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580B1 -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580B1
KR102374580B1 KR1020200125417A KR20200125417A KR102374580B1 KR 102374580 B1 KR102374580 B1 KR 102374580B1 KR 1020200125417 A KR1020200125417 A KR 1020200125417A KR 20200125417 A KR20200125417 A KR 20200125417A KR 102374580 B1 KR102374580 B1 KR 10237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porcelain
celadon
white
porcelain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복
Original Assignee
이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복 filed Critical 이희복
Priority to KR102020012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580B1/ko
Priority to KR1020220030054A priority patent/KR102383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attaching appendages, e.g. handles,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1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for moulded articles undergoing a thermal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s, such as burning, afte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백자잔이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과 청자 손잡이를 연결하기 위한 백자 연결 구조물이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별도 성형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의 수축률에 기초하여, 상기 청자 손잡이가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 및 상기 청자 손잡이가 초벌구이 처리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은 백자 유약으로 시유하고, 상기 청자 손잡이는 청자 유약으로 시유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 상단에 유격 없이 올려져 가마재임하고, 재벌구이 처리되는 단계와 상기 재벌구이 처리를 통해 상기 백자잔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이 결합된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상기 청자 손잡이에 결합되어 도자기잔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POTTERY GLASS WITH WHITE PORCELAIN AND CELAD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백자 및 청자를 구비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려 상감청자는 당대부터 오늘날까지도 세계적인 명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청화 백자와 같은 조선 백자 작품 역시 수세기를 넘어서도 만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렇게 시대를 대표하는 도자기 작품은 각각의 예술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도자기의 빛깔을 하나의 제품에서 감상할 수 있는 도자기는 제작되지 않고 있다. 이 같이 백자와 청자가 결합된 제품이 제작되지 않은 이유는, 백자토와 청자토의 구성비에 따라 수축률이 달라져 초벌구이까지 가기도 전에 건조과정에서 양자가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개발 과정의 난제 때문이기도 하다.
백자와 청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제품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백자토와 청자토의 수축률 차이라는 재질의 특성을 고려하고, 양자 간의 안정적인 조립 구조가 설계되어여만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백자와 청자를 구성으로 포함하는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를 담는 잔은 백자잔, 음용자가 잡는 손잡이부는 청자 손잡이로 구성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백자잔을 지지하고 청자 손잡이와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백자 연결 구조물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백자토와 청자토 각각의 수축률을 고려하여, 성형처리 후, 수축된 사이즈에도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은, 백자잔이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과 청자 손잡이를 연결하기 위한 백자 연결 구조물이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별도 성형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의 수축률에 기초하여, 상기 청자 손잡이가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 및 상기 청자 손잡이가 초벌구이 처리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은 백자 유약으로 시유하고, 상기 청자 손잡이는 청자 유약으로 시유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 상단에 유격 없이 올려져 가마재임하고, 재벌구이 처리되는 단계와 상기 재벌구이 처리를 통해 상기 백자잔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이 결합된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상기 청자 손잡이에 결합되어 도자기잔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은, 상기 청자 손잡이의 상단 영역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청자 손잡이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하여 고정 구조물이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자 손잡이는, 상단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을 수용하고,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이 삽입된 후, 상기 고정 구조물이 양측면을 통과되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을 관통되도록 양측면에 상기 개방부와 동일한 크기의 개방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백자잔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 상단에 유격 없이 올려져 가마재임하고, 재벌구이 처리되는 단계는, 상기 백자잔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가 유약 용융을 통해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자 손잡이의 개방된 상단 영역은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의 바닥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사이즈만큼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측면 개방구멍 중, 제1 개방구멍을 통해 상기 고정 구조물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 구조물이 상기 개방부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 구조물이 상기 양측면 개방구멍 중, 제2 개방구멍을 통과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구조물은, 상기 제1 개방구멍 및 상기 제2 개방구멍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 구조물을 좌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봉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구 및 제2 삽입구가 상기 고정 구조물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구조물의 상기 제1 삽입구에 제1 고정봉이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구에 제2 고정봉이 삽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백자잔이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는, 상기 백자잔의 제1 수축률이 반영된 사이즈로 성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이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별도 성형되는 단계는, 싱기 제1 수축률이 반영된 사이즈로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이 성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의 수축률에 기초하여, 상기 청자 손잡이가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는, 상기 제2 수축률로 수축되는 상기 청자 손잡이가 상기 제1 수축률로 수축되는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성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은, 상술한 실시예의 각 단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제품에서 백자와 청자가 동시에 감상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통 도자기 제품의 구성마다 백자 색상, 청자 색상으로 서로 다른 미감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와 손잡이를 조립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세련된 조형미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자 연결 구조물의 예시이다.
