(241)을 타고 보다 용이하게 회전하여 섹터기어(200)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돌출부(240)와, 상기 섹터기어몸체(210)의 타측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섹터기어(200)와 록오프된 록커(400)가 레스트바(100)를 따라 회전 한 후 걸려지게 됨으로써 레스트바(100)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록커지지부(250)와, 상기 섹터기어몸체(210)의 타측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래킷(30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돌기(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섹터기어(200)는 장방형 형태의 샤프트홀(211)을 통해 샤프트(600)의 끼움부(620)에 끼워져 단턱부(621)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레스트바(100)가 샤프트(600)를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록커(400)는, 록커축(4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411)이 형성되어 있는 록커몸체(410)와, 상기 록커몸체(410)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섹터기어(200)의 기어부(220)와 맞물려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어부(420)와, 상기 록커몸체(41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래킷(300)이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브래킷(300)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커몸체(410)의 타측측면에 형성되어 레스트바(100)의 회전시 상기 섹터기어(200)의 록커지지부(250)에 걸려짐으로써 레스트바(100)의 최대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홈부(4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홈부(440)는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섹터기어(200)의 록커지지부(250)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걸려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록커(400)는 록커축(450)을 통해 레스트바(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레스트바(100)의 작동시 레스트바(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섹터기어(200)와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어 레스트바(100)의 록온 및 록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섹터기어(200)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220)의 기어 개수는 록커(400)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420)의 기어 개수보다 많게 형성되어 록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단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브래킷(300)은, 상기 샤프트(600)의 끼움부(6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홀(311)이 형성되고 섹터기어(200)의 전면에 맞닿아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브래킷몸체(310)와, 상기 브래킷몸체(310)의 일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섹터기어(200)와의 사이 공간으로 스프링(5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도록 브래킷몸체(310)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록커(400)에 걸려져 록커(400)의 작동시 가이드브래킷(300)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록커걸림부(320)와, 상기 브래킷몸체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섹터기어(200)의 걸림돌기(260) 하부에 걸려짐으로써 록온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섹터기어 걸림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커걸림부(320)에는 상기 록커(400)의 걸림돌기(430)가 록온 상태에서 걸려지게 되는 제1걸림단(321)과, 상기 제1걸림단(321)의 상부에서 제1걸림단(321)보다 돌출되어 제1걸림단(321)과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섹터기어(200)와의 잠금이 해제된 이후에도 록커(400)가 다시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제2걸림단(322)이 형성된다.
이렇게 록커걸림부(320)에 제1걸림단(321)과 제2걸림단(322)을 형성함으로써 록커(400)가 섹터기어(200)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록커(400)의 걸림돌기(430)가 제1걸림단(321)에서 이탈된다 하더라도 걸림돌기(430)가 다시 제2걸림단(322)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레스트바(100)의 회전에 의한 록커(400)의 연동시 가이드브래킷(300) 또한 록커(400)에 걸려져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록오프 이후 록온을 위해 레스트바(100)가 록온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먼저 가이드브래킷(300)의 섹터기어 걸림부(330)가 섹터기어(200)의 걸림돌기(260)에 걸려짐으로서 멈춰지고, 이후 록커(400)는 레스트바(100)의 회전방향을 따라 더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록커(400)는 스프링(500)의 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430)가 록커걸림부(320)의 제2걸림단(322)에서 이탈되어 제1걸림단(321)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가이드브래킷(300)은 스프링(500)을 통해 록커(400)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동됨과 동시에 섹터기어(200)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록커(400)가 다시 섹터기어(200)에 맞물릴 수 있도록 가이드해 주게 되며, 이로 인해 록온, 록오프 작동을 위한 부품의 개수를 줄여 구조적으로 단순화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조적 단순화를 통해 작동시에 오작동이 줄어들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며 외부하중에 의한 파손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가 록온 상태에서 다단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오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가 록오프 상태에서 최후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가 록온 상태의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연속적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암레스트의 록온 및 록오프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4 에서와 같이 초기의 록온 상태일 경우에는 섹터기어(200)의 기어부(220)에 록커(400)의 기어부(420)가 맞물리도록 위치해 있고 가이드브래킷(300)은 제1걸림단(321)에 록커(400)의 걸림돌기(430)가 걸려진 상태에서 스프링(500)을 통해 록커(400)와 가이드브래킷(300)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커(400)는 스프링(500)에 의해 록온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록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5 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레스트바(100)를 샤프트(600)를 중심으로 록오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록커(400)는 섹터기어(200)와 기어부(220)(420)를 통해 맞물린 상태에서 기어의 개수에 맞도록 다수단 이동되어 다단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상부돌출부(240)에 걸려진 상태에서 경사면(241)을 따라 이동되면서 섹터기어(200)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레트스바(100)가 록오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브래킷(300)은 록커(400)의 걸림돌기(430)에 제1걸림단(321)이 걸려진 상태에서 록커(4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록오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록커(400)가 섹터기어(200)와의 걸림이 해제된 이후에는 록커(400)의 걸림돌기(430)가 제1걸림단(321)에서 벗어나 제2걸림단(322)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레스트바(100)가 록오프 방향을 따라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록커(400)와 가이드브래킷(300)은 레스트바(1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7 에서와 같이 레스트바(100)가 록오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각도까지 회전하게 되면 록커(400)의 걸림홈부(440)가 섹터기어(200)의 록커지지부(250)에 걸려져 레스트바(10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이다.
