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208B1 -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208B1
KR101919208B1 KR1020167014316A KR20167014316A KR101919208B1 KR 101919208 B1 KR101919208 B1 KR 101919208B1 KR 1020167014316 A KR1020167014316 A KR 1020167014316A KR 20167014316 A KR20167014316 A KR 20167014316A KR 101919208 B1 KR101919208 B1 KR 10191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hannel
message
monitoring
outpu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561A (ko
Inventor
모리스 뫼케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6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39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57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time limit, i.e. time-out, e.g. watchdo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10)에서 통신 채널(11)에 연결된 장치(15)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정해진 기간보다 더 짧거나 그와 동일하다면, 상기 방법의 경우, 장치(15)가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장치(15)로부터는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가 통신 채널로 출력될 수 있다. 장치(15)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한다면, 장치는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Description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METHOD FOR MONITORING AN APPARATU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은 차량에서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차량의 통신 채널과 연결되어 그 기능성이 모니터링되는 차량용 장치에도 관한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차량에서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도 관한 것이다.
예컨대 승용차 또는 화물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서, 다수의 전자 장치, 이른바 제어 유닛이 이용된다. 이런 장치들은 예컨대 엔진 기능들, 예컨대 전자 섀시 제어나 브레이크 제어와 같은 차량 기능들, 및 예컨대 전자 시트 조정이나 미러 조정과 같은 편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런 전자 장치들은 차량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버스를 통해, 예컨대 이른바 CAN 버스를 통해 정보들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들 또는 제어 유닛들 중 몇몇은 일시적으로만 차량 내의 데이터 통신에 참여한다. 제어 유닛이 이용되지 않을 때, 이 제어 유닛은 예컨대 데이터 트래픽을 중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들 또는 제어 유닛들의 적합한 기능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의 관점에서, 모니터링할 제어 유닛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그런 유형의 상태는 제어 유닛의 고장과 구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형의 제어 유닛들은 통상 제한적으로만 모니터링된다.
이와 관련하여, EP 1 634 258 B1은 부당한 제거로부터 전자 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제1 장치는 장치들 중에서 안전 장치로서 자동 선택된다. 이런 장치는 주기적으로 안전 신호를 전송하며, 그리고 또 다른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장치가 정해진 시간 후에 안전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안전 반응이 상기 하나의 또 다른 장치에 의해 트리거된다. 안전 장치가 비활성화되면, 이 안전 장치는, 우선 안전하게 보호될 장치들에게 추가의 안전 신호들이 안전 장치에 의해 전송되지 않으며, 그 결과 나머지 장치들에서 추가의 장치가 안전 장치로서 자동 선택된다는 점을 지시하는 로그오프 신호를 전송한다.
DE 10 2006 040 442 B4는, 버스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제어 유닛을 이용하는, 자동차에서의 버스 통신 관리에 관한 것이다. 제어 유닛들의 활동은 제어 유닛들 사이에서 버스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통신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1 제어 유닛은, 차량이 정지 상태에 위치하면, 버스 시스템 상에서의 통신을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제어 유닛은, 제1 제어 유닛이 통신을 허용하지 않으면, 버스 시스템 상에서의 통신을 중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미 존재하는 또 다른 제어 유닛들과 버스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하나의 제어 유닛의 통신을 중단하는 강제 종료(Force-Shut-Down) 특수 기능도 존재한다.
US 7,764,185 B1은, 네트워크 정보 시스템 내부의 하나 이상의 개별 유닛으로 이벤트 경고 메시지들의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이벤트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가 이용되지 않을 때 컴퓨터가 수면 작동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에너지의 절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US 2011/0083029 A1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제1 제어 장치는 시스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제어 장치는 상기 시스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는 컴포넌트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제2 제어 장치의 비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비활성화 입력단(disable input)을 포함할 수 있다.
