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426A -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426A
KR20200132426A KR1020190057922A KR20190057922A KR20200132426A KR 20200132426 A KR20200132426 A KR 20200132426A KR 1020190057922 A KR1020190057922 A KR 1020190057922A KR 20190057922 A KR20190057922 A KR 20190057922A KR 20200132426 A KR20200132426 A KR 2020013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tooth
hinge core
guide ge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850B1 (ko
Inventor
문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9005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8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시트 백프레임에 설치되어지는 바디부와 사용자가 조절가능한 레버부로 형성된 암레스트와 시트백의 사이드부에 암레스트를 회전하도록 샤프트가 설치된 백프레임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샤프트 중앙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힌지코어와 상기 힌지코어의 둥근 외각부를 내측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암레스트 바디부의 내측부에 일체로 둥근 형상의 회전 가이드부와 상기 상기 암레스트 바디부의 내측부에 스크류로 고정되고 상기 힌지코어를 일정지점에서 정지시킬수 있도록 다수의 투스부가 설치된 가이드기어와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와 록킹되고 힌지코어의 내측장착부에 설치되는 회전투스와 상기 회전투스의 홀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코어의 내측장착홈에 양끝단부가 고정되어지는 투스핀과, 상기 회전투스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한쪽 끝단부는 회전투스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부는 힌지코어에 고정되는 스프링이 장착된 암레스트는 각도 조절을 위해 부품이 단순화되고 경량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Armrest Angle Adjustment for Automobi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 조절과 무관하게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각도를 다단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 구비되는 암레스트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수납위치에서 전방으로 펼쳐지는 사용위치로 접철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 경우, 암레스트의 선회는 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시트의 암레스트는 시트 백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시 시트 백과 함께 선회하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이전 시점에서 설정된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종래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는 도 1와 같이 샤프트를 통해 시트에 결합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스트바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레스트바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일측단 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타측단 전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섹터기어와, 상기 레스트바의 일측면에 록커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레스트바의 작동시 섹터기어의 기어부에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레스트바의 록온 및 록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커와,상기 섹터기어의 전면에 겹쳐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단은 상기 록커에 걸려짐으로서 레스트바의 회전방향을 따라 록커가 회전될 경우 연동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져 회전각도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록커만 회전되도록 하여 록오프된 록커가 다시 섹터기어에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브래킷와, 상기 록커축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측단은 록커에 걸려져 록커가 섹터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록온방향으로 회전 성향을 갖도록 가압해주고, 타측단은 상기 가이드브래킷에 걸려져 록커와 가이드브래킷을 연결하여 가이드브래킷에 록커와 연동되도록 하는 스프링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부품의 경량화 및 슬림화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고 제품의 유격 및 경량화를 위해 부품의 최소화를 실현하려고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암레스트가 차지하는 부품수가 많아 슬림화 및 경량화 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219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암레스트의 부품을 단순화하고 경량화하여 암레스트의 각도 조절을 원활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백프레임에 설치되어지는 바디부와, 사용자가 조절가능한 레버부로 형성된 암레스트와, 시트백의 사이드부에 암레스트를 회전하도록 샤프트가 설치된 백프레임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샤프트 중앙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힌지코어와, 상기 힌지코어의 둥근 외각부를 내측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암레스트 바디부의 내측부에 일체로 둥근 형상의 회전 가이드부와, 상기 상기 암레스트 바디부의 내측부에 스크류로 고정되고, 상기 힌지코어를 일정지점에서 정지시킬수 있도록 다수의 투스부가 설치된 가이드기어와,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와 록킹되고 힌지코어의 내측장착부에 설치되는 회전투스와, 상기 회전투스의 홀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코어의 내측장착홈에 양끝단부가 고정되어지는 투스핀과, 상기 회전투스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한쪽 끝단부는 회전투스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부는 힌지코어에 고정되는 스프링이 장착된 암레스트는 각도 조절을 위해 부품이 단순화되고 경량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암레스트는 승차자가 조작할 수 있는 레버부와 암레스트가 시트 백프레임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외측부와 폼패드가 삽입되는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둘러싸는 외각둘레부와 상기 브라켓에 암레스트가 회전하도록 구성된 바디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기어는 외측에는 상기 암레스트의 외각둘레부에 설치된 가이드기어 고정부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후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후크 아래 부분으로는 스크류가 삽입되도록 스크류홀이 설치되어 있다. 