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818B1 -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818B1
KR101731818B1 KR1020160141675A KR20160141675A KR101731818B1 KR 101731818 B1 KR101731818 B1 KR 101731818B1 KR 1020160141675 A KR1020160141675 A KR 1020160141675A KR 20160141675 A KR20160141675 A KR 20160141675A KR 101731818 B1 KR101731818 B1 KR 10173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unit
signal control
uni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극
고세진
Original Assignee
(주)서돌전자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돌전자통신 filed Critical (주)서돌전자통신
Priority to KR102016014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의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을 복수로 구성하여 컨트롤 유닛의 고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 컨트롤 유닛(Signal Control Unit; SCU)에 설치되어 신호등의 점등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신호등에 대한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1 신호 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의 상기 점등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환하여 다른 하나의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SIGNAL CONTROL DUPLEX SYSTEM OF TRAFFIC SIGNAL CONTROLLER}
본 발명은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의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을 복수로 구성하여 컨트롤 유닛의 고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신호등은 안전하고 체계적인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 조건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교통 조건을 표시하는 색은 적색, 녹색, 황색의 3가지이며, 대개 적색은 정지 신호, 녹색은 진행 신호, 황색은 주의 신호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 신호등의 제어 장치는 교차로 및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전용회선을 통하여 온라인 방식으로 신호 관제 센터의 중앙 서버와 연결되어 신호 관제 센터의 중앙 서버에 의해 통제되며, 교차로의 교통량 및 점유율 등의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데이터를 신호 관제 센터의 중앙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교통 신호등은 수동 제어 필요시 교통 경찰 등의 인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기도 한다.
현재 교통 신호등은 타이머 등 단순한 제어에 의한 교통 제어를 수행하고 있으며, 고장 발생시 적색 또는 황색으로 점멸하여 신호 관제 센터의 중앙 서버에 고장 이벤트를 전송하거나 신고에 의한 접수에 의해 고장 처리가 되고 있다.
그러나, 교통 신호등은 고장 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교통신호 제어기에 접근하여 각종 부품의 교환 및 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교통신호 제어기에 접근하기 전까지 고장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운전자나 보행자들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교통 신호등은 점등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출력되는 점등 신호의 충돌이 발생하므로 교통신호 제어기에 하나만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컨트롤 유닛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에 의해 수리되기 전까지 신호등이 적색 또는 황색으로 점멸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3949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4720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39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4720호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신호등의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을 복수로 구성하여 컨트롤 유닛의 고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등의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의 고장 여부에 따라 전원 인가 방향을 제어하여 교통 신호등의 고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신호등의 점등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신호등에 대한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1 신호 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의 상기 점등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환하여 다른 하나의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은 전원을 인가받는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점등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의 전환을 위한 릴레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과 연결되는 스위치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각각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 출력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스위치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제2 스위치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전원 릴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의 상기 점등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의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을 복수로 구성하여 컨트롤 유닛의 고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신호등의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의 고장 여부에 따라 전원 인가 방향을 제어하여 교통 신호등의 고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의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에서 수행되는 이중화 신호등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100)은 신호 주 제어 유닛(Main Control Unit; MCU)(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을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주 제어 유닛(MCU)(20)은 신호등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주로 차량 검지기 등 교통 상황정보 처리, 제어 알고리즘 처리, 신호 관제 센터의 중앙 서버와 통신, 운영자 입력장치(Man Machine Interface; MMI) 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신호 운영에 관련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주 제어 유닛(MCU)(20)은 통상적으로 교통신호 제어기 내에 구비되어 신호등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100)은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신호등에 대한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과,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의 점등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환하여 다른 하나의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10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의 제어에 따라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과 연결되는 전원 릴레이 유닛(140)을 더 포함한다.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은 신호 주 제어 유닛(Main Control Unit; MCU)(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등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며, 신호등의 출력 결과를 모니터링한다.