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768B1 -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768B1
KR101916768B1 KR1020170112508A KR20170112508A KR101916768B1 KR 101916768 B1 KR101916768 B1 KR 101916768B1 KR 1020170112508 A KR1020170112508 A KR 1020170112508A KR 20170112508 A KR20170112508 A KR 20170112508A KR 101916768 B1 KR101916768 B1 KR 101916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tread
indicator
ti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민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가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이 저하되는 정도가 확인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제동성능 저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이어의 트레드에 사이프의 형상으로 일부 음각으로 각인되되 타이어의 마모되는 정도가 단계별로 나타나도록 트레드에 깊이 차이를 두어 홈으로 가공된 마모 표시부; 및, 마모 표시부에 인접되어 트레드에 음각으로 각인된 마모 표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Indicator for easy confirmation of tire wear condition}
본 발명은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가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이 저하되는 정도가 확인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제동성능 저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패턴의 형태 및 구조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종합적인 성능이 고려된다.
핸들링, 제동, Hydroplaning, 소음, Wet Grip, 회전저항과 같은 성능이 고려되는데 이러한 성능항목 중 제동성능은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된다.
특히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은 타이어를 초기에 장착했을 때보다 마모가 많이 진행될수록 성능이 저하된다.
젖은 노면에서 마모가 진행되기 전의 타이어와 마모한계까지 마모가 진행된 타이어의 제동성능을 비교평가 했을 때 현저한 성능저하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운전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하여 타이어의 마모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성능저하의 위험성을 표시하고 이를 통해 타이어 교체시기를 알리는 타이어 인디케이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마모측정이 가능한 타이어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937호는 트레드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며, 트레드에 다수의 블럭과 그루브가 형성되고, 블럭의 모서리에 모따기처리가 된 것에 있어서, 블럭 모서리 모따기면의 상단에 둘레 방향의 종단면이 삼각형인 삼각블럭이 다수 형성되며, 블럭 모서리 모따기면의 하단에 파형의 커프가 다수 형성된다.
마모 한계 수준이 돼서야 교체시기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마모와 성능수준 저하의 진행수준을 알 수 없어 사전에 대비할 수 없으며, 트레드 부분에 적용되는 표시장치는 복잡한 형상을 띄고 있어 양산 과정에서 타이어가 몰드에서 분리될 때 뜯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 그루브(타이어 트레드에서 주행방향으로 파인 가장 깊은 홈)에 표시된 인디케이터는 수막현상과 같은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93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어가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이 저하되는 정도가 확인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제동성능 저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 양산과정에서 뜯김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자 수직방향의 단순한 형태로 인디케이터를 몰드에 적용한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는 타이어의 트레드에 사이프의 형상으로 일부 음각으로 각인되되 타이어의 마모되는 정도가 단계별로 나타나도록 트레드에 깊이 차이를 두어 홈으로 가공된 마모 표시부; 및, 마모 표시부에 인접되어 트레드에 음각으로 각인된 마모 표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모 표시부는 트레드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제1 마모 진행 표시부, 트레드의 마모되는 정도에 따라 제1 마모 진행 표시부의 일측에서 타측의 방향 순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나타나고 제1 마모 진행 표시부 보다 넓은 폭의 홈들이 상기 트레드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마모 진행 표시부 및, 제2 마모 진행 표시부가 트레드의 표면에 전부 노출된 뒤 나타나도록 제1 마모 진행 표시부의 끝단부에 형성된 트레드에 제2 마모 진행 표시부의 최대폭과 동일한 홈으로 형성된 마모 한계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마모 진행 표시부는 트레드가 1/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1 마모 진행 홈, 제1 마모 진행 홈에 인접되고 트레드가 2/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2 마모 진행 홈 및, 제2 마모 진행 홈에 인접되고 트레드가 4/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3 마모 진행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모 가이드부의 음각된 최대 깊이는 트레드의 두께에 6/7 내지 9/10의 깊이로 각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에 의하면, 타이어가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이 저하되는 정도가 확인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제동성능 저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방향의 단순한 형태로 인디케이터를 몰드에 적용시켜 타이어 양산과정에서 뜯김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타이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트레드의 마모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트레드 중 마모 표시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트레드 중 제2 마모 진행 표시부 및 마모 한계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타이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1)에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100)가 음각으로 각인된다.
