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003B1 -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 Google Patents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003B1
KR101914003B1 KR1020180033740A KR20180033740A KR101914003B1 KR 101914003 B1 KR101914003 B1 KR 101914003B1 KR 1020180033740 A KR1020180033740 A KR 1020180033740A KR 20180033740 A KR20180033740 A KR 20180033740A KR 101914003 B1 KR101914003 B1 KR 10191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ring
coating material
pressed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지운
Original Assignee
양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운 filed Critical 양지운
Priority to KR102018003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몰드에 제2소지를 배열하고, 상기 제2소지가 제1소지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와 상기 제1소지 사이에 상기 제2소지를 위치시키고, 제1소지에 상기 제2소지가 압착된 상태에서 열을 가하는 제1차소성을 수행하고, 제1차소성 후에 상기 제1소지 및 상기 제2소지 중 하나 이상에 유약을 도포하여 열을 가하는 제2차소성을 수행하고, 제2차소성 후에 액상의 도포물을 도포하고, 도포물의 도포 후에 열을 가하는 제3차소성을 수행하며, 경화된 도포물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하는, 연마상감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INLAYING METHOD INCLUDING GRINDED AND MATERIAL POTTERY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자기 제작방법은 고령토, 점토, 사토 및 황토를 섞어서 반죽한 뒤, 이 반죽물을 수작업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도자기 표면에 무늬모양을 성형한 후, 성형물을 800 ~ 950℃의 온도로 초벌구이하며, 초벌구이를 실시한 성형물을 유약으로 표면에 도포 처리하여 건조한 후에 다시 1150 ~ 1300℃의 온도로 재벌구이를 실시하여 완성된 도자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기존 도자기에서는 상감의 재료가 백토나 흑토, 그리고 안료로 한정된 색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기존의 도자기 제조방법을 통해서는 도자기 표면에 음각무늬 또는 음각문자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나, 도자기 표면에 상이한 재질(특히 금속류)로 음/양각문양 또는 음/양각문자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74305 호 (2017. 06.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감법을 통해 도자기를 제조하되, 도자기의 소지와 상이한 재료, 특히 금속류를 포함하는 도자기를 제조하는 연마상감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감법을 통해 도자기를 제조하되, 도자기의 소지와 상이한 재료, 특히 금속류를 포함하는 도자기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질감을 지닐 수 있도록 제조하는 연마상감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감법을 통해 도자기를 제조하되, 도자기의 소지와 상이한 재료, 특히 금속류를 포함하는 도자기를 제조하는 연마상감법을 통해 제조되는 도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몰드에 제2소지를 배열하고, 상기 제2소지가 제1소지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와 상기 제1소지 사이에 상기 제2소지를 위치시키고, 제1소지에 상기 제2소지가 압착된 상태에서 열을 가하는 제1차소성을 수행하고, 제1차소성 후에 상기 제1소지 및 상기 제2소지 중 하나 이상에 유약을 도포하여 열을 가하는 제2차소성을 수행하고, 제2차소성 후에 액상의 도포물을 도포하고, 도포물의 도포 후에 열을 가하는 제3차소성을 수행하며, 경화된 도포물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하는, 연마상감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1차소성은 850도 내지 900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차소성은 1250도 내지 1260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차소성은 760도 내지 830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포물은 금(gold)일 수 있다.
또한, 박리는 그라인딩(grinding)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몰드는, 제1소지 및 제2소지에 함유된 수분을 흠습할 수 있는 석고 또는 나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소지는 제2소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상기 몰드 상에 배열됨으로서, 제1소지에 복수 개의 제2소지가 압착될 수 있다.