도 3은 백자잔 및 백자 연결 구조물이 부착된 백자잔 조립 구조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청자 손잡이와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자기는, 달항아리와 같은 관상용 도자기에서부터 식기, 머그, 컵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생활에 사용하는 생활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은 와인잔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백자잔은 백자 와인잔으로, 청자 손잡이는 청자 받침대로 칭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백자잔을 청자 손잡이에 끼워 맞추고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하고, 각기 소성하여 조립 및 완성하는 제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잔은 수납 시에는 분리하여 보관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예시이다. 도 1에서, 도자기잔(100)이 예로써 도시되었다. 도자기잔(100)은 상부 잔은 백자잔으로, 백자잔의 받침이 되는 손잡이는 청자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자 연결 구조물의 예시이다. 도 3은 백자잔 및 백자 연결 구조물이 부착된 백자잔 조립 구조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백자잔(110)은 백색도가 가장 뛰어난 슈퍼 화이트 소지로 슬립 캐스팅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백자잔(110)과 청자 손잡이(120)를 연결하기 위한 백자 연결 구조물(130) 역시 슬립 캐스팅 성형될 수 있다. 백자잔(110)과 마찬가지로 백자 연결 구조물(130)은 슈퍼 화이트 소지로 슬립 캐스팅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자 연결 구조물은 가로 및 세로 각각 4cm, 두께 1.5cm의 규격이 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백자 연결 구조물(130)은 백자잔(110)에 붙여서는 슬립 캐스팅 할 수 없는 구조로서, 별도로 구조물을 성형한다. 구조물 성형 시에 백자잔(110)과 연결되는 백자 연결 구조물(130)의 상단 영역은 백자잔(110) 하단 원형 규격대로 곡선 처리된다.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은 초벌구이 처리 후, 재벌구이 처리 시에 유약의 용융으로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백자 연결 구조물(130)은 고정 구조물이 관통되어 청자 손잡이(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개방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부(135)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 구조물은 느티나무 봉일 수 있으며, 개방부는 1츠 규격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잔은 결합되어 백자잔 조립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O 가마재임 시에 백자잔(110)을 백자 연결 구조물(130) 상에 상단에, 백자잔(110)의 하단 곡선 면에 유격이 없도록 올려놓는다.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의 부착은 재벌구이 시에 유약의 용융으로 접착된다.
만약, 슬립 성형후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을 붙이게 되면 건조과정에서 휨이나 뒤틀림으로 대량의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문(130)은, 각기 초벌구이 후 재벌구이 때 유약으로 붙이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불량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백자 연결 구조물(130)에는 고정 구조물이 관통할수 있도록 1cm규격의 구멍이 개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청자 손잡이와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 청자 손잡이(120)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청자 손잡이(120) 역시,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과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슬립 캐스팅 성형된다.
청자 손잡이(130)의 원형을 만들 때, 백자잔(110) 또는 백자 연결 구조물(130)의 슈퍼 화이트 소지로 슬립 캐스팅 성형 시의 수축률과 청자의 수축률을 정확이 계산하여 석고틀이 제작되어야 한다. 이때, 수축률 계산의 오류 발생 시, 백자 연결 구조물(130)를 청자 손잡이(120)에 끼워 넣을 수 없거나, 고정 구조물의 관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조립이 불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청자 손잡이(120), 백자 연결 구조물(130)을 관통하여 고정 구조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면에 개방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구멍(125)은 1cm 규격으로 뚫어질 수 있다.
슬립 캐스팅 성형한 3개의 백자잔(110), 백자 연결 구조물(130) 및 청자 손잡이(120)는 건조 후 10시간 900℃ 초벌구이 처리된다.
초벌구이 후,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은 백자유약으로 시유하고, 청자 손잡이(120)는 청자유약으로 시유한다.