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 의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신호등에 대한 점등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은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신호 주 제어 유닛(MCU)(20)의 신호 제어 신호를 기초로 시간 흐름에 따른 점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은 교통신호 제어기에 포함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컨트롤러(Controller) 보드에 해당하며, 신호등의 점등 상태에 모순(즉, 고장)이 발생했을 때 적색 또는 황색으로 신호등을 점멸시킬 수 있다.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 및 전원 릴레이 유닛(140)과 연결되어,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서 생성되는 릴레이 제어 신호에 의해 전원 릴레이 유닛(140)을 따라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서 제공되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기초로 신호등의 점등을 위한 점등 신호를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 의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신호등에 대한 점등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 및 전원 릴레이 유닛(140)과 연결되어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에서 수행되는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은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이 공급되는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점등 신호를 입력 받는다.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은 전원 릴레이 제어부(132), 고장 발생 탐지부(134), 고장 발생 이벤트 생성부(136), 및 점등 신호 전송부(13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릴레이 제어부(132)는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의 점등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전원 릴레이 유닛(140)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릴레이 제어부(132)는 전원 릴레이 유닛(140)을 제어함에 따라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환하여 다른 하나의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전원 릴레이 제어부(132)는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에서 점등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면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의 전환을 위한 릴레이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릴레이 제어 신호는 전원 릴레이 유닛(140)에 전달되어 전원 릴레이 유닛(140)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과 분리되고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과 연결되어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고장 발생 탐지부(134)는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에서 점등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 발생 탐지부(134)는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에서 일정 시간 내에 점등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고장 발생 이벤트 생성부(136)는 고장 발생 탐지부(134)에서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의 고장을 감지하면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고장 발생 이벤트는 신호 주 제어 유닛(MCU)(20)을 통해 신호 관제 센터에 구비되어 있는 중앙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점등 신호 전송부(138)는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으로부터 점등 신호를 수신하면 점등 신호를 기초로 신호등의 점등과 소등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 서버로 전송되는 고장 발생 이벤트를 기초로 고장이 발생한 교통신호 제어기의 위치 및 발생 시각 등을 체크하여 작업자가 교통신호 제어기에 접근한 후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을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의 고장시 고장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되고, 릴레이 제어 신호가 발생하여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이 동작하며, 작업자에 의한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의 교체 후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의 고장시 고장 발생 이벤트 및 릴레이 제어 신호가 발생하여 신호등의 점등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원 릴레이 유닛(14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과 연결되어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서 생성되는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과 연결되어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120)에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에서, 전원 릴레이 유닛(14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과 연결되는 스위치 입력 단자(142),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과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출력 단자(144),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과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출력 단자(1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릴레이 유닛(140)은 스위치 입력 단자(142)를 통해 전달되는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치 출력 단자(144) 및 제2 스위치 출력 단자(146) 중 하나를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 중 하나에 접촉시켜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 또는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현재 교통신호 제어기는 하나의 메인 신호 컨트롤 유닛(즉, 컨트롤러 보드)을 구비하고 있고, 예비 신호 컨트롤 유닛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 신호 컨트롤 유닛과 예비 신호 컨트롤 유닛이 동시에 동작하게 되면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에 메인 신호 컨트롤 유닛 및 예비 신호 컨트롤 유닛 중 하나만 꽂힌 상태에서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여 하나의 메인 신호 컨트롤 유닛 또는 예비 신호 컨트롤 유닛만 동작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메인 신호 컨트롤 유닛의 고장시 작업자가 해당 교통신호 제어기에 접근하여 예비 신호 컨트롤 유닛을 꽂을 때까지 신호등은 적색 또는 황색으로 점멸되어 원활한 교통 신호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신호 컨트롤 유닛(즉, 제1 신호 컨트롤 유닛)과 예비 신호 컨트롤 유닛(즉, 제2 신호 컨트롤 유닛)을 모두 구비하고 있고, 메인 신호 컨트롤 유닛의 고장시 메인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되던 전원을 예비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하여 예비 신호 컨트롤 유닛이 바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시적인 적색 또는 황색의 점멸 후에 바로 원활한 교통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의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에서 수행되는 이중화 신호등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은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에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S210).
이때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은 전원 릴레이 유닛(140)과 연결되어,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서 제공되는 외부 전원을 전원 릴레이 유닛(140)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기초로 신호등의 점등을 위한 점등 신호를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은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으로부터 시간 흐름에 따라 점등 신호의 출력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0).