몰드에 제2소지를 배열하고, 제2소지가 제1소지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몰드와 제1소지 사이에 제2소지를 위치시키고, 제1소지에 제2소지가 압착된 상태에서, 제2소지와 제3소지를 접합시키고, 제1소지, 제2소지 및 제3소지에 열을 가하는 제1차소성을 수행하고, 제1차소성 후에 제1소지 및 제2소지 중 하나 이상에 유약을 도포하여 열을 가하는 제2차소성을 수행하고, 제2차소성 후에 액상의 도포물을 도포하고, 도포물의 도포 후에 열을 가하는 제3차소성을 수행하며, 경화된 도포물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할 수 있는, 연마상감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3소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연마하는 연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연마상감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감법을 통해 도자기를 제조하되, 도자기의 소지와 상이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류를 포함하는 도자기를 제조하는 연마상감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감법을 통해 도자기를 제조하되, 도자기의 소지와 상이한 재료, 특히 금속류를 포함하는 도자기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질감을 지닐 수 있도록 제조하는 연마상감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감법을 통해 도자기를 제조하되, 도자기의 소지와 상이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류를 포함하는 도자기를 제조하는 연마상감법을 통해 제조되는 도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에 추가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소지 및 제2소지가 압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을 통해 제조된 결과물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에 의해 경화된 도포물을 박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마상감법은 소지 가압 단계(S1), 제1차소성 단계(S2), 제2차소성 단계(S3), 도포물 도포 단계(S4), 제3차소성 단계(S5) 및 박리 단계(S6)를 포함한다.
도 1을 통해 설명할 연마상감법의 일 실시예는 두 가지인 소지인 제1소지 및 제2소지를 통해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세가지 이상의 소지를 통해 도자기를 제조하는 일 실시예는 도 2를 통해 추가적인 단계를 더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소지 가압 단계(S1)에서는 제1소지 및 제2소지를 서로 가압하여 압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지는 점착력을 지니고 있는 점토나 찰흙과 같은 소재가 될 수 있어 물리력을 가해 형상의 변형을 이루기 쉽고 서로 접촉 및 가압에 의해 압착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소지와 제2소지는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소지가 더 크게 형성되고 제2소지가 군소형태로 존재하여 서로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압착은 기 결정된 형상의 몰드 내에 무작위로 흩뿌려지거나 기 결정된 형태를 띄며 배치되고, 제2소지가 제1소지 및 몰드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되어 제1소지와 몰드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몰드는 제1소지 및 제2소지에 함유된 수분을 흡습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석고 또는 나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과정에서 소지에 포함된 수분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나아가, 연마상감법을 통해 제조된 도자기의 미려함을 위해 제2소지는 제1소지와 상이한 색상일 수 있고, 군소단위로 존재하는 제2소지는 각각이 서로 다른 색상일 수 있다. 이러한 유색의 소지인 색소지는 무색인 흰색의 소지에 특정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소지에 상기 특정 색상을 가미할 수 있다.
소지 가압 단계(S2)를 통해 제1소지 및 제2소지가 압착되면 초벌을 하는 제1차소성 단계(S2)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차소성 단계(S2)는 기 결정된 온도에서 제1소지 및 제2소지가 압착된 상태의 소지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온도는 850도 내지 900도의 온도일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온도에서 제1차소성 단계(S2)가 수행되면, 제1소지 및 제2소지 중 적어도 일부 면적에 유약을 도포하여 바를 수 있다. 여기서 유약의 도포는 이후 단계에서 설명할 박리 단계(S6)에서의 도포물이 시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차소성 단계(S3)에서는 제1차소성 단계(S2)에서 보다 더 높은 온도로 재벌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차소성 단계(S3)에서는 1250도 내지 1260도의 환경에서 재벌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차소성 단계(S3) 이후에는 제1소지 및 제2소지에 도포물이 도포되는 도포물 도포 단계(S4)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포물은 예를 들어 금, 은, 백금, 구리, 알루미늄 등이 될 수 있다. 이 중 도포물이 금인 경우에, 금을 용융시켜 도포 또는 제1소지 및 제2소지가 서로 압착된 상태의 소지를 기 결정된 만큼 침전시켜 상기 압착된 상태의 소지 표면에 도포물을 입힐 수 있다.
상기 도포물이 압착된 상태의 소지에 적어도 일부표면에 입혀지면, 제3차소성 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제3차소성 단계(S5)는 도포물이 소지에 입혀진 상태에서 760도 내지 830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3차소성 이후에 도포물은 압착된 소지에 경화될 수 있다.
여기서 도포물이 도포되는 과정에서 제1소지 및 제2소지 사이에 유입될 수 있다. 제1소지에 제2소지가 압착되는 과정은, 제2소지가 제1소지를 누르면서 제1소지는 국부적으로 움푹파인 형상으로 변형됨과 동시에 제2소지가 제1소지의 움푹파인 부분에 안착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이 때 제1소지의 움푹파인 부분과 제2소지의 사이는 틈(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도포물이 도포되는 과정은, 이와 같이 형성된 제1소지 및 제2소지 간의 유격에 도포물이 도포되는 과정은, 이와 같이 형성된 제1소지 및 제2소지 간의 유격에 도포물이 유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잇다. 따라서, 도포물은 상기 유격을 포함하여 압착된 상태의 소지 외표면에서 경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격 및 상기 외표면 중 선택적으로 도포물을 도포할 수도 있으며, 유격 및 외표면에 모두 도포(유입)될 수 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유격 및 외표면에 모두 도포(유입)되는 경우를 주로 하여 설명된다.
