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903B1 - 음료 - Google Patents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903B1
KR101912903B1 KR1020160032847A KR20160032847A KR101912903B1 KR 101912903 B1 KR101912903 B1 KR 101912903B1 KR 1020160032847 A KR1020160032847 A KR 1020160032847A KR 20160032847 A KR20160032847 A KR 20160032847A KR 101912903 B1 KR101912903 B1 KR 10191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olvent
process time
temperature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046A (ko
Inventor
시게유키 세키
박근영
요시유키 세키
Original Assignee
시게유키 세키
박근영
요시유키 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게유키 세키, 박근영, 요시유키 세키 filed Critical 시게유키 세키
Publication of KR2016011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4Phytic acid, phytate, IP-6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1Inositol

Landscapes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피틴산, 옥타코사놀 및 로스마린산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풍미 좋은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음료에 의하면, 꿀풀과 차잎 추출액, 장미류, 국화 류 또는 범의귀목 과실의 과즙, 및 피틴산 또는 피틴산염 혼합액이 함유되어 있다. 해당 음료는, 이노시톨, 및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의 공액염기를 0.07 ~ 28 중량 % 함유한다.

Description

음료{Drink}
본 발명은 음료에 관한 것이다.
쌀겨에 다량 함유된 피틴산 (myo-이노시톨-1,2,3,4,5,6-육인산)으로 대표되는 이노시톨 인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킬레이트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많은 금속이온과 강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체내에 축적된 납, 수은, 카드뮴, 우라늄 등의 유해금속의 배출을 촉진하는 것이 보고되어(비특허문헌1참조), 요로결석이나 신장 결석의 억제 또는 악성신생물(대장암, 유방암, 폐암, 피부암, 전립선 선암, 간암)의 예방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비특허문헌2참조). 또한 피틴산 및 이노시톨의 조합 섭취는 이노시톨-삼인산 (IP-3)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항산화 작용 및 면역력 증강 작용을 높이는 것이 보고되어 있으며, 내추럴 킬러(NK) 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3참조).
쌀겨는 폴리코사놀의 일종인 옥타코사놀을 포함, 간 및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을 신속하게 에너지화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구력 및 운동능력 향상, 근육통 완화, 스트레스 완화, 콜레스테롤 감소, 파킨슨병 예방 등의 효과가 기대되고있다 (비특허문헌4-6참조).
꿀풀과 차잎의 일종인 레몬밤에는 로스마린산과 탄닌류의 폴리페놀 외에도 시트랄과 시트로넬롤 등의 향료가 포함되어있다. 로스마린산은 체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 히스타민의 방출을 촉진하는 히알루로니다제의 활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항알레르기 작용, 특히 꽃가루 알레르기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항혈관 신생작용을 가지는 체내의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분해를 억제하여 비만세포 및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비특허문헌7-8참조).
레몬밤에 들어있는 시트랄은 체내의 칼슘농도에 따른 혈관이완 작용으로 혈액순환 불량의 개선에 유효하게 된다. 또한 레몬밤 추출물 자체는 SOD효소, 카탈라제, 글루타티온 펠옥시다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액중의 DNA손상, 미에로펠옥시다제, 과산화 지질을 감소시키는 실험결과에서, 방사선에 의한 피해를 경감하는 작용이 있음이 증명되어있다 (비특허문헌9참조).
1. D. Cebrian, et al., Radiat Protection Dosimetry, 127(1-4) (2007) 477-479. 2. Y.M. El-Sherbiny, et al., Anticancer Research 21(4A) (2001)2393-2403. 3. K. Midorikawa,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8(3) (2001) 552-557. 4. R. Stusser, et al. Int. J. Clin. Pharmacol. Ther., 36(9)(1998) 469-473. 5. I. Gouni-Berthold, et al. Am. Heart J., 143(2) (2002) 356-365. 6. T. Wang, et al. Acta Pharmacol. Sin., 31(7) (2010) 765-774. 7. H. Takano, et al. Exp. Biol. Med., 229(3) (2004) 247-254. 8. D.C. West, et al. Science, 228(4705) (1985) 1324-1326. 9. A. Zeraatpishe, et al. Toxicol. Ind. Health, 27(3) (2011)205-212.