한편 도 8 에서와 같이 록온 과정에서는 레스트바(100)를 록온 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 되며, 록커(400)와 가이드브래킷(300)이 록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브래킷(300)의 섹터기어 걸림부(330)가 섹터기어(200)의 걸림돌기(260)에 걸려지게 되어 회전이 제한된다.
이렇게 가이드브래킷(300)이 멈춰진 상태에서도 레스트바(100)가 록온 방향을 향해 더 회전하기 때문에 록커(400)는 록온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록커걸림부(320)의 제2걸림단(322)에 걸려진 록커(400)가 록온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제2걸림단(322)에서 제1걸림단(321)으로 걸려지지게 되고 섹터기어(200)의 기어부(220)와 맞물리게 되어 초기 록온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암레스트는, 록커(400)와 가이드브래킷(300)이 스프링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동되고, 록온, 록오프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부품을 개수를 줄여주고 구조적인 단순화를 통해 중량을 저감시켜 원가를 절감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적인 단순화에 의한 작동 오류를 최소화시키고 외부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레스트바 (110) : 관통홀
(200) : 섹터기어 (210) : 섹터기어몸체
(211) : 샤프트홀 (220) : 기어부
(230) : 하부돌출부 (240) : 상부돌출부
(241) : 경사면 (250) : 록커지지부
(260) : 걸림돌기 (300) : 가이드브래킷
(310) : 브래킷몸체 (311) : 관통홀
(320) : 록커걸림부 (321) : 제1걸림단
(322) : 제2걸림단 (330) : 섹터기어걸림부
(400) : 록커 (410) : 록커몸체
(411) : 관통홀 (420) : 기어부
(430) : 걸림돌기 (440) : 걸림홈부
(450) : 록커축 (500) : 스프링
(600) : 샤프트 (610) : 샤프트머리부
(620) : 끼움부 (621) : 단턱부
(630) : 샤프트몸체 (640) : 부쉬
(650) : 보스

Claims (4)

  1. 샤프트를 통해 시트에 결합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스트바;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레스트바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일측단 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타측단 전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섹터기어;
    상기 레스트바의 일측면에 록커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레스트바의 작동시 섹터기어의 기어부에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레스트바의 록온 및 록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커;
    상기 섹터기어의 전면에 겹쳐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록커에 걸려짐으로서 레스트바의 회전방향을 따라 록커가 회전될 경우 연동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져 회전각도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록커만 회전되도록 하여 록오프된 록커가 다시 섹터기어에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브래킷;
    상기 록커축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측단은 록커에 걸려져 록커가 섹터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록온방향으로 회전 성향을 갖도록 가압해주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브래킷에 걸려져 록커와 가이드브래킷을 연결하여 가이드브래킷에 록커와 연동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기어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샤프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섹터기어몸체;
    상기 섹터기어몸체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록커가 맞물리게 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록커가 걸려지게 되는 하부돌출부;
    상기 기어부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하부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록커가 록오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록커가 상기 경사면을 타고 섹터기어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돌출부;;
    상기 섹터기어몸체의 타측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섹터기어와 록오프된 록커가 레스트바를 따라 회전 한 후 걸려지게 됨으로써 레스트바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록커지지부;
    상기 섹터기어몸체의 타측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록커축이 설치될 수 있도록 록커축홀이 형성되어 있는 록커몸체;
    상기 록커몸체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섹터기어의 기어부와 맞물려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어부;
    상기 록커몸체의 타측 측면에 형성되어 레스트바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부;
    상기 록커몸체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래킷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래킷은
    상기 샤프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섹터기어와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브래킷몸체;
    상기 브래킷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섹터기어와의 사이 공간으로 스프링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도록 브래킷몸체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록커가 록온 상태에서 걸려지게 되는 제1걸림단 및 상기 제1걸림단의 상부에서 제1걸림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섹터기어와의 잠금 해제된 록커가 다시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제2걸림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록커걸림부;
    상기 브래킷몸체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섹터기어의 걸림돌기 하부에 걸려짐으로써 록온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섹터기어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KR1020170100472A 2017-08-08 2017-08-08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KR101921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72A KR101921910B1 (ko) 2017-08-08 2017-08-08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72A KR101921910B1 (ko) 2017-08-08 2017-08-08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910B1 true KR101921910B1 (ko) 2018-11-26

