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005B1 - 오링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오링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005B1
KR102135005B1 KR1020190161157A KR20190161157A KR102135005B1 KR 102135005 B1 KR102135005 B1 KR 102135005B1 KR 1020190161157 A KR1020190161157 A KR 1020190161157A KR 20190161157 A KR20190161157 A KR 20190161157A KR 102135005 B1 KR102135005 B1 KR 10213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otating plate
module
inspection modul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석
Original Assignee
서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석 filed Critical 서민석
Priority to KR102019016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2Vide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링의 불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하여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원판 형태를 이루며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오링이 놓여지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판에 놓인 오링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1 검사모듈;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하측에 구비되어 회전판에 놓인 오링의 하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사모듈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링 검사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o-ring}
본 발명은 오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링의 불량을 검사하여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는 오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링은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재료 링을 밀폐부의 홈에 밀어넣은 것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어 간극을 막아준다. 통상 오링은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수용도로 불소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이러한 오링은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장비에 사용되며, 반도체 장비 등과 같이 진공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은 물론, 화학용액을 많이 사용하는 장비 등에 사용된다.
이처럼 기밀 및 수밀유지가 중요한 오링은 제조 과정 중 버(burr), 미성형, 뜯김, 절단, 홀막힘 등의 불량이 발생되나, 이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링의 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장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6589호 '오링 자동검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링의 불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하여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는 오링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오링 검사장치는 원판 형태를 이루며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오링이 놓여지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판에 놓인 오링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1 검사모듈;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하측에 구비되어 회전판에 놓인 오링의 하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사모듈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검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이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작업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제2 카메라에 대응되는 지점에 촬영홀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제1 검사모듈은 바(bar) 형태를 이루며 작업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높이에 제1 카메라가 구비되는 제1 지지대와, 원형의 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 중앙부에 오링이 지나가게끔 상기 제1 카메라의 하방으로 회전판의 상면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1 촬영범위설정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검사모듈은 바(bar)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회전판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작업대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작업대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제2 카메라가 구비되는 제2 지지대와, 원형의 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 중앙부에 오링이 지나가게끔 촬영홀과 회전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촬영범위설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사모듈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촬영범위설정구의 내측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판과 작업대 사이에서 구비되어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제1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사모듈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촬영범위설정구의 내측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제2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사모듈 및 제2 검사모듈은 바늘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각각 회전판의 상면 가장자리와 인접한 지점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오링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제2 감지센서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링은 제1 검사모듈을 거친 후 불량이 없을 시 제2 검사모듈을 향해 이동되되, 상기 제1 검사모듈과 제2 검사모듈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검사모듈에서 불량이라 판별된 오링을 회수하는 제1 회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검사모듈을 기준으로 제1 검사모듈이 구비된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검사모듈에서 불량이라 판별되지 않은 오링을 회수하는 제2 회수모듈과, 상기 제2 회수모듈의 타측편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검사모듈에서 불량이라 판별된 오링을 회수하는 제3 회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판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회전판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회수모듈, 제2 회수모듈 및 제3 회수모듈 각각은,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회전판에 놓인 오링이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제공하는 에어제공구와, 통 형태를 이루면서 회전판을 향해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제공구와 대응되도록 회전판의 인접한 외측에 구비되는 회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수모듈 및 제2 회수모듈의 에어제공구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는 'ㄱ'자 형태를 이루고, 수평부의 끝단이 회전판 상에 위치하도록 수직부의 끝단이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지지구와, 내부가 비고 양단이 개방된 봉 형태를 이루고, 상기 수평부의 끝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일단이 회전판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타단에 에어공급노즐이 결합되는 에어토출봉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토출봉의 일단은 회전판의 외측을 향해 상향경사지도록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제3 회수모듈의 회수로에 형성된 유입구를 향해 돌출된 회수유도로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오링은 제3 회수모듈의 에어제공구로 인해 제3 회수모듈의 회수로로 이동시 상기 회수유도로와 맞닿을 수 있다.