그러나, 이노시톨과 피틴산로 대표되는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 영양보조제, 옥타코사놀 함유 영양보조제, 및 폴리페놀의 일종인 로스마린산 및 안토시아닌 영양보조제는, 물 이외의 용매에도 의존하는 추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이유로 모두 비싸지게 된다.
또한, 레몬밤 등의 꿀풀과 차잎 추출액 및 아로니아베리 등의 장미류 과즙은 모두 향이 강하고, 양자를 무작위로 혼합하면 쉽게 맛이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현미와 발아현미의 쌀겨 또한 특이한 냄새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가열처리를 필요로 하게된다. 대두에서 유래한 사포닌을 취급하는 경우,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면 식물성 단백질이 열응고를 일으켜 유바를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틴산, 옥타코사놀 및 로스마린산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맛과 향이 좋은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는, 꿀풀과 차잎 추출액, 장미류, 국화류 또는 유키노시타 눈 과즙 및 피틴산 또는 피틴산염 혼합액이 함유되어, 이노시톨 및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의 공액염기를 0.07~28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당 음료는, 100ppm 이상의 로스마린산과, 350ppm 이상의 다른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로스마린산의 해당 기타 폴리페놀에 대한 비율이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료는 그대로 인간이 마시는 것 외에, 물 등으로 희석된 후에 인간이 마시는 음료 원액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해당 피틴산염 및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의 염은 제1족 원소 (리튬, 나트륨, 칼륨 등), 제2족 원소 (마그네슘, 칼슘 등), 전이금속 (철, 망간, 구리 등) 및 아연 등의 양이온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피틴산의 공액염기 및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의 공액염기는, 액체나 혈액중에 포함된 금속 및 금속이온 성분과 결합하여 염을 생산하지만, 해당금속 및 금속이온은, 제1족 원소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프랑슘), 제2족 원소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라듐), 전이금속 (철, 망간, 구리, 크롬, 이트륨 등) 제12족 원소 아연 (아연, 카드뮴, 수은) 및 납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음료는, 피틴산, 옥타코사놀 및 로스마린산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며, 또한 맛과 향이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음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설명도.
도2 중, 도2A는 용매 안의 꿀풀과 차잎의 가열온도가 비교적 저온인 경우의 가열시간 및 추출성분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 도2B는 용매 안의 꿀풀과 차잎의 가열온도가 비교적 고온인 경우의 가열시간 및 추출성분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
도3 중, 도 3A는 용매 안의 장미과 과일주스의 가열온도가 비교적 저온인 경우의 과즙 첨가량 및 성분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 도 3B는 용매 안의 장미과 과일주스의 가열온도가 비교적 고온인 경우의 과즙첨가량 및 성분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료의 제조방법은 제1공정(STEP01), 제2공정(STEP02) 제3공정(STEP03) 및 제4공정(STEP04)을 포함되어있다.
"제1공정"에서 산해리정수(pKa)가 1.8 이상으로 조정된 100체적부 용매에 대해, 0.15~15 중량부의 꿀풀과 차잎이 첨가된다. 꿀풀과 차잎이 첨가된 용매가 60~120℃에서 1~60분간 가열한 다음 여과됨으로써 "제1 액체"가 얻어진다. 용매로는 물이나 유기용매 등이 사용된다. 용매의 산해리정수(pKa)는, 산, 염기, 유기용매 등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조정된다. 꿀풀과 차잎으로는, 레몬밤, 적차조기, 청차조기, 민트, 바질, 세이지, 로즈마리, 라벤더, 타임, 오레가노, 마조람 등이 이용된다. 꿀풀과 차잎은 용매에 첨가시 세단 또는 분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산해리 상수 (pKa)가 1.8 미만이면 유효 성분이 산화 및 분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꿀풀과 차잎의 첨가량이 과소인 경우 로스마린산 등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반면, 과다인 경우는 카테킨과 타닌 등의 떫은맛 성분(혀에서 느끼는 쓴맛 성분) 및 탄닌 등의 아린맛 성분(목에서 느끼는 쓴맛 성분)이 과도하게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꿀풀과 차잎이 첨가된 용매의 가열온도가 지나치게 저온인 경우, 로스마린산 등의 유효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지만 지나치게 고온인 경우는 카테킨과 타닌 등이 과다 추출되어 쓴맛이 강해진다 (떫은맛과 아린 맛이 강해짐)는 문제가 있다. 꿀풀과 차잎이 첨가된 용매의 가열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경우, 로스마린산 등의 유효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지나치게 긴 경우는 시트랄과 시트로넬롤 등의 향료가 휘발하여 손실되므로, 풍미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 1 공정에서 각 변수의 값이 상기와 같이 제어되어 있다.
