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113B1 -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 - Google Patents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13B1
KR101912113B1 KR1020167031777A KR20167031777A KR101912113B1 KR 101912113 B1 KR101912113 B1 KR 101912113B1 KR 1020167031777 A KR1020167031777 A KR 1020167031777A KR 20167031777 A KR20167031777 A KR 20167031777A KR 101912113 B1 KR101912113 B1 KR 10191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float
support plate
plate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709A (ko
Inventor
타카야 니이미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02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65928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02176A external-priority patent/JP6326956B2/ja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솔라 패널(11)을 탑재하는 플로트(10)는 고리형 플로트부(30)와, 솔라 패널(11)의 일측의 가장자리부(11u)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솔라 패널(11)의 타측의 가장자리부(11d)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제1 지지부가 고리형 플로트부(30)의 내주(30a)의 일측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제1 지지판부(40)를 가지며, 제1 지지판부(40)는 고리형 플로트부(30)의 성형시에 내주(30a)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평판부를, 그 하변부를 절곡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 기립시킨 절곡 기립편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SOLAR PANEL FLOAT AND CONNECTED BODY THEREOF}
본 발명은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에서는 솔라 패널(태양 전지 패널, 태양 전지 모듈로도 칭해진다)이 사용된다. 지금까지 솔라 패널은 주로 건축물의 지붕이나 벽면, 토지 등에 설치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유휴화되어 있는 연못이나 호수 등 수상에 대한 설치도 시도되고 있다.
수상식의 솔라 패널의 경우, 솔라 패널을 수상에 띄우기 위한 플로트가 필요하다. 이 플로트에는 경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성형체)가 바람직하다. 종래, 수상에 떠오르는 중공 성형체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플로트가 알려져 있다.
도 17은 특허문헌 1의 플로트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플로트(100)는 공간부를 내부에 갖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101)를 구비한다. 본체(101)는 입방체 형상이 되도록 블로우 성형에 의해 중공으로 성형된다. 또한, 본체(101)의 네 모서리부의 각각에는 연결부(102)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연결부(102)에는 관통 구멍(103)이 형성된다. 복수의 플로트(100)를 연결하는 경우, 복수의 플로트(100)의 각각의 연결부(102) 및 관통 구멍(103)을 상하로 중첩하고, 복수의 관통 구멍(103)에 핀(105)을 상방으로부터 통과시켜 복수의 연결부(102)를 연결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블로우 성형 등의 중공 성형법에서는 솔라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플로트(100)를 솔라 패널용 플로트로서 이용하는 경우, 솔라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부품을 본체(101)와는 따로 제조하여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져 부품 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품 개수가 많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도 나쁘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플로트(100)를 솔라 패널용 플로트로서 이용하는 경우, 그 시공 혹은 점검을 행할 때, 예를 들어 배 등을 이용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극히 곤란해진다. 또한, 플로트(100)에 탑승하여 시공 혹은 점검을 행한다 해도, 솔라 패널에 대해 플로트(100)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해야 한다는 문제를 갖는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0940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중공 성형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을 이용해 솔라 패널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솔라 패널에 대해 플로트를 효율적인 크기로 함에도 불구하고, 솔라 패널을 탑재한 플로트를 서로 인접시켜 연결하는 경우에, 시공 혹은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파악된다.
(1)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는, 중공으로 성형되는 합성 수지제의 고리형 플로트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일측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타측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의 내주의 일측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제1 지지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판부는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의 성형시에 상기 내주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평판부를, 그 하변부를 절곡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 기립시킨 절곡 기립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솔라 패널을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에 대해 경사시켜 지지 가능하게 해도 된다.
(3)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의 내주의 타측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제2 지지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판부는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의 성형시에 상기 내주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평판부를, 그 하변부를 절곡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 기립시킨 절곡 기립편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는 상기 제1 지지판부의 측변부에 계합하여 상기 제1 지지판부의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계합부를 상기 내주에 가져도 된다.
(5) 상기 (3) 또는 (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는 상기 제2 지지판부의 측변부에 계합하여 상기 제2 지지판부의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계합부를 상기 내주에 가져도 된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부의 상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일측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하며, 또한,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일측의 가장자리부를 장착 가능한 제1 장착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장착 부재는 상기 제1 지지판부의 상기 상변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져도 된다.
(7) 상기 (6)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부재는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일측의 가장자리부에 감합 가능한 감합 홈부를 가져도 된다.
(8) 상기 (3)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부의 상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타측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하며, 또한,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타측의 가장자리부를 장착 가능한 제2 장착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장착 부재는 상기 제2 지지판부의 상기 상변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져도 된다.
(9) 상기 (8)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부재는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타측의 가장자리부에 감합 가능한 감합 홈부를 가져도 된다.