DE 10 2007 061 724 A1은, 통신 시스템의 송신 서브스크라이버로부터 통신 시스템의 통신 매체를 통해 통신 시스템의 수신 서브스크라이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는 통신 매체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블록을 각각 포함하는 메시지들로 전송된다. 수신 서브스크라이버는 수신된 메시지들에서 데이터 블록들의 말단을 식별하고 이어서 식별된 데이터 블록들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DE 60 2005 005 108 T2는, 하나의 주 제어 장치와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내의 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 제어 장치는, 배터리 에너지원으로부터 전원 공급받는 버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유닛과의 직렬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도록 제공된다. 직렬 데이터 전송은, 주 제어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유닛으로 작동 명령을 공급하는 것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주 제어 장치로 다양한 정보들을 공급하기 위해 실행된다. 주 제어 장치는 배터리 에너지원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압 모니터를 포함한다. 주 제어 장치는, 배터리 에너지원의 전압이 사전 결정된 전압 범위 이내라면, 주 제어 장치와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장치 사이의 연결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하는 연결 허가 유닛을 포함한다. 연결 허가 유닛은, 배터리 에너지원이 사전 결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면, 데이터 연결의 전송을 금지한다.
DE 10 2005 015 912 A1은, 제1 부하 장치와 하나 이상의 제2 부하 장치 및 모니터링 유닛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제1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 및 추가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가 송신되는, 네트워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메시지들에 따라서, 제1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제1 내지 제2 부하 장치에 할당된다. 제1 부하 장치는 일시적으로 제1 동작 작동 상태에서, 그리고 일시적으로 수면 작동 상태에서 작동된다. 제1 부하 장치는, 자신이 일측의 작동 상태에서 타측의 작동 상태로 변경되면, 작동 상태의 변경을 지시하는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최초에 기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들의 향상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모니터링 장치가 특히 일시적으로만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에 참여하는 장치들 및 제어 유닛들도 신뢰성 있게 모니터링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제1항에 따르는, 차량에서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청구항 제6항에 따르는 차량용 장치, 청구항 제8항에 따르는, 차량에서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청구항 제10항에 따르는 차량을 통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선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에서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장치로부터 통신 채널로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정해진 기간보다 더 짧거나 그와 동일하다면, 본원의 방법의 경우, 장치가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그 밖에도, 특히 장치가 예컨대 내부 상태들을 기반으로 예측하여 향후 상대적으로 더 오랜 시간 동안 추가의 메시지들을 통신 채널로 출력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였다면, 장치로부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가 통신 채널로 출력된다. 장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한다면, 비록 장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의 출력 이후 정해진 기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지났다고 하더라도, 장치는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장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는, 장치가 적합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직전에, 통신 채널로 출력된 메시지를 지칭한다. 달리 말하면, 장치의 모니터링은, 장치가 그 시간 간격이 정해진 기간보다 더 짧거나 그와 동일한 메시지들을 출력하는 점에 한해, 장치는 양호한 것으로 분류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장치가 예측하여 정해진 기간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했다면, 장치는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는 예컨대 사전 결정된 메시지일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 메시지 내의 정해진 지정자(qua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한 후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은 더 이상 장치의 적합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또한, 장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하고 이런 모니터링 로그 오프 메시지의 출력 이후 정해진 기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지나갔다면, 장치는 양호한 것으로서 분류된다. 따라서 장치는 적시에 모니터링하는 장치에서 로그오프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보장될 수 있다. 통신 결함들 또는 장치의 고장들은 장치의 로그오프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뢰성 있게 식별될 수 있다. 장치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송신했다면, 장치는 모니터링에서 자동으로 제거됨으로써, 전반적으로 최초로 장치의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본원의 방법의 경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한 장치는, 이 장치가 추가 메시지를 통신 채널로 출력할 때까지, 모니터링에서 배제된다. 추가 메시지는 예컨대 통상적인 데이터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는, 통신 채널 상의 통신에 다시 참여하면, 곧바로 다시 모니터링에 자동으로 수용된다. 