도 2A는, 용매의 꿀풀과 차잎(레몬밤)의 가열온도(용매온도)가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60℃) 인 경우의 해당 가열시간과, 용매의 단맛 성분(이점쇄선), 향 성분(실선), 떫은맛 성분(일점쇄선) 및 아린맛 성분(파선)의 각각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향 성분이 많이 추출되나, 동시에 떫은맛 성분 및 아린 맛 성분도 많이 추출되고, 단맛 성분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맛 성분으로는 전분과 포도당 등의 탄수화물을 들 수 있고, 향 성분으로는 시트랄과 시트로넬롤 등, 쓴맛 성분으로는 카테킨과 타닌 등, 아린 맛 성분으로는 타닌 등이 꼽힌다.
도 2B는, 용매의 꿀풀과 차잎(레몬밤)의 가열온도(용매 온도)가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120℃) 인 경우의 해당 가열시간과, 용매의 단맛 성분(이점쇄선), 향 성분(실선), 떫은맛 성분 (일점쇄선) 및 아린맛 성분(파선)의 각각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가열 시간의 장단에 관계없이 단맛 성분 및 아린맛 성분의 추출량은 변화하지 않지만, 향 성분 및 쓴맛 성분에 대해서는 가열 시간이 길어질수록 점차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공정"에서는 100 체적부의 제 1 액체에 대해 0.5~50 중량부의 장미류, 국화류 또는 범의귀목 과실의 과즙이 첨가된다. 장미류, 국화류 또는 범의귀목 과실의 과즙이 첨가된 제 1 액체가 20~120℃에서 0~90분 동안 가열됨으로써 "제2 액체"가 얻어진다. 0분간의 가열이라 함은, 가열처리가 생략되는 것을 의미한다. 장미류 과실로는, 초크베리 (아로니아), 아티 초크, 자두, 블랙베리, 라즈베리, 블루베리, 딸기, 사과, 배, 서양배, 포도, 석류, 복숭아, 구아바, 레몬, 라임, 귤, 오렌지, 자몽, 망고, 망고 스틴, 살구 등이 사용된다. 국화류 과실로는 빌베리, 에르다베리, 크랜베리, 아티쵸크, 하스캅, 구기자, 키위, 노니 (야에야마아오키) 등이 사용된다. 범의귀목 과실로는, 블랙커런트, 레드커런트, 구즈베리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제 1공정 및 제 2 공정 사이에서 60~120℃에서 3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제 1액체가 가열되어도 좋다.
장미류 과실의 과즙의 첨가량이 과소인 경우는 안토시아닌으로 대표되는 유효성분의 폴리 페놀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는 반면, 과다인 경우는 타닌 등의 떫은 성분이 강하게 느껴지는 문제가 있다. 과즙이 첨가된 제 1액체의 가열온도가 지나치게 저온인 경우에는 글루타민산의 감칠맛을 강하게 하는 구연산과 사과산의 기능이 나쁜 문제가 있는 반면, 지나치게 고온인 경우에는 구연산과 사과산 등의 신맛과 탄닌 등의 쓴맛이 강해져 풍미가 고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과즙이 첨가된 제 1액체의 가열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경우는 쓴맛과 신맛이 강해지고, 감칠맛과 단맛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는 반면, 지나치게 긴 경우는 쓴맛과 신맛이 누그러져, 감칠맛과 단맛까지 손상되어 풍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해당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 2 공정에서 각 변수의 값이 상기와 같이 제어되어 있다.