제3차소성 단계(S5) 이후에는 압착된 소지(제1소지 및 제2소지) 표면에 경화된 도포물을 박리하는 박리 단계(S6)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박리는 경화된 도포물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모두 박리하는 것은 아니고, 선택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격에 유입된 액상상태의 도포물이 경화된 부분을 제외하고 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박리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딩(Grinding)을 통해 갈아낼 수 있다. 여기서, 압착된 소지의 전체 면적에 대해 그라인딩을 수행하며, 유격 부분에 진입된 도포물은 전반적으로 남아있게 되어 수려한 미감을 유도해낼 수 있다. 박리 단계(S6)를 수행함으로써, 연마상감법을 통해 제조되는 결과물이 완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박리 단계(S6)는 일반적인 상감법에는 포함되지 않는 제조단계에 해당하며, 상감과정에서 무늬를 부가하는 과정에서 각 소지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상감법과는 상이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연마상감법을 통해 소지 및 도포물(예를 들어, 금, 은, 구리, 백금, 알루미늄 등)을 결과물에 포함되도록 제조함으로써, 결과물의 외형 및 미감이 달라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1의 순서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는 도자기는 제1소지가 도자기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는 제조순서가 될 수 있다. 이하의 도 2에서 설명할 순서도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은 제조될 도자기의 일부가 연마상감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에 추가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각 단계(S1, S2, S3, S4, S5)에서 소지 간 접합 단계(P1) 및 소지 연마 단계(P2)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추가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소지 가압 단계(S1)의 직후에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제1소지 및 제2소지가 압착된 상태의 소지에 제3소지가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착된 상태의 소지(제1소지 및 제2소지)는 연마상감법에 의해 도포물이 도포될 부분이 될 수 있고, 상기 압착된 소지(제1소지 및 제2소지)와 접합되는 제3소지는 도포물이 도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소지간 압착이 이루어진 소지 및 서로 압착되지 않은 소지가 있을 수 있고, 도포물이 도포된 소지와 도포물이 도포되지 않는 소지가 있을 수 있다.
제3소지와 접합된 압착된 소지(제1소지 및 제2소지)는 제1차소성단계(S2) 전에 소지 연마 단계(P2)가 수행될 수 있다. 소지 연마 단계(P2)에서는 제3소지가 연마될 수 있는데, 상기 연마를 통해 상기 압착된 소지(제1소지 및 제2소지)와의 표면 질감의 상이함을 형성하거나 표면의 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의 수행단계로써 제1차소성 단계(S2)부터 박리 단계(S6)까지 수행되되, 제2차소성 단계(S3)는 제3소지에 유약이 도포될 수도 있고 도포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유약은 일부만 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제3소지는 컵의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로 형성되고, 압착된 소지(제1소지 및 제2소지)는 컵의 손잡이로 형성되는 경우, 몸체의 수용부가 형성된 내측은 유약이 도포되되, 몸체의 외측을 향해 노출된 표면은 유약이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약이 도포된 상기 손잡이 측과 몸체의 외측을 향해 노출된 표면은 질감이 상이할 수 있고 이러한 상이함을 보다 극대화하기 위해 몸체의 외측 표면은 연마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소지(110) 및 제2소지(120)가 압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몰드에 위치된 제2소지(120)를 제1소지(110)가 몰드방향으로 가압하여 소지가 함유한 수분의 일부를 몰드가 흡습하고, 제1소지(110)에 제2소지(120)가 압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가압 과정에서 제1소지(110)가 제2소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므로, 상기 유격에 도포물이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소지(120)는 군소형태로로써, 제1소지(110)에 압착될 수 있고, 제1소지(110)와는 다른 색상을 띌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로써 서로 다른 색상을 띄는 소지 간의 압착을 도시한 것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한 색의 제1소지(110)와 제2소지(120)가 압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을 통해 제조된 결과물(도자기)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소지(110) 및 제2소지(120)가 가압되면서 압착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유격에 도포물(200)인 금이 액상상태일 때 유입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입은 상기 유격뿐 아니라 제1소지(110)의 표면에도 도포될 수 있는데, 이때 도포된 도포물(200)은 경화 후에 박리 단계(S6)에서 박리될 수 있다. 박리되는 과정에서 남겨진 도포물(200)이 표면으로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유격은 제1소지(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제1소지(110)와 제2소지(120)의 경계에 형성되어 도포물(200)이 유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상감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자기는 찻잔일 수 있다. 