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808B1 - 승강실용 바닥 - Google Patents

승강실용 바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808B1
KR101914808B1 KR1020137028958A KR20137028958A KR101914808B1 KR 101914808 B1 KR101914808 B1 KR 101914808B1 KR 1020137028958 A KR1020137028958 A KR 1020137028958A KR 20137028958 A KR20137028958 A KR 20137028958A KR 101914808 B1 KR101914808 B1 KR 10191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ngement
floor
support structure
profile members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877A (ko
Inventor
비트 브뤼거
크리스토프 슐러
루카스 체더
토마스 뷔에스트
우르 샤프하우제르
르네 스트레벨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5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판(7), 상부판(8)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6)을 포함하는 승강실용 바닥에 관한 것이다. 지지 구조물(6)은 복수의 수직형 교차 프로파일 부재(12, 13)로 이루어지는 제1 격자 배열체(10)를 포함한다. 국부적 강화를 위해, 지지 구조물(6)은 또한 제1 배열체 상에 중첩되며 그 중심에 배치되는 제2 격자 배열체(1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실용 바닥{FLOOR FOR AN ELEVATOR CA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실(lift cage)용 바닥에 관한 것이다.
승강실은 예를 들면 승강실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데, 승강실 프레임은 이어서 리프트 샤프트에 결속된 레일에서 안내되며 와이어 케이블 또는 다른 지지 수단을 통하여 구동 엔진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된다. 강성 승강실 바닥(floor)은 복합 구조 양식의 구성 또는 샌드위치 양식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바닥은 높은 정적 및 동적 적하 능력과 비교적 작은 중량으로 특징지어진다. 상기 유형의 '샌드위치' 바닥은 실질적으로 다음의 구성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측면을 미리 결정하기 위한 제1 판(기초판), 제1 판으로부터 이격된 제2 판(상부판)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지지 구조물.
이러한 범주의 비교할 만한 바닥은 EP 1 004 538 A1호로부터 공개되어 있다. 두 개의 판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은 EP 1 004 538 A1호에서 슬랫(slat)으로 칭해지는 복수의 교차식 평면형 프로파일 부재로 이루어진다. 길이 방향 및 횡방향 프로파일 부재는 격자형(grating-like) 복합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상호 보완적인 슬롯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에 후속하여 서로 용접된다. 실제로, 굽힘에서 강성인 이러한 바닥조차 주로 매우 큰 기계적 하중과 함께 사용하는데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상하로 배열되고 중간판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벌집형 구조물을 갖는 두 개의 층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양식의 구조를 갖는 바닥은 EP 566 424 A1에 공개되어 있다. 각각의 벌집형 층은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동일한 구성의 벌집체를 갖는다. 두 개의 벌집형 층은 상기의 경우 상이한 크기의 벌집체를 갖는다. 평면도로 보면(in plan view) 중첩되는 벌집형 층은 바닥 영역 전체에 걸쳐 변하지 않는 패킹 밀도(packing density)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회피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심지어 특히 높은 기계적 하중 하에서 강성 및 적하 능력에 대한 높은 요구를 만족하는 도입부에서 설명된 유형의 바닥을 만드는 것이다. 더욱이, 바닥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구비한 바닥에 의해 충족된다. 바닥에 대한 평평한 하부 측면은 예를 들면 강철 금속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평평한 상부 측면을 미리 결정하기 위한 제2 판은 이러한 기초판에 대해 대략 평면평행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판은 기초판과 같이 유사하게 강 또는 다른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판을 위한 다른 재료 또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또한 명백하게 가능하다. 하부 측면 및 상부 측면을 미리 결정하기 위한 판은 예를 들면 섬유 강화 재료로부터 또는 서로 적층된 층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바닥을 보강하기 위해, 대체로 제1 패킹 밀도를 갖는 지지 구조물이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 사이에 위치된다. 