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766B1 -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 - Google Patents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766B1
KR101919766B1 KR1020170035059A KR20170035059A KR101919766B1 KR 101919766 B1 KR101919766 B1 KR 101919766B1 KR 1020170035059 A KR1020170035059 A KR 1020170035059A KR 20170035059 A KR20170035059 A KR 20170035059A KR 101919766 B1 KR101919766 B1 KR 101919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esent
plate
mmd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148A (ko
Inventor
유키에 스즈키
카즈오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로서,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를 제공하는 것. KES법에 의한 표면의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가 0.022 이하이고, 또한 표면의 지합 지수가 90 이상인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

Description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PAPER CAPABLE OF STABLE PAPER FEEDING}
본 발명은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로서,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 용지, 공정지, 합지 등의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각종 종이는 다수의 종이가 적층된 적층체의 형태로 시장에 유통되고 있고, 사용시에는 적층체로부터 종이가 1매씩 취출된다.
각종 공업 용도에 있어서의 적층체로부터의 종이의 취출 작업은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통상적으로 기계화 내지 자동화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적층체의 최상위 종이의 단부가 클립 등의 파지 수단, 진공 패드 등의 흡착 수단 등의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고, 당해 유지 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다음 공정에 종이를 1매씩 공급한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308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4169호
그러나, 종이의 적층체의 최상위 종이를 유지 수단으로 유지하고, 당해 유지 수단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최상위 종이와 접촉하고 있는 차위 종이가 딸려 이동해, 당해 차위 종이의 위치가 초기 위치에서 변동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급지 대상인 종이의 위치가 변동되면, 유지 수단이 종이의 일정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안정적인 급지의 실시가 곤란해진다. 특히, 종이 위치의 변동이 커지면 기계에 의한 고속에서의 자동 취출 작업이 곤란해진다.
이에, 적층체의 최상위 종이가 이동할 때의 최상위 종이와 차위 종이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함으로써, 차위 종이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차위 종이의 이동은, 최상위 종이와 차위 종이의 접촉 면적을 저감 하도록 유지 수단을 차위 종이의 지면과 수평 방향뿐 아니라, 당해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로서,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의 적층체의 최상위 종이의 단부를 유지하고 당해 종이를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급지 양태에 의해, 최상위 종이와 접촉하고 있는 차위 종이의 위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종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 표면의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 또한 지합 지수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KES법에 의한 표면의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가 0.022 이하이고, 또한 표면의 지합 지수가 90 이상인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이다.
상기 MMD는 0.0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합 지수는 10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이의 평량은 20∼8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이는 합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지는 금속판용 합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지는 인쇄판용 합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지는 유리판용 합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은 디스플레이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TFT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 및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상기 적층체에서는 상기 금속판, 상기 인쇄판 또는 상기 유리판이 복수 존재하고, 복수의 상기 금속판, 상기 인쇄판 또는 상기 유리판 사이에 상기 종이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를 복수의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 사이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의 보호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의 공급 방법으로서, 적층된 상기 종이의 단부를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하는 공정, 및 상기 유지 수단을 상기 종이의 표면 또는 그 연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표면의 KES법에 의한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를 0.022 이하로 하고, 또한 지합 지수를 9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해,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로서,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종이의 