(10)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에 형성되고 상기 솔라 패널의 타측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계합하는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1)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에 형성되고 상기 솔라 패널의 타측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계합하는 단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2)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수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와, 각 플로트에 탑재되고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솔라 패널과, 각 솔라 패널이 상기 단변끼리 인접되고, 상기 장변끼리 간극부를 가지며 인접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로트 위의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간극부가 통로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상기 (1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플로트의 상기 솔라 패널의 적어도 일방의 상기 장변측으로부터 튀어나오는 돌출부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14) 상기 (12) 또는 (1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상기 솔라 패널의 단변측의 다른 플로트와 상기 통로부 위에 있어서 연결 부재를 개재한 연결이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15) 상기 (1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중공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6) 상기 (14) 또는 (15)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를 수면에 띄웠을 때, 상기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수중에 침지되는 두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리형 플로트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판부를 이용하여 솔라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하고,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에 의하면, 솔라 패널에 대해 각 플로트를 효율적인 크기로 함에도 불구하고, 솔라 패널을 탑재한 플로트를 서로 인접시켜 연결하는 경우에 시공 혹은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연결된 복수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제2 지지판부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a)는 중공 성형체의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이며 제1·제2 지지판부를 절곡 기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정면도이며, 도 4의 D화살표 방향도이다.
도 9는 도 5의 E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측면도이며, 도 4의 F화살표 방향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구성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c)는 (b)의 원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Q화살표 방향도이다.
도 16은 복수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플로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칭한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형태의 설명의 전체에 있어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및 도면 중에 있어서, 「전」은 경사시킨 솔라 패널의 정면측을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안쪽」 방향을 나타내고, 「후」는 「앞쪽」 방향을 나타낸다. 「좌」, 「우」는 각각 경사시킨 솔라 패널의 정면측을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왼쪽」 방향, 「오른쪽」 방향을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전체 구성)
우선,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전체 구성을 도 1,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대략 사각형 형상(이 예에서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솔라 패널(11)을 연못이나 호수 등의 수상에 설치하기 위한 플로트이다. 이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솔라 패널(11)을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시켜 수상에 설치한다. 여기서, 솔라 패널(11)의 경사각(θ)은 지역 등에 따라 발전에 최적인 각도로 설정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중공으로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플로트 본체(20)를 구비한다. 플로트 본체(20)는, 예를 들면, 용융 상태의 통 형상의 패리슨을 복수의 분할 금형 사이에 끼워 부풀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성형 재료에는 각종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플로트 본체(20)의 층 구조로는, 중공부(12)를 개재하여 대향하는 상벽(13) 및 하벽(15)을 갖는다. 상벽(13)과 하벽(15)은 파팅라인(PL)에서 용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중공부(12)가 닫힌 공간이 된다.
여기서, 플로트 본체(20)의 제조는 블로우 성형에 각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 형상의 패리슨을 대신하여 2장의 용융 상태의 시트를 한 쌍의 분할 금형 사이에 배치하고, 시트와 분할 금형 사이의 밀폐 공간을 흡인함으로써, 2장의 시트 사이에 중공부를 갖는 플로트 본체를 제조해도 된다. 이러한 성형법에서는 2장의 시트 사이에 발포 재료 등을 심재로서 넣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보다 강성이 높은 플로트 본체가 얻어진다.
플로트 본체(20)는 고리형 플로트부(30)와, 이 고리형 플로트부(30)의 내측에 형성되고 솔라 패널(11)을 지지하는 대략 사각형 형상(이 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지지판부(40)를 갖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판부(50)를 갖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솔라 패널(11)을 장착 가능한 제1 장착 부재(60) 및 제2 장착 부재(70)를 구비한다.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수상에 있어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복수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솔라 패널(11)을 전면에 깔아 설치할 수 있다(도 3 참조).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암나사 부재(80) 및 수나사 부재(81)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수나사 부재(81) 및 암나사 부재(80)로 공체결되는 연결 부재(90)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각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앵커(도시 생략)에 의해, 수상의 일정한 장소에 정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고리형 플로트부(30)의 구성)
다음으로, 고리형 플로트부(30)의 구성을 도 4,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 플로트부(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 형상(이 예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고리형 플로트부(30)에는 그 전측의 변부 및 그 후측의 변부의 각각을 따라 전측 연결부(31) 및 후측 연결부(3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고리형 플로트부(30)의 내주(30a)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측 개구부(33) 및 후측 개구부(35)를 포함하며, 전측 개구부(33)와 후측 개구부(35) 사이에는 좌우의 측벽면(36)을 연결하는 평판부(37)가 형성된다. 전측 개구부(33) 및 후측 개구부(35)의 각각은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가 절곡 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구멍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연결부(31)는 상측에 편재하는 박판부이며, 고리형 플로트부(30)의 기본적인 두께의 약 절반의 두께로 형성된다. 전측 연결부(31)의 이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패이는 감합 구멍(31a)이 형성된다.