제1 패킹 밀도는 상기 경우에서 평면도로 볼 때 대략 균일하게 분포된 벽 세그먼트 또는 벽을 구비한 제1 배열체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상기 경우에서 평면도는 기초부의 기초 표면의 표면 법선(normal)의 방향으로 보는 것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설치된 상태에서 평면도는 승강실의 수직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의해 한정된다. 바닥의 국부적 보강을 위해 지지 구조물은 강화 구역에서 제1 패킹 밀도에 비해 더 높은 제2 패킹 밀도를 갖는다. 이러한 국부적 강화를 형성하기 위해 지지 구조물은, 제1 배열체에 배치되고 겹침 구역에서 제1 배열체와 겹쳐지는 제2 배열체를 갖는다. 국부적 강화는 상기 경우에서 지지 구조물이 전체 바닥 영역 위가 아니라 단지 바닥 영역의 하위-구역에서만 부가적으로 강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지 구조물은 평면도로 볼 때 적어도 겹침 구역 외부의 구역에서 제1 패킹 밀도를 갖는다. 지지 구조물은 벌집형 구조물(예를 들면 벌의 벌집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벌집형 구조물은 균일하게 분포되고 동일하게 구성된 벌집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벌집형 구조물의 국부적 강화는 더 작은 셀(cell)을 구비한 구역(강화된 구역)을 포함하는 구조물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더 작은 셀은 기초 구조물을 미리 결정하는 제1 배열체에 대응하여 벌의 벌집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셀은 명확하게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작은 셀을 구비한 존은, 제1 패킹 밀도를 구비한 존과 비교하여, 더 높은 겉보기 패킹 밀도를 특징으로 한다. 승강실 바닥을 본 발명에 따라 국부적으로 강화함으로써, 예를 들면 바닥의 하부 측면 상에사 고 충격 에너지를 최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은 층 또는 샌드위치 층을 형성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열체 및 제2 배열체는 동일한 층 또는 샌드위치 층 내에 있을 것이다. 수 개의 지지 구조 층을 구비한 바닥도 또한 명백하게 생각해 볼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하부 측면으로부터 상부 측면으로 연장되거나 하부 측면과 상부 측면 사이의 간격 위로 가교(bridge)되고 제1 배열체뿐만 아니라 제2 배열체와 관련되는 벽 또는 벽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벽 또는 벽 세그먼트는 기초판 및 상부판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 구조물을 위한 다른 재료가 또한 명백하게 가능하다. 더욱이, 또한 사용의 특정 경우에 대해 기초판이 없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서 바닥의 하부 측면이 지지 구조물에 의해 미리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지지 구조물은 바닥 위에 대략 균일하게 분포되고 제1 패킹 밀도가 미리 결정된 벽 또는 벽 세그먼트를 구비한 제1 배열체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은 국부적 강화를 위해, 제1 배열체 상에 중첩되는 제2 배열체를 더 포함한다. 제2 배열체는, 제1 배열체로부터 분리되고 제1 배열체 내 또는 제1 배열체 상에 놓이고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제1 배열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개별 구성 요소(또는 부조립체)일 수 있다. 바닥 구성은 특히 간단하게 몇 가지 작업 단계로 생산될 수 있다.
제2 배열체의 벽 또는 벽 세그먼트는 예를 들면 형상 잠금 및/또는 강제 잠금 커플에 의해 제1 배열체의 벽 또는 벽 세그먼트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열체 및 제2 배열체로 구성된 지지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제2 배열체가 제1 배열체에 용접될 수 있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패킹 밀도를 구비한 제1 배열체는 일종의 격자를 형성하는 수직형 복수의 교차 프로파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종류의 격자 구성을 구비한 간단한 바닥이 EP 1 004 538 A1호에 설명된다. 제1 격자 배열체에 부가하여, 지지 구조물은 제2 격자 배열체 또는 심지어 복수의 제2 격자 배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경우에서 개별 제2 격자 배열체는 바닥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또는 균일하지 않게 분포될 수 있다. 제2 격자와 제1 격자의 중첩을 통하여, 중첩 또는 겹침 구역에서 기초 구조물의 제1 패킹 밀도에 비해 더 높은 제2 패킹 밀도를 구비한 구조물이 생긴다. 기계적 적하 능력 및 강성에 대한 우수한 값이 이에 의해 특히 간단한 양식 및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국부적 강화를 통하여 샤프트 바닥에 배치된 버퍼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 후 바닥의 원하지 않는 변형이 간단한 방식으로 회피될 수 있다.