적층체의 최상위 종이의 단부를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하고, 당해 종이를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급지 양태에 의해, 상기 최상위 종이와 접촉하고 있는 차위 종이의 위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유지 수단이 종이의 일정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안정적인 급지의 실시가 가능해 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종이의 적층체로부터의 기계에 의한 고속에서의 안정된 종이의 자동 취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KES법에 의한 표면의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가 0.022 이하이고, 또한 표면의 지합 지수가 90 이상인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목재 펄프는,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NBKP),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LBKP), 침엽수 표백 설파이트 펄프(NBSP), 활엽수 표백 설파이트 펄프(LBSP), 서모 메카니컬 펄프(TMP) 등의 목재 펄프를 단독 혹은 혼합한 것이다.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NBKP) 및 침엽수 표백 설파이트 펄프(NBSP)가 바람직하다. 이 목재 펄프를 주체로 하고, 필요에 따라 이것에 마, 대나무, 짚, 케나프, 닥나무, 삼지닥나무나 무명 등의 비목재 펄프, 양이온화 펄프, 머서화 펄프 등의 변성 펄프, 레이온, 비닐론,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나 화학 섬유, 또는 마이크로피부릴화 펄프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병용할 수 있다. 다만, 펄프 중에 수지 성분이 많이 포함되면, 당해 수지 성분이 본 발명의 종이에 접촉하는 물체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등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수지 성분이 적은 화학 펄프 예를 들면,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쇄목 펄프와 같은 고수율 펄프는 수지 성분이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합성 섬유나 화학 섬유를 혼합시키면 삭도성이 향상되고, 종이를 평판으로 할 때의 작업성은 향상되지만, 폐기물 처리의 면에 있어서 리사이클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목재 펄프를 주체로 한 제지용 섬유에 대해 필요에 따라, 접착제, 방미제, 각종 제지용 충전료, 습윤 지력 증강제, 건조 지력 증강제, 사이즈제, 착색제, 정착제, 대전 방지제, 수율 향상제, 슬라임 컨트롤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약품 첨가시에는 벌레나 먼지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종이용 목재 펄프를 제조할 때에, 목재 펄프의 고해를 진행시키면 지층간 강도가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고해를 진행시킴으로써 목재 펄프 중의 미세 섬유가 증가하면, 사용 중에 지분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고해도를 진행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고해도는 300∼650mlc.s.f.이다.
상기의 목재 펄프를 공지·기존의 장망 초지기, 원망 초지기, 단망 초지기, 장망과 원망의 콤비네이션 초지기 등으로 초조하는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종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이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단층이다.
본 발명의 종이의 두께는 0.01∼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0.5㎜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이의 평량은 20∼80g/㎡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60g/㎡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이의 밀도는 0.40∼1.10g/㎤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0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0∼0.90g/㎤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는 KES법에 의한 표면의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가 0.022 이하이고, 또한 표면의 지합 지수가 90 이상이다.
MMD는 마찰감 테스터(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KES-SE)를 사용하고, 직경 0.5㎜의 피아노선의 다발로 이루어지는 10㎜각의 마찰자를 20g/㎝의 장력으로 고정된 종이의 표면에 50g/c㎡의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면서, 장력이 부여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0.1㎝/초의 시료 이동 속도로 2㎝ 이동시켜 측정되는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값이다.
MMD가 크면, 지면의 마찰 계수가 지면의 위치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마이크로적으로는 종이끼리의 표면의 미소한 요철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MMD가 0.022를 초과하면, 종이끼리의 표면의 미소한 요철이 증대하고, 종이끼리의 걸림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MMD는 0.0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8 이하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고, 0.017 이하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MMD는 예를 들면, 0.001∼0.02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0.0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4∼0.019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지합 지수(Formation Index)」는 종이의 섬유 구조의 균일성의 척도이다. 지합 지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미국 특허 제6,440,267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고, 미국 특허 제6,440,267호 명세서는 인용하는 것에 의해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지합 지수는 시트 포메이션 테스터(예: 포메이션 테스터 FMT-MIII, 노무라 상사 주식회사 제조)로 측정할 수 있다.