도 3A는, 장미과 과실(쵸크베리)의 과즙이 첨가된 제 1액체의 가열온도(용매온도)가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60℃) 인 경우의 해당 첨가량(용매의 과즙농도)와, 용매의 단맛 성분(실선), 감칠맛 성분(파선), 떫은맛 성분(일점쇄선) 및 신맛 성분(이점쇄선)의 각각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장미과 과실의 과즙이 첨가된 제 1액체의 가열온도(용매온도)가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120℃)인 경우의 해당 첨가량과, 용매의 단맛 성분(실선), 감칠맛 성분(파선), 떫은맛 성분(일점쇄선) 및 신맛 성분(이점쇄선)의 각각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어떤 경우에도 과즙농도가 높아질수록 각 성분의 함유량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가열온도가 고온인 경우, 가열온도가 저온인 경우보다 단맛 성분 및 감칠맛 성분의 함유량이 같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3공정"에서 100 체적부의 제 2액체에 대해, 0.5~50 중량부의 현미분말, 0.5~50 중량부의 쌀겨분말, 또는 0.04~50 중량부의 쌀겨분말과 0.455~45.5 중량부의 백미분말이 첨가된다. 현미분말, 쌀겨분말 또는 쌀겨분말과 백미분말(이하 "현미분말 등"이라 함.)이 첨가된 제 2액체가 60~120℃에서 1~90분 동안 가열됨으로써 "제 3액체"가 얻어진다.
현미분말 등의 첨가량이 과소인 경우, 이노시톨 및 피틴산으로 대표되는 이노시톨 인산 에스테르 유도체 및 옥타코사놀 등의 함유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는 반면, 과다인 경우는 전분과 섬유질이 과잉되는 문제가 있다. 현미분말 등이 첨가된 제 2액체의 가열온도가 지나치게 저온인 경우에는 피틴산, 이노시톨, 옥타코사놀 등의 추출량이 적고, 전분에 충분한 열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소화 불량을 일으키게 하기 쉬운 문제가 있는 반면, 지나치게 고온인 경우에는 전분 등의 탄수화물이 일부 분해(탄화)하여, 쓴맛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현미분말 등이 첨가된 제 2액체의 가열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경우에는 전분의 팽윤 또는 팽창후의 분산이 불충분하게 되어, 혀의 감촉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는 반면, 지나치게 긴 경우에는 전분의 분산에 의해 혀의 감촉은 좋아지지만, 쓴맛 등이 증가해 풍미가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해당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 3공정에서 각 변수의 값이 상기와 같이 제어되어 있다.
제 n공정(n = 1,2,3) 후, 필요에 따라, 제 n액체에 대해 지금까지의 가열 등에 의해 감소된 만큼의 용매가 추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꿀풀과 차잎의 추출액, 장미과 과실의 과즙 및 피틴산 혼합액이 배합되어, 이노시톨 및 이노시톨 인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0.07 ~ 28중량% 함유하는 음료가 제조된다. 해당 음료는 100ppm 이상의 로스마린산과, 350ppm 이상의 그밖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로스마린산의 해당 그밖의 폴리페놀에 대한 비율이 1.00이하이다.
(실시예)
(실시예1)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현미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 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1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현미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2.5~2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은 60~120[℃]에서 제3공정시간 t3는 1~30[min] 가열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제3액체를 여과하여도 좋다. 또한, 제3액체를 두유로 1.0~10배 희석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는 풍미의 관계에서 2~5배 희석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2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2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 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2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쌀겨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2.5~2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은 60~120[℃]에서 제3공정시간 t3는 1~30[min] 가열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제3액체를 여과하여도 좋다. 또한, 제3액체를 두유로 1.0~10배 희석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는 풍미의 관계에서 2~5배 희석이 바람직하다.