청자 손잡이(120)는 슬립 캐스팅 성형 후, 반 건조 때에 백자 연결 구조물(130)의 규격보다 약간 더 크게 도려낸다. 백자 연결 구조물(130)이 삽입되고, 백자 연결 구조물(130)이 수용되는 영역(123)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때, 재벌구이로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 점토판이 상기 영역(123)의 내부에 구비되어 청자 손잡이(120)의 상단 영역의 변형이 없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원형 점토판은 성형 때부터 건조, 초벌 및 재벌까지 함께하며, 재벌구이 처리 후 제거된다. 제거 후, 원형 점토판이 닿는 부위의 유약은 닦아준다. 예를 들어, 원형 점토판은, 와인 병 구멍을 막는 코르크마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재벌구이 시, 상단 백자잔(110)과 하단 백자 연결 구조물(130)을 유약 용융으로 붙여 줌으로 한 개체가 되게 한다. 이로써,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생성될 수 있다. 청자 손잡이(120)의 수용 영역(123)과 백자잔 조립 구조의 돌출구조는 암수구조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구조물(140)은 청자 손잡이(120)의 성형 후 바로 형성된 손잡이 개방구멍을 통과하여, 백자 연결 구조물(130)의 개방부를 관통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고정 구조물(140)은 예를 들어, 직경 7mm 및 길이 5cm의 느티나무봉일 수 있다. 느티나무봉이 청자 손잡이(120)의 양쪽으로 5mm씩 튀어나온 상태에서 삽입구(141, 142)가 구비될 수 있다. 기물에 바짝 붙여 양쪽으로 수직 2mm 규격으로 구멍을 뚫어주고 양쪽에 고정봉(151, 152)을 꽂아 고정 구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고정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나무핀이 사용될 수 있다. 대나무핀은 내구성이 강하고 마찰 변형이 없는 재질로써 고정봉으로 적합하다.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해체 시에는 상술한 결합 순서의 역순으로 해체가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백자잔(110), 백자 연결 구조물(130) 및 청자 손잡이(120)가 각기 개별적으로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된다(S10).
이때,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의 수축률에 기초하여, 청자 손잡이(120)가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된다.
예를 들어,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의 백자토는 대원도재에서 생산하는 백자토로써 성형에서 재벌구이까지의 수축률이 20%일 수 있다. 그러므로 석고틀 제작 당시 20%를 확대하여 제작해야 한다.
즉, 백자잔(110)의 직경이 10cm 로 제작되어야 하는 경우, 20%의 수축을 고려하여 직경 및 높이를 더 확대하여 성형되어야 한다.
또한, 백자 연결 구조물이 직경이 3cm, 높이가 3cm로이므로, 이 역시 20% 수축되었을 ? 각각 3cm가 유지되도록 확대된 사이즈로 석고틀을 제작하여야 한다.
고정 구조물이 삽입되기 위한 개방부 및 개방구멍도 상단에서 1cm 내려와서 구멍이 뚫어져야 하므로, 이때 개방구멍 형성 위치 역시 수축률을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구멍의 크기 역시, 예를 들어 6mm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수축될 것을 감안하여 규격을 확대하여 뚫어 주어야 한다.
청자 손잡이(120)는 청자로써, 예를 들어, 청도도토에서 생산하는 청자토를 사용하는데 수축률은 성형에서 재벌구이까지 15%이므로 석고틀 제작 당시 15% 확대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상단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이 삽입되는 상단 영역의 직경이, 예를 들어 4cm로 형성되는 경우, 15% 수축될 것을 감안하여 확대된 사이즈로 수용 영역이 형성되어야 한다. 청자 손잡이(120)이 바닥에 놓이게 되는 하단 부분의 직경도 6cm 로 결정되어야 하는 경우, 수축률이 감안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백자토 20%, 청자토 15% 확대하여 석고틀을 제작한 후 슬립 캐스팅 성형되어야 한다.
이후, 백자잔(110), 백자 연결 구조물(130) 및 상기 청자 손잡이(120)가 초벌구이 처리되고(S20), 백자잔(110)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130)은 백자 유약으로 시유하고, 상기 청자 손잡이(120)는 청자 유약으로 시유될 수 있다(S30).