통신 채널에서의 특별한 로그온은 필요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부가적인 통신 메시지들은 방지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장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고 추가로 장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의 출력 이후 정해진 기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지나갔다면, 장치는 적합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장치의 고장은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다. 정해진 기간은 예컨대 20㎳ 내지 2s 범위의 값을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고장의 신속한 검출이 가능하다. 장치는 예컨대 적합한 상태에 있으면서, 모니터링으로부터 로그오프하지 않고도 예컨대 사전 결정된 기간보다 5 ~ 10배 더 짧은 간격으로 메시지들을 송출할 수 있다. 이는 모니터링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예컨대 CAN 버스처럼 비결정성 버스 시스템들의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통신 채널은 차량 데이터 버스, 특히 이른바 CAN(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차량 데이터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장치들은 신뢰성 있게 자신들의 적합한 상태와 관련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으면서도, 이때 상기 장치들은, 비록 실제로 통신이 요구되지 않더라도, 예컨대 사전 결정된 기간 이내에 메시지들을 출력하기 위해 차량 데이터 버스 상에서 불필요하게 높은 통신 부하를 생성하지도 않는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의 통신 채널과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장치가 제공된다. 처리 유닛은, 장치가 통신 채널로 추가 메시지를 출력할 때까지 장치가 이후 모니터링에서 배제된다는 점을 지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채널로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장치가 통신 채널 상의 통신에 참여하는 점에 한해, 장치는 상응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자신의 적합한 기능과 관련하여 모니터링되는 점이 가능해진다. 장치가 통신 채널을 통한 자신의 통신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중지한다면, 장치는 이를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통해 시그널링하며, 그럼으로써 모니터링하는 장치가 잘못하여 장치의 메시지들의 부재(不在)로 인한 장치의 결함을 지시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통신 채널 상에서 통신 발생은 감소될 수 있고, 그 밖에도 예컨대 장치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 한해 이른바 수면 작동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장치 내에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그 결과, 그 밖에도, 장치의 내구성이 개량될 수 있다.
장치는 예컨대 시트 조정 장치, 미러 조정 장치와 같은 차량의 편의 제어 유닛, 또는 라디오와 같은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장치는 트레일러 커플링용 제어 유닛 또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유닛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편의 제어 유닛들, 또는 트레일러 커플링용 제어 유닛들 및 충전 유닛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통신 채널에 출력한 후에, 상대적으로 더 오랜 시간 동안 자신의 통신을 중지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수면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 밖에도, 차량에서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도 제공된다. 모니터링 장치는 통신 채널과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정해진 기간보다 더 짧거나 그와 동일하다면, 처리 유닛은, 장치가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처리 유닛은, 장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한다면, 비록 장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상기 메시지의 출력 이후 정해진 기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지났다고 하더라도, 장치가 적합한 상태로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달리 말하면, 장치가 정해진 기간보다 더 짧거나 그와 동일한 간격으로 메시지들을 송출하는 점에 한해, 또는 장치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장치는 적합한 것으로서 식별된다.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의 송출 후에는, 추가 메시지들이 정해진 기간보다 더 짧거나 그와 동일한 간격으로 송출되는지의 여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모니터링 장치는 앞서 기술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방법과 관련하여 앞서 기술한 장점들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통신 채널과,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될 장치와,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은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된다. 통신 채널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될 장치와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원의 차량의 경우, 모니터링될 장치들이 일시적으로만 차량 내의 데이터 통신에 참여할 때에도, 모니터링될 장치들의 신뢰성 있는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통신 채널은 차량 데이터 버스, 특히 이른바 CAN(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차량 데이터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장치들은 신뢰성 있게 자신들의 적합한 상태와 관련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으면서도, 이때 상기 장치들은, 비록 실제로 통신이 요구되지 않더라도, 예컨대 사전 결정된 기간 이내에 메시지들을 출력하기 위해 차량 데이터 버스 상에서 불필요하게 높은 통신 부하를 생성하지도 않는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의 통신 채널과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장치가 제공된다. 