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83B1 -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83B1
KR101392083B1 KR1020120079610A KR20120079610A KR101392083B1 KR 101392083 B1 KR101392083 B1 KR 101392083B1 KR 1020120079610 A KR1020120079610 A KR 1020120079610A KR 20120079610 A KR20120079610 A KR 20120079610A KR 101392083 B1 KR101392083 B1 KR 10139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nit
upside
bar
dim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513A (ko
Inventor
이성철
이현석
김성진
양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
Priority to KR102012007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0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검사 장치로서, 상기 업쇼바 캡이 수용되는 부품 공급유닛; 상기 부품 공급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부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업쇼바 캡을 일렬로 배출하는 피더 유닛; 상기 피더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업쇼바 캡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촬상된 이미지의 복수의 체킹 요소가 설정 기준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품 및 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젼 검사유닛; 및 상기 비젼 검사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업쇼바 캡을 배출하는 부품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처리법을 이용하여 가공된 업쇼바 캡의 치수 불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사 공정과 작업자 환경 개선으로 품질 및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 ABSORBER CAP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처리법을 이용하여 가공된 업쇼바 캡의 치수 불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사 공정과 작업자 환경 개선으로 품질 및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업쇼바 캡은 차량 현가시스템을 구성하는 업쇼바의 일부분으로서 오일 및 가스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업쇼바 캡은 별도의 회전 및 절삭 작업 등을 통해 제조되며, 제조 완료된 업쇼바 캡은 치수 확인을 위한 검사 작업을 거친 후 납품된다.
종래 치수 확인을 위한 검사 작업은 주로 작업자의 육안에 의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육안 검사는 많은 양의 부품을 육안으로 선별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눈 피로도가 증가하며 따라서 작업자가 장기간 작업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육안 검사는 검사 작업시 실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수는 후공정의 불량 발생(실질적인 업쇼바 조립시 업쇼바 품질 불량 발생)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부연해서, 이러한 작업자의 능률에 의존하는 검사 작업은 생산성을 약화시켜 국제화 시대에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처리법을 이용하여 가공된 업쇼바 캡의 치수 불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사 공정과 작업자 환경 개선으로 품질 및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자동차용 업쇼바 캡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검사 장치로서, 상기 업쇼바 캡이 수용되는 부품 공급유닛; 상기 부품 공급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부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업쇼바 캡을 일렬로 배출하는 피더 유닛; 상기 피더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업쇼바 캡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촬상된 이미지의 복수의 체킹 요소가 설정 기준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품 및 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젼 검사유닛; 및 상기 비젼 검사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업쇼바 캡을 배출하는 부품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비젼처리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젼 검사유닛은, 상기 업쇼바 캡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복수의 CCD 카메라; 상기 복수의 CCD 카메라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촬상된 업쇼바 캡의 상기 복수의 체킹 요소를 검출하는 치수 검출부; 상기 업쇼바 캡의 정상적인 치수 범위가 기저장되어 있는 치수 저장메모리; 및 상기 치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체킹 요소와 상기 치수 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치수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업쇼바 캡이 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킹 요소는, 상기 업쇼바 캡의 외경, 내경 및 높이일 수 있다.
