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236B1 -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 Google Patents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236B1
KR101911236B1 KR1020180096288A KR20180096288A KR101911236B1 KR 101911236 B1 KR101911236 B1 KR 101911236B1 KR 1020180096288 A KR1020180096288 A KR 1020180096288A KR 20180096288 A KR20180096288 A KR 20180096288A KR 101911236 B1 KR101911236 B1 KR 10191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heat
heat insulating
insulating block
insul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영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이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영 filed Critical 이화영
Priority to KR102018009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면이 절곡되거나 폭이 좁은 제품(자동차 램프 덮개)을 진동 융착시킴에 있어서, 단열 블록의 두께를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두께와 유사하게 형성하고, 단열 블록에 열선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수단을 비스듬하게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단열 재료의 소비량을 줄이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삽입홈수단과 단열 블록의 모서리 사이의 두께를 확보하여, 단열 블록의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에 관한 것으로, 일면이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합면에 밀착되기 위한 단열 블록; 및 상기 단열 블록의 일면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접합면을 가열시키기 위한 열선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 블록은, 일면이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열선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Pre-heater of fusion surface for vibration welding}
본 발명은 예열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합면이 절곡되거나 폭이 좁은 제품(자동차 램프 덮개)을 진동 융착시킴에 있어서, 진동 융착 전에 상기 접합면을 용융 온도보다 소정이 이상으로 높은 온도로 예열하여 연화, 용융시키기 위한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플라스틱 부품을 제작하는 경우, 여러 개의 플라스틱 부품들을 결합하여 이를 완성한다. 따라서 분리된 개개의 부품들을 일체로 결합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위해 통상 열을 가해 결합하거나 진동 융착기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진동 융착기는 두 쪽으로 분리 성형된 사출물 결합면을 가열 융착시켜 한 개의 완성품을 제조하는 기계로서, 기본 원리는 상, 하 승강 작동 실린더에 의하여 승강되는 상, 하 승강다이 상에 융착시키고자 하는 두 쪽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을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이들 간의 사이에 전, 후진 왕복작동실린더에 의하여 하부측 수 개의 가이드 롤러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상태로 왕복되는 가열판이 전지하여 가열을 이루고, 후진하며, 상, 하 승강다이가 승강하면서 이들에 각각 클램핑 되어 있는 두 쪽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의 가열면을 상호 압착시켜 일체화된 한 개의 물품으로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 온 진동 융착기는 사출품을 진동융착할 경우 상부제품과 하부제품을 결합한 후 진동테이블의 진동에 의하여 결합면과 가열되면서 용융되고 이로 인하여 결합면과 융착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진동융착기는 제품의 결합면과 진동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상/하 작동테이블에 의하여 압착되므로 용융된 결합면과 압착하는 힘에 의하여 결합면의 주변이 외부로 돌출되어 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동 융착기는, 제품이 차가운 상태에서 진동 융착기에 제품을 고정하고 상/하 작동 테이블과 진동 테이블의 진동에 의하여 단단한 결합면과 진동에 의하여 흔들리면서 가열되므로 결합면의 상단부 즉 제일 먼저 가열되는 부분이 먼저 용융되면서 외부로 밀어내게 되므로 결합면에 필연적으로 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한 팁은 상/하부 제품이 결합한 상태이므로 제거가 힘들고 어려우며, 장시간이 경과한 다음 팁이 분리되면 팁은 제품의 내부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에 남아 있는 팁으로 인하여 제품에 진동이 일어날 경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팁이 미립자일 경우 여름철과 같은 고온의 날씨에 의하여 미립자 팁이 제품의 내부에 붇게 되어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9628호(2016.10.20. 등록)은 합성수지로 된 상/하부 물품을 융착하여 고정시키는 진동 융착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진동 융착기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상부의 결합 면에 제품의 형상을 따라 체결홈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홈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사 체결공을 형성하여서 된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어 각각 고정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수평으로 삽입홈을 형성하되 삽입홈의 양측 상부에 열선을 잡아 고정하는 걸림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수직으로 고정나사가 체결되도록 체결공을 형성하여서 된 단열 블록; 상기 단열 블록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걸림돌기에 의하여 고정되며, 열을 발생하여 합성수지 제품의 결합 면을 예열하는 열선; 상기 단열 블록과 단열 블록이 체결되는 베이스 판의 체결홈 사이에 삽입되어 열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알루미늄으로 된 베이스 판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8738호(2015.01.27. 