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836B1 -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836B1
KR100291836B1 KR1020000064309A KR20000064309A KR100291836B1 KR 100291836 B1 KR100291836 B1 KR 100291836B1 KR 1020000064309 A KR1020000064309 A KR 1020000064309A KR 20000064309 A KR20000064309 A KR 20000064309A KR 100291836 B1 KR100291836 B1 KR 10029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aint
pattern
lacquer
di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634A (ko
Inventor
송원섭
Original Assignee
송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섭 filed Critical 송원섭
Priority to KR102000006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8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3/00Other substrates
    • B05D2203/22Paper or cardboar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활석분과 도료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판형상으로 성형한 후, 이를 분쇄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칠분말의 제조방법은 이탈이 쉽게 탈이제가 도포된 베이스종이를 편평히 펼치고, 그 표면에 활석분과 도료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칠한 후 24시간 내지 48시간 건조하여 분쇄기로 잘게 부수어서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칠분말이 마감용 칠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므로 수축률 차이에 의한 이탈이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 원하는 색상과 문양무늬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상품적 가치가 현저히 상승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Color powder for design by using pa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하는 재료와 색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열팽창률이 같아 탈락이나 변형없이 영구적으로 문양을 보존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나 실내장식에는 각종 문양을 표현하고 있다.
이 문양재료로는 자개나 금속 목재를 주로 이용하며, 이 재료들을 특정 무늬로 가공한 후 가구 등에 부착하고, 그 표면에 도장작업을 마무리하는 것에 의해 특정 문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종래 상감처리방법에 의한 단면구조를 보이고 있다.
즉, 가구나 장식물을 이루는 베이스목재(1)에 원하는 모양을 음각으로 파낸 후, 그 파낸 홈(2)으로 금속이나 자개 및 목재 등과 같은 문양재료(3)를 채워 넣고 표면에 칠도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완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문양처리 방법에 의하면, 상감처리의 경우 가구 등에 일일이 홈을 정밀하게 파는 것이 어렵고, 부주의로 가구 전체를 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문양재료로 금속이나 자개 및 나무가 갖는 그대로의 색상이나 무늬만을 갖게 되므로,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없었다.
그리고, 칠도막과 문양재의 열팽창계수 및 수축률이 서로 달라 장시간 경과후에는 서로 이탈되어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상실함은 물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에 도장되는 칠류와 동일한 성분을 갖는 칠판과 칠분을 이용해 문양을 형성하므로 열팽창에 따른 수축률차이로 서로 이탈되거나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장식할 수 있도록 된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견고성과 수명 및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고,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 상품성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도록 된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상감기법에 의해 문양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칠분말과 칠판재를 함께 이용해 문양을 처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칠판재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칠분말과 칠판재에 의해 형성된 문양의 실시예
도 5는 도 4의 확대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칠판재 11 - 베이스종이부재
12 - 코팅층 20 - 칠분말
이러한 본 발명의 칠분말은 활석분과 도료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판형상으로 성형한 후, 이를 분쇄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칠분말의 제조방법은 이탈이 쉽게 탈이제가 도포된 베이스종이를 편평히 펼치고, 그 표면에 활석분과 도료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칠한 후 24시간 내지 48시간 건조하여 분쇄기로 잘게 부수어서 얻는 것이다.
따라서, 칠분이 마감용 칠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므로 수축률 차이에 의한 이탈이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 원하는 색상과 문양무늬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상품적 가치가 현저히 상승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칠판재(10)와 칠분말(20)에 의해 문양이 양각으로 덧대어 처리된 상태를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칠판재(10)의 단면구조를 확대하여 베이스종이부재(11)의 양측면에 코팅층(12)들이 각각 복수층 처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칠판재(10)를 소정의 모양으로 가공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본 발명의 칠분말(20)이 채워지는 문양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문양처리상태를 확대 단면도로 목재(1)의 표면에 칠도막(5)이 칠해진 그 표면으로 다시 문양이 형성된 상태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칠분말(20)은 활석분과 옻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섞어진 상태에서 판형상으로 이탈이 가능한 베이스판 등의 표면에 도포한 후, 이를 분말상태로 분쇄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때의 도포두께는 0.05-0.08mm사이가 적합하며 활석분과 옻 및 희석재가 도포된 후 원하는 색상으로 장식이 적용되어지는 가구와 동일한 도료의 옻 이외에 카슈나 우레탄, 락카 및 기타 도료를 이용해 색칠한 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특정 크기만을 얻기 위해 채로 걸러서 분말로 얻어지는 것이다.