상기 비젼 검사유닛은, 상기 업쇼바 캡이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워킹 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CCD 카메라가 설치되는 설치바를 포함하며, 상기 워킹 베이스에는 상기 CCD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환경 조건 향상을 위해 백라이트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는, 상기 워킹 베이스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CCD 카메라는, 상기 수직바에 마련되어 상기 업쇼바 캡의 측방향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1 CCD 카메라; 및 상기 수평바에 마련되어 상기 업쇼바 캡의 평면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2 CC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수 검출부는, 상기 제1 CCD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제1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업쇼바 캡의 높이 치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CCD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제2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업쇼바 캡의 외경 및 내경 치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치수 검출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정보의 상하 방향 가장자리선을 판독하여 상기 높이 치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정보의 원주 방향 가장자리선을 판독하여 상기 외경 및 내경 치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비젼 검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CCD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 상기 치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업쇼바 캡의 복수의 체킹 요소값, 상기 치수 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치수, 상기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정상품인지 여부의 판단값, 검사된 총 업쇼바 캡의 개수, 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의 개수 및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의 개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배출유닛은 상기 비젼 검사유닛을 통해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을 배출하는 비정상품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정상품 배출부는,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이 이송 모듈을 따라 이동하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이를 푸싱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배출 유닛은, 상기 비젼 검사유닛에서 정상품으로 판단된 상기 업쇼바 캡에 마킹을 하는 마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는, 영상 처리법을 이용하여 가공된 업쇼바 캡의 치수 불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사 공정과 작업자 환경 개선으로 품질 및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의 검사 대상체인 업쇼바 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의 각 구성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의 비젼 검사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의 검사 대상체인 업쇼바 캡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의 각 구성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의 비젼 검사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이하, '검사 장치'라 함)는 영상 처리(비젼 처리)를 이용하여 업쇼바 캡(absorber cap)이 정상 또는 비정상인지의 여부, 즉 품질 검사를 자동화함으로써 균일한 검사를 유지하여 품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100)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검사 장치로서, 복수의 업쇼바 캡(100)이 수용되는 부품 공급유닛(200), 부품 공급유닛(200)의 후방에 배치되며 부품 공급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된 업쇼바 캡(100)을 일렬로 배출하는 피더 유닛(300), 피더 유닛(3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업쇼바 캡(100)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촬상된 이미지의 복수의 체킹 요소가 설정 기준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품 및 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젼 검사유닛(400), 및 비젼 검사유닛(4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업쇼바 캡(100)이 배출되는 부품 배출 유닛(500)을 포함한다.
먼저, 부품 공급유닛(200)은 일종의 호퍼로서 내부에는 복수의 업쇼바 캡(100)이 수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쇼바 캡(100)은 자동차용 업쇼바를 구성하는 베이스 쉘에 용접되어 오일 및 가스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도록 베이스 쉘 내부의 압력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품질(치수) 검사를 위한 중요한 체킹 요소는 업쇼바 캡(100)의 외경, 내경 및 높이(D,d,H)다. 이러한 부품 공급유닛(200)의 일측에는 피더 유닛(300)으로 업쇼바 캡(100)이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마련된다.
다음, 피더 유닛(300)은, 부품 일렬 공급기로서 부품 공급유닛(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업쇼바 캡(100)을 정렬한 상태로 일렬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피더 유닛(300)을 통과한 업쇼바 캡(100)은 워킹 베이스(410)의 상부를 따라 후술하는 비젼 검사유닛(400) 측으로 이동하는데, 업쇼바 캡(100)의 개구부가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자세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업쇼바 캡(100)의 이미지 촬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 정보를 통해 정품/불량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판단 가능하게 된다.
