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078B1 -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078B1
KR101913078B1 KR1020180063291A KR20180063291A KR101913078B1 KR 101913078 B1 KR101913078 B1 KR 101913078B1 KR 1020180063291 A KR1020180063291 A KR 1020180063291A KR 20180063291 A KR20180063291 A KR 20180063291A KR 101913078 B1 KR101913078 B1 KR 101913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unit
base
fabric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수
Original Assignee
한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수 filed Critical 한현수
Priority to KR102018006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2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transvers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는, 재단용 원단이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재단용 원단을 권취하여 상기 재단용 원단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권취유닛 및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유닛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재단용 원단을 커팅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Automatic Cutting Apparatus for Straight-Cutting}
본 발명은 자동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단용 원단을 직선으로 커팅하도록 형성된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재질의 원단을 이용하여 의복 등 다양한 섬유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 단계에서는, 원단을 재단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종래에는 정밀한 재단을 위해 재단 과정 자체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증가하는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대량생산이 필요해짐에 따라 재단 과정 자체를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의해 자동 재단장치들이 개발됨에 따라, 신속한 재단이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에 비해 압도적인 물량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자동 재단장치는 그 목적이 어디까지나 작업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에만 치중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재단의 정밀도는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최종 제품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이다.
특히 종래의 자동 재단장치로 원단을 직선으로 커팅하는 경우, 미세한 각도의 틀어짐에 의해 최종 지점에서의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216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신속한 재단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종래의 자동 재단장치보다 정밀한 직선 커팅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재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는, 재단용 원단이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재단용 원단을 권취하여 상기 재단용 원단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권취유닛 및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유닛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재단용 원단을 커팅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재단용 원단에 접촉되어 커팅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유닛은,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재단용 원단을 커팅하는 커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자동 재단장치에 비해 매우 정밀한 직선 커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최종 제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고객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신속한 재단 속도로 인해 대량생산을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에 있어서, 이레이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를 통해 재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를 통해 재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100)는 베이스(110)와, 권취유닛(170)과, 커팅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재단용 원단(10)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권취유닛(170)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재단용 원단(10)을 권취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권취유닛(170)이 상기 재단용 원단(10)을 권취한 상태에서 회전될 경우 상기 재단용 원단(10)은 상기 권취유닛(170)이 위치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권취유닛(170)은 단면이 원형인 원형 바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권취모터(18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유닛(170)에는 상기 권취유닛(17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가이드링(17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링(175)은 상기 커팅유닛(130)에 의해 커팅되어 두 파트로 분할된 상기 재단용 원단(10)의 각 파트를 구획한 상태로 권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링(175)은 상기 재단용 원단(10)의 커팅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권취유닛(1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유닛(130)은 상기 베이스(1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유닛(170)에 의해 권취되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재단용 원단(10)을 커팅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팅유닛(13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재단용 원단(10)에 접촉되어 커팅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유닛(130)은 실린더부(131)와, 상기 실린더부(131)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부(미도시)와, 상기 피스톤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커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터부(132)는 하향 이동 시 상기 재단용 원단(10)에 접촉되어 커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터부(13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1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커터부(132)가 하향 이동 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터부(132)와 상기 권취유닛(170)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된 이레이저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100)에 있어서, 이레이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레이저유닛은 상기 베이스(110) 상을 길게 가로지르도록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165)와, 상기 회전부(165)를 상기 베이스(110)에 고정하는 동시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6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65)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부(16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감폭부(167)가 형성되며, 상기 감폭부(167)의 외주면 둘레에는 복수 개의 섬유로 구성된 이레이저부(16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레이저부(168)를 구성하는 섬유의 끝단은 상기 회전부(165)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구동모터(162)에 의해 상기 회전부(165)가 회전할 경우 함께 회전되어 상기 재단용 원단(10)에 칠해진 초크라인(11)을 지우게 된다.
즉 상기 이레이저부(168)가 구비됨으로 인해 초크를 지우는 별도의 후처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 상에는, 상기와 같은 재단 과정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베이스(110)의 안착면 상에 구비되는 흡입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142)은 상기 베이스(110) 상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재단용 원단(10)에 흡입력을 인가하여 상기 재단용 원단(10)이 상기 베이스(110)의 안착면 상에 보다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홀(142)은 상기 재단용 원단(10)의 양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흡입홀(142)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재단용 원단(10)의 커팅 영역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홀(1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의 I-I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홀(118)은 재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단용 원단(10)의 미세 분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110)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홀(118)과 연통되는 수용공간(1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홀(118)을 통해 낙하된 미세 분진은 상기 수용공간(122) 의 바닥면(120)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되어 있는 미세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펌프(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펌프(115)의 흡입력에 의해 미세 분진은 배출유로(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홀(118)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수용공간(122)에 수용되어 있는 미세 분진이 베이스(110) 상으로 다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100)를 통해 재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100)를 통해 재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10) 상에는 재단 오차를 감지하기 위한 오차감지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차감지유닛은 상기 재단용 원단(10)의 폭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조명부(148)와, 상기 조명부의 외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빛감지센서(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빛감지센서(152)는, 상기 조명부(148)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재단용 원단(10)이 오차 없이 정확한 재단 위치에 놓여 있을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148)가 상기 재단용 원단(10)에 의해 정확하게 가려지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빛감지센서(152)는 상기 조명부(148)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상기 재단용 원단(10)의 재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반증으로서,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188)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자동 재단장치(100)가 계속하여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다만, 상기 재단용 원단(10)이 정확하지 않은 재단 위치에 놓여 있을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148)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재단용 원단(1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된 상태를 가지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빛감지센서(152)는 상기 조명부(148)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재단용 원단(10)의 재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반증으로서, 상기 제어부(188)는 상기 빛감지센서(152)가 빛을 감지하였음을 인지하여 상기 자동 재단장치(100)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재단용 원단(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하고, 상기 자동 재단장치(100)가 재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재단용 원단
100: 자동 재단장치
110: 베이스
118: 배출홀
122: 수용공간
130: 커팅유닛
142: 흡입홀
148: 조명부
152: 빛감지센서
162: 구동모터
165: 회전부
167: 감폭부
168: 이레이저부
170: 권취유닛
175: 가이드링
180: 권취모터
188: 제어부