내측에는 상기 회전투스와 록킹하기위한 다수의 투스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투스는 한편에는 상기 힌지코어의 장착홈에 설치되는 투스핀을 수용하기 위한 홀가이드가 형성되고, 다른 한편에는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에 결합되도록 경사지게로 형성된 편측투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암레스트의 회전에 따른 가이드기어의 투스부와 고정된 회전투스의 단계적 록킹으로 암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경량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암레스트의 장치를 장착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가 부착된 내측 구조를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가 백프레임에 부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암레스트 조절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기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투스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이드기어와 회전투스의 록킹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9은 본 발명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시 록킹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암레스트 조절 후 프리 구간을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 전후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11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시트 백프레임(10)에 설치되어지는 바디부(Q)와, 사용자가 조절가능한 레버부(L) 형성된 암레스트(20)와, 시트백의 사이드부(11)에 암레스트(20)를 회전하도록 샤프트가 설치된 백프레임의 브라켓(12)과, 상기 브라켓의 샤프트(13)에 중앙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힌지코어(30)와, 상기 힌지코어(30)의 둥근 외각부를 내측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암레스트 바디부의 내측부(22)에 일체로 형성된 둥근 형상의 회전 가이드부(26)와, 상기 상기 암레스트 바디부(Q)의 내측부(22)에 스크류(80)로 고정되고, 상기 힌지코어(30)를 일정지점에서 정지시킬수 있도록 다수의 투스부(71)가 설치된 가이드기어(70)와,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71)와 록킹되고 힌지코어(30)의 내측장착부(32)에 설치되는 회전투스(50)와, 상기 회전투스의 홀가이드부(51)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코어의 내측장착홈(33)에 양끝단부가 고정되어지는 투스핀(40)과, 상기 회전투스(50)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한쪽 끝단부 회전투스(50)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부는 힌지코어(30)에 고정되는 스프링(60)이 장착된 암레스트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부품이 단순화되고 경량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레스트(2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레버부(L)와 시트 백프레임(10)에 설치되어지는 바디부(Q)로 나눌수 있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20)는 시트 백프레임(10)의 브라켓(12)에 결합되는 외측부(21)와 폼패드가 삽입되는 내측부(22)와 상기 내측부(22)를 둘러싸는 외각둘레부(23)와 상기 브라켓(12)에 암레스트(20)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각둘레부(23)는 상기 가이드기어(70)를 부착하도록 상기 외각둘레부(23)에 홀로 형성된 가이드기어(70) 고정부(24)와 상기 가이드기어(70)를 고정하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스크류홀(74)로 형성된 스크류고정부(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백프레임의 브라켓(12)은 시트 백프레임(10)의 사이드부(11)에 설치되어있고, 암레스트(20)를 회전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13)와 고정부(14)가 브라켓(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부(26)는 상기 바디부(Q)에 둥근홀로 일정부분 내측부(22)로 돌출되어 이루어져 있고, 상기 힌지코어(30)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기어(70)는 외측에는 상기 암레스트의 외각둘레부(23)에 설치된 가이드기어 고정부(24)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후크(73)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후크(73) 아래 부분으로는 스크류(80)가 삽입되도록 스크류홀(74)이 설치되어 있다. 내측에는 상기 회전투스(50)와 록킹하기위한 다수의 투스부(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스부(71)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투스크기는 동일하게 다수개가 구성되어 있으나 가장 하단부(54-2)는 조금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72)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힌지코어(30)는 상기 암레스트(20) 외측부(21)와 결합되는 외측장착부(31)와 상기 회전가이드부(26)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내측장착부(32)와 상기 브라켓의 샤프트(13)가 결합되도록 중앙에 샤프트홀(35)이 형성된 샤프트홀(35)과 상기 투스핀(40)과 회전투스(50)가 장착되도록 외측부(21) 일정부분에 둥근 반원홈으로 형성된 장착홈(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33)은 상기 투스핀(40)이 장착되도록 장착홈(33) 양측에 핀홀(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33)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60)의 한쪽 끝단부가 장착되도록 슬릿홈이 형성된 스프링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투스(50)는 한편에는 상기 힌지코어의 장착홈(33)에 설치되는 투스핀(40)을 수용하기 