등록)은 합성수지로 된 상부와 하부 물품을 융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진동 융착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진동 융착기는, 상부와 하부로 작동되는 상부와 하부 작동 테이블과; 상기 상부와 하부 작동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제품 고정용 지그와; 진동용 헤가 설치된 진동 테이블과; 상기 상부와 하부 작동 테이블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측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판과; 상기 가이드 판의 외측에 각각 전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각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작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가이드 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가이드 판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 체결되도록 양측 전면에 수직으로 롤러가 체결된 지지대를 구성하고, 후미 양측에는 하단으로 각각 실린더에 결합하는 고정구를 설치하며, 상면과 하면에 예열용 히터가 설치되고 각 예열용 히터가 제품과 닿는 부분에 실리콘 패드를 체결하여 실리콘 패드가 제품의 결합 면을 압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예열 되도록 된 작동판;이 포함되어 상부와 하부 제품의 결합 면을 히터가 직접 접촉하여 예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동 융착기는, 단열재(세라믹) 블록에 열선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단열재 블록의 상면에 열선을 배치하고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열선을 단열재 블록에 체결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별도의 체결부재를 제작 및 체결 고정하기 위한 비용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동 융착기는, 융착 부위가 좁게 형성된 피융착제를 예열시키는 경우, 상기 융착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열재(세라믹) 블록에 열선을 삽입 고정시킨 예열수단(또는, 히터)을 구비하는데, 상기 예열수단(또는, 히터)은, 세라믹 불록이 접합면에 대응하여 폭이 좁게 형성됨으로써, 열선이 삽입된 홈과 모서리 사이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모서리 부위가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962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8873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합면이 절곡되거나 폭이 좁은 제품(자동차 램프 덮개)을 진동 융착시킴에 있어서, 불필요한 단열 재료의 소비량을 줄이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모서리 부위의 강성을 확보한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합면에 밀착되기 위한 단열 블록; 및 상기 단열 블록의 일면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접합면을 가열시키기 위한 열선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 블록은, 일면이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열선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수단을 포함하는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직선 삽입홈; 및 상기 직선 삽입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연장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은,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은, 상기 삽입홈수단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열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은, 상기 삽입홈수단의 내측부에 장착 설치되어, 상기 열선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를 향하도록 반사시켜 주기 위한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은, 외측면에 부착 형성되는 단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합면이 절곡되거나 폭이 좁은 제품(자동차 램프 덮개)을 진동 융착시킴에 있어서, 단열 블록의 두께를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두께와 유사하게 형성하고, 단열 블록에 열선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수단을 비스듬하게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단열 재료의 소비량을 줄이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삽입홈수단과 단열 블록의 모서리 사이의 두께를 확보하여, 단열 블록의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단열 블록의 모서리 파손으로 인한 잦은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사용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이하, “예열히터”라고 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 즉, 도 1에서 나타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AA’의 절단면 중 일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히터는, 융착 부위가 곡면이고 폭이 좁은 피융착물(자동차 램프)을 진동 융착시킴에 있어서, 융착 부위를 서로 가압하기 이전에 상기 융착 부위를 용융 온도보다 소정이 이상으로 높은 온도로 예열하여 연화, 용융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부구 등 합성수지 제품이 적합하다.