Claims (3)

  1. 상부에 재단용 원단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재단용 원단을 권취하여 상기 재단용 원단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권취유닛; 및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유닛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재단용 원단을 커팅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유닛은 단면이 원형인 원형 바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권취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유닛에는 상기 커팅유닛에 의해 커팅되어 두 파트로 분할된 상기 재단용 원단의 각 파트를 구획한 상태로 권취되도록 상기 권취유닛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가이드링이 구비되며,
    상기 커팅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재단용 원단에 접촉되어 커팅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는 재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단용 원단의 미세 분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재단용 원단의 커팅 영역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미세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를 통하여 미세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입펌프를 더 포함하며,
    커터부와 상기 권취유닛 사이로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된 이레이저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이레이저유닛은 상기 베이스 상을 길게 가로지르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동시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감폭부가 형성되며, 상기 감폭부의 외주면 둘레에는 복수 개의 섬유로 구성된 이레이저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레이저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끝단은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회전할 경우 함께 회전되어 상기 재단용 원단에 칠해진 초크라인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재단용 원단을 커팅하는 커터부;
    를 포함하는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KR1020180063291A 2018-06-01 2018-06-01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KR101913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291A KR101913078B1 (ko) 2018-06-01 2018-06-01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291A KR101913078B1 (ko) 2018-06-01 2018-06-01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078B1 true KR101913078B1 (ko) 2018-12-28

Family

ID=6500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291A KR101913078B1 (ko) 2018-06-01 2018-06-01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0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57B1 (ko) * 2020-01-27 2020-05-15 추병석 제단 장치
CN116117355A (zh) * 2023-04-18 2023-05-16 辛集市亿隆服饰有限公司 一种多头布料激光切割设备
CN117246805A (zh) * 2023-11-02 2023-12-19 佛山市格锐特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收卷裁刀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165Y1 (ko) 2001-02-21 2001-07-19 박인철 멤브레인 시트용 재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165Y1 (ko) 2001-02-21 2001-07-19 박인철 멤브레인 시트용 재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57B1 (ko) * 2020-01-27 2020-05-15 추병석 제단 장치
CN116117355A (zh) * 2023-04-18 2023-05-16 辛集市亿隆服饰有限公司 一种多头布料激光切割设备
CN117246805A (zh) * 2023-11-02 2023-12-19 佛山市格锐特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收卷裁刀装置
CN117246805B (zh) * 2023-11-02 2024-03-08 佛山市格锐特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收卷裁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078B1 (ko) 직선 커팅용 자동 재단장치
US7495759B1 (en) Damage and wear detection for rotary cutting blades
JP2851058B2 (ja) 紙巻煙草の端部の検査方法
US20070028734A1 (en) Cutting apparatus equipped with blade detection means
KR100994402B1 (ko) 부품 공급기 및 단자 압착장치
JP2006267000A (ja) 孔内異物の検出方法及びその検出プログラム
CN206177558U (zh) 转动式通用型自动光学检测设备
CN104089939A (zh) 一种新型荧光测定装置及方法
CN104959800A (zh) 自动螺丝供给机
JP2020097036A (ja) 洗浄機
JP5466382B2 (ja) 部品検査装置および部品検査方法
US201001327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chemicals from semiconductor wafer
CN205765093U (zh) 旋转定位上料装置
CN110686995A (zh) 一种刀片锋利度测试方法及测试机
KR102135009B1 (ko) 오링 검사장치
CN204868002U (zh) 自动螺丝供给机
CN110132858B (zh) 一种用于检测脐橙内部缺陷无损检测的方法
CN108917642A (zh) 滚刀磨损量检测方法及装置
CN1961764A (zh) 用于烟草加工工业的材料卷条的光学检测装置
CN100564211C (zh) 被搬运薄片的暂停装置
CN107008660B (zh) 利用机器人单轴手臂测皮带长度的装置及筛选皮带的方法
JP2007254132A (ja) チップ部品の極性反転装置および極性反転方法
KR102066816B1 (ko) 솔레노이드 장치용 코어 내면검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장치용 코어 제조장치
KR102135005B1 (ko) 오링 검사장치
CN117433437B (zh) 一种工件厚度均匀性检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