처리 유닛은, 장치가 통신 채널로 추가 메시지를 출력할 때까지 장치가 이후 모니터링에서 배제된다는 점을 지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채널로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장치가 통신 채널 상의 통신에 참여하는 점에 한해, 장치는 상응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자신의 적합한 기능과 관련하여 모니터링되는 점이 가능해진다. 장치가 통신 채널을 통한 자신의 통신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중지한다면, 장치는 이를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통해 시그널링하며, 그럼으로써 모니터링하는 장치가 잘못하여 장치의 메시지들의 부재(不在)로 인한 장치의 결함을 지시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통신 채널 상에서 통신 발생은 감소될 수 있고, 그 밖에도 예컨대 장치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 한해 이른바 수면 작동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장치 내에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그 결과, 그 밖에도, 장치의 내구성이 개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는, 통신 채널(1), 예컨대 차량 통신 버스, 예컨대 CAN 버스를 포함하는 차량(10)이 도시되어 있다. 통신 채널(11)은 장치들, 이른바 차량(10) 내에 상이한 기능들의 제어를 위해 배치된 장치들 또는 제어 유닛들(15 및 18 ~ 20)을 연결한다. 예컨대 제어 유닛들(15 및 18)은 운전석 내지 조수석 시트의 시트 조정을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어 유닛(20)은 예컨대 차량(10)의 (미도시된) 트레일러 커플링을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은 그 밖에도 제어 유닛(15 및 18 ~ 20)을 모니터링하도록 형성된 모니터링 장치(12)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들(15 및 18 ~ 20) 각각은 통신 채널(11)과 제어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7)를 각각 포함한다. 그 밖에도, 각각의 제어 유닛(15 및 18 ~ 20)은 처리 유닛(16),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각각 포함한다. 모니터링 장치(12)는 통신 채널(11)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14)뿐 아니라 처리 유닛(13)도 포함한다.
장치들(15 및 18 ~ 20)의 모니터링을 위해, 모니터링 장치(12)는, 장치들(15 및 18 ~ 20)로부터 통신 채널(11)로 출력되는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한다. 도 2에는, 예시로서 장치들(15 및 18 ~ 20)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모니터링될 장치들(15 및 18 ~ 20) 각각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예컨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모니터링 장치(12)의 처리 유닛(13) 내에 실현될 수 있다. 단계 100에서 장치(15, 18, 19 또는 20)의 모니터링이 개시된다. 단계 101에서는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계 102에서는, 메시지가 상응하는 장치로부터 통신 채널(11)로 출력되어 모니터링 장치(12)에 의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처리 유닛(13)은 단계 103에서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전 결정된 기간이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기간은 예컨대 200㎳ 내지 2s 범위의 값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런 사전 결정된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점에 한해, 처리 유닛(13)은 계속하여 단계 102에서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단계 103에서, 사전 결정된 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처리 유닛(13)은 단계 104에서 상응하는 장치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데, 그 이유는 사전 결정된 기간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메시지가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계 102에서 메시지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다면, 곧바로 처리 유닛(13)은 단계 105에서 상응하는 장치가 적합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상응하는 장치가 지정된 기간 이내에 메시지를 출력했기 때문이다. 단계 106에서는 처리 유닛(13)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가 아니었다면, 본원의 방법은 단계 101에서 타이머의 재시작으로 계속 진행된다. 수신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였다면, 본원의 방법은 단계 107로 계속 진행된다. 여기서 처리 유닛(13)은, 추가 메시지가 장치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메시지가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곧바로 본원의 방법은 단계 101로 계속 진행된다.
차량의 몇몇 제어 유닛 또는 장치는 일시적으로만 차량 내의 데이터 통신에 참여하기 때문에, 이는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의해 통상적으로 진정한 고장과 구별될 수 없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상기 유형의 제어 유닛들은 제한적으로만 모니터링된다. 앞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서, 제어 유닛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에 의해, 적시에, 예컨대 예측하여 잠정적으로 마지막인 메시지 출력의 직후에, 또는 그 후 예컨대 1초 후에 모니터링하는 제어 유닛에서 로그오프된다. 따라서 모니터링은 상기 작은 범위에까지 항상 보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일시적으로만 데이터 통신에 참여하는 제어 유닛들도 모니터링하는 점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서 모니터링하는 제어 유닛(12)은 자신의 모니터링을 중지한다. 장치들(15 및 18 ~ 20) 중 하나의 장치에 진정한 결함이 있는 경우, 모니터링 로그오프를 통한 통지 없이 데이터 트래픽은 제공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이는 모니터링 장치(12)에 의해 신뢰성 있게 식별될 수 있다. 장치들(15 및 18 ~ 20)의 전형적인 결함 사례들은 예컨대 출력 중단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데이터 통신 채널이 더 이상 작동할 수 없거나, 또는 모니터링하는 장치(15, 18 ~ 20)로 향하는 에너지 공급이 실행될 수 없게 된다.