제2 배열체의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는 제1 배열체의 두 개의 인접한 프로파일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배열체의 두 개 이상의 프로파일 부재가 각각의 경우에 제1 배열체의 두 개의 인접한 프로파일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생산 공학의 면에서, 제1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뿐만 아니라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에 교차점(crossing point)과 관련되고 교차 프로파일 부재들의 수용을 위한 슬롯이 제공되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제1 배열체의 교차 프로파일 부재 및 제2 배열체의 교차 프로파일 부재는 각각 상호 대향하는 슬롯을 갖는다. 제1 배열체 및 제2 배열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에는 추가의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배열체의 이미 연결된 길이 방향 및 횡방향 프로파일 부재가 제2 배열체의 연결된 길이 방향 및 횡방향 프로파일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슬롯을 가지며, 제2 배열체의 연결된 길이 방향 및 횡방향 프로파일 부재는 결과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그룹으로서 배향되는 대응하는 슬롯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 격자(조립된 제2 배열체)가 특히 일 측면으로부터 그 위에 배치함으로써 제1 격자(조립된 제2 배열체)에 단일 작업 단계로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격자 배열체, 즉 제1 및 제2 배열체들은 서로 연결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각각 단단한 부조립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단한 부조립체로서 형성된 배열체는 용접, 접착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교차 위치에 고정되는 프로파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폭 및 길이를 갖는 바닥에 대해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가 각각의 경우 바닥의 폭 또는 길이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 프로파일 부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는 바닥 내에서 대략 중앙에 위치되는 제2 배열체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 길이를 위한 다른 치수가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제1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 및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가 동일한 재료 두께를 갖는 경우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제조 경비 및 비용이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국부적 강화가 평면도로 볼 때 바닥 내 중앙에 이루어지는 경우 특정한 사용 목적에 대해 유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열체의 교차 프로파일 부재는 승강실을 가중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충전재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채워질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승강실을 가중하기에 적절한 가장 다양한 재료가 충전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시멘트, 골재, 석재, 액체, 오일, 금속체, 특히 납체(lead body) 등이 가능하다. 상기 경우에서, 충전재는 예를 들면, 실리콘, 겔, 고무, 시멘트, 플라스틱 재료 등과 같은 매립 매스(mass)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충전재의 원치 않는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충전재는, , 승강실 바닥의 제조 중, 리프트 설비의 조립 중, 및/또는 리프트 설비의 유지보수의 범위 내에서, 승강실의 지지 구조물의 챔버 중 하나 이상 내로 채워질 수 있고, 또는 특정한 경우 상기 챔버로부터 제거되거나 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위에서 설명된 바닥을 구비한 승강실을 구비한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리프트가 샤프트 바닥에 단부 위치에서 승강실을 포착하기 위한 완충 요소를 갖는 경우에는, 평면도로 볼 때 완충 요소와 겹쳐지는 구역 내에 국부적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승강실이 구성되는 경우 그리고 단부 위치에서 완충 요소가 바닥 상에 직접 지지가 되는 경우가 유리할 수 있다. 바닥 측면에서 승강실과 관련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프로파일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종래의 리프트에 비해 본 발명의 설계는 몇몇의 중요한 장점을 갖는다. 상당한 중량 절감 외에, 부피가 덜 크고 이에 따라 더 가느다란 승강실 구성은 이에 의해 또한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별 특징 및 장점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승강실을 구비한 리프트의 실질적으로 간단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승강실의 본 발명에 따른 바닥을 위한 지지 구조물의 평면도를 보여주며,
도 3은 승강실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상이한 각도에서 볼 때의 도 3의 바닥을 보여주며,