타이어의 트레드(1)에 사이프의 형상으로 일부 음각으로 각인되되 상기 타이어의 마모되는 정도가 단계별로 나타나도록 상기 트레드(1)에 깊이 차이를 두어 홈이 가공된 마모 표시부(110); 및, 상기 마모 표시부(110)에 인접되어 상기 트레드(1)에 음각으로 각인된 마모 표시 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마모 표시부(110)는 상기 사이프들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트레드(1)에서 직선 또는 사선으로 음각으로 각인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모 표시 가이드부(120)는 후술할 상기 트레드(1)의 마모한계깊이(H:도 4 참조) 보다 깊게(e:도 4 참조) 적용되고, 상기 마모 표시부(11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상기 타이어에는 다수개의 사이프들이 형성되거나 상기 사이프들을 상기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100)들로 대체할 수 있는데, 상기 타이어에 상기 사이프들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마모 표시 가이드부(120)는 상기 마모 표시부(110)를 상기 사이프들과 구분 지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트레드의 마모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모 표시부(110)는 상기 트레드(1)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 상기 트레드(1)의 마모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의 일측에서 타측의 방향 순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나타나고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 보다 넓은 폭의 홈들이 상기 트레드(1)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 및,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가 상기 트레드(1)의 표면에 전부 노출된 뒤 나타나도록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기 트레드(1)의 내측에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의 최대폭과 동일한 홈으로 형성된 마모 한계 표시부(113)를 포함한다.
도 2는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1)가 마모되는 순서가 도시된 것으로, 도 2의 (a)에서 (e)의 순서로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1)가 마모된다.
도 2의 (a)는 상기 트레드(1)의 최초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트레드(1)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만이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는 상기 타이어의 마모되는 정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비가 올 때의 수막을 끊거나 상기 트레드(1)의 경도를 조정하고, 승차감을 높이는 상기 사이프의 역할을 한다.
도 2의 (b) 내지 (d)는 상기 트레드(1)가 마모되는 진행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가 나타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는 트레드(1)가 1/7 상기 마모한계깊이(H:도 4 참조)의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1 마모 진행 홈(112a), 상기 제1 마모 진행 홈(112a)에 인접되고,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마모한계깊이(H:도 4 참조)의 2/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2 마모 진행 홈(112b) 및, 상기 제2 마모 진행 홈(112b)에 인접되고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마모한계깊이(H:도 4 참조)4/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3 마모 진행 홈(112c)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의 마모되는 정도는 상기의 수치 이외에도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 순으로 각기 다른 깊이 편차를 두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수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따라서,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는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의 각기 다른 깊이 편차로 이루어진 홈들로 구성되고, 상기의 홈들은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는 상기 제1 마모 진행 홈(112a)이 나타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c)는 상기 제2 마모 진행 홈(112b)이 나타나는 것, 도 3의 (d)는 상기 제3 마모 진행 홈(112c)이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은 상기 트레드(1)의 일측에서 타측의 방향으로 나타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마모 진행 홈(112a)은 상기 제2 및 제3 마모 진행 홈(112b,112c)이 나타나도 없어지지 않고 계속해서 나타나도록 상기 트레드(1)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마모 진행 홈(112b) 역시 상기 제3 마모 진행 홈(112c)이 나타날 때 까지 계속해서 나타나도록 상기 트레드(1)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이 모두 없어지는 경우에는 후술할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가 나타나면 모두 지워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상기 타이어의 마모되는 정도의 정보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2의 (e)는 상기 트레드(1)가 마모되어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가 나타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는 도 2의 (b) 내지 (d)의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가 모두 다 나타난 뒤, 상기 트레드(1)가 더 마모될 경우에 나타나는 것으로, 상기 트레드(1)의 마모 한계 즉, 상기 타이어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표시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는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의 폭 보다 더 넓게 형성되도록 상기 트레드(1)에 가공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트레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드(1)는 최초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의 폭은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 및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는 일정한 간격을 두어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의 폭은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의 홈에 대한 넓이는 상기 제1 마모 진행 홈(112a)에서 상기 제3 마모 진행 홈(112c) 순으로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의 폭은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와 동일하거나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가 상기 트레드(1)의 표면에 나타나면, 상기 제1 및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1,112)는 모두 없어지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트레드 중 제2 마모 진행 표시부 및 마모 한계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에 의해 형성된 상기 트레드(1)의 형상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 순서로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마모 진행 홈(112a)은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마모한계깊이(H)의 1/7 마모 되었을 때, 상기 제2 마모 진행 홈(112b)은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마모한계깊이(H)의 2/7 마모되었을 때, 상기 제3 마모 진행 홈(112c)은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마모한계깊이(H)의 4/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난다.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는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마모한계깊이(H)에 도달했을 때, 나타난다.