도 4로 돌아온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연결부(31)의 좌우의 전측 모서리부(31b)는 전측 연결부(31)의 기본적인 두께보다 더욱 얇게 형성된 압축 성형부이다. 전측 모서리부(31b)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측 관통 구멍(31c)이 형성된다. 또한, 전측 관통 구멍(31c)의 후측 근방에는 연결 부재(90)(도 2 참조)가 계합하는 계합 오목부(31d)가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연결부(32)는 하측에 편재하는 박판부이며, 고리형 플로트부(30)의 기본적인 두께의 약 절반의 두께로 형성된다. 후측 연결부(32)의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하는 돌기(32a)가 형성된다. 또한 후측 연결부(32)는 전측에 인접하는 다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감합 구멍(31a)에 돌기(32a)를 감합시킨 상태로, 다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전측 연결부(31)의 하측에 중첩된다.
도 4로 돌아온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연결부(32)의 좌우의 후측 모서리부(32b)는 후측 연결부(32)의 기본적인 두께보다 더욱 얇게 형성된 압축 성형부이다. 후측 모서리부(32b)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측 관통 구멍(32c)이 형성된다. 이 후측 관통 구멍(32c)에는 암나사 부재(80)가 장착된다.
좌우의 측벽면(36)의 전단부에는 제1 지지판부(40)의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볼록 형상의 전측 계합부(36f)가 형성된다. 또한, 좌우의 측벽면(36)의 후단부에는 제2 지지판부(50)의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볼록 형상의 후측 계합부(36r)가 형성된다.
또한, 플로트 본체(20)에 있어서는, 보강용의 오목 형상 리브(21)를 필요에 따라 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오목 형상 리브(21)의 형태는 임의이며, 예를 들면, 홈 형상 또는 통 형상(대략 원통 형상, 대략 원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한다)으로 패이는 형태나, 상벽(13)과 하벽(15)의 대향면 각각을 패이게 하고, 그 선단면끼리를 용착시킨 형태 등 각종 형태로부터 선택 가능하다.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구성)
이어서,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구성을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지판부(40)는 전측 개구부(33)의 전측 벽면(38f)에 하변부(41)가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전측 벽면(38f)을 따라 기립한다. 또한, 제1 지지판부(40)의 측변부(42)는 전측 계합부(36f)의 전측 가장자리에 계합되어 있고, 전측 계합부(36f)와 전측 벽면(38f) 사이에 끼워져 그 기립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제1 지지판부(40)의 높이(H1)는 제2 지지판부(50)의 높이(H2)보다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제1 지지판부(40)는 제1 장착 부재(60)를 개재하여, 그 상변부(43)에서 솔라 패널(11)의 상측 가장자리부(11u)를 지지한다.
제2 지지판부(50)는 후측 개구부(35)의 후측 벽면(38r)에 하변부(51)가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후측 벽면(38r)을 따라 기립한다. 또한, 제2 지지판부(50)의 측변부(52)는 후측 계합부(36r)의 후측 가장자리에 계합되어 있고, 후측 계합부(36r)와 후측 벽면(38r) 사이에 끼워져 그 기립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제2 지지판부(50)는 제2 장착 부재(70)를 개재하여, 그 상변부(53)에서 솔라 패널(11)의 하측 가장자리부(11d)를 지지한다. 여기서, 이 예에서는 제1 지지판부(40)와 제2 지지판부(50)의 폭(W2)(도 4 참조)을 동일한 크기로 설정한 예를 나타내나, 제1 지지판부(40)와 제2 지지판부(50)는 상이한 크기의 폭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조립 방법)
이어서,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조립 방법을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조립 방법은 플로트 본체(20)의 중공 성형체(20A)를 준비하는 공정(A)와, 중공 성형체(20A)를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B)와, 절단한 부분을 기립시키는 절곡 공정(C)를 갖는다.
공정(A)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본체(20)의 블로우 성형시에 고리형 플로트부(30)의 내주(30a)에 대략 사각형 형상의 평판부(22A)를 일체로 형성한 중공 성형체(20A)를 준비한다. 평판부(22A)는 내주(30a)를 폐색하듯이 내주(30a)의 파팅라인(PL)(도 2 참조) 위에 설정된다. 평판부(22A)에는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각각의 외형선에 대응하는 고리형의 눌림부(일점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23)가 형성된다. 이 눌림부(23)는 상벽(13)과 하벽(15)이 용착되어 압축 성형되는 부분이며,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공정(B)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각각의 하변부(41, 51)에 상당하는 부분을 남기고, 눌림부(23)의 3개의 변부를 절단 칼날 등으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눌림부(23)를 절단함으로써, 상술한 전측 개구부(33), 후측 개구부(35) 및 평판부(37)(도 4 참조)의 윤곽이 형성된다.
공정(C)에서는 평판부(22A)로부터 하변부(41, 51)가 되는 직선 부분을 경첩으로서 기능시켜, 이 직선 부분을 절곡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 기립편(25, 26)을 상방으로 기립시킨다. 그리고, 이 절곡 기립편(25, 26)을 갖는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를 더욱 상방으로 회동시켜, 전측 벽면(38f) 및 후측 벽면(38r)에 압착한다. 이 때, 제1 지지판부(40)의 측변부(42) 및 제2 지지판부(50)의 측변부(52)가 전측 계합부(36f) 및 후측 계합부(36r)를 타고 넘는다. 이로 인해,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는 고리형 플로트부(30)에 대해 그 기립 상태가 유지 된다(가고정된다).