(실시예3)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3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3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백미분말 45.5[g]과 쌀겨분말 4.5[g]이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3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쌀겨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0.2~250[g] 투입되고, 백미분말은 2.275~227.5[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은 60~120[℃]에서 제3공정시간 t3는 1~30[min] 가열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제3액체를 여과하여도 좋다. 또한, 제3액체를 두유로 1.0~10배 희석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는 풍미의 관계에서 2~5배 희석이 바람직하다.
(실시예4)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4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4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 50[g]이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가열유지되고, 제3공정시간 t3이 15[min] 경과시에 두유가 50[mL] 주입되어, 제3공정시간 t3= 20[min] 까지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4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두유는 0~50[mL] 주입되어도 좋고, 그 주입 시점은 제3공정시간 t3이내(실시예4의 경우 0~20 [min])가 되지만, 풍미를 고려하면 (t3 - 10) ~ (t3 - 5) [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5)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5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5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 50[g]이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가열유지되고, 제3공정시간 t3가 15[min] 경과시에 고려인삼이 50[mL] 첨가되어, 제3공정시간 t3= 20[min]까지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5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고려인삼은 세단 또는 분쇄되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0~200[g] 투입되어도 좋고, 그 투입 시점은 제3공정시간 t3 이내(실시예5의 경우 0~20[min])가 되지만, 고려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이드를 달이는 것을 고려하면 0~(t3 -5) [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6)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6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6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가열유지되고, 제3공정시간 t3가 15[min] 경과시에 로얄젤리가 50[mL] 투입되어, 제3공정시간 t3=20[min]까지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6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로얄젤리는 발효 로얄젤리 유래라도 좋고, 로얄젤리는 액체일 경우 0~100[mL] 주입되어도 좋고, 고체일 경우 0~100[g] 투입되어도 좋으며, 그 주입 또는 투입 시점은 제3공정시간 t3 이내(실시예6의 경우 0~2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7)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7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7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까지 가열유지되어, 야자과의 아사이(아사이베리)과즙이 50[g] 주입되어,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7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아사이 과즙은 0.1~100[g] 주입해도 좋고, 주입 시점은 제3공정시간 t3 이내 (실시예7의 경우는 0~ 20[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8)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8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8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8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원액으로 30[g]의 제3용액이 사용되어, 90[g]의 아이스크림용 원액이 주입되어, 1[분]이상 교반 및 거품을 내고, 0[℃] 이하로 30[분]이상 냉각되어, 실시예8의 제3액체를 이용한 아이스크림이 만들어졌다.
또한, 제3액체는 아이스크림에 대해 10~50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9)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9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9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현미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 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9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원액으로서 200[g]의 제3액체가 사용되어, 미리 5[g]의 젤라틴을 30[mL]의 역침투수(pKa = 7.0)에 용해시킨 젤리용 수용액이 주입되어, 1[min] 이상 교반되어, 10[℃] 이하로 충분히 냉각되어, 실시예 9의 제 3액체를 이용한 젤라틴 유래의 젤리가 만들어졌다.
또한, 현미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제3액체는 젤라틴 유래의 젤리에 대해 50~99 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0)
용매로는 500[mL]의 염침투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0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0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현미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 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10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원액으로서 200[g]의 제3액체가 사용되어, 2[g]의 한천분말이 투입되어, 100[℃] 이상에서 1[min]이상 교반되어, 10[℃] 이하로 충분히 냉각되어, 실시예10의 제3액체를 이용한 한천 유래의 젤리가 작성되었다.