상기 마모한계깊이(H)는 상기 트레드(1)의 6/7 내지 9/10의 깊이로 각인될 수 있고, 상기 타이어의 특수성에 따라 그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모한계깊이(H)는 상대적으로 상기 트레드(1)가 마모되어 박면(薄面)으로 형성될 경우에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타이어는 공정을 통해 양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타이어에 상기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중 상기 마모 표시부(110)를 형성시키기 위해, 몰드(10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몰드(100')는 제1 내지 제3 몰드부(110',120',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몰드부(110')는 상기 트레드(1)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폭이 형성되고, 상기 폭에 의해 상기 트레드(1)가 서로 마주되며, 그 마주하는 공간에 의해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몰드부(120')는 상기 제1 몰드부(110')의 양측면 즉, 상기 트레드(1)가 서로 마주되는 방향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트레드(1)에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몰드부(120')는 돌출되는 위치 및 높이차이를 두어 상기 제1 내지 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들이 상기 트레드(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몰드부(130')는 상기 트레드(1)의 마모 한계부 즉, 상기 트레드(1)의 6/7 깊이에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몰드부(130')는 상기 트레드(1)의 최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트레드(1)의 두께(G)의 6/7 내지 9/10 되는 위치 즉, 상기 마모한계깊이(H)에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몰드(100')를 사용하여 상기 트레드(1)에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타이어의 양산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타이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상기 트레드(1)의 마모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6의 (a)에서 (g)의 순서로 마모된다.
도 6의 (a)는 상기 트레드(1)의 최초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타이어의 마모가 진행되는 초기 또는 상기 타이어의 마모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도 6의 (b)는 상기 트레드(1)가 마모되면서 상기 트레드(1)의 표면에 상기 제1 마모 진행 홈(112a)이 나타나게 된다.
도 6의 (c)는 상기 트레드(1)가 마모되면서 상기 도 6의 (b)의 상기 트레드(1)의 마모 정도보다 더 마모된 것으로, 상기 제2 마모 진행홈(112b)이 나타나게 된다.
도 6의 (d)는 상기 도 6의 (c)의 상기 트레드(1)에 비해 더 마모된 상태로, 상기 제2 마모 진행홈(112b)의 마모 진행 폭, 즉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1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홈의 길이가 더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e)는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도 6의 (d)의 상기 트레드(1) 보다 더 마모되어 상기 제3 마모 진행 홈(112c)이 나타나게 된다.