또한, 밀폐된 통 형태를 이루며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작업대를 기준으로 상측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 회수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작업공간 상에 회전판과 제1 검사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작업공간과 회수공간 상에 제2 검사모듈이 마련된 작업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링이 다수 개 수용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통과, 상기 공급통의 상단으로부터 회전판의 가장자리 상측까지 상기 작업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다수 개의 오링이 일렬로 배치되는 공급로를 포함하는 공급부가 상기 작업본체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본체는, 제1 검사모듈과 제2 검사모듈을 통해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오링의 불량유무와 오링의 불량유형을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오링에 오돌토돌한 버(burr)가 형성된 제1 불량과, 오링의 일부가 미성형된 제2 불량과, 오링의 일부가 뜯긴 제3 불량과, 오링의 일부가 절단된 제4 불량과, 오링에 형성될 홀이 막힌 제5 불량을 포함하는 불량유형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링의 상면과 하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사진을 통해 오링의 불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하여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으므로, 불량품이 출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량품 선별을 위한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오링의 다양한 불량유형을 파악할 수 있으며, 불량유형별 불량품의 발생횟수를 통해 제조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링 검사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링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회전판에 놓인 오링이 검사모듈을 지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링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제1 회수모듈 및 제2 회수모듈에 의해 오링이 회수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링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제3 회수모듈에 의해 오링이 회수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링 검사징치에 적용되는 작업본체와 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링 검사장치를 통해 판별되는 오링의 불량유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오링의 불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하여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원판 형태를 이루며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오링이 놓여지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판에 놓인 오링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1 검사모듈;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하측에 구비되어 회전판에 놓인 오링의 하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사모듈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오링 검사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오링 검사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0), 제1 검사모듈(200) 및 제2 검사모듈(300)을 포함한다.
먼저, 회전판(100)은 원판 형태를 이루고 투명하게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판(1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검사대상인 오링(10)이 소정의 간격으로 놓여진다.
제1 검사모듈(200)은 회전판(100)의 외측에 설치되는데, 회전판(100)의 가장자리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판(100)에 놓인 오링(10)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210)를 포함한다. 제2 검사모듈(300)도 회전판(100)의 외측에 설치되며, 회전판(100)의 가장자리 상측에 구비되는 제2 카메라(300)를 포함하여, 제2 카메라(310)를 통해 오링(10)의 하면을 촬영한다.
즉, 회전판(1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놓여진 오링(10)은 회전판(100)의 회전에 따라, 제1 검사모듈(200)과 제2 검사모듈(300)을 지나면서 상면과 하면이 촬영되어지고, 촬영된 사진을 통해 사용자는 오링(10)의 불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하여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으므로, 불량품이 출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량품 선별을 위한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판 형태를 이루는 작업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대(4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회전판(100)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2 카메라(310)는 작업대(4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바, 회전판(100)에 놓인 오링(10)의 하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작업대(400)에는 제2 카메라(310)에 대응되는 지점에 촬영홀(410)이 관통형성된다.
제1 검사모듈(200)은 제1 카메라(210)를 비롯하여 후술할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 및 제1 반사판(240)을 회전판(300) 가장자리 측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지지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대(220)는 바(bar) 형태를 이루며 작업대(4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높이에 제1 카메라(210)가 구비된다. 