이 칠분말(20)의 제조방법은 우선, 이탈이 쉽게 탈이제가 도포된 베이스종이를 사각 틀체에 테두리가 고정되도록 하여 편평히 펼쳐지게 유지한 상태에서, 그 표면에 활석분과 도료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도포 두께가 0.05-0.08mm사이를 갖도록 도포한 후 24시간 내지 48시간 건조하여 딱딱해진 칠판재 상태를 베이스종이로부터 탈리한 다음 분쇄기로 잘게 부수어서 얻는 것이다.
이때 특정 크기만을 얻기 위해 채로 걸러서 일정크기의 분말을 얻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칠판재(10)는 얇고 소정의 색상을 갖는 판재로 이를 소정의 모양으로 절취하거나 가공하여 문양을 만드는데 이용되는 소재이다.
이 칠판재(10)는 각종 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섬유질의 베이스종이부재(11)를 기초로 하여 그 일면 내지 양측표면에 활석분과 그 도료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포함된 코팅층(12)을 복수로 코팅처리 하게 된다.
여기서, 시험에 의하면 제 3도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코팅층(12)이 각각 4-5개층 형성되는 것이 색상이나 두께 강도면에서 원하는 정도를 얻을 수 있었는데, 베이스종이부재(11)로부터 덧칠되는 코팅층(12)이 멀어질 수록 그 배합비율을 다르게 하는 것이 색상 표현면에서 좋다.
즉, 시험에 의해 예로서 베이스종이부재(11)에 가장 가까운 제1 코팅층(12)은 활석분 20% 에 옻칠이 80%의 비율로, 그리고 제2 코팅층(12)은 활석분 15% 에 옻칠이 85%의 비율로, 제3, 제4 코팅층(12)은 활석분 10% 에 옻칠이 90%의 비율로 점차 활석분의 비율은 낮추고 옻칠의 비율을 높여 투명하면서도 질감이 우수한 칠판재(10)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전체적으로 완성된 두께는 약 0.3-08mm 사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칠판재(10)의 제조방법으로는 우선, 베이스종이부재(11)를 펼쳐지게 지지할 수 있는 사각틀체에 각종 도료 중에서 예로서 옻도료가 칠해진 가구의 장식용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옻칠이 되어 있는 섬유질의 베이스종이부재(11) 테두리를 고정시켜 편평히 유지시킨 후, 그 표면의 일측 내지 양측표면에 활석분과 옻 및 희석재가 소정의 서로 다른 비율로 포함된 코팅층(12)을 반복하여 코팅하게 된다.
이때, 1차 코팅층(12)을 형성하는 과정이 상온에서 습도 60-80%의 조건에서 24시간 내지 48시간 건조하게 되며, 질감을 우수하고 일정하게 하기 위해 표면을 사포 등으로 미끈하게 다듬는 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다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차 코팅층(12)은 그 활석분과 옻칠에 대한 비율을 다르게 한 후 1차 코팅층(12)과 같은 온도와 습도 그리고 건조시간을 경과한 후 표면을 다듬는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3차 코팅층(12) 및 4차 코팅층(12)을 가공하게 된다.
이때, 도료는 가구에 도포되어진 재질과 동일 재질로 선택하게 되어 동일 질감 및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 도료로는 옻 이외에 카슈나 우레탄 락카 및 기타 각종 가구용 도료가 포함되는 것이며, 가구에 칠해진 동일 도료로 된 판재형상의 칠판재(10)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과 방법에 의해 얻어진 칠판재(10)는 도 4와 같이 각종 기하학적 문양 내지 예술적 문양으로 된 프레스금형 등을 이용해 절취하여 가공하게 된다.