지합 지수가 작으면, 종이 중의 섬유 분포가 균일한 것을 의미하고, 섬유의 과다 또는 과소 부위가 적기 때문에, 매크로적으로는 지면의 표면 형상이 보다 균일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면의 표면 형상이 보다 균일하다는 것은 지면이 보다 평면에 가까운 것을 의미하고 있어, 종이끼리의 접촉 면적이 증대된다. 지합 지수가 90 미만이면, 지면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종이끼리의 마찰에 의한 어긋남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지합 지수는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지합 지수는 예를 들면, 95∼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98∼2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210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지합 지수를 소정 범위로 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초지 속도를 조정하거나, 펄프 슬러리 농도를 조정하거나, 초지 공정 중의 와이어 파트의 제트 와이어비(J/W비)를 조정하거나, 와이어 쉐이크 장치를 조정하거나, 와이어의 텐션이나 석션의 조건을 조정하거나, 댄디 롤의 조건을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J/W비는 헤드 박스로부터의 펄프 슬러리 분출에 걸리는 슬라이스 제트 속도와 와이어 속도의 속도비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KES법에 의한 표면의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를 0.022 이하로 하여 지면상의 마이크로적인 요철을 저감하는 한편, 표면의 지합 지수를 90 이상으로 하여 지면의 매크로적인 표면 형상을 굳이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종이끼리가 접촉하는 면적을 저감하여 마찰에 의한 어긋남을 저감하고, 또한 접촉하는 면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적인 요철에 의한 걸림을 저감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의 원료가 되는 목재 펄프의 종류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를 제조할 수 있지만, 범용의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를 제조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종이의 제조 중 및/또는 제조 후에 캘린더 처리, 슈퍼 캘린더 처리, 소프트닙 캘린더 처리, 엠보 등의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가공 처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종이의 표면성을 조정할 수 있고, 지면의 MMD 및 지합 지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의 용도는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인쇄 용지 또는 비인쇄 용지일 수 있다. 비인쇄 용지로는 예를 들면, 공정지 및 합지를 들 수 있다. 어느 쪽이든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는 단부를 유지하여 급지되는 타입의 종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타입의 종이는 비교적 대형의 중량이 비교적 큰 종이인 것이 많고, 또한, 롤 형상의 연속지가 아니라 적절히 컷트된 상태의 불연속지인 것이 많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는 합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지는 예를 들면, 금속판, 인쇄판(기판 상에 감광성의 화상 형성성층이 존재한다), 유리판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는 금속판용 합지, 인쇄판용 합지 또는 유리판용 합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 및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서는 상기 금속판, 상기 인쇄판 또는 상기 유리판이 복수 존재하고, 복수의 상기 금속판, 상기 인쇄판 또는 상기 유리판 사이에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를 복수의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 사이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의 보호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가 유리판용 합지인 경우,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는 유리판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유리판용 합지는 복수의 유리판 사이에, 전형적으로는 1매씩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적층체가 되고, 당해 적층체가 보관, 운반의 대상이 된다. 이와 같이, 유리판용 합지를 복수의 유리판 사이에 삽입하여 유리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용 합지를 이용하여 유리판 단체 또는 상기 적층체를 포장해도 된다.
유리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특히, TFT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플랫 패널·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의 사이즈 및 중량은 증대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종이로 이루어지는 유리판용 합지는 그와 같은 대형 내지 고중량의 유리판의 표면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의 공급 방법으로서, 적층된 상기 종이의 단부를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하는 공정, 및 상기 유지 수단을 상기 종이의 표면 또는 그 연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표면의 KES법에 의한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를 0.022 이하로 하고, 또한 지합 지수를 9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방법이다.
MMD는 0.0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7 이하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MMD는 예를 들면, 0.001∼0.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0.0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4∼0.017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지합 지수는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지합 지수는 예를 들면, 95∼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98∼2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210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 적층된 종이의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클립, 한 쌍의 롤 등의 파지 수단, 진공 패드 등의 흡착 수단 등의 급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임의의 유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지 수단에 의해 단부가 유지되는 종이는 적층되어 있는 종이의 최상위 종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부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부로는 종이의 주변부의 임의의 부위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이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1∼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4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 수단의 이동 방향은 상기 종이의 표면 또는 그 연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종이의 표면 또는 그 연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 벡터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유지 수단의 이동 방향은 상기 종이의 표면 또는 그 연장면의 방향으로의 이동 벡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지 수단을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되고, 상기 유지 수단을 지면으로부터 경사 상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는, 적층된 종이를 유지 수단으로 이동시켜도 당해 종이와 접촉하고 있는 차위 종이의 위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는 유지 수단이 종이의 일정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안정적인 급지의 실시가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MD]
마찰감 테스터(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KES-SE)를 사용하고, 직경 0.5㎜의 피아노선의 다발로 이루어지는 10㎜각의 마찰자를 20g/㎝의 장력으로 고정된 종이의 표면에 50g/c㎡의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면서, 장력이 부여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0.1㎝/초의 시료 이동 속도로 2㎝ 이동시켜 측정되는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 값을 MMD로 하였다.
[지합 지수]
포메이션 테스터 FMT-MIII(노무라 상사 주식회사 제조)로 지합 지수를 측정 하였다.