제1 지지대(220)는 하나의 바(ba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술한 구성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복수 개의 바(ba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카메라(210)는 제1 지지대(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판(100)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카메라고정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카메라(210)는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1 카메라고정구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검사모듈(200)은 원형의 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 중앙부에 오링(10)이 지나가게끔 제1 카메라(210)의 하방으로 회전판(100)의 상면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10)는 한번에 하나의 오링(10)에 대하여만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는 제1 카메라(210)에 의해 하나의 오링(10)만이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촬영되어지는 오링(10)과 인접한 오링(10)이 제1 카메라(210) 상에 보이지 않도록,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불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는 해당 위치에 설치됨에 있어,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가 제1 지지대(220)에 결합되어 회전판(100)을 향해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1 설치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는 상기 제1 설치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설치판에는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의 내경과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검사모듈(200)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의 내측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판(100)과 작업대(4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반사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판(240)은 빛의 반사를 방지하여 제1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한 사진이 선명하게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반사판(240)은 해당 위치에 설치됨에 있어,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가 제1 지지대(220)에 결합되어 회전판(100)을 향해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2 설치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설치판이 회전판(100)과 작업대(4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 지지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설치판의 상면에 제1 반사판(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제1 카메라고정구, 제1 설치판 및 제2 설치판은 제1 지지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대상인 오링(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제1 지지대(220)를 따라 이동된 후 고정됨으로써, 제1 카메라(210),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 및 제1 반사판(240)이 회전판(100)에 놓인 하나의 오링(10)만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검사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각각 회전판(100)의 상면 가장자리와 인접한 지점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오링(10)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250)는 일단이 오링(10)과 맞닿음으로써 오링(10)이 지나감을 감지하거나, 오링(10)이 일단에 인접할시 오링(10)이 지나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감지센서(250)에 의해 오링(10)이 지나감을 감지할 시 제1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감지센서(250)의 일단은 제1 촬영범위설정구(230)의 중앙에 위치하게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검사모듈(300)은 상술한 제1 검사모듈(200)과 동일한 구성과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검사모듈(200)이 180° 반전되어 작어대(400)에 설치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제2 검사모듈(300)은 제2 카메라(310)를 비롯하여 후술할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 및 제2 반사판을 회전판(300) 가장자리 측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지지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대(320)는 바(bar)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회전판(10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작업대(40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작업대(400)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제2 카메라(310)가 구비된다. 제2 지지대(320)는 하나의 바(ba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술한 구성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복수 개의 바(ba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카메라(310)는 제2 지지대(320)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판(100)을 향해 돌출되는 제2 카메라고정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카메라(310)는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2 카메라고정구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검사모듈(300)은 원형의 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 중앙부에 오링(10)이 지나가게끔 촬영홀(410)과 회전판(1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한번에 하나의 오링(10)에 대하여만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는 제2 카메라(310)에 의해 하나의 오링(10)만이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촬영되어지는 오링(10)과 인접한 오링(10)이 제2 카메라(310) 상에 보이지 않도록,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불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는 해당 위치에 설치됨에 있어,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가 제2 지지대(320)에 결합되어 회전판(100)을 향해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3 설치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는 상기 제3 설치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설치판에는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의 내경과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검사모듈(300)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의 내측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판(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판은 