이때, 직선이나 원형 등의 특정 무늬는 물론, 모자이크방법에 의한 문양을 위해 여러 불규칙한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옻칠된 가구나 기타 내장재의 나무표면에 가공된 칠판재(10)를 직접 부착하거나, 칠도막(5)이 처리된 그 표면으로 부착한 후 그 사이의 공간으로는 칠분말(20)을 채워지게 하는 것이다.
이때, 칠분말(20)의 접착을 위해 옻이나 기타 접착성을 갖는 액상의 칠이 함께 혼합된 상태로 도포되면 자연히 함께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처리되는 본 발명에 의한 상감처리방법에 의하면 목재 상부 칠도막(5)의 칠과 칠판재(10) 칠분말(20)이 각각 동일한 칠재질로 제작되므로 팽창계수와 칠접착력이 동일하므로 결합력이 우수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차이로 변질 및 이탈될 염려가 없게 된다.
또, 다양한 색상을 얻어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비감 있는 제품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칠분말이 마감용 칠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므로 수축률 차이에 의한 이탈이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 원하는 색상과 문양무늬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상품적 가치가 현저히 상승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활석분과 문양을 장식하고자 하는 가구 도료와 동종의 도료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건조된 판재를 소정 크기로 분쇄시키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옻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
  3. 이탈이 쉽게 탈이제가 도포된 베이스종이를 편평히 펼치고, 그 표면에 활석분과 문양을 장식하고자 하는 가구 도료와 동종의 도료 및 희석재가 소정의 비율로 칠한 후 24시간 내지 48시간 건조하여 분쇄기로 잘게 부수어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의 제조방법.
KR1020000064309A 2000-10-31 2000-10-31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 KR10029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309A KR100291836B1 (ko) 2000-10-31 2000-10-31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309A KR100291836B1 (ko) 2000-10-31 2000-10-31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725A Division KR100291837B1 (ko) 1998-10-31 1998-10-31 도료를이용한문양용칠판재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634A KR20010007634A (ko) 2001-01-26
KR100291836B1 true KR100291836B1 (ko) 2001-06-01

Family

ID=1969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309A KR100291836B1 (ko) 2000-10-31 2000-10-31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8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634A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090B1 (ko)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924461B1 (ko) 채색 석재 장식품 및 상감 세공방법
CN104736350A (zh) 在冲压带和冲压板上的表面结构化
US6063444A (en) Bas-relief process
KR100291836B1 (ko) 도료를 이용한 문양용 칠분말과 그 제조방법
JP2007296822A (ja) 彫漆調加飾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1837B1 (ko) 도료를이용한문양용칠판재및그제조방법
KR20130080557A (ko) 인테리어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44754B1 (ko) 폐자개를 이용한 자개타일 및 그 제조 방법
JP3916845B2 (ja) 木質様成形品の表面処理方法
JP4027787B2 (ja) 箸の製造方法
JP2641669B2 (ja) 模様タイルの製造方法
KR100572231B1 (ko)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칠공예품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의한 칠공예품
KR0138692B1 (ko) 가구 표면 장식재 제조 방법
KR101373672B1 (ko) 페이퍼페인팅을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의 무늬형성방법
KR101336031B1 (ko) 가구용 장식패널 및 그 제작방법
KR20110048199A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입체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JP4413601B2 (ja) 建築板の製造方法
KR20070092465A (ko) 색상 무늬를 갖는 멜라민수지 식기의 제조방법
KR200287550Y1 (ko) 가구 표면 장식용 상감 구조
KR200328442Y1 (ko) 건축 마감재
KR100508409B1 (ko) 동문양체를 가지는 공예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575496B1 (ko) 상감 장식 제공 방법
KR100373232B1 (ko) 나무 돗자리용 나무편 및 그 제조방법
KR970000733B1 (ko) 건재용 하드보드에 이색무늬 도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