[급지 테스트]
종이를 국반판(636㎜×470㎜)의 사이즈로 재단하고, 이것을 7000매 적층하였다. 이것을 종이의 단부를 유지하여 급지하는 타입의 시판의 인쇄기에 공급하고, 25℃, 상대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7000매/시의 속도로 7000매 연속 인쇄하고 다음의 판정을 하였다.
◎: 종이가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급지할 수 있었다.
○: 급지 중에 있어서 최상위가 되는 종이가 급지되었을 때에, 차위 종이가 딸려가 위치가 이동하는 현상이 보였으나, 인쇄기가 정지하지 않고 급지 작업이 계속되었다.
×: 급지 중에 있어서 최상위가 되는 종이가 급지되었을 때에, 차위 종이가 딸려가 위치가 이동하는 현상이 보이고, 인쇄기가 정지하는 장면이 있었다.
[실시예 1]
목재 펄프로서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와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를 질량비로 90:10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것을 이해하고 고해도를 520mlc.s.f.로 제조한 슬러리에 지력 증강제로서 양이온화 전분(상품명: 지력제 DD4280, 세이코우 PMC사 제조)를 전체 펄프 질량에 대해 0.1질량부 첨가하고, 0.2질량% 농도의 펄프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J/W비 0.97의 조건에서 장망 초지기로 초지하고, 추가로 소프트닙 캘린더로 비가열 조건하에서 60kgf/㎝ 이하의 선압으로 경도의 평활화 처리를 행하고, 평량 55g/㎡의 종이를 얻었다. 얻어진 종이의 MMD는 0.022이며, 지합 지수는 93이었다.
[실시예 2]
J/W비 0.95의 조건에서 초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평량 55g/㎡의 종이를 얻었다. 얻어진 종이의 MMD는 0.021이며, 지합 지수는 102였다.
[실시예 3]
소프트닙 캘린더로 비가열 조건하에서 80kgf/㎝의 선압으로 평활화 처리를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평량 55g/㎡의 종이를 얻었다. 얻어진 종이의 MMD는 0.018이며, 지합 지수는 93이었다.
[비교예 1]
J/W비를 1.0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평량 55g/㎡의 종이를 얻었다. 얻어진 종이의 MMD는 0.021이며, 지합 지수는 88이었다.
[비교예 2]
캘린더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평량 55g/㎡의 종이를 얻었다. 얻어진 종이의 MMD는 0.025이며, 지합 지수는 94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로 얻은 종이를 사용하여 급지 테스트를 행한 결과, 실시예 1은 ○,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은 ◎이었지만, 비교예는 전부 ×였다.

Claims (14)

  1. KES법에 의한 표면의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가 0.022 이하이고, 또한 표면의 지합 지수가 90 이상인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MD가 0.018 이하인 종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합 지수가 100∼210인 종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평량이 20∼80g/㎡인 종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합지인 종이.
  6. 제 5 항에 있어서,
    금속판 용합지인 종이.
  7. 제 5 항에 있어서,
    인쇄판용 합지인 종이.
  8. 제 5 항에 있어서,
    유리판용 합지인 종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이 디스플레이용인 종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TFT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종이.
  11. 적어도 하나의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종이, 및
    적어도 하나의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 상기 인쇄판 또는 상기 유리판이 복수 존재하고,
    복수의 상기 금속판, 상기 인쇄판 또는 상기 유리판 사이에 상기 종이가 존재하는 적층체.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종이를 복수의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 사이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금속판, 인쇄판 또는 유리판의 보호 방법.
  14.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하는 종이의 공급 방법으로서,
    적층된 상기 종이의 단부를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하는 공정, 및
    상기 유지 수단을 상기 종이의 표면 또는 그 연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표면의
    KES법에 의한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를 0.022 이하로 하고, 또한
    지합 지수를 9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방법.