앞서 기술한 방법의 도입은, 신규 제어 유닛들이 모니터링 장치와 독립적으로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공급함으로써, 이전까지의 버스 시스템들에 대해 호환 가능하게 실행될 수 있다. 통상적인 모니터링 장치들은, 이미 미확인 메시지들이 점화 장치가 활성화될 때에만 작동하는 유닛들의 모니터링에 할당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장치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한다면, 모니터링 장치는 점화 장치가 활성화될 때에만 작동하면서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유닛을 기초로 하게 된다.

Claims (14)

  1. 차량에서 통신 채널(11)에 연결된 장치(15)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장치(15)에 의해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미리 정해진 기간 이하이면, 상기 장치(15)는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장치(15)로부터 상기 통신 채널(11)로의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장치(15)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한 메시지 출력을 중지할 때, 상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는 중지를 포함하는 것인, 로그오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길고, 상기 장치(15)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할 때, 상기 장치(15)는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통신 채널(11)의 통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한 장치(15)가 상기 통신 채널(11)로 추가 메시지를 출력할 때까지 모니터링에서 상기 장치(15)를 배제하는 단계로서, 상기 장치(15)가 배제되는 동안에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해 상기 장치(15)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없는 것인, 모니터링에서 상기 장치(15)를 배제하는 단계;
    상기 장치(15)에 의해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상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상기 장치(15)에 의해 상기 통신 채널(11)로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의 출력 이후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보다 더 많은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15)가 적합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15)의 상태의 결정은, 상기 장치(15)에 의해 상기 통신 채널(11)로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와,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상기 장치(15)로부터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의 부재(absence)에 기초하는 것인, 통신 채널(11)에 연결된 장치(15)의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은 20㎳ 내지 2s 범위의 값을 갖는 것인, 통신 채널(11)에 연결된 장치(15)의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은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더 짧은 것인, 통신 채널(11)에 연결된 장치(15)의 모니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장치(15)로부터 상기 통신 채널(11)로의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장치(15)를 수면 작동 모드(sleep mode of operation)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채널(11)에 연결된 장치(15)의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11)은 차량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채널(11)에 연결된 장치(15)의 모니터링 방법.
  7. 차량용 장치(15)에 있어서,
    - 차량(10)의 통신 채널(11)과 장치(15)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7), 및
    - 상기 장치(15)에 의해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미리 정해진 기간 이하이면, 상기 장치(15)는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길고 상기 장치(15)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한다면, 상기 장치(15)는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처리 유닛(16)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16)은 상기 장치(15)가 추가 메시지를 상기 통신 채널(11)로 출력할 때까지 상기 장치(15)가 이후 모니터링에서 배제되는 것을 표시하여 상기 통신 채널(11)의 통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17)를 통해 상기 통신 채널(11)로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15)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한 메시지 출력을 중지할 때, 상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는 중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15)가 배제되는 동안에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해 상기 장치(15)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없고,
    상기 장치(15)에 의해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상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상기 장치(15)에 의해 상기 통신 채널(11)로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의 출력 이후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보다 더 많은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15)가 적합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장치(15)의 상태의 결정은, 상기 장치(15)에 의해 상기 통신 채널(11)로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와,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상기 장치(15)로부터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의 부재(absence)에 기초하는 것인, 차량용 장치(15).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5)는 상기 차량(10)의 시트 조정 장치 및 미러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편의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장치(15).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5)는 수면 작동 모드를 가지며, 상기 장치(15)는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의 출력 후에 상기 처리 유닛(16)을 통해 수면 작동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장치(15).