(제1 장착 부재(60)의 구성)
다음으로, 제1 장착 부재(60)의 구성을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장착 부재(60)는 제1 지지판부(40)의 상변부(43)와 솔라 패널(11)의 상측 가장자리부(11u)(도 2 참조) 사이에 개재하는 부재이다. 제1 장착 부재(6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으로 개방된 감합 홈부(61)를 갖는다. 이 감합 홈부(61)에는 솔라 패널(11)의 상측 가장자리부(11u)(도 2 참조)가 감합 가능하다.
제1 장착 부재(60)의 폭(W1)은 제1 지지판부(40)의 상변부(43)의 폭(W2)보다 넓게 설정된다. 이 예에서는, 제1 장착 부재(60)의 폭(W1)을 솔라 패널(11)의 상측 가장자리부(11u)의 폭(WS)(도 2 참조)과 동일한 정도 또는 그것보다 약간 작게 설정한다. 제1 장착 부재(60)를 구성하는 재료에는 합성 수지 등 각종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장착 부재(60)의 상단부의 전측부 및 후측부의 각각에는 볼록부(65)와 오목부(66)가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또한, 전측의 볼록부(65)와 후측의 오목부(66)는 전후 방향으로 대향한다. 한편, 제1 지지판부(40)의 상변부(43)에는 제1 장착 부재(60)의 볼록부(65) 및 오목부(66)에 교합되는 볼록부(45) 및 오목부(46)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장착 부재(60)는 볼록부(65) 및 오목부(66)가 볼록부(45) 및 오목부(46)에 교합됨으로써, 제1 지지판부(40)의 상변부(43)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우고, 또한,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제1 지지판부(40)에 장착된다. 또한, 이 예에서, 제1 장착 부재(60)는 제1 지지판부(40)에 대해, 좌우 방향의 중앙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장착된다.
(제2 장착 부재(70)의 구성)
다음으로, 제2 장착 부재(70)의 구성을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장착 부재(70)는 제2 지지판부(50)의 상변부(53)와 솔라 패널(11)의 하측 가장자리부(11d)(도 2 참조) 사이에 개재하는 부재이다. 제2 장착 부재(7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으로 개방된 감합 홈부(71)를 갖는다. 이 감합 홈부(71)에는 솔라 패널(11)의 하측 가장자리부(11d)(도 2 참조)가 감합 가능하다.
제2 장착 부재(70)의 폭(W1)은 제2 지지판부(50)의 상변부(53)의 폭(W2)보다 넓게 설정된다. 이 예에서는, 제2 장착 부재(70)의 폭(W1)을 솔라 패널(11)의 하측 가장자리부(11d)의 폭(WS)(도 2 참조)과 동일한 정도 또는 그것보다 약간 작게 설정한다. 제2 장착 부재(70)를 구성하는 재료에는 합성 수지 등 각종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1 장착 부재(60)와 제2 장착 부재(70)를 동일한 폭(W1)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제1 장착 부재(60)와 제2 장착 부재(70)는 상이한 크기의 폭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2 장착 부재(70)의 상단부의 전측부 및 후측부의 각각에는 볼록부(75)와 오목부(76)가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또한, 전측의 볼록부(75)와 후측의 오목부(76)는 전후 방향으로 대향한다. 한편, 제2 지지판부(50)의 상변부(53)에는 제2 장착 부재(70)의 볼록부(75) 및 오목부(76)에 교합되는 볼록부(55) 및 오목부(56)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 장착 부재(70)는 볼록부(75) 및 오목부(76)가 볼록부(55) 및 오목부(56)에 교합됨으로써, 제2 지지판부(50)의 상변부(53)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우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제2 지지판부(50)에 장착된다. 또한, 이 예에서, 제2 장착 부재(70)는 제2 지지판부(50)에 대해, 좌우 방향의 중앙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제1 장착 부재(60) 및 제2 장착 부재(7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1 장착 부재(60) 및 제2 장착 부재(70)에 동일한 부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 금형 등의 공유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장착 부재(60) 및 제2 장착 부재(70)의 부품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솔라 패널(11)의 장착 구조)
솔라 패널(11)의 장착 구조의 일례를 도 9,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솔라 패널(11)의 상측 가장자리부(11u)는 솔라 패널(11)의 외주에 형성되는 프레임(11a)(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프레임) 부분을 제1 장착 부재(60)의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의 감합 홈부(61)에 끼워 넣어 감합한다. 그리고, 제1 장착 부재(60)의 전측으로부터 나사 등의 수나사 부재(16)로 프레임(11a)과 제1 장착 부재(60)를 체결한다. 또한, 솔라 패널(11)의 경사각(θ)(도 10 참조)에 맞추어, 감합 홈부(61)를 후측 하방을 향해 개방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9에서는 제1 장착 부재(60)에 있어서의 장착 구조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장착 구조는 제2 장착 부재(70)의 감합 홈부(71)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의 감합 홈부(71)를 전측 상방을 향해 개방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90)의 구성)
다음으로, 연결 부재(90)의 구성을 도 11,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9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 형상(이 예에서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 판 형상의 부재이다. 연결 부재(90)의 전측의 좌우의 모서리부에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91)이 형성되고, 좌우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91)의 후측에는 하방으로 굴곡하는 굴곡부(92)가 형성된다. 연결 부재(90)를 구성하는 재료는 각종 재료로부터 선택 가능하지만, 경량성,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90)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 사이를 연결하듯이 배치되어 있고, 그 좌우의 굴곡부(92)가 계합 오목부(31d)에 상방으로부터 감합한다. 또한, 연결 부재(90)는 좌우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91)(도 11 참조) 각각에 삽입 통과되는 수나사 부재(81)(도 2 참조)와 암나사 부재(80)(도 2 참조)에 의해, 2개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 각각의 전측 모서리부(31b)(도 4 참조)에 공체결된다. 이로 인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연결 부재(90)에 의해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연결 부재(90)는 후술로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인간이 시공 혹은 점검하기 위해 필요한 통로부 위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측 관통 구멍(32c)(도 4 참조)의 상단에, 후측에 인접하는 다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전측 관통 구멍(도 4 참조)을 중첩하고, 이들 후측 관통 구멍(32c) 및 전측 관통 구멍(31c)에 통과시킨 수나사 부재(81)(도 2 참조)와 암나사 부재(80)(도 2 참조)로 인해,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 삽입 통과 구멍(91)(도 11 참조)과 수나사 부재(81)(도 2 참조)의 머리 부분 사이에는 부싱(93)(도 2 참조)을 개재시켜도 된다.