다음, 비젼 검사유닛(400)은, 워킹 베이스(410) 상의 업쇼바 캡(100)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촬상된 이미지의 복수의 체킹 요소가 설정 기준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품 및 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덧붙이자면, 워킹 베이스(410)는 벨트 컨베이어 또는 통상의 고정 베이스로 적용 가능하며, 벨트 컨베이어로 적용되는 경우 이송 정지 상태에서 이미지를 촬상한 후 촬상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워킹 베이스(410)가 고정 베이스로 적용되는 경우, 별도의 로봇 암 등에 의해 업쇼바 캡(100)은 이미지 촬상을 위한 특정 위치로 이동된 후 촬상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로봇 암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비젼 검사유닛(400)은, 업쇼바 캡(100)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복수의 CCD 카메라(430), 복수의 CCD 카메라(430)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촬상된 업쇼바 캡(100)의 복수의 체킹 요소를 검출하는 치수 검출부(440), 업쇼바 캡(100)의 정상적인 치수 범위가 기저장되어 있는 치수 저장메모리(450), 및 치수 검출부(440)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체킹 요소와 치수 저장메모리(450)에 저장된 치수 범위를 비교하여 업쇼바 캡(100)이 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460)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젼 검사유닛(400)은, 업쇼바 캡(100)이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며 이송 경로 및 촬상을 위한 작업대로서 기능하는 워킹 베이스(410) 및 복수의 CCD 카메라(430)가 설치되는 설치바(4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설치바(420)는, 워킹 베이스(410)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바(421) 및 수직바(421)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바(4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CCD 카메라(430)는, 수직바(421)에 마련되어 업쇼바 캡(100)의 측방향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1 CCD 카메라(431), 및 수평바(422)에 마련되어 업쇼바 캡(100)의 평면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2 CCD 카메라(4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CCD 카메라(431,432)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업쇼바 캡(100)의 치수를 검출하며, 따라서 더욱 정확한 치수 검출을 위해서는 전술한 카메라들에 의한 이미지 촬상 효율을 향상시키는게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CCD 카메라(431,432)의 주변을 암실 환경으로 구성하여 외부 빛을 차단하고, 워킹 베이스(410) 및 설치바(420)에 제1 및 제2 CCD 카메라(431,432)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환경 조건 향상을 위해 백라이트부(47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백라이트부(470)는 복수의 LED가 마련된 구조를 가지며, 업쇼바 캡(1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부연하자면, 업쇼바 캡(100)을 제2 CCD 카메라(432)와 백라이트부(470) 상이에 배치시켜 강한 빛의 대비를 생성함으로써 업쇼바 캡(100)의 에지(edge) 측정(외경, 내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CCD 카메라(431,432)의 측방 및 상측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라이팅부(4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이 업쇼바 캡(100)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보다 선명한 업쇼바 캡(100)의 가장자리 윤곽선 이미지, 즉 업쇼바 캡(100)의 높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치수 검출부(440)는, 제1 및 제2 CCD 카메라(431,432)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촬상된 업쇼바 캡(100)의 복수의 체킹 요소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체킹 요소는 업쇼바 캡(100)의 외관 치수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업쇼바 캡(100)의 외경, 내경 및 높이로 적용된다.
부연하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수 검출부(440)는, 제1 CCD 카메라(431)로부터 촬상된 제1 이미지 정보(433)를 전달받아 업쇼바 캡(100)의 높이(H)를 검출하며, 구체적으로 제1 이미지 정보(433)의 상하 방향 가장자리선을 판독하여 높이(H)를 검출한다. 또한, 치수 검출부(440)는, 제2 CCD 카메라(432)로부터 촬상된 제2 이미지 정보(434)를 전달받아 업쇼바 캡(100)의 외경 및 내경(D,d)을 검출하며, 구체적으로 제2 이미지 정보(434)의 원주 방향 가장자리선을 판독하여 외경 및 내경(D,d)을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치수 검출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본 실시예는, 원형 가장자리 판독 알고리즘(circular edge algorithm)을 이용하며, 업쇼바 캡(100) 경계와 백라이트부(470) 경계 사이에서 동일한 빛의 세가 검출되는 지점을 연결하여 업쇼바 캡(100)의 외경 및 내경 치수를 검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수직 맥스 캘리퍼 알고리즘(vertical max caliper algorithm)을 이용하며, 일 예로 업쇼바 캡(100)의 측방 이미지에서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분할선을 생성하고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분할선(평행선)을 생성한 후, 이러한 사각형 영역 내에서 정의된 평행선을 따라 업쇼바 캡(100)의 높이 방향 에지 및 높이 치수를 검출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비젼 검사유닛(400)은, 제1 및 제2 CCD 카메라(431,432)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 치수 검출부(440)를 통해 검출된 업쇼바 캡(100)의 복수의 체킹 요소값(외경, 내경, 높이), 치수 저장메모리(450)에 저장된 설정 