위한 홀가이드(51)가 형성되고, 다른 한편에는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71)에 결합되도록 경사지게로 형성된 편측투스(5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투스(50)의 일측면에는 한측의 스프링(60)을 가이드하는 스프링홈(53)이 설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편측투스(54)는 상단부(54-1)와 하단부(54-2)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투스핀(40)은 상기 회전투스의 홀가이드(51)를 관통하고, 상기 힌지코어의 장착홈(33)에 형성된 핀홀(34)에 양측 끝단부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투스핀(40)의 중앙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투스(5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피링의 한쪽 끝단부는 상기 힌지코어(30)의 스프링홈(36)에 장착되고, 다른 끝단부는 상기 장착홈(33)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레스트(20) 각도 조절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8에서 11을 참조로 하면, 도 11의 a는 상기 암레스트(20)를 작동하기 전에 암레스트(20)와 회전투스(50) 및 가이드기어(70)가 배치된 형상이다. 여기서 탑승자가 암레스트(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아래방향으로 가압하면, 도 11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회전투스의 편측투스(54)는 상기 가이드기어의 걸림부(72)를 넘어지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기어의 걸림부(72)는 상기 회전투스(50)를 시계반대방향인으로 회전시키게 한다. 이때부터 사용자는 암레스트(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시 암레스트(2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회전투스(50)는 스프링(60)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도 11의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탑승자가 암레스트(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시계반대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회전투스의 편측투스(54)는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71)에 단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8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투스(50)가 정방향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암레스트(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회전궤적(B)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투스의 편측투스(54)는 걸림부(72)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투스(50)를 역방향인 상태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승차자가 암레스트(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암레스트(2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투스 편측투스의 상단부(54-1)는 가이드기어의 걸림부(72)를 타고 넘어서 가이드기어(70) 투스부(71)의 록킹부(L)에 결합된다. 이것으로 1단계로 암레스트(20)를 고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승차자가 계속적으로 조절을 위해 암레스트(20)를 시계반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71)가 상기 회전투스 편측투스(54)의 상단부(54-1)를 시계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켜서 다음 가이드기어의 투스부(71)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회전투스(50)의 록킹은 상기 록킹부(L)의 제3회전궤적(C)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회전투스(50)의 역방향인 시계반대방향 이동은 제1회전궤적(A)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같은 방법으로 암레스트(20)를 단계적으로 상측으로 조절하게 이동하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투스(50)는 제1회전궤적(A)과 제2회전궤적(B)의 사이에는 궤적갭(D)을 두고 회전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암레스트(20)의 각도 조절장치를 회전이동을 따르는 가이드기어(70)?*의 투스부(71)와 고정된 회전투스(50)의 단계적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암레스트(20)의 각도 조절을 경량화하도록 실현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이 가능하다.
10- 시트 백프레임 20- 암레스트
24- 가이드기어 고정부 26- 회전가이드부
30- 힌지코어 33- 장착홈
35- 샤프트홀 40- 투스핀
50- 회전투스 54- 편측투스
60- 스프링 70- 가이드기어
71- 투스부 72- 걸림부
73- 고정후크 80- 스크류
A- 제1회전궤적 B- 제2회전궤적
C- 제3회전궤적 D- 궤적갭
L- 레버부 Q- 바디부

Claims (7)

  1. 시트백프레임(10)에 설치되어지는 바디부(Q)와 사용자가 조절가능한 레버부(L) 형성된 암레스트(20)와,
    시트백의 사이드부(11)에 암레스트(20)를 회전하도록 샤프트가 설치된 백프레임의 브라켓(12)과,
    상기 브라켓의 샤프트(13)에 중앙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힌지코어(30)와,
    상기 힌지코어(30)의 둥근 외각부를 내측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암레스트 바디부의 내측부(22)에 일체로 형성된 둥근 형상의 회전 가이드부(26)와,
    상기 암레스트 바디부(Q)의 내측부(22)에 스크류로 고정되고, 상기 힌지코어(30)를 일정지점에서 정지시킬수 있도록 다수의 투스부(71)가 설치된 가이드기어(70))와,
    상기 암레스트(20)를 조절하여 상하 이동시 회전되어지는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71)와 일정지점에서 록킹되도록 힌지코어(30)의 내측장착부(32)에 회전투스(50)가 장착된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20)는 시트 백프레임(10)의 브라켓(12)에 결합되는 외측부(21)와,
    상기 암레스트(20)의 폼패드가 삽입되는 내측부(22)와,
    상기 내측부(22)를 둘러싸는 외각둘레부(23)로 구성되어 시트 백프레임(10)에 결합되는 바디부(Q)와,
    상기 바디부(Q)에 구성된 외각둘레부(23)에는 상기 가이드기어(70)를 부착하도록 상기 외각둘레부(23)에 홀로 형성된 가이드기어(70) 고정부(24)와,
    상기 가이드기어(70)를 고정하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스크류홀(74)로 형성된 스크류고정부(2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코어(30)는 상기 암레스트의 외측부(21)와 결합되는 외측장착부(31)와,
    상기 회전가이드부(26)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내측장착부(32)와,