또한, 도 16은 연결 부재(90)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12에 대응하도록 그린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90’)는 도 12의 경우와 비교한 경우, 중공부(90A)를 가지며 플로트로서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90’)는, 예를 들어, 용융 상태의 통 형상의 패리슨을 복수의 분할 금형 사이에 끼워 부풀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즉, 연결 부재(90’)는 인접하는 2개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계합 오목부(31d)에 감합하는 주변의 굴곡부(92)를 제외한 중앙부에 있어서 중공부(90A)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90A)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수면에 띄웠을 때,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와 함께 일부가 수중에 침지되어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연결 부재(90)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수면에 띄웠을 때,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침지되는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연결 부재(90’)로 연결된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는 수면상에 있어서, 안정적인 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80’))
도 3은 상술한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복수 서로 인접시킴으로써,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80’)로 한 평면도이다. 이로 인해, 각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에 탑재되는 솔라 패널(11)은 각각 단변(11S)끼리 인접되고, 장변(11L)끼리 간극부(GP)를 가지며 인접된다. 각 솔라 패널(11)의 장변(11L) 사이의 간극부(GP)에는 전후 방향(솔라 패널(11)의 단변(11S) 방향)으로 병설되는 일방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전측 연결부(31) 및 타방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후측 연결부(32)가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각 솔라 패널용 플로트(10)가 그 전측 연결부(31) 및 후측 연결부(32)에 있어서, 솔라 패널(11)의 장변(11L)측으로부터 튀어나오는 돌출부로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솔라 패널(11)의 장변(11L) 방향)으로 병설되는 일방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전측 연결부(31) 및 타방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전측 연결부(31) 사이의 간극은 교량판으로서 기능하는 연결 부재(90)를 개재하여 가교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각 솔라 패널용 플로트(10) 위의 각 솔라 패널(11)의 간극부(GP)는 인간이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부로서 구성할 수 있어, 시공 및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80’)는 예를 들어, 각 솔라 패널(11)의 장변(11L)을 도면 중 전후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시킨 것과 비교한 경우에, 솔라 패널(11)에 대해 각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효율적인 크기로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즉, 각 솔라 패널(11)의 장변(11L)을 도면 중 전후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시킨 경우, 각 솔라 패널(11)의 장변(11L)의 간극부를 통로부로 하게 되지만, 이 통로부는 폭이 좁아지고, 이를 회피하려면 각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좌우 방향의 폭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제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대해 서술한다.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리형 플로트부(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에 의해 솔라 패널(11)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볍고 튼튼한 중공 성형체로 형성되며, 또한, 솔라 패널(11)의 지지 기능도 구비한 플로트를 1회의 중공 성형(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를 절곡 기립시키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작업으로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부(40)의 높이(H1)를 제2 지지판부(50)의 높이(H2)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솔라 패널(11)을 경사시켜 지지 가능하기 때문에, 경사된 솔라 패널(11)을 수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각각을 전측 계합부(36f) 및 후측 계합부(36r)에 계합시킴으로써, 솔라 패널(11)을 장착할 때까지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를 기립 상태로 가고정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 둘 필요가 없고, 조립 작업이 더욱 편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와 솔라 패널(11) 사이에 제1 장착 부재(60) 및 제2 장착 부재(70)를 개재시켰다. 그리고, 이들 제1 장착 부재(60) 및 제2 장착 부재(70)의 폭(W1)을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폭(W2)보다 넓게 설정하였다.