치수, 판단부(460)를 통해 판단된 정상품인지 여부의 판단값(OK 또는 NG), 검사된 총 업쇼바 캡의 개수, 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100)의 개수 및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100)의 개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모듈(49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연속적으로 업쇼바 캡(100)의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술한 각종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검사 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 부품 배출 유닛(500)은 비젼 검사유닛(4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업쇼바 캡(100)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젼 검사유닛(400), 즉 판단부(460)을 통해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100)을 별도의 비정상품 모음박스(미도시) 등으로 배출하는 비정상품 배출부(510)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비젼 검사유닛(400)을 통과한 업쇼바 캡(100)은 일 예로 벨트 컨베이어 등과 같은 이송 모듈을 통해 부품 배출 유닛(500) 측으로 이동되며, 비정상품 배출부(510)는,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100)이 이송 모듈을 따라 이동하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이를 푸싱하는 실린더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이송 모듈에는 이송중인 업쇼바 캡(100)의 위치 및 접근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가 더 마련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위치감지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100)이 설정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실린더부를 동작시켜 외측으로 배출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 배출 유닛(500)은, 비젼 검사유닛(400)에서 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100)에 마킹을 하는 마킹부(52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마킹부(520)는 이송 모듈 측방에 배치되어 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100)의 표면에 불멸 또는 소멸 가능한 잉크 등을 이용하여 마킹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는 영상 처리법을 이용하여 가공된 업쇼바 캡(100)의 치수 불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사 공정과 작업자 환경 개선으로 품질 및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이자면, 종래 작업자의 육안에 이루어지는 검사작업보다 육안으로 쉽게 찾지 못하는 부분까지 찾아내므로 보다 정확한 검사 결과를 구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업쇼바 캡 200: 부품 공급유닛
300: 피더 유닛 400: 비젼 검사유닛
410: 워킹 베이스 420: 설치바
430: CCD 카메라 431: 제1 CCD카메라
432: 제2 CCD 카메라 440: 치수 검출부
450: 치수 저장메모리 460: 판단부
470: 백라이트부 480: 라이팅부
490: 디스플레이 모듈 500: 부품 배출 유닛
510: 비정상품 배출부 520: 마킹부

Claims (10)

  1. 자동차용 업쇼바 캡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검사 장치로서,
    상기 업쇼바 캡이 수용되는 부품 공급유닛;
    상기 부품 공급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부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업쇼바 캡을 일렬로 배출하는 피더 유닛;
    상기 피더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업쇼바 캡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촬상된 이미지의 복수의 체킹 요소가 설정 기준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품 및 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젼 검사유닛; 및
    상기 비젼 검사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업쇼바 캡을 배출하는 부품 배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비젼 검사유닛은 암실환경에 설치되어서 상기 업쇼바 캡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CCD 카메라와, 상기 업쇼바 캡이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워킹 베이스와, 상기 업쇼바 캡을 사이에 두고 상기 CCD 카메라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백라이트부(470)와, 상기 CCD 카메라의 뒤편과 측면에 배치되는 라이팅부(480)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체킹 요소는, 상기 업쇼바 캡의 외경, 내경 및 높이인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 검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CCD 카메라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촬상된 업쇼바 캡의 상기 복수의 체킹 요소를 검출하는 치수 검출부;
    상기 업쇼바 캡의 정상적인 치수 범위가 기저장되어 있는 치수 저장메모리; 및
    상기 치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체킹 요소와 상기 치수 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치수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업쇼바 캡이 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구비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 검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CCD 카메라가 설치되는 설치바를 더 구비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바는, 상기 워킹 베이스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CCD 카메라는,
    상기 수직바에 마련되어 상기 업쇼바 캡의 측방향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1 CCD 카메라; 및