  10. 차량에서 통신 채널(11)에 연결된 장치(15)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12)에 있어서,
    - 상기 통신 채널(11)과 상기 모니터링 장치(12)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4), 및
    - 상기 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미리 정해진 기간 이하이면, 상기 장치(15)는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길고 상기 장치(15)로부터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할 때, 상기 장치(15)는 적합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13)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15)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한 메시지 출력을 중지할 때, 상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는 중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13)은, 상기 통신 채널(11)의 통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출력한 장치(15)가 상기 통신 채널(11)로 추가 메시지를 출력할 때까지, 모니터링에서 상기 장치(15)를 배제하며,
    상기 장치(15)가 배제되는 동안에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해 상기 장치(15)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없고,
    상기 장치(15)에 의해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가 상기 모니터링 로그오프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상기 장치(15)에 의해 상기 통신 채널(11)로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의 출력 이후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보다 더 많은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15)가 적합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장치(15)의 상태의 결정은, 상기 장치(15)에 의해 상기 통신 채널(11)로 마지막으로 출력된 메시지와,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상기 장치(15)로부터 상기 통신 채널(11)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의 부재(absence)에 기초하는 것인, 모니터링 장치(12).
  11. 삭제
  12. 차량(10)에 있어서,
    - 상기 차량(10)에서 장치들(12, 15, 18 내지 20)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채널(11); 및
    - 상기 통신 채널(11)과 연결되는 제10항에 따르는 모니터링 장치(12)를
    포함하는, 차량(10).
  13. 삭제
  14. 삭제
KR1020167014316A 2012-09-01 2013-08-28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101919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17386.5A DE102012017386B4 (de) 2012-09-01 2012-09-01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mit einem Kommunikationskanal verbundenen Vorrichtung
DE102012017386.5 2012-09-01
PCT/EP2013/067822 WO2014033171A1 (de) 2012-09-01 2013-08-28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mit einem kommunikationskanal verbundenen vorrichtu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269A Division KR20150052186A (ko) 2012-09-01 2013-08-28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561A KR20160066561A (ko) 2016-06-10
KR101919208B1 true KR101919208B1 (ko) 2018-11-15

Family

ID=490836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316A KR101919208B1 (ko) 2012-09-01 2013-08-28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1020157008269A KR20150052186A (ko) 2012-09-01 2013-08-28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269A KR20150052186A (ko) 2012-09-01 2013-08-28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17741B2 (ko)
JP (1) JP6234460B2 (ko)
KR (2) KR101919208B1 (ko)
CN (1) CN104584485B (ko)
DE (1) DE102012017386B4 (ko)
WO (1) WO2014033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4798B (zh) * 2016-07-04 2019-01-08 江苏卡威汽车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can通讯总线系统的故障诊断方法
JP2018086950A (ja) * 2016-11-29 2018-06-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10356203B2 (en) * 2016-12-15 2019-07-16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Fault-tolerant operational group on a distributed network
US10326643B2 (en) 2016-12-27 2019-06-18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Self-configuring fault-tolerant operational group
KR102030462B1 (ko) * 2017-12-08 2019-10-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복수의 차량용 멀티 코어 프로세서 오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8545A1 (en) * 2004-02-12 2005-09-08 Sony Corporation Automatic user device presence registration system
US20120213087A1 (en) * 2011-02-09 2012-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erforming Lifebeat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094A (ja) * 1989-10-24 1991-06-1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通信装置
US6367022B1 (en) * 1999-07-14 2002-04-0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ower management fault strategy for automotive multimedia system
US6604038B1 (en) * 1999-11-09 2003-08-05 Power Talk, Inc.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stablishing a remote data link with a vehicle with minimal data transmission delay
JP3901987B2 (ja) * 2001-10-31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制御装置
EP1634258B1 (en) 2003-06-05 2007-04-1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Method of safeguarding electronic devices