이러한 장착 부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솔라 패널(11)의 상측 가장자리부(11u) 및 하측 가장자리부(11d)를 제1 지지판부(40)의 상변부(43) 및 제2 지지판부(50)의 상변부(53)에 직접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솔라 패널(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폭(W2)을 솔라 패널(11)의 상측 가장자리부(11u) 및 하측 가장자리부(11d)의 폭(WS)에 맞추어 넓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고리형 플로트부(30)의 폭은 설치되는 솔라 패널(11)의 폭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는 점에서, 필요 이상으로 넓히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폭(W2)을 넓게 확보하면, 그 만큼 고리형 플로트부(30)의 좌우의 측부의 용적이 필연적으로 작아진다. 그 결과, 고리형 플로트부(30) 전체의 용적이 감소되어, 고리형 플로트부(30)에 작용하는 부력이 저하된다.
이 점에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솔라 패널(11)의 폭(WS)에 맞추어 좌우 방향으로 연재된 제1 장착 부재(60) 및 제2 장착 부재(70)를 사용하여, 솔라 패널(11)의 상측 가장자리부(11u) 및 하측 가장자리부(11d)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지지판부(40) 및 제2 지지판부(50)의 폭(W2)을 솔라 패널(11)의 폭(WS)에 맞추어 넓힐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고리형 플로트부(30)의 좌우의 측부의 폭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고리형 플로트부(30)에 작용하는 부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솔라 패널(11)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탈락 방지부(89)에 의해, 암나사 부재(80)를 후측 관통 구멍(32c)에 미리 장착해 두는 연결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로 인해, 후측 연결부(32)의 상측에 다른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전측 연결부(31)를 중첩하여 수나사 부재(81)로 체결할 때, 탈락이 방지된 암나사 부재(80)에 대해, 수나사 부재(81)를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복수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연결하는 작업에 있어서 수나사 부재(81)를 밀어 넣을 때, 후측 연결부(32)의 이면측에서 암나사 부재(80)를 눌러 둘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수상이어도 복수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연결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변형부(89b)와 변형부(89b)에 형성되는 후크부(89c)를 갖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 탈락 방지부(89)를 갖는 암나사 부재(8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나사 부재(81)를 암나사 부재(80)에 밀어 넣을 때, 회전 방지용 볼록부(86b)와 계합 홈부(83)의 감합에 의해, 암나사 부재(80)의 회전(이른바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의 연결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80’)로서 구성한 경우, 솔라 패널(11)에 대해 각 솔라 패널용 플로트(10)를 효율적인 크기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a)는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3(c)는 도 13(b)의 원 프레임(P) 내의 확대도이다. 도 13(a)는 도 4에 대응시키고, 도 13(b)는 도 5에 대응시켜 그리고 있으며, 대응하는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3(a), (b)에 있어서 상이한 부분은 제2 지지부가 제2 지지판부(도 4, 도 5에 있어서 부호 50으로 나타낸다)로 형성되지 않고, 고리형 플로트부(30)에 형성된 홈부(80”)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1 지지부에만 지지판부(제1 지지판부(40))가 형성되고, 고리형 플로트부(30)는 당해 제1 지지판부(40)의 형성의 반영으로서의 개구부(34)를 1개 갖도록 되어 있다. 제2 지지부인 홈부(80”)는,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 플로트부(30)의 상벽(13)에 당해 고리형 플로트부(30)에 대해 각도(θ)의 기울기를 갖고 제1 지지판부(40)측에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솔라 패널(11)은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측의 가장자리부가 제2 지지부인 홈부(80”)에 계지되고, 일측의 가장자리부가 제1 지지판부(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고리형 플로트부(30)에 대해 각도(θ)로 경사되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에 의하면, 간이적인 구성에도 불구하고,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여기서, 이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크게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 것이며,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강용의 오목 형상 리브(21), 혹은 제1 장착 부재(60) 등을 필요에 따라 장착해도 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3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Q화살표 방향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지지부가 제2 지지판부(도 4, 도 5에 있어서 부호 50으로 나타낸다)로 형성되지 않고, 고리형 플로트부(30)에 형성된 단차부(10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1 지지부에만 지지판부(제1 지지판부(40))가 형성되고, 고리형 플로트부(30)는 제1 지지판부(40)의 형성의 반영으로서의 개구부(34)를 1개 갖도록 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인 단차부(102)는 연직 방향에 대해 경사각(θ)의 기울기를 갖고 제1 지지판부(40)(도 14 참조)측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솔라 패널(11)은 제1 가장자리부가 제1 지지판부(40)(도 14 참조)에 의해 지지되고, 제2 가장자리부(하측 가장자리부(11d))가 제2 지지부인 단차부(102)에 계지됨으로써, 고리형 플로트부(30)에 대해 경사각(θ)로 경사되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간이적인 구성에도 불구하고,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솔라 패널용 플로트(10)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이상,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분명하다. 또한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10…솔라 패널용 플로트, 11…솔라 패널, 11u…상측 가장자리부(일측의 가장자리부), 11d…하측 가장자리부(타측의 가장자리부), 20…플로트 본체, 20A…중공 성형체, 22A…평판부, 25…절곡 기립편, 26…절곡 기립편, 30…고리형 플로트부, 30a…내주, 31…전측 연결부, 32…후측 연결부, 38f…전측의 벽면(일측의 벽면), 38r…후측의 벽면(타측의 벽면), 40…제1 지지판부, 41…하변부, 42…측변부, 43…상변부, 50…제2 지지판부, 51…하변부, 52…측변부, 53…상변부, 60…제1 장착 부재, 61…감합 홈부, 70…제2 장착 부재, 71…감합 홈부, 80’…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80”…홈부, 102…단차부, H1…제1 지지판부의 높이, H2…제2 지지판부의 높이, W1…제1·제2 장착 부재의 폭, W2…제1·제2 지지판의 폭, GP…간극부