Family

ID=6460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472A KR101921910B1 (ko) 2017-08-08 2017-08-08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9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800A (ko) *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KR20200132426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20200132451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WO2021206646A1 (en) * 2020-04-09 2021-10-14 Teknik Malzeme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n armrest mechanism connection embodiment
KR20210125618A (ko) 2020-03-31 2021-10-19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CN113734011A (zh) * 2020-05-29 2021-12-03 宝适汽车部件(太仓)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空间的臂支承装置
KR20230006968A (ko) 2021-07-05 2023-01-12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암레스트
WO2023098155A1 (zh) * 2021-12-04 2023-06-08 深圳市西昊智能家具有限公司 一种能调节手臂支撑位置的扶手
KR20230157152A (ko) 2022-05-09 2023-11-16 주식회사다스 암레스트 틸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035A (ja) 2003-05-07 2006-11-09 ウーボ・テク・コーポレイション・リミテッド アームレストのティルティング装置
US20130193735A1 (en) 2011-08-01 2013-08-01 Faurecia Automotive Seating, Inc. Power fold with lock for vehicle seat
KR200471361Y1 (ko) 2012-11-21 2014-02-17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US20140175850A1 (en) 2012-12-21 2014-06-26 Atwood Mobile Products, Llc Adjustable armres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035A (ja) 2003-05-07 2006-11-09 ウーボ・テク・コーポレイション・リミテッド アームレストのティルティング装置
US20130193735A1 (en) 2011-08-01 2013-08-01 Faurecia Automotive Seating, Inc. Power fold with lock for vehicle seat
KR200471361Y1 (ko) 2012-11-21 2014-02-17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US20140175850A1 (en) 2012-12-21 2014-06-26 Atwood Mobile Products, Llc Adjustable armrest devic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800A (ko) *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KR102546264B1 (ko) 2016-08-31 2023-06-21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KR20200132426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20200132451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20210125618A (ko) 2020-03-31 2021-10-19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WO2021206646A1 (en) * 2020-04-09 2021-10-14 Teknik Malzeme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n armrest mechanism connection embodiment
CN113734011A (zh) * 2020-05-29 2021-12-03 宝适汽车部件(太仓)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空间的臂支承装置
CN113734011B (zh) * 2020-05-29 2023-07-14 宝适汽车部件(太仓)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空间的臂支承装置
KR20230006968A (ko) 2021-07-05 2023-01-12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암레스트
KR102510424B1 (ko) 2021-07-05 2023-03-15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암레스트
WO2023098155A1 (zh) * 2021-12-04 2023-06-08 深圳市西昊智能家具有限公司 一种能调节手臂支撑位置的扶手
KR20230157152A (ko) 2022-05-09 2023-11-16 주식회사다스 암레스트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910B1 (ko)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US7494186B2 (en) Folding recliner of seat for vehicles
US9199556B2 (en) Hinge assembly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hinge assembly
JP4063863B1 (ja) ヘッドレスト
US20130113263A1 (en) Seat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KR101356136B1 (ko) 차량용 시트 백 래치
US10058178B2 (en) Reclining device
US10618436B2 (en) Seating arrangement having a reclinable seat back
KR101738052B1 (ko) 암레스트의 잠금구조
KR20050116816A (ko) 차량용 좌석 등받이 리클라이너
WO2011123127A1 (en) Latch mechanism for releasably securing a seat to a floor
JP5288252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アレンジ装置
JP4133311B2 (ja)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JP3819385B2 (ja) 車両用床下収納庫
JP7473782B2 (ja) シート回動装置
JPH11348626A (ja) トランクスルー装置
US4444431A (en)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s
KR102510424B1 (ko) 차량 시트용 암레스트
WO2002100676A1 (fr) Levier de commande et siege equipe d'un tel levier
TWI835510B (zh) 防旋轉誤用裝置和座椅
JPH048818Y2 (ko)
KR20120126347A (ko) 세미 록킹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JPH11113669A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1013912B1 (ko) 차량의 리클라이너 레버의 연결장치
KR101095301B1 (ko) 응답성이 개선된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