    상기 브라켓의 샤프트(13)가 결합되도록 중앙에 샤프트홀(35)이 형성된 샤프트홀(35)과,
    상기 투스핀(40)과 회전투스(50)가 장착되도록 외측부(21)의 일정부분에 둥근 반원홈으로 형성된 장착홈(3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어(70)는 외측에는 상기 암레스트의 외각둘레부(23)에 설치된 가이드기어 고정부(24)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후크(73)와,
    상기 고정후크(73) 아래 부분으로는 스크류가 삽입되도록 설치된 스크류홀(74)과
    상기 가이드기어(70) 내측에는 상기 회전투스(50)와 록킹하기위한 다수의 투스부(71)와,
    상기 투스부(71)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투스크기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가장 하단부(54-2)는 조금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72)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투스(50)는 한편에는 상기 힌지코어의 장착홈(33)에 설치되는 투스핀(40)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홀가이드(51)와,
    다른 한편에는 상기 가이드기어의 투스부(71)에 결합되도록 경사지게로 형성된 편측투스(54)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33)은 상기 투스핀(40)이 장착되도록 장착홈(33) 양측에 설치된 핀홀(34)과,
    상기 장착홈(33)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60)의 한쪽 끝단부가 장착되도록 홈이 형성된 스프링홈(36)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투스핀(40)의 중앙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투스(5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피링의 한쪽 끝단부는 상기 힌지코어(30)의 스프링홈(36)에 장착되고, 다른 끝단부는 상기 장착홈(3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1020190057922A 2019-05-17 2019-05-17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10221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22A KR102218850B1 (ko) 2019-05-17 2019-05-17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22A KR102218850B1 (ko) 2019-05-17 2019-05-17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26A true KR20200132426A (ko) 2020-11-25
KR102218850B1 KR102218850B1 (ko) 2021-02-23

Family

ID=7364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922A KR102218850B1 (ko) 2019-05-17 2019-05-17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24966A (zh) * 2023-12-01 2024-01-02 常州市蓝托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航空座椅侧扶手支架多孔加工设备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430B1 (ko) 2021-07-02 2023-07-17 주식회사 다스 길이 조절식 암레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39701U (zh) * 2013-12-26 2014-07-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扶手组件和具有其的汽车
US20160347215A1 (en) * 2015-05-28 2016-12-01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Ratcheting armrest assembly for a vehicle
KR101921910B1 (ko) 2017-08-08 2018-11-26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39701U (zh) * 2013-12-26 2014-07-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扶手组件和具有其的汽车
US20160347215A1 (en) * 2015-05-28 2016-12-01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Ratcheting armrest assembly for a vehicle
KR101921910B1 (ko) 2017-08-08 2018-11-26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24966A (zh) * 2023-12-01 2024-01-02 常州市蓝托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航空座椅侧扶手支架多孔加工设备及方法
CN117324966B (zh) * 2023-12-01 2024-02-02 常州市蓝托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航空座椅侧扶手支架多孔加工设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850B1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5141B2 (ja) 定点復帰機能付きリクライニング装置並びに同リクライニング装置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KR102218850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US10058178B2 (en) Reclining device
JPS5951285B2 (ja) 自動車用シ−トリクライニ
KR20200132451A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US5553922A (en) Seat reclining apparatus
JP5707817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6141949A (ja) アームレストの角度調整機構
JP5776503B2 (ja)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US6948776B1 (en) Adjustable armrest
JP467217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7566100B2 (en) Seat recliner for vehicles
JP2691345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210125618A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JP2003054293A (ja) 車両用角度可変子供用安全シート
JPS60135338A (ja) シ−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527234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0051385A (ja) アームレスト
JPH0141323Y2 (ko)
KR100353074B1 (ko) 캠을 이용한 시트백 연동식의 버스용 시트
GB2343839A (en) Recliner mechanism
JPS646966B2 (ko)
KR101041786B1 (ko) 럼버 서포터 액츄에이터
KR0140285Y1 (ko)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JP2011031657A (ja) 車両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