또한, 현미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제3액체는 한천유래의 젤리에 대해 75~99.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1~20은, 염기성수를 기점으로 한 실시예로서, 실시예 1~10 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11)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1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1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현미분말 50[g]이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서 역침투수(pKa=7.0)가 더해져, 실시예11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현미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2.5~2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은 60~120[℃]에서 제3공정시간 t3는 1~30[min] 가열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제3액체를 여과하여도 좋다. 또한, 제3액체를 두유로 1.0~10배 희석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는 풍미의 관계에서 2~5배 희석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2)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2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2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 50[g]이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서 역침투수(pKa=7.0)가 더해져, 실시예12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쌀겨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2.5~2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은 60~120[℃]에서 제3공정시간 t3는 1~30[min] 가열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제3액체를 여과하여도 좋다. 또한, 제3액체를 두유로 1.0~10배 희석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는 풍미의 관계에서 2~5배 희석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3)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3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3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백미분말 45.5[g]과 쌀겨분말 4.5[g]이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서 역침투수(pKa=7.0)가 더해져, 실시예13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쌀겨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0.2~250[g] 투입되어, 백미분말은 2.275~227.5[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은 60~120[℃]에서 제3공정시간 t3는 1~30[min] 가열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제3액체를 여과하여도 좋다. 또한, 제3액체를 두유로 1.0~10배 희석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는 풍미의 관계에서 2~5배 희석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4)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4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4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가열유지되고, 제3공정시간 t3가 15[min] 경과시에 두유가 50[mL] 주입되어, 제3공정시간 T3=20[min]까지 가열유지되어,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서 역침투수(pKa=7.0)가 더해져, 실시예14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두유는 0~50[mL] 주입되어도 좋고, 그 주입 시점은 제3공정시간 t3이내(실시예14의 경우는 0~20 [min])가 되지만, 풍미를 고려하면 (t3 -10) ~ (t3 -5) [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5)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5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5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가열유지되어, 제3공정시간 t3가 15[min] 경과시에 고려인삼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시간 T3=20[min]까지 가열유지되어,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서 역침투수(pKa=7.0)가 더해져, 실시예15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고려인삼은 세단 또는 분쇄되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0~200[g] 투입되어도 좋고, 그 투입 시점은 제3공정시간 t3 이내(실시예15의 경우에는 0~20[min])가 되지만, 고려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이드를 달이는 것을 고려하면 0~(t3 -5) [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6)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6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6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가열유지되어, 제3공정시간 t3가 15[min] 경과시에 로얄제리가 50[mL] 투입되어, 제3공정시간 t3=20[min]까지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서 역침투수(pKa=7.0)가 더해져, 실시예16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로얄젤리는 발효 로얄젤리여도 좋고, 로얄젤리가 액체일 경우 0~100[mL] 주입되어도 좋고, 고체일 경우 0~100[g] 투입되어도 좋으며, 그 주입 또는 투입 시점은 제3공정시간 t3이내(실시예16의 경우는 0~2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7)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7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7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까지 가열유지되어, 야자과의 아사이(아사이베리) 과즙이 50[g] 주입되어,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서 역침투수(pKa=7.0)가 더해져, 실시예17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아사이 과즙은 0.1~100[g] 주입되어도 좋으며, 그 주입 시점은 제3공정시간 t3이내(실시예17의 경우는 0~2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8)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8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8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쌀겨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어,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18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원액으로서 30[g]의 제3용액이 사용되어, 90[g]의 아이스크림용 원액이 주입되어, 1[분]이상 교반 및 거품을 내고, 0[℃] 이하로 충분히 냉각되어, 실시예18의 제3액체를 이용한 아이스크림이 만들어졌다.
또한, 제3액체는 아이스크림에 대해 10~50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9)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19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19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현미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어,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19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원액으로 200[g]의 제3액체가 사용되어, 미리 5[g]의 젤라틴을 30[mL]의 역침투수(pKa = 7.0)로 용해시킨 젤리용 수용액이 주입되어, 1[min] 이상 교반되어, 10[℃] 이하로 충분히 냉각되어, 실시예 19의 제 3액체를 이용한 젤라틴 유래의 젤리가 작성되었다.
또한, 현미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제3액체는 젤라틴 유래의 잴리에 대해 50~99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0)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어,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고,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실시예20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시간 t2=0[min]에서 실시예20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2액체에 현미분말이 50[g] 투입되어, 제3공정온도 T3=100[℃]에서 제3공정시간 t3=20[min] 가열유지되어,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실시예20의 제3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원액으로 200[g]의 제3액체가 사용되어, 2[g]의 한천분말이 투입되어, 100[℃] 이상에서 1[min] 이상 교반되어, 10[℃] 이하로 충분히 냉각되어, 실시예 20의 제3액체를 이용한 한천유래의 젤리가 작성되었다.