빛의 반사를 방지하여 제2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한 사진이 선명하게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2 반사판은 해당 위치에 설치됨에 있어,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가 제2 지지대(320)에 결합되어 회전판(100)을 향해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4 설치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 설치판이 회전판(1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제2 지지대(3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4 설치판의 하면에 상기 제2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제2 카메라고정구, 제3 설치판 및 제4 설치판은 제2 지지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대상인 오링(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제2 지지대(320)를 따라 이동된 후 고정됨으로써, 제2 카메라(310),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 및 상기 제2 반사판이 회전판(100)에 놓인 하나의 오링(10)만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검사모듈(300)은 바늘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각각 회전판(100)의 상면 가장자리와 인접한 지점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오링(10)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일단이 오링(10)과 맞닿음으로써 오링(10)이 지나감을 감지하거나, 오링(10)이 일단에 인접할시 오링(10)이 지나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제2 감지센서(250)에 의해 오링(10)이 지나감을 감지할 시 제2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감지센서(250)의 일단은 제2 촬영범위설정구(330)의 중앙에 위치하게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링(10)은 회전판(100)의 회전에 따라 제1 검사모듈(200)에서 상면이 촬영된 후, 불량이 없을 시 제2 검사모듈(300)을 향해 이동되는데, 본 발명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검사모듈(200)과 제2 검사모듈(300) 사이에 구비되어 제1 검사모듈(200)에서 불량이라 판별된 오링(10)을 회수하는 제1 회수모듈(50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면에 불량이 검출된 오링(10)은 제1 회수모듈(500a)을 통해 회전판(100)으로부터 벗어나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검사모듈(300)을 기준으로 제1 검사모듈(200)이 구비된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구비되어 제2 검사모듈(300)에서 불량이라 판별되지 않은 오링(10)을 회수하는 제2 회수모듈(500b)을 비롯하여, 제2 검사모듈(300)의 타측편에 구비되어 제2 검사모듈(300)에서 불량이라 판별된 오링(10)을 회수하는 제3 회수모듈(50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면의 불량이 검출되지 않은 오링(10)이 제2 검사모듈(300)에 의해 하면 불량을 검사하고, 하면의 불량이 검출되지 않은 오링(10)은 제2 회수모듈(500b)을 통해 회전판(100)으로부터 벗어나 출하를 위한 준비를 하게 되며, 하면의 불량이 검출된 오링(10)은 제2 회수모듈(500b)을 지나쳐 제3 회수모듈(500c)에 의해 회전판(100)으로부터 벗어나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본 발명은 회전판(100)보다 작은 지경을 가진 원판 형태를 이루면서, 회전판(100)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회전판(100)의 상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판(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수모듈(500a), 제2 회수모듈(500b) 및 제3 회수모듈(500c)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제공구(510)와 회수로(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어제공구(510)는 고정판(60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회전판(100)에 놓인 오링(10)이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 회수모듈(500a) 및 제2 회수모듈(500b)의 에어제공구(5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는 'ㄱ'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수평부의 끝단이 회전판(100)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의 끝단이 고정판(60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지지구(511)와, 내부가 비고 양단이 개방된 봉 형태를 이루고 상기 수평부의 끝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일단이 회전판(100)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타단에 에어공급노즐이 결합되는 에어토출봉(5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회수모듈(500c)의 에어제공구(510)도 상술한 제1 회수모듈(500a) 및 제2 회수모듈(500b)의 에어제공구(5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회전판(100) 상에 오링(10)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달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회수모듈(500c)의 에어제공구(5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를 이루며 내부를 통해 바람을 제공하여, 오링(10)이 제3 회수모듈(500c)의 회수로(5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3 회수모듈(500c)과 인접한 고정판(600)에는 제3 회수모듈(500c)의 회수로(520)에 형성된 유입구를 향해 돌출된 회수유도로(610)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도로(610)는 회전판(10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회전판(100) 상의 오링(10)이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오링(10)은 제3 회수모듈(500c)의 에어제공구(510)로 인해 제3 회수모듈(500c)의 회수로(520)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회수유도로(610)와 맞닿을 수 있는바, 제3 회수모듈(500c)의 에어제공구(510)의 바람으로 인해 오링(10)이 정확하게 회수유도로(610)를 향하지 않더라도 회전판(100)의 회전에 따라 오링(10)이 회수유도로(610)와 맞닿으며 자연스레 제3 회수모듈(500c)의 회수로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밀폐된 통 형태를 이루며 내측에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작업본체(700)와, 상기 작업본체(700)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작업본체(700) 내에 구비된 회전판(100)으로 오링(10)을 공급하는 공급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본체(8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작업대(400)를 기준으로 상측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 회수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공간 상에는 회전판(100)과 제1 검사모듈(200)을 비롯하여 제1 회수모듈(500a), 제2 회수모듈(500b) 및 제3 회수모듈(500c)이 마련되고, 상기 작업공간과 회수공간 상에는 제2 검사모듈(300)이 마련된다. 