도 6의 (f)는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도 6의 (e)의 상기 트레드(1) 보다 더 마모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2 및 제3 마모 진행 홈(112b,112c)의 마모되는 홈의 길이가 더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g)는 상기 트레드(1)가 상기 도 6의 (f)의 상기 트레드(1) 보다 더 마모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마모 진행 홈(112a,112b,112c)가 모두 노출되어 없어지고 상기 트레드(1)의 마모 한계를 나타내는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 도 6의 (a) 내지 (g)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마모 표시 가이드부(120)는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와 동일한 깊이로 음각되어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상기 마모 가이드부(120)의 음각된 최대 깊이는 상기 트레드(1)의 두께(G)에 6/7 내지 9/10의 깊이 즉, 상기 마모한계깊이(H)로 각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 가이드부(120)는 상기 타이어의 미관상태를 위해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113) 보다 더 깊게 음각으로 각인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는 상기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 상기 트레드(1)에 다른 각도로 음각으로 각인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트레드
100: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110:마모 표시부 111:제1 마모 진행 표시부
112:제2 마모 진행 표시부 112a:제1 마모 진행 홈
112b:제2 마모 진행 홈 112c:제3 마모 진행 홈
113:마모 한계 표시부 120:마모 표시 가이드부
100':몰드 110':제1 몰드부
120':제2 몰드부 121':제1 마모 진행 홈 형성부재
122':제2 마모 진행 홈 형성부재 123':제3 마모 진행 홈 형성부재
130':제3 몰드부

Claims (4)

  1. 타이어의 트레드에 사이프의 형상으로 일부 음각으로 각인되되 상기 타이어의 마모되는 정도가 단계별로 나타나도록 상기 트레드에 깊이 차이를 두어 홈이 가공된 마모 표시부; 및,
    상기 마모 표시부에 인접되어 상기 트레드에 음각으로 각인된 마모 표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표시부는,
    상기 트레드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제1 마모 진행 표시부,
    상기 트레드의 마모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의 일측에서 타측의 방향 순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나타나고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 보다 넓은 폭의 홈들이 상기 트레드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마모 진행 표시부 및,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가 상기 트레드의 표면에 전부 노출된 뒤 나타나도록 상기 제1 마모 진행 표시부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기 트레드의 내측에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의 최대폭과 동일한 홈으로 형성된 마모 한계 표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모 진행 표시부는,
    상기 트레드가 1/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1 마모 진행 홈,
    상기 제1 마모 진행 홈에 인접되고 상기 트레드가 2/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2 마모 진행 홈 및,
    상기 제2 마모 진행 홈에 인접되고 상기 트레드가 4/7 마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제3 마모 진행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표시 가이드부의 음각된 최대 깊이는,
    상기 트레드의 두께에 6/7 내지 9/10의 깊이로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KR1020170112508A 2017-09-04 2017-09-04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KR101916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508A KR101916768B1 (ko) 2017-09-04 2017-09-04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508A KR101916768B1 (ko) 2017-09-04 2017-09-04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768B1 true KR101916768B1 (ko) 2019-01-24

Family

ID=6527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508A KR101916768B1 (ko) 2017-09-04 2017-09-04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7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1783A (ja) * 2010-10-13 2012-05-31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KR101345937B1 (ko) 2011-12-28 2013-12-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20170052395A (ko) * 2015-11-04 2017-05-1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1783A (ja) * 2010-10-13 2012-05-31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KR101345937B1 (ko) 2011-12-28 2013-12-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20170052395A (ko) * 2015-11-04 2017-05-1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359B1 (ko) 타이어 트레드 및 몰딩 장치
JP6364781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20090749A1 (en) Pneumatic tire
JP2015134581A (ja) 空気入りタイヤ
US8833412B2 (en) Pneumatic tire
JP608833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554613B2 (en) Pneumatic tire, a tread band, and a tread block comprising a sipe, and a lamella plat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621740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1110551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46276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810548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83807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55799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9862237B2 (en) Tread profile of a pneumatic vehicle tire with an indicator for regrooving the profile
JP6934410B2 (ja) タイヤ
KR101916768B1 (ko) 타이어의 마모 상태 확인이 용이한 인디케이터
JP2019064481A (ja) タイヤ
JP537063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8056206A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200346496A1 (en) Tread wear indicator
KR20130001511U (ko) 마모상태 확인용 공기압 타이어
US20180354313A1 (en) Tire Tread Comprising Incisions
JPH0596654A (ja) 更生タイヤ用プレキユアトレツド、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更生タイヤ
JP201224063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6051844A (ja) 空気入りタイ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