도 5는 지지 구조물이 마무리 상태로 조립되는 도 4에 따른 바닥을 보여주며,
도 6은 도 5의 지지 구조물의 상세도를 보여주며,
도 7은 지지 구조물의 기본적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은 지지 수단(4)에 결속된 승강실(3)을 구비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된 리프트를 보여준다. 샤프트는 개략적으로 예시되고 도면 부호 "(2)"로 표시된다. 이 같은 또는 유사한 리프트는 오랫동안 공지되어 왔으며 일반적이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부 위치에서 승강실(3)을 포착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장착된 완충 요소(9)가 샤프트 바닥에 위치된다. 완충 요소(9)는 케이지(3)의 바닥(5) 아래에서 대략 중심에 배치된다. 완충 요소(9)가 직접 또는 매개물 없이 바닥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바닥(5)이 구성된다. 버퍼 상의 충격을 수용하도록 바닥(5)은 또한 중앙이 강화된다. 이러한 강화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승강실의 바닥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에 대해, 도면 부호 "(6)"으로 표시되는 가능한 변형예가 도 2에서 평면도로 예시된다.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격자의 방식으로 형성된 두 개의 배열체(10 및 11)로 이루어진다. 평면도로 볼 때 대략 전체 바닥 영역을 수용하는 기초 구조물의 형태를 한정하는 제1 배열체(10)는 복수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 방향 프로파일 부재(12) 및 횡방향 프로파일 부재(13)로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길이 방향 및 횡방향 프로파일 부재(12 및 13)는 직각으로 교차하고 제1 패킹 밀도를 한정하도록 배열된다. 용어 "패킹 밀도"란, 본 출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물의 총 용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총 용적에 대한, 벽들 또는 벽 세그먼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 챔버 또는 셀의 용적 비율로 이해될 것이다. 벽 또는 벽 세그먼트가 바닥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패킹 밀도는 면적 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6)은 예로서 13개의 길이 방향 프로파일 부재(12) 및 18개의 횡방향 프로파일 부재(13)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프로파일 부재 사이의 각각의 간격은 동일하다. 제1 배열체(10)는 격자 배열체를 구비하고 이미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복합 구조 코어와 거의 동일하게 자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체에 대한 추가의 구성적 상세와 관련하여 EP 1 004 528 A1호가 참조되며, 그에 따라 EP 1 004 528 A1호는 본 출원의 공개의 부분으로서 명백하게 인정된다. 제1 배열체(10) 상에 중첩되는 제2 배열체(11)는 "S"로 표시된 강화 구역 내에 배치된다. 제2 배열체(11)는 제1 배열체(10)와 기본적으로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되며, 실질적으로 단지 명백하게 더 작은 외부 크기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프로파일 부재의 개수가 더 작다는 점에서 제1 배열체(10)와 상이하다.
제1 배열체의 길이 방향 및 횡방향 프로파일 부재(12 및 13)는 격자형태(checkerboard) 분포로 복수의 챔버를 형성한다. 각각 직각으로 교차하는 프로파일 부재(14 및 15)(4개의 길이 방향 프로파일 부재(14), 5개의 횡 방향 프로파일 부재(15))는 프로파일 부재(12 및 13)를 구비한 제1 배열체와 관련된 챔버를 4개의 동일 크기의 챔버로 분할된다. 제1 격자 배열체(10) 상의 제2 격자 배열체(11)의 중첩을 통하여, 이에 따라 패킹 밀도가 배가(multiplication)된다. 지지 구조물을 위한 프로파일 부재의 두께뿐만 아니라 프로파일 부재 간격 및 이에 따른 패킹 밀도는 특히 바닥 로딩, 상부 판 두께 및 전체 구성적 높이에 좌우되며, 예를 들면 FEM 계산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평면도로부터 용이하게 명백한 바와 같이, 국부적 강화의 형성을 위한 지지 구조물(6)은 제1 배열체(10) 내에 배치되고 겹침 구역에서 제1 배열체(10) 상에 중첩되는 제2 배열체(11)를 갖는다. 지지 구조물(6)은 명백하게 겹침 구역 외부에 제1 패킹 밀도를 갖는데, 제1 패킹 밀도는 단지 프로파일 부재(12 및 13)에 의해서만 미리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바닥(5)의 구성에 대한 구성적 상세는 도 3 내지 도 6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바닥(5)은 기초판(7), 상부판(8) 및 지지 구조물(6)을 포함하며, 이 지지 구조물에는 그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챔버가 제공된다. 바닥은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측 부분(20 및 21)에 의해 측 방향으로 폐쇄된다. 바닥 구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상부판은 도 4에서 생략된다. 배가된(multiple) 패킹 밀도를 갖고 중앙에 배열되어 있으며 국부적으로 강화된 존은 도 4로부터 특히 명확하다. 소정의 정도로 이중 격자를 형성하는 배열체(11)는 평면도로 볼 때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2 배열체(11)의 외부 치수는 예를 들면 바닥에 작용하는 구성 요소(도 1 참조; 예를 들면 완충 요소)의 구성 크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열체는 평면도로 볼 때 대체로 바닥과 동일한 크기 비율을 가진 직사각형을 로 포함한다.