또한, 현미분말은 발아현미 유래도 좋고, 제3액체는 한천유래의 잴리에 대해 75~99.5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로서, 실시예 1~20의 각각에서, 다음에 설명하는 참고예 1~4 중 하나의 제1액체 또는 제2액체가 사용되는 것에 의해, 제3액체, 더 나아가 음료가 만들어져도 좋다.
(참고예)
(참고예1)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고,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어,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온도 T1=100[℃]에서 제1공정시간 t1=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더해져, 참고예1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용매로서 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pH=3~11 정도가 바람직하다. 물로서는 천연수 또는 수도수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레몬밤은 0.75~75[g]이 바람직하고, 추출시간 tE는 1~10[min], 제1공정온도 T1은 60~12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시간은 tE=3×(7.5/L)×2exp{(100-TE)/10}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공정시간 t1은 0~30[min]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예2)
용매로는 500[mL]의 역침투수(pKa=7.0)가 사용되고,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어,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참고예2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온도 T2=100[℃]에서 제2공정시간 t2=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가 추가되어, 참고예2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아로니아과즙은 2.5~250[mL] 첨가되어, 제2공정온도 T2는 60~120[℃]에서 제2공정시간 t2는 1~30 [min] 가열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예3)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고,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어,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온도 T1=100[℃]에서 제1공정시간 t1=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 역침투수(pKa = 7.0)가 더해져, 참고예3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역침투수 대신으로 천연수 또는 수도수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어서, 레몬밤은 0.75~75[g]이 바람직하고, 추출시간 tE는 1~10[min]으로, 제1공정온도 T1은 60~12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시간은 tE=3×(7.5/L)×2exp{(100-TE)/10}와 같이 제어되어도 좋다. 또한, 제1공정시간 t1은 0~30 [min]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예4)
용매로는 500[mL]의 염기성수(pKa=10)가 사용되고, 용매온도 T0=100[℃]까지 가열되어, 꿀풀과 차잎으로는 세단된 레몬밤이 L=7.5[g] 투입되어, 추출시간 tE=3[min] 추출되어, 레몬밤이 여과되어, 제1공정시간 t1=0[min]에서 참고예4의 제1액체가 조제되었다. 이 제1액체에 장미류 과실의 아로니아과즙이 50[mL] 첨가되어, 제2공정온도 T2=100[℃]에서 제2공정시간 t2=20[min] 가열유지되고, 가열에 의해 감소된 용매로써 역침투수(pKa=7.0)가 추가되어, 참고예4의 제2액체가 조제되었다.
또한, 아로니아과즙은 2.5~250[mL] 첨가되어, 제2공정온도 T2는 60~120[℃]에서 제2공정시간 t2는 1~30 [min] 가열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3)

  1. (1) 꿀풀과 차잎의 추출액, (2) 장미류, 국화류 또는 범의귀목 과실의 과즙 및 (3) 피틴산 또는 피틴산염 혼합액이 배합되어, 이노시톨 및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이노시톨 인산에스테르 유도체의 공액염기를 0.07 ~ 28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2. 청구항 1 에 있어서,
    100ppm 이상의 로스마린산과, 350ppm 이상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상기 로스마린산의 상기 폴리페놀에 대한 함유량 비율이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3. 하기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A) 산해리 정수(pKa)가 1.8 이상으로 조정된 100 체적부의 용매에 대해서, 0.15~15 중량부의 꿀풀과 찻잎을 첨가한 후, 60~120 ℃에서 1~60 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함으로써, 제1 액체를 얻는 제1 공정,
    (B) 상기 제1 액체 100 체적부에 대해서, 0.5~50 중량부의 장미류 과실 또는 국화류 과실 또는 범의귀목 과실의 과즙을 첨가한 후, 20~120 ℃에서 0분 초과~90분 이하의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제2 액체를 얻는 제2 공정,
    (C) 상기 제2 액체 100 체적부에 대해서, ① 0.5~50 중량부의 현미 가루 또는 ② 0.5~50 중량부의 쌀겨 가루 또는 ③ 0.04~50 중량부의 쌀겨 가루 및 0.455~45.5 중량부의 백미 가루를 첨가한 후, 60~120 ℃에서 1~90 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제3 액체를 얻는 제3 공정.