이는 일 예이며 상술한 바에 따르면 도 2의 추가단계를 포함한 연마상감법에 따라 제조된 도자기일 수 있다. 여기서 제3소지(130)에 해당하는 잔의 몸체부 및 압착된 소지(제1소지(110) 및 제2소지(120))에 해당하는 손잡이를 결과물인 도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잔을 제외한 잔 아래 도시된 잔 받침의 경우 상술한 도 1의 연마상감법에 따라 제조된 도자기일 수 있다. 각각의 연마상감법은 제3소지의 포함여부가 다르고 이러한 차이로 인해 제조공정의 추가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예로써, 제1소지(110)는 자기토소지이고, 제2소지(120)는 색소지, 도포물(200)은 금이라고 할 때, 자기토소지가 무색(흰색)이고 색소지가 다양한 원색의 군소형태로 자기토소지에 압착되고, 압착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틈(유격)에 액화된 금이 유입될 수 있다. 금이 유입되는 과정에서는 자기토소지 및 색소지의 표면에도 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금은 박막형태로 도포될 수 있으므로 그라인딩에 의해 표면에 도포된 금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소지는 안료의 종류 및 첨가율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띄도록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붉은 색안료를 사용하되, 붉은 색안료의 첨가율을 0.1% 내지 1% 내에서 결정하여 특정 색상의 색소지를 제조할 수 있다. 첨가율에 따라 색상의 진한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의 결정은 상기 무색(흰색)의 자기토소지와 상이한 색상을 띔으로써 시인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미감은 도포물(200)인 금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금은 빛반사율이 소지보다 더 높으므로, 주변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다시 반사시켜 시인성 및 심미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제조될 도자기가 제1소지(110), 제2소지(120) 및 도포물(20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조된 결과물의 표면 전체가 제조공정에서 유약이 도포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컵과 같은 결과물은 손잡이와 컵의 몸체를 구분하여 둘 중 하나가 제3소지(130)로 형성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3소지(130)가 제1소지(110) 및 제2소지(120)와 압착된 상태인 소지와 결합될 수 있고, 유약이 도포처리가 부분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약의 도포처리는 제1소지(110) 및 제2소지(120)가 서로 압착된 소지에만 도포될 수 있다. 즉, 제3소지(130)의 표면에는 유약의 도포가 안되거나 부분만이 도포되어 유약이 도포되지 않은 제3소지(130)의 표면과 유약이 도포된 제1소지(110) 및 제2소지(120)가 압착된 소지 간의 질감 차이가 형성될 수 있다. 유약이 도포되는 제1소지(110) 및 제2소지(120)가 압착된 소지는 유광의 질감이 형성된다면, 유약이 도포되지 않은 제3소지(130)의 표면은 무광 및 매트(matt)한 질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질감의 차이로 인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3소지(130)를 포함하는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는 제1소지(110)와 제2소지(120) 간의 색상차이, 도포물(200)의 빛반사율 및 도자기는 제1소지(110)와 제2소지(120)가 압착된 소지와 제3소지(130) 간의 질감 차이 등으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제1소지
111 : 음각홈
120 : 제2소지
130 : 제3소지
200 : 도포물
S1 : 소지 가압 단계
S2 : 제1차소성 단계
S3 : 제2차소성 단계
S4 : 도포물 도포 단계
S5 : 제3차소성 단계
S6 : 박리 단계
P1 : 소지 간 접합 단계
P2 : 소지 연마 단계

Claims (11)

  1. 몰드에 제2소지를 배열하고, 상기 제2소지가 제1소지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몰드와 상기 제1소지 사이에 상기 제2소지를 위치시켜 가압하고,
    상기 제1소지에 상기 제2소지가 압착된 상태에서 열을 가하는 제1차소성을 수행하고,
    상기 제1차소성 후에 상기 제1소지 및 상기 제2소지 중 하나 이상에 유약을 도포하여 열을 가하는 제2차소성을 수행하고,
    상기 제2차소성 후에 상기 제1소지 및 상기 제2소지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유격에 액상의 도포물이 유입되도록 도포하고,
    상기 도포물의 도포 후에 열을 가하는 제3차소성을 수행하며,
    경화된 상기 도포물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하는, 연마상감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차소성은 850도 내지 900도에서 이루어지는, 연마상감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차소성은 1250도 내지 1260도에서 이루어지는, 연마상감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차소성은 760도 내지 830도에서 이루어지는, 연마상감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물은 금(gold)인, 연마상감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리는 그라인딩(grinding)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마상감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상기 제1소지 및 상기 제2소지에 함유된 수분을 흠습할 수 있는 석고 또는 나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연마상감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소지는 상기 제1소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상기 몰드 상에 배열됨으로서, 상기 제1소지에 복수 개의 상기 제2소지가 압착되는, 연마상감법.