EP1728086A1 (en) * 2004-03-15 2006-12-06 Hydrogenics Corporation Test station for a fuel cell power module
DE102005015912B4 (de) 2004-04-14 2011-02-24 Audi Ag Betrieb eines Netzwerkes, Netzwerk und Netzwerkkomponent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Netzwerkes sowie Netzwerkteilnehmer
JP2005335607A (ja) 2004-05-28 2005-12-08 Calsonic Kansei Corp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載ネットワークのマスター装置
JP4610300B2 (ja) 2004-11-02 2011-01-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方法
CA2611527A1 (en) * 2005-06-09 2006-12-21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d management of, at least one component within a household appliance
US7764185B1 (en) 2006-01-26 2010-07-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ystem, user warn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use therei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for tactical distributed event warning notification for individual entities
DE102006040442B4 (de) 2006-08-29 2009-04-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uskommunikationsmanagement bei einem Kraftfahrzeug mit mehreren, über einen Bus verbundenen Steuergeräten
CN100559749C (zh) 2007-09-29 2009-11-11 航天东方红卫星有限公司 一种星上网络总线冗余备份的实现方法
DE102007061724A1 (de) 2007-12-20 2009-06-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in einem zyklusbasierten Kommunikationssystem
CN101417636B (zh) * 2008-03-14 2013-03-20 北京理工大学 基于三路can总线的纯电动客车通信系统和方法
US8886974B2 (en) 2009-10-06 2014-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er
DE102010008818A1 (de) * 2010-02-22 2011-08-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30165 Verfahren zur Aktivierung einer Netzwerk-Komponente eines Fahrzeug-Netzwerksystems
JP5717240B2 (ja) * 2010-08-09 2015-05-13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2012074849A (ja) * 2010-09-28 2012-04-12 Toshiba Corp 監視装置
DE102010043659B4 (de) * 2010-11-09 2012-06-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ussystems, Bussystem und Haushaltsgerät mit einem Bussystem
DE102011089590A1 (de) * 2011-01-31 2012-08-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Funktionsüberwachung einer Sicherheitsüberwachung einer Steuereinheit
US8665700B2 (en) * 2012-02-06 2014-03-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ault detection and mitigation for in-vehicle LAN network mana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8545A1 (en) * 2004-02-12 2005-09-08 Sony Corporation Automatic user device presence registration system
US20120213087A1 (en) * 2011-02-09 2012-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erforming Lifebeat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7741B2 (en) 2017-11-14
JP2015528411A (ja) 2015-09-28
CN104584485B (zh) 2018-06-08
JP6234460B2 (ja) 2017-11-22
DE102012017386A1 (de) 2014-05-15
CN104584485A (zh) 2015-04-29
DE102012017386B4 (de) 2020-10-15
KR20160066561A (ko) 2016-06-10
US20150220414A1 (en) 2015-08-06
WO2014033171A1 (de) 2014-03-06
KR20150052186A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208B1 (ko)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WO2022166950A1 (zh) 电动汽车换电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1024376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7406047B (zh) 车辆用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车辆用控制系统
KR101589224B1 (ko) Lin 통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5174025B2 (ja) 複数の制御機器がバスを介して接続された自動車におけるバスを介した通信の管理装置及び方法
US106084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depleted battery in a parked vehicle
TW201824145A (zh) 車輛遠距離控制系統
KR101439050B1 (ko) 차량 암전류 검사 방법
JP2019509216A (ja) 自動車の安全性及び/又はセキュリティに関連する制御機器の修正方法とそれに関する装置
CN111971934B (zh) 网关装置
JP6417248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4866214B2 (ja) 制御ユニットおよび車載用の多重通信システム
KR102296999B1 (ko) 배터리 방전 방지를 위한 차량용 모뎀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509870B (zh) 一种车载can网络及车载can网络管理方法
KR101647695B1 (ko) 긴급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58387B1 (ko) 차량의 슬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4925A (ko) 캔통신을 이용한 암전류 발생 유닛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6389305A (zh) 电池管理系统用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JP6458150B2 (ja) 電子制御装置
CN105774590A (zh) 电池管理系统和电动车
KR101731818B1 (ko)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RU251902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активации подчиненных блоков сети lin посредством анализа причин активации
CN111869167A (zh) 针对监控实体和通信组件的方法和计算机程序、监控实体、通信组件、系统和车辆
JPWO2019097890A1 (ja) 列車制御装置および列車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