Claims (16)

  1. 솔라 패널을 탑재하는 플로트로서,
    중공으로 성형되는 합성 수지제의 고리형 플로트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일측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타측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의 내주의 일측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제1 지지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판부는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의 성형시에 상기 내주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평판부를, 그 하변부를 절곡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 기립시킨 절곡 기립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2 지지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솔라 패널을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에 대해 경사시켜 지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의 내주의 타측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제2 지지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판부는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의 성형시에 상기 내주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평판부를, 그 하변부를 절곡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 기립시킨 절곡 기립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가 상기 제1 지지판부의 측변부에 계합하여 상기 제1 지지판부의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계합부를 상기 내주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가 상기 제2 지지판부의 측변부에 계합하여 상기 제2 지지판부의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계합부를 상기 내주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부의 상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일측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하며, 또한,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일측의 가장자리부를 장착 가능한 제1 장착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장착 부재가 상기 제1 지지판부의 상기 상변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부재가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일측의 가장자리부에 감합 가능한 감합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부의 상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타측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하며, 또한,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타측의 가장자리부를 장착 가능한 제2 장착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장착 부재가 상기 제2 지지판부의 상기 상변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부재가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타측의 가장자리부에 감합 가능한 감합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에 형성되고 상기 솔라 패널의 타측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계합하는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고리형 플로트부에 형성되고 상기 솔라 패널의 타측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계합하는 단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12.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복수의 솔라 패널용 플로트와,
    각 플로트에 탑재되고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솔라 패널과,
    각 솔라 패널이 상기 단변끼리 인접되고, 상기 장변끼리 간극부를 가지며 인접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로트 위의 상기 솔라 패널의 상기 간극부가 통로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가 상기 플로트의 상기 솔라 패널의 적어도 일방의 상기 장변측으로부터 튀어나오는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가 상기 솔라 패널의 단변측의 다른 플로트와 상기 통로부 위에 있어서 연결 부재를 개재한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중공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를 수면에 띄웠을 때, 상기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침지되는 두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KR1020167031777A 2014-05-16 2015-04-16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 KR101912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2176 2014-05-16
JP2014102178A JP6592876B2 (ja) 2014-05-16 2014-05-16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連結体
JPJP-P-2014-102178 2014-05-16
JP2014102176A JP6326956B2 (ja) 2014-05-16 2014-05-16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
PCT/JP2015/061729 WO2015174205A1 (ja) 2014-05-16 2015-04-16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及びそれらの連結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386A Division KR101968082B1 (ko) 2014-05-16 2015-04-16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709A KR20160145709A (ko) 2016-12-20
KR101912113B1 true KR101912113B1 (ko) 2018-10-26

Family

ID=544797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777A KR101912113B1 (ko) 2014-05-16 2015-04-16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
KR1020187030386A KR101968082B1 (ko) 2014-05-16 2015-04-16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386A KR101968082B1 (ko) 2014-05-16 2015-04-16 솔라 패널용 플로트 연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396703B2 (ko)
KR (2) KR101912113B1 (ko)
CN (2) CN108750029B (ko)
MY (2) MY183456A (ko)
PH (1) PH12016502278A1 (ko)
WO (1) WO2015174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113B1 (ko) * 2014-05-16 2018-10-26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