일 예로, 회수공간에는 제1 회수모듈(500a)과 제3 회수모듈(500c)에 의해 회수된 불량품이 수용되는 불량품회수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회수모듈(500b)에 의해 회수된 정상제품이 수용되는 정상제품회수통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회수공간에는 불량품회수통이나 정상제품회수통이 모두 구비되지 않거나 일부만이 구비되고, 작업본체(800)의 외측으로 불량품이나 정상제품을 배출할 수 있도록 회수로(520)와 연결된 배출로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부(800)는 오링(10)이 다수 개 수용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통(810)과, 공급통(810)의 상단으로부터 회전판(100)의 가장자리 상측까지 작업본체(80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다수 개의 오링(10)이 일렬로 배치되는 공급로(8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통(810)은 회전함에 따라 오링(10)이 공급로(820)로 들어가게 되며, 오링(10)이 용이하게 공급로(820)로 들어갈 수 있도록, 내면에 가이드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급통(810)이 회전되면 오링(10)은 가이드턱 상을 따라 이동되면서 일렬로 공급로(820)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공급로(820) 상의 오링(10)은 공급통(810)의 회전에 따라 들어오는 오링(10)에 의해 밀려 회전판(100)으로 공급될 수 있으나, 회전판(100) 상에 오링(10)이 소정의 간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오링(10)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제어구가 공급로(82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본체(700)는 제1 검사모듈(200)과 제2 검사모듈(300)을 통해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오링(10)의 불량유무와 오링(10)의 불량유형을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제공하는 모니터(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0)에 오돌토돌한 버(burr)가 형성된 제1 불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0)의 일부가 미성형된 제2 불량,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0)의 일부가 뜯긴 제3 불량,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0)의 일부가 절단된 제4 불량,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0)에 형성될 홀이 막힌 제5 불량을 포함하는 불량유형을 판별할 수 있으며, 모니터(710)를 통해 제1 불량 내지 제5 불량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오링(10)의 다양한 불량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바, 불량유형별 불량품의 발생횟수와 불량이 발생된 지점 등을 통해 제조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
10 : 오링
100 : 회전판
200 : 제1 검사모듈 210 : 제1 카메라
220 : 제1 지지대 230 : 제1 촬영범위설정구
240 : 제1 반사판 250 : 제1 감지센서
300 : 제2 검사모듈 310 : 제2 카메라
320 : 제2 지지대 330 : 제2 촬영범위설정구
400 : 작업대 410 : 촬영홀
500a : 제1 회수모듈 500b : 제 회수모듈
500c : 제3 회수모듈 510 : 에어제공구
511 : 지지구 512 : 에어토출봉
520 : 회수로
600 : 고정판 610 : 회수유도로
700 : 작업본체 710 : 모터
800 : 공급부 810 : 공급통
820 : 공급로

Claims (12)

  1. 원판 형태를 이루며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오링이 놓여지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판에 놓인 오링의 상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1 검사모듈;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하측에 구비되어 회전판에 놓인 오링의 하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사모듈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검사모듈; 및 상기 회전판이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제2 카메라에 대응되는 지점에 촬영홀이 관통형성된 작업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검사모듈은 바(bar) 형태를 이루며 작업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높이에 제1 카메라가 구비되는 제1 지지대와, 원형의 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 중앙부에 오링이 지나가게끔 상기 제1 카메라의 하방으로 회전판의 상면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1 촬영범위설정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검사모듈은 바(bar)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회전판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작업대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작업대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제2 카메라가 구비되는 제2 지지대와, 원형의 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 중앙부에 오링이 지나가게끔 촬영홀과 회전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촬영범위설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모듈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촬영범위설정구의 내측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판과 작업대 사이에서 구비되어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제1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사모듈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촬영범위설정구의 내측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제2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모듈 및 제2 검사모듈은 바늘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각각 회전판의 상면 가장자리와 인접한 지점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오링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제2 감지센서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제1 검사모듈을 거친 후 불량이 없을 시 제2 검사모듈을 향해 이동되되,