시간 흐름에 따른 점등 신호는 적색, 황색, 녹색, 화살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미리 설정되는 설정값에 해당한다.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은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으로부터 점등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등의 점등과 소등이 제어되도록 한다(단계 S230).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은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으로부터 점등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제1 신호 컨트롤 유닛(110)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와 릴레이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릴레이 유닛(140)이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과 연결되도록 한다(단계 S240).
이때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은 전원 릴레이 유닛(140)과 연결되어,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서 제공되는 외부 전원을 전원 릴레이 유닛(140)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신호 컨트롤 유닛(120)은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기초로 신호등의 점등을 위한 점등 신호를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13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110: 제1 신호 컨트롤 유닛
120: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130: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
140: 전원 릴레이 유닛

Claims (4)

  1. 신호등의 점등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신호등에 대한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상기 제1 신호 컨트롤 유닛 및 상기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의 상기 점등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 대한 고장을 판단하여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환하여 다른 하나의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공급하는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 및
    상기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과 연결되는 스위치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컨트롤 유닛 각각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 출력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스위치 출력 단자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 출력 단자를 연결시키는 전원 릴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은
    전원을 인가받는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점등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면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의 전환을 위한 릴레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릴레이 유닛은
    상기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스위치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제2 스위치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해당 신호 컨트롤 유닛의 상기 점등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KR1020160141675A 2016-10-28 2016-10-28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KR10173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75A KR101731818B1 (ko) 2016-10-28 2016-10-28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75A KR101731818B1 (ko) 2016-10-28 2016-10-28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818B1 true KR101731818B1 (ko) 2017-05-02

Family

ID=5874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75A KR101731818B1 (ko) 2016-10-28 2016-10-28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11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지텍 이중 렌즈 구조의 엘이디 신호기 및 이에 사용되는 제어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3459A (ja) * 2008-02-15 2009-08-27 Toshiba Corp 交通信号制御機
JP5161047B2 (ja) * 2008-11-26 2013-03-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信号灯制御回路
KR101301342B1 (ko) 2012-04-23 2013-08-29 임유섭 휴대용 신호등 점멸신호송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호등 무선 점멸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3459A (ja) * 2008-02-15 2009-08-27 Toshiba Corp 交通信号制御機
JP5161047B2 (ja) * 2008-11-26 2013-03-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信号灯制御回路
KR101301342B1 (ko) 2012-04-23 2013-08-29 임유섭 휴대용 신호등 점멸신호송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호등 무선 점멸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11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지텍 이중 렌즈 구조의 엘이디 신호기 및 이에 사용되는 제어부
KR20220057850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지텍 이중 렌즈 구조의 엘이디 신호기 및 이에 사용되는 제어장치
KR102444890B1 (ko) * 2020-10-30 2022-09-21 주식회사 지텍 이중 렌즈 구조의 엘이디 신호기 및 이에 사용되는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11190A (en) Control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2533939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CN108350822B (zh) 用于分配和指示发动机控制权限的设备及方法
KR101592784B1 (ko) 램프의 단선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6060413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919208B1 (ko) 통신 채널에 연결된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101731818B1 (ko)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 컨트롤 이중화 시스템
JP7014140B2 (ja) 電磁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
US20230134029A1 (en)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JP2002116921A (ja) 中央演算装置の補助装置
JP2015166213A (ja) ライト制御システム
JP4229453B2 (ja) トンネル防災設備
KR101683140B1 (ko) 신호안전성 및 신뢰도를 높인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US10202134B2 (en) Train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WO2020262031A1 (ja) 車載制御装置
WO2023189151A1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2003173493A (ja) 保守用信号制御機
CN116215364A (zh) 一种车辆转向灯集成控制方法及系统
JP2008250757A (ja) 交通信号システム
JP2006344023A (ja) 制御装置
KR101582250B1 (ko) 선로 결함 감시장치
KR20160142018A (ko) 항공등화 개별 제어기
KR20130056498A (ko) 차량의 피 진단장치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05122592A (ja) 分散型制御装置
JP2001146367A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