구성 요소(6, 7 및 8뿐만 아니라 20 및 21)는 예를 들면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절단, 굽힘 및 용접 방법에 의해 생산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바닥을 생산하기 위한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예를 들면 도 5로부터 명백하다. 격자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1 배열체(10) 및 제2 배열체(11)를 위한 프로파일 부재들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이에 따라 서로 단단히 연결된다. 제2 격자 배열체(11)는 도 5에 따른 예시에서 제1 격자 배열체(11) 상에 위로부터 놓인다. 각각의 상호 대향하는 슬롯(16, 17 및 18, 19)은 두 개 배열체(10 및 11)의 대략적으로 정밀한 끼움 연결을 위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닥(5)은 명백한 바와 같이 단일 층 지지 구조물(6)을 갖는다. 제2 배열체(11)는 제1 배열체(10) 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동일한 층 내에 배치된다. 단일 층 또는 제1 배열체(10) 및 제2 배열체(11)를 구비한 샌드위치 층 대신에, 상기 유형의 지지 구조물 층을 다수개 구비한 바닥도 또한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6에 따른 제2 격자 배열체(11)의 상세한 예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슬롯(18, 19)은 바닥의 평면에 대해 또는 프로파일 부재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상기의 경우에 슬롯(18 및 19)은 바닥 측면에서 프로파일 부재 단부면으로부터 프로파일 부재(14, 15)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되며, 이에 의해 조립된 상태에서 모든 프로파일 부재는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된다.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는 각각 제1 배열체의 두 개의 프로파일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도 7에서, 프로파일 부재(12)에 인접한 프로파일 부재는 도면 부호 (12')로 표시된다.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14)는 간격(a)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프로파일 부재(12와 12') 사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중앙 위치 설정 및 정렬은 간격(a/2)에 의해 표시된다. 프로파일 간격(a)은 5센티미터 내지 20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10센티미터 내지 15센티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따른 이전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는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제1 배열체의 각각의 동일하게 배향된 프로파일 부재와 동시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형성된 벽 또는 세그먼트 배열체의 벽 세그먼트(프로파일 부재(14)에 의해 예로서 도 7에 도시됨)는 제1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12 및 13)에 의해 형성된 벽 또는 벽 세그먼트와 슬롯에 의해 기계적으로 형상 맞춤식으로(positively) 연결된다. 제1 배열체 및 제2 배열체로 이루어진 지지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제2 배열체는 바람직하게 제1 배열체에 용접된다.

Claims (9)

  1. 평평한 하부 측면(7) 및 상기 하부 측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평평한 상부 측면(8)을 구비한 승강실용 바닥으로서,
    상기 상부 측면과 상기 하부 측면 사이에 지지 구조물(6)이 배열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평면도로 볼 때 대략 균일하게 분포되고 제1 패킹 밀도를 미리 결정하는 벽 또는 벽 세그먼트를 구비한 제1 배열체(10)를 갖는, 승강실용 바닥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6)은 바닥의 국부적 강화를 위해 제1 배열체(10) 내에 배치되고 겹침 구역 내에서 제1 배열체 상에 중첩되는 제2 배열체(11)를 가지며, 겹침 구역에서 지지 구조물은 제1 패킹 밀도에 비해 더 높은 제2 패킹 밀도를 가지며,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지지 구조물(6)은 겹침 구역 외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in a region) 제1 패킹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용 바닥.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배열체 및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제2 배열체(11)는 각각 격자 형태로 에지 상에 세워지는 교차 프로파일 부재(12, 13, 14, 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용 바닥.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열체의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14, 15)는 상기 제1 배열체의 각각 두 개의 인접한 프로파일 부재(12, 1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용 바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12, 13)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14, 15)에는 교차하는 프로파일 부재의 수용을 위해, 교차 지점과 관련되는 슬롯(16, 17, 18, 1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용 바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폭 및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14, 15)는 프로파일 길이 방향으로 각각 상기 바닥의 폭 또는 길이 절반 미만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용 바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열체(10)의 프로파일 부재(12, 13) 및 상기 제2 배열체의 프로파일 부재(14, 15)는 동일한 재료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용 바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적 강화는 평면도로 볼 때 상기 바닥(5) 내 중앙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용 바닥.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바닥(5)을 갖는 승강실을 구비한, 리프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는 샤프트 바닥에 단부 위치에서 승강실(3)을 포착하기 위한 완충 요소(9)를 가지며, 상기 승강실은 상기 국부적 강화가 상기 완충 요소(9)에 대해 겹침 구역에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부 위치에서 상기 완충 요소(9)는 상기 바닥(5) 상에 직접 지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KR1020137028958A 2011-04-06 2012-03-16 승강실용 바닥 KR101914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1363 2011-04-06
EP11161363.4 2011-04-06
PCT/EP2012/054694 WO2012136461A1 (de) 2011-04-06 2012-03-16 Boden für eine aufzugska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877A KR20140053877A (ko) 2014-05-08
KR101914808B1 true KR101914808B1 (ko) 2018-12-28

Family

ID=4451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58A KR101914808B1 (ko) 2011-04-06 2012-03-16 승강실용 바닥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090434B2 (ko)
EP (1) EP2694419B1 (ko)
KR (1) KR101914808B1 (ko)
CN (1) CN103459293B (ko)
AU (1) AU2012238984B2 (ko)
BR (1) BR112013020826B1 (ko)
ES (1) ES2586278T3 (ko)
HK (1) HK1191920A1 (ko)
MX (1) MX336007B (ko)
SG (1) SG193231A1 (ko)
WO (1) WO2012136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26324T3 (es) * 2010-12-22 2015-01-09 Inventio Ag Suelo de cabina de ascensor con masa de relleno
CN103906697B (zh) * 2011-08-25 2016-12-07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轿厢的底板
EP2767497A1 (en) * 2013-02-15 2014-08-20 Kone Corporation Elevator
DE102015218407A1 (de) 2015-09-24 2017-03-30 Thyssenkrupp Ag Flächiges Fahrkorbelement für eine Aufzug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3280A (ja) * 1988-12-13 1990-06-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床構造
JPH03152080A (ja) * 1989-11-06 1991-06-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かご床構造
FR2690147B1 (fr) 1992-04-16 1998-04-30 Otis Elevator Co Plate-forme, notamment pour cabine d'ascenseur et monte-charge, en materiau composite.