KR1020170035059A 2016-03-31 2017-03-21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 KR101919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2970 2016-03-31
JP2016072970A JP6712890B2 (ja) 2016-03-31 2016-03-31 給紙作業を安定に実施可能な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148A KR20170113148A (ko) 2017-10-12
KR101919766B1 true KR101919766B1 (ko) 2018-11-19

Family

ID=6000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59A KR101919766B1 (ko) 2016-03-31 2017-03-21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12890B2 (ko)
KR (1) KR101919766B1 (ko)
TW (1) TWI677462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862A (ja) * 2007-03-29 2008-11-06 Oji Paper Co Ltd ガラス合紙
JP2013124169A (ja) * 2011-12-15 2013-06-24 Asahi Breweries Ltd バッチシート給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6711A (en) * 1967-02-02 1971-04-27 Abitibi Paper Co Ltd Fibreboard including paper sheet with woodgrain line pattern and complementary, but non-registering embossed pattern
JPH05201572A (ja) * 1991-07-29 1993-08-10 Riso Kagaku Corp 紙さばき式用紙給送装置
JP3115171B2 (ja) * 1993-11-05 2000-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用紙、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3454483B2 (ja) * 1993-12-28 2003-10-06 株式会社クレシア 柔軟なクレープ紙及びその製造方法
EP1400199B1 (en) * 2001-05-28 2018-01-03 Daio Paper Corporation Thin sanitary paper roll
JP3502378B2 (ja) * 2001-07-31 2004-03-02 株式会社メンテック 段ボール用中芯原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20764A (ja) * 2002-02-27 2003-11-11 Tokushu Paper Mfg Co Ltd 平版印刷版用合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3929865B2 (ja) * 2002-09-26 2007-06-13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合紙取出し装置及び合紙取出し方法
JP2006256820A (ja) * 2005-03-18 2006-09-28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86824B2 (ja) * 2009-03-02 2014-05-07 大王製紙株式会社 金属合紙
US8822035B1 (en) * 2010-09-17 2014-09-02 Expera Specialty Solutions, Llc Erucamide-coated paper for transfer of a slip agent
TWI553190B (zh) * 2011-07-25 2016-10-11 王子控股股份有限公司 非塗覆紙及塗覆紙
CA2849451C (en) * 2011-09-23 2021-07-06 Albany International Corp. Drum lagging material and installation apparatus therefor
JP5916481B2 (ja) * 2012-03-30 2016-05-11 大王製紙株式会社 ガラス合紙及び積層体
JP6171327B2 (ja) * 2012-12-19 2017-08-02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合紙およびガラス板梱包体
JP6237501B2 (ja) * 2014-07-02 2017-11-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ガラス合紙
CN204659126U (zh) * 2015-04-30 2015-09-23 黑龙江好家木业有限责任公司 纸饰面中密度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862A (ja) * 2007-03-29 2008-11-06 Oji Paper Co Ltd ガラス合紙
JP2013124169A (ja) * 2011-12-15 2013-06-24 Asahi Breweries Ltd バッチシート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148A (ko) 2017-10-12
JP2017179678A (ja) 2017-10-05
TW201738165A (zh) 2017-11-01
TWI677462B (zh) 2019-11-21
JP6712890B2 (ja)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7063B2 (ja) ガラス合紙
JP4585551B2 (ja) 衛生薄葉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6179466B2 (ja) ガラス合紙
US10189292B2 (en) Method for the surface application of a security device to a substrate
US7311801B2 (en) Newsprint papers
JP2016035125A (ja) ガラス板用合紙
JP5916481B2 (ja) ガラス合紙及び積層体
KR101919766B1 (ko) 급지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 가능한 종이
KR101940087B1 (ko) 유리 합지
KR101712692B1 (ko)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JP2019055820A (ja) ガラス合紙
US20030118769A1 (en) Release lin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lease liner
JP2013204194A (ja) ガラス合紙及び積層体
JP2003175966A (ja) チップ状電子部品のキャリアテープ紙
JP2004131901A (ja) 低米坪印刷用紙
KR102592443B1 (ko) 유리판용 합지 및 유리판용 합지로부터의 지분 발생 억제 방법
KR101970166B1 (ko) 기록 용지, 및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JP2012096870A (ja) 薬液塗布二次原反ロールユニット及び薬液塗布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H0542961A (ja) 印刷および情報記録に用いられる小判断裁紙堆積体用包装紙
JP4172702B2 (ja) クリースが圧刻された加工用紙
JP2005290621A (ja) 加工用原紙
JP2007231443A5 (ko)
JP2019065412A (ja) 印刷物用敷紙
JP2007231443A (ja) Icチップカード用紙及びそれを用いたicチップカード
JP2006104623A (ja) 紙の製造方法、紙、及び紙ロ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