    상기 수평바에 마련되어 상기 업쇼바 캡의 평면 이미지를 촬상하는 제2 CCD 카메라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 검출부는, 상기 제1 CCD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제1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업쇼바 캡의 높이 치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CCD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제2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업쇼바 캡의 외경 및 내경 치수를 검출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 검출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정보의 상하 방향 가장자리선을 판독하여 상기 높이 치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정보의 원주 방향 가장자리선을 판독하여 상기 외경 및 내경 치수를 검출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 검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CCD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 상기 치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업쇼바 캡의 복수의 체킹 요소값, 상기 치수 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치수, 상기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정상품인지 여부의 판단값, 검사된 총 업쇼바 캡의 개수, 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의 개수 및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의 개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배출유닛은 상기 비젼 검사유닛을 통해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을 배출하는 비정상품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정상품 배출부는, 비정상품으로 판단된 업쇼바 캡이 이송 모듈을 따라 이동하다 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이를 푸싱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배출 유닛은, 상기 비젼 검사유닛에서 정상품으로 판단된 상기 업쇼바 캡에 마킹을 하는 마킹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KR1020120079610A 2012-07-20 2012-07-20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KR10139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610A KR101392083B1 (ko) 2012-07-20 2012-07-20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610A KR101392083B1 (ko) 2012-07-20 2012-07-20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513A KR20140012513A (ko) 2014-02-03
KR101392083B1 true KR101392083B1 (ko) 2014-05-07

Family

ID=5026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610A KR101392083B1 (ko) 2012-07-20 2012-07-20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6460A (zh) * 2014-09-26 2014-12-24 江阴市精成数控有限公司 多功能快速高精度机械零件检测方法
CN108775912A (zh) * 2018-03-26 2018-11-09 广东鸿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温器防错视觉检测识别装置及方法
KR102444080B1 (ko) * 2020-05-14 2022-09-16 (주)세창실업 다기능이 내장된 자동 식품 포장기
CN116718124B (zh) * 2023-05-19 2024-04-19 东莞市瑞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物体的自动化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897A (ja) * 2006-06-02 2008-01-17 Taizo Yamamoto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897A (ja) * 2006-06-02 2008-01-17 Taizo Yamamoto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513A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673B1 (ko) 멀티 광학 모듈 비전 검사 시스템
EP3357637B1 (en) Machine tool
KR102102874B1 (ko) 자동 광학 검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392083B1 (ko)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KR101980860B1 (ko) 스프링 핀 선별장치
US8019040B2 (en) X-ray inspection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KR100894684B1 (ko) 영상 측정장치 및 레이저 깊이 측정장치를 이용한 금속판재표면결함 검사 장치 및 금속판재 표면결함 검사 방법
CN111610190B (zh) 家用电器外观检查装置
JPH0989805A (ja) 自己診断機能を有する容器の検査装置
JP4760188B2 (ja) 筒状物品の検査方法およびその検査装置
CN112634199A (zh) 相机子组合件灰尘及缺陷检测系统及方法
KR102000907B1 (ko) 페라이트 외관 비전 검사방법
KR101672807B1 (ko)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3437B1 (ko) 기계 부품 검사 장치
KR102592603B1 (ko) 비전 검사 장비의 모니터링 방법
JP6360782B2 (ja) ねじ類の検査方法
JP6953712B2 (ja) タイヤの外観検査装置
KR101330098B1 (ko) 광학 필름의 결함 판별 방법
JP2017003352A (ja) トッピングゴムシートのゴム付き不良検出装置
KR101742260B1 (ko)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KR20150104381A (ko) 렌즈 표면 검사 장치와, 렌즈 센터 검사 장치와, 렌즈 이물질 및 스크래치 검사 장치 및 이를 갖는 렌즈 검사 시스템
KR101400672B1 (ko) 리클라이너용 기어림의 외관 자동검사장치 및 방법
CN113305017A (zh) 全自动阀芯综合智能检测分选方法
KR20210003677A (ko) 외관 검사 장치
KR20110011109A (ko) 자동차용 베어링 슬리브 비젼 외관 자동 검사장비 및 그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