  9. 몰드에 제2소지를 배열하고, 상기 제2소지가 제1소지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와 상기 제1소지 사이에 상기 제2소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1소지에 상기 제2소지가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소지의 일측에 제3소지를 접합시키고,
    상기 제1소지, 상기 제2소지 및 상기 제3소지에 열을 가하는 제1차소성을 수행하고,
    상기 제1차소성 후에 상기 제1소지 및 상기 제2소지 중 하나 이상에 유약을 도포하여 열을 가하는 제2차소성을 수행하고,
    상기 제2차소성 후에 상기 제1소지 및 상기 제2소지가 가압되며 형성된 유격에 액상의 도포물이 유입되도록 도포하고,
    상기 도포물의 도포 후에 열을 가하는 제3차소성을 수행하며,
    경화된 상기 도포물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하는, 연마상감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소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연마하는 연마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마상감법.
  11. 삭제
KR1020180033740A 2018-03-23 2018-03-23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KR10191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40A KR101914003B1 (ko) 2018-03-23 2018-03-23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40A KR101914003B1 (ko) 2018-03-23 2018-03-23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003B1 true KR101914003B1 (ko) 2018-10-31

Family

ID=6409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740A KR101914003B1 (ko) 2018-03-23 2018-03-23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80B1 (ko) * 2020-09-28 2022-03-16 이희복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40B1 (ko) * 2011-12-19 2012-04-23 정민정 도자기의 페인팅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40B1 (ko) * 2011-12-19 2012-04-23 정민정 도자기의 페인팅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80B1 (ko) * 2020-09-28 2022-03-16 이희복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43080A (ko) * 2020-09-28 2022-04-05 이희복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
KR102383844B1 (ko) 2020-09-28 2022-04-08 이희복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41669A (zh) 3d玻璃装饰膜加工设备及方法
KR101914003B1 (ko)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KR100360624B1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123940B1 (ko) 옻칠 스크린인쇄 및 자개를 이용한 장식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76485A1 (en) Plastic simulated stone and ceramic products manufactured from recyclable plast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30076439A (ko) 오프셋인쇄 방식의 무늬를 가진 가열용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CN106587619A (zh) 具有浅浮雕图案的陶瓷制品及制备工艺
JP6278299B2 (ja)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3265B1 (ko) 파인 세라믹 기재상에서의 색상 구현 방법
CN109397496A (zh) 一种建水紫陶多层次彩泥堆雕的方法
JP7067408B2 (ja) 加飾品製造方法
CN215705413U (zh) 皮革和冷珐琅的复合制品
JPS607179Y2 (ja) 化粧板
US6241837B1 (en) Method of producing ceramic article with relief decoration
JP2953490B2 (ja) 窯業系板材の化粧方法
JPS5869787A (ja) 装飾品
KR100538752B1 (ko) 가구용 문짝의 제조방법
KR101575496B1 (ko) 상감 장식 제공 방법
JP3204031U (ja) 加飾板
JPH05269953A (ja) 装飾用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TWM625694U (zh) 三維積層陶瓷貼片
KR20090095858A (ko) 반입체 유브이 코팅 방법
JPH05318694A (ja) 化粧板の製造法
KR100291836B1 (ko)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
JPH072958B2 (ja) 皮革への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