WO2016084970A1 (ja) * 2014-11-29 2016-06-02 京セラ株式会社 水上用太陽電池装置
WO2017090276A1 (ja) * 2015-11-27 2017-06-01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太陽光パネル設置用浮き架台、太陽光パネル設置用構造物、及び浮き架台製造方法
US10723422B2 (en) * 2016-06-29 2020-07-28 Concept Clean Energy, Llc Photovoltaic array system and method
JP6806988B2 (ja) * 2016-06-30 2021-01-0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ソーラパネル用のフロート
WO2018003966A1 (ja) * 2016-06-30 2018-01-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フロート、フロート集合体及びフロート集合体の設置方法
US11050382B2 (en) 2017-05-31 2021-06-29 Kyoraku Co., Ltd. Float aggregate
JP7132477B2 (ja) * 2017-09-29 2022-09-0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フロート及びフロート集合体
NL2019956B1 (en) * 2017-11-22 2019-05-29 Oceans Of Energy B V array of pontoons for solar panel and connection modules therefor
JP7181450B2 (ja) * 2018-02-07 2022-12-0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フロート集合体
SG10201803348WA (en) * 2018-04-20 2019-11-28 Housing And Dev Board Floatable structure and system
US11958569B2 (en) 2018-11-29 2024-04-16 Kyoraku Co., Ltd. Float assembly
WO2020204301A1 (ko) * 2019-04-02 2020-10-08 솔라테라스 주식회사 일체형 해양 태양광 발전 장치
US20220289344A1 (en) * 2019-08-22 2022-09-15 Scg Chemicals Co., Ltd Floating arrangement for supporting solar panels
KR102150019B1 (ko) * 2019-12-06 2020-08-31 박현우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11444570B2 (en) 2020-02-28 2022-09-13 OffGrid Power Solutions, LLC Modular solar skid with enclosures
TWI753389B (zh) * 2020-03-26 2022-01-21 翁敏哲 雙向動態傾斜式追日系統
USD964262S1 (en) * 2021-03-25 2022-09-20 Concept Clean Energy, Llc Support tub for photovoltaic panel
WO2023048655A1 (en) * 2021-09-22 2023-03-30 Scg Chemicals Public Co., Ltd. Floatation assembly and floating arrangement
KR102639705B1 (ko) * 2022-02-03 2024-02-23 엔피씨(주) 태양광 발전용 부표
ES1294626Y (es) * 2022-07-26 2022-12-20 Isigenere S L Sistema flotante para paneles fotovoltaicos e instalación flotante que comprende varios sistemas flotantes para paneles fotovoltaico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123A (ja) * 1998-09-25 2000-04-07 Aich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取付架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466A (ja) 1991-09-30 1993-04-06 Tomoe Kogyo Kk 浮揚構造体
JPH06321176A (ja) 1993-05-12 1994-11-22 Rikawa Plast:Kk 中空フロート
JP2002281773A (ja) * 2001-03-21 2002-09-27 Sekisui Chem Co Ltd 浮遊式太陽光発電装置
KR100909404B1 (ko) 2008-12-22 2009-07-24 동국실업 주식회사 부표 및 그 제작방법
JPWO2011021620A1 (ja) 2009-08-17 2013-01-24 出雲 諭明 廃タイヤを利用した水上フロート単位体およびこれらを連結した水上フロート構造物
CN102792102A (zh) 2010-02-02 2012-11-21 C&L帕斯托拉尔有限公司 用于太阳能电池板的漂浮设备
FR2974163B1 (fr) 2011-04-15 2018-06-22 Ciel Et Terre International Dispositif support de panneau
ITMI20111347A1 (it) * 2011-07-20 2013-01-21 Agora S R L Struttura modulare di supporto, particolarmente per impianti fotovoltaici.
CN102983786A (zh) * 2011-09-03 2013-03-20 陈宗林 一种便携太阳能移动发电装置
JP4953401B1 (ja) 2011-12-13 2012-06-13 ケイコン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用基礎及びその基礎を使用したソーラーパネルユニット
KR101912113B1 (ko) * 2014-05-16 2018-10-26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123A (ja) * 1998-09-25 2000-04-07 Aich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取付架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41877A1 (en) 2019-11-07
WO2015174205A1 (ja) 2015-11-19
US10848094B2 (en) 2020-11-24
KR101968082B1 (ko) 2019-04-11
CN106458301B (zh) 2018-06-15
US20170085214A1 (en) 2017-03-23
CN108750029B (zh) 2021-08-17
MY183456A (en) 2021-02-18
PH12016502278A1 (en) 2017-02-06
CN106458301A (zh) 2017-02-22
KR20160145709A (ko) 2016-12-20
US10396703B2 (en) 2019-08-27
MY196374A (en) 2023-03-27
CN108750029A (zh) 2018-11-06
KR20180117733A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113B1 (ko)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
JP6592876B2 (ja)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連結体
JP6326956B2 (ja)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
US9758028B2 (en) Vehicle panel structure
JP2018150881A (ja) 電源装置
KR101107620B1 (ko) 조립식 물탱크의 코너부 보강구조
KR101279149B1 (ko) 조립식 부유체
WO2011039520A3 (en) Plastic sheeting and a mould therefor
JP2017165111A (ja)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及びその連結体
JP6697154B2 (ja) フロート及びソーラーパネル用フロート
JP4143701B2 (ja) 水上浮体構造物
JP2015103365A (ja) バッテリ容器
JP2014001583A (ja) 浮体構造物
JP2011052386A (ja)
JP2007262904A (ja) エンジンカバー
JP2009007819A (ja)
JP6481931B2 (ja) 床構造
JP2015103483A (ja) バッテリ容器
CN210651632U (zh) 一种汽车格栅注塑成型模具
JP2012202127A (ja) 洗い場床
CN201097413Y (zh) 连接器护板及后盖结构
JP2003001735A (ja)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
JP2015103450A (ja) バッテリ容器
JPH09314159A (ja) 浄化槽
JPH0598823A (ja) 水槽ユニ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