KR1020160032847A 2015-03-20 2016-03-18 음료 KR101912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7903 2015-03-20
JPJP-P-2015-057903 2015-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046A KR20160113046A (ko) 2016-09-28
KR101912903B1 true KR101912903B1 (ko) 2018-10-29

Family

ID=5706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847A KR101912903B1 (ko) 2015-03-20 2016-03-18 음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2016174605A (ko)
KR (1) KR101912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4605A (ja) * 2015-03-20 2016-10-06 成之 關 飲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2925A (ja) * 2006-10-10 2008-04-24 Yasuyuki Kimura 植物抽出液の臭いを軽減させた消臭用飲料
JP5582725B2 (ja) * 2009-05-25 2014-09-03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麦茶入り飲料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973A (ja) * 1998-01-30 1999-08-10 House Foods Corp フルーツ及びハーブを含む飲料
JP2004292353A (ja) * 2003-03-26 2004-10-21 Rohto Pharmaceut Co Ltd 安定化された水性液体組成物
JP2006143700A (ja) * 2004-10-18 2006-06-08 Maruzen Pharmaceut Co Ltd アレルゲン不活性化剤及びアレルゲン不活性化材
JP4789453B2 (ja) * 2004-12-01 2011-10-12 株式会社明治 アントシアニン吸収促進剤
JP5066406B2 (ja) * 2007-08-03 2012-11-07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JP2011051901A (ja) * 2009-08-31 2011-03-17 Riyo Miur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JP2016174605A (ja) * 2015-03-20 2016-10-06 成之 關 飲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2925A (ja) * 2006-10-10 2008-04-24 Yasuyuki Kimura 植物抽出液の臭いを軽減させた消臭用飲料
JP5582725B2 (ja) * 2009-05-25 2014-09-03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麦茶入り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046A (ko) 2016-09-28
JP2020188815A (ja) 2020-11-26
JP7102050B2 (ja) 2022-07-19
JP2016174605A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4253A (ko)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463A (ko) 떫은맛이 저감된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2903B1 (ko) 음료
CN104188015A (zh) 一种由茶树花和玛咖粉制备的女性保健饮料
CN103504400A (zh) 一种西瓜汁饮品
KR20180078658A (ko)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CN106858221A (zh) 一种果蔬汁及该果蔬汁的制备方法
KR101587589B1 (ko) 연근 잼 제조방법
KR101963634B1 (ko) 금강송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296716B1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CN109418467A (zh) 一种百香果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262080B1 (ko) 오미자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6656A (ko) 꾸지뽕 엑기스 제조방법
Monica et al. Nutritional analysisi of paratha prepared from dehydrated brahmi (centella asiatica)
KR20200131555A (ko) 건강기능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90317351A1 (en) Concentrated beverage compositon for hair health ca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centrated beverage composition and natural tea comprising the same
KR20190134003A (ko) 야관문차의 제조방법
KR102294393B1 (ko) 항산화 효능이 있고, 기호성이 향상된 식물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KR102150004B1 (ko) 헛개나무열매 진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ardão et al.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a functional acorn beverage
Fernandez et al. Enhancing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a Fruit and Vegetable Smoothie Through an Optimized Combination of Ultrasound and Nisin Treatments
KR20240059499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양파껍질을 이용한 차음료 제조방법
KR20160080226A (ko) 꾸지뽕으로부터 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루틴을 함유하는 식품
KR20220073967A (ko) 저온추출을 이용한 콜리플라워 및 양배추 혼합추출액 제조 방법
CN115433789A (zh) 含茶叶成分的大生物功能剂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