JP3233383B2 (ja) * 1994-09-05 2001-11-26 東レ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かご
MY121825A (en) 1998-11-24 2006-02-28 Inventio Ag Highly rigid elevator car floor
JP4293926B2 (ja) * 2004-03-19 2009-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床
EP1912782A4 (en) * 2005-07-27 2011-11-23 Milwaukee Composites Inc FIRE-RESISTANT PANEL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200995923Y (zh) * 2007-01-08 2007-12-26 广州日立电梯有限公司 复合型电梯轿厢地板
JP2010228880A (ja) * 2009-03-27 2010-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床
ES2526324T3 (es) * 2010-12-22 2015-01-09 Inventio Ag Suelo de cabina de ascensor con masa de relleno
CN103906697B (zh) * 2011-08-25 2016-12-07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轿厢的底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3011633A (es) 2013-10-25
AU2012238984A1 (en) 2013-07-18
BR112013020826A2 (pt) 2016-10-04
CN103459293B (zh) 2015-09-30
WO2012136461A1 (de) 2012-10-11
EP2694419A1 (de) 2014-02-12
SG193231A1 (en) 2013-10-30
AU2012238984B2 (en) 2017-09-07
BR112013020826B1 (pt) 2021-02-09
CN103459293A (zh) 2013-12-18
MX336007B (es) 2016-01-05
EP2694419B1 (de) 2016-05-11
ES2586278T3 (es) 2016-10-13
US9090434B2 (en) 2015-07-28
US20120255811A1 (en) 2012-10-11
KR20140053877A (ko) 2014-05-08
HK1191920A1 (en)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808B1 (ko) 승강실용 바닥
CN210458941U (zh) 一种高性能钢桥面结构
CN105040878B (zh) 一种叠合楼板
DK1682341T3 (en) IMPROVED STRUCTURE PLATE ELEMENTS OF THE SANDWICH TYPE WITH FORMS
CN103328369B (zh) 具有填料的电梯轿厢地板
CN102995805A (zh) 蜂窝孔式肋架预应力钢筋混凝土叠合板
WO2003101728A1 (en) Improved structural sandwich plate members
EP2965901B1 (en) Sandwich panel
CN110593455B (zh) 一种rc框架结构的减震填充墙及其制造方法
KR101630931B1 (ko)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CN105102734A (zh) 混合结构及其构筑方法
CN106639138A (zh) 一种自保温预应力砼双t叠合板
BE1006516A3 (nl) Betonnen vloerplaa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deze vloerplaat.
JP4618805B2 (ja) 複層金属平板の補強構造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CN107108182B (zh) 起重机的主梁
CN107447886A (zh) 一种自减振墙板及其阻尼器和墙板制作方法
CN217601848U (zh) 一种预制楼板及预制模块
CN220814238U (zh) 一种装配式钢箱梁结构框架
CN214527528U (zh) 一种多点支持桁架互锁式轿底结构
TWI727831B (zh) 輕量填土構造
KR20110123920A (ko) 선박용 바닥재
JP2766883B2 (ja) ウィングフレーム構造
JP2020033869A (ja) 建造物の補強構造
KR101476731B1 (ko) 콘크리트 건물의 증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