    상기 제1 검사모듈과 제2 검사모듈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검사모듈에서 불량이라 판별된 오링을 회수하는 제1 회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사모듈을 기준으로 제1 검사모듈이 구비된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검사모듈에서 불량이라 판별되지 않은 오링을 회수하는 제2 회수모듈과,
    상기 제2 회수모듈의 타측편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검사모듈에서 불량이라 판별된 오링을 회수하는 제3 회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판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회전판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회수모듈, 제2 회수모듈 및 제3 회수모듈 각각은,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회전판에 놓인 오링이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제공하는 에어제공구와, 통 형태를 이루면서 회전판을 향해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제공구와 대응되도록 회전판의 인접한 외측에 구비되는 회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수모듈 및 제2 회수모듈의 에어제공구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는 'ㄱ'자 형태를 이루고, 수평부의 끝단이 회전판 상에 위치하도록 수직부의 끝단이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지지구와,
    내부가 비고 양단이 개방된 봉 형태를 이루고, 상기 수평부의 끝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일단이 회전판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타단에 에어공급노즐이 결합되는 에어토출봉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토출봉의 일단은 회전판의 외측을 향해 상향경사지도록 절단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제3 회수모듈의 회수로에 형성된 유입구를 향해 돌출된 회수유도로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오링은 제3 회수모듈의 에어제공구로 인해 제3 회수모듈의 회수로로 이동시 상기 회수유도로와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밀폐된 통 형태를 이루며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작업대를 기준으로 상측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 회수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작업공간 상에 회전판과 제1 검사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작업공간과 회수공간 상에 제2 검사모듈이 마련된 작업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링이 다수 개 수용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통과, 상기 공급통의 상단으로부터 회전판의 가장자리 상측까지 상기 작업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다수 개의 오링이 일렬로 배치되는 공급로를 포함하는 공급부가 상기 작업본체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본체는, 제1 검사모듈과 제2 검사모듈을 통해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오링의 불량유무와 오링의 불량유형을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링에 오돌토돌한 버(burr)가 형성된 제1 불량과, 오링의 일부가 미성형된 제2 불량과, 오링의 일부가 뜯긴 제3 불량과, 오링의 일부가 절단된 제4 불량과, 오링에 형성될 홀이 막힌 제5 불량을 포함하는 불량유형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검사장치.
  12. 삭제
KR1020190161157A 2019-12-06 2019-12-06 오링 검사장치 KR10213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157A KR102135005B1 (ko) 2019-12-06 2019-12-06 오링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157A KR102135005B1 (ko) 2019-12-06 2019-12-06 오링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005B1 true KR102135005B1 (ko) 2020-08-26

Family

ID=7229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157A KR102135005B1 (ko) 2019-12-06 2019-12-06 오링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0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89Y1 (ko) 2006-03-08 2006-05-22 (주)스마트비전텍 오링 자동검사장치
KR20070011472A (ko) * 2004-04-13 2007-01-24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칩 부품 반송 방법 및 장치, 및 외관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150138555A (ko) * 2014-05-29 2015-12-10 주식회사 오성알앤에이천안공장 물체 비전 검사 장치 및 물체 비전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472A (ko) * 2004-04-13 2007-01-24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칩 부품 반송 방법 및 장치, 및 외관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0416589Y1 (ko) 2006-03-08 2006-05-22 (주)스마트비전텍 오링 자동검사장치
KR20150138555A (ko) * 2014-05-29 2015-12-10 주식회사 오성알앤에이천안공장 물체 비전 검사 장치 및 물체 비전 검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009B1 (ko) 오링 검사장치
CN212041552U (zh) 一种垫片表面缺陷及厚度自动化检测装置
CN106556607A (zh) 识别显示面板表面灰尘的装置及方法
CN209953278U (zh) 一种产品ccd检测机
KR20060069260A (ko) 표시용 패널의 검사장치
US201503177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parts
CN116169055B (zh) 一种晶圆分选机
KR102135005B1 (ko) 오링 검사장치
CN103383468A (zh) 封框胶涂布设备的检测系统及检测方法、封框胶涂布机
CN106198548A (zh) 高亮、超薄背光源智能检测和分析系统
CN206095965U (zh) 一种单相机全角度自动检测设备
CN208013102U (zh) 一种紧固件的视觉检测设备
JP3322037B2 (ja) 加工孔検査装置
CN108951075B (zh) 一种带疵点裁片的筛除方法及带疵点裁片定位系统
CN206563720U (zh) 一种多工位背光模组aoi测试装置
KR101392083B1 (ko)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JP2007139616A (ja) 検査機構および被検査物搬送検査装置ならびに検査方法
CN110721929A (zh) 一种外观件检查机
CN206502335U (zh) 托盘清空检测机构
KR101673967B1 (ko) 불량 마킹용 스티커 공급 장치
CN108855980A (zh) 热转印胶片检测系统
CN115184375A (zh) 一种塑料件外观检测设备以及检测方法
CN112730434B (zh) 一种应用于aoi检测的数据监测方法
CN210269641U (zh) 一种凹凸缺陷检测设备
CN208488028U (zh) 灯罩孔位自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