다음으로, 백자잔(110)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130) 상단에 유격 없이 올려져 가마재임하고, 재벌구이 처리되고(S40), 재벌구이 처리를 통해 상기 백자잔(110)과 백자 연결 구조물(130)이 결합된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생성된다.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생성되면, 청자 손잡이(120)의 수용 영역에 삽입되어, 도자기잔으로 결합이 완료된다(S5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백자잔의 제1 수축률이 반영된 사이즈로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
    상기 백자잔과 청자 손잡이를 연결하기 위한 백자 연결 구조물이 상기 제1 수축률이 반영된 사이즈로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별도 성형되는 단계;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의 제1 수축률과 상기 청자의 제2 수축률에 기초하여, 상기 청자 손잡이가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
    상기 백자잔,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 및 상기 청자 손잡이가 초벌구이 처리되는 단계;
    상기 백자잔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은 백자 유약으로 시유하고, 상기 청자 손잡이는 청자 유약으로 시유하는 단계;
    상기 백자잔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 상단에 유격 없이 올려져 가마재임하고, 재벌구이 처리되는 단계;
    상기 재벌구이 처리를 통해 상기 백자잔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이 결합된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백자잔 조립 구조가 상기 청자 손잡이에 결합되어 도자기잔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은,
    상기 청자 손잡이의 상단 영역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청자 손잡이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하여 고정 구조물이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자 손잡이는, 상단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을 수용하고,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이 삽입된 후, 상기 고정 구조물이 양측면을 통과되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을 관통되도록 양측면에 상기 개방부와 동일한 크기의 제1 개방구멍 및 제2 개방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제1 개방구멍을 통해 상기 고정 구조물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 구조물이 상기 개방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개방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제1 개방구멍 및 상기 제2 개방구멍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 구조물을 좌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봉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구 및 제2 삽입구가 상기 고정 구조물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 구조물의 상기 제1 삽입구에 제1 고정봉이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구에 제2 고정봉이 삽입되는,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자잔이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 상단에 유격 없이 올려져 가마재임하고, 재벌구이 처리되는 단계는,
    상기 백자잔과 상기 백자 연결 구조가 유약 용융을 통해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자 손잡이의 개방된 상단 영역은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의 바닥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사이즈만큼 큰 사이즈로 형성되는,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의 제1 수축률과 상기 청자의 제2 수축률에 기초하여 상기 청자 손잡이가 슬립 캐스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계는,
    상기 제2 수축률로 수축되는 상기 청자 손잡이가 상기 제1 수축률로 수축되는 상기 백자 연결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성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 제3 항, 제4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KR1020200125417A 2020-09-28 2020-09-28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17A KR102374580B1 (ko) 2020-09-28 2020-09-28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30054A KR102383844B1 (ko) 2020-09-28 2022-03-10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17A KR102374580B1 (ko) 2020-09-28 2020-09-28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054A Division KR102383844B1 (ko) 2020-09-28 2022-03-10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580B1 true KR102374580B1 (ko) 2022-03-16

Family

ID=809375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17A KR102374580B1 (ko) 2020-09-28 2020-09-28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30054A KR102383844B1 (ko) 2020-09-28 2022-03-10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054A KR102383844B1 (ko) 2020-09-28 2022-03-10 백자 잔 및 청자 손잡이가 결합된 도자기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4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487Y1 (ko) * 2006-07-18 2006-12-13 (주)블랙키스톤 알칼리성 미네랄수를 제공하는 도자기 용기
KR100822883B1 (ko) * 2006-10-19 2008-04-17 (주)서화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KR20110012725A (ko) * 2009-07-31 2011-02-09 김명효 도자기와 유리의 이중구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14003B1 (ko) * 2018-03-23 2018-10-31 양지운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487Y1 (ko) * 2006-07-18 2006-12-13 (주)블랙키스톤 알칼리성 미네랄수를 제공하는 도자기 용기
KR100822883B1 (ko) * 2006-10-19 2008-04-17 (주)서화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KR20110012725A (ko) * 2009-07-31 2011-02-09 김명효 도자기와 유리의 이중구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14003B1 (ko) * 2018-03-23 2018-10-31 양지운 연마상감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도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080A (ko) 2022-04-05
KR102383844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8825A (en) Thermally insulated ceramic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6257022B1 (en) Glass slumping process
KR102374580B1 (ko) 백자 및 청자를 결합한 도자기잔 및 그 제조 방법
CN207711006U (zh) 瓷砖模具以及由其制作的瓷砖砖坯装置
US2005022111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ttery and resulting article of manufacture
CN208250457U (zh) 一种多晶硅铸锭炉坩埚
KR102086958B1 (ko) 레진이 가미된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2521846A (en) Composite glass and metal article
CN112336147A (zh) 一种陶瓷玻璃结合的高脚杯及其容器部和杯脚部的黏结方法
US11712044B2 (en) Hollow confectionery product
EP1080046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goblets, vases and glass containers in general
CN209965972U (zh) 一种防倾倒的陶瓷酒杯
KR102634792B1 (ko)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CN203332616U (zh) 带独立提手的陶瓷盖
CN217400198U (zh) 一种高光度超白玻化砖
KR101073078B1 (ko)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CN209039316U (zh) 一种琉觞瓶口环生产模具
GB2189426A (en) Forming an article of ceramics material
KR20170101068A (ko)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도금 도자기 제조방법
EP0939743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 glass container with a bottom containing a gob of glass incorporating decorative bubbles
JP2020037504A (ja) 装飾品の製作方法、装飾品、及び組成物
JP2023000081A (ja) 食器セット、及び食器セットの使用方法
CN117656511A (zh) 仿瓷制品渐变色成型工艺
Thornton et al. Two Filigrana Glass Drinking Pots with London Mounts, 1548–1549
WO2022265608A1 (en) Mold assembly with double press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