상기 예열히터는, 두 개의 플라스틱 피융착물을 진동을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진동 융착기에 이용되는 것을 예시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곡면으로 형성되어 폭이 좁은 가열면을 가열시키기 위한 방법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진동 융착기는, 피융착물을 예열시키기 위한 예열히터와, 피융착물을 체결하며, 피융착물을 예열히터로 이동시켜 접합면을 가열시킨 후 예열히터가 후퇴하면 피융착물의 접합면을 상호 밀착시켜 접합하기 위한 접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예열히터(10)는, 단열 블록(100) 및 열선(200)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 블록(100)은, 일면이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합면에 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상기 열선(200)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내열성과 내화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도 변형이 없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일면의 두께가 6 내지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일면이 피융착물(자동차 램프 케이스)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중앙 부위에는 중공을 형성하여 세라믹 재료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피융착물을 진동 융착시키기 이전에 상기 피융착물에 접근하여, 후술(後述)할 열선(200)을 피융착물의 접합면에 근접하게 두어, 상기 열선(200)의 열이 피융착물의 접합면에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피융착물의 접합면이 상기 열선(200)에 의하여 예열되면 상기 피융착물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에, 접합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피융착물의 접합면을 상호 밀착시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하나 또는 두 개의 예열히터(10)를 구비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피융착물의 접합면을 가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접합면을 가열하여 융착하는 경우에는 접합장치(미도시)의 가열부분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며, 피융착물을 접합장치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부터 접합장치의 가열부분으로 각각 이동시켜 접합면을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지지부재(110) 및 삽입홈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일면이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중앙 부분에 중공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10)는,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내열성과 내화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도 변형이 없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수단(120)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선이 삽입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수단(120)은,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예를 들어, 20 내지 50°)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10)의 모서리 부분의 두께가 일면에서 다른 일면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수단(120)은, 상기 열선(2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직경이 1 내지 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수단(120)은, 상기 열선(2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열선(200)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열선(200)의 상단과 상기 지지부재(110)의 일면에 면접한 피용착물의 접합면 사이의 간격이 2 내지 4mm 로 이격되어, 상기 열선(200)에 열이 상기 접합면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수단(120)은, 상기 열선(200)의 외주면 형상이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면이 각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선(200)이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내측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열선(200)이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내측면에 끼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수단(120)은, 상기 열선(200)의 외주면 형상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면이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외측면에 단차부재(미도시)가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예열히터(10)는, 간접열을 이용하여 합성수지 제품의 피융착물(예를 들어, 플라스틱 부구 등)을 융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키는 상기 열선(200) 주위에 가열이 필요한 피융착물의 가루(예를 들어, 플라스틱 부스러기 등)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열선(200)이 쉽게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예열히터(10)는, 상기 단열 블록(100)의 두께를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폭 두께와 유사하게 형성하고, 상기 단열 블록(100)에 열선(200)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수단(120)을 비스듬하게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단열 재료의 소비량을 줄이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수단(120)과 단열 블록(100)의 모서리 사이의 두께를 확보하여, 상기 단열 블록(100)의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단열 블록(100)의 모서리 파손으로 인한 잦은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사용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선(200)은, 기존 융착 장치에 사용되는 적외선을 이용한 니크롬선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열선(200)은, 피융착물의 접합면에 맞닿아 직접열로 피융착물의 접합면을 녹인 후 다른 피융착물의 접합면과 결합하게 되면, 피융착물의 접합면이 타게 되어 결합이 잘 되지 않아 피융착물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열선(200)은, 피융착물의 접합면과 직접 맞닿아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거리를 두고 간접열로 피융착물의 접합면을 가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선(200)은, 150~1300℃의 가열 온도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열선(200)의 온도가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내열성을 가진 ABS 수지 소재 등으로 형성된 피융착물의 접합면이 간접열에 의해 녹지 않게 되며, 온도가 상한치를 벗어나면 열선이 끊어질 수 있고 간접열에 의해 피융착물의 접합면을 녹인다 하더라고 너무 고온이 되어 오히려 ABS 수지가 타게 됨에 따라 피융착물의 접합면 사이의 결합력이 떨어져 일체화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선(200)은, 진공 유리관 내에 설치하여 간접열을 가할 수도 있으며, 진공 상태의 유리관 내에 설치된 열선은 산화가 발생하지 않아 열선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서, 열선(200)은, 텅스텐 할로겐 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텅스텐 할로겐 램프(할로젠 램프, tungsten halogen lamp)라 함은, 금속 할로겐 가스 속에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램프이며, 텅스텐 램프가 고열에서 필라멘트 금속이 증발하여 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에 반해 이 램프는 할로겐의 작용으로 전구의 효율을 그대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일반 텅스텐 램프보다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오랫동안 그 성능을 발휘하며, 야외 촬영 시 많이 쓰인다. 일반적으로 3,200K의 색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조명기 앞에 블루 젤(blue gel)을 덧대어 일광의 색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으나 1/2스톱 정도의 광량 손실이 생긴다. 쿼츠(quartz), 쿼츠 요오드(quartz iodine)라고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와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홈수단(120)은, 직선 삽입홈(122) 및 연장 삽입홈(123)을 포함한다.
상기 직선 삽입홈(122)은, 지지부재(11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 삽입홈(123)은, 상기 직선 삽입홈(122)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예를 들어, 20 내지 50°)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선(200)은, 상기 직선 삽입홈(122)을 통과하여 진입한 후, 상기 연장 삽입홈(123)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삽입홈(123)은, 상기 열선(200)의 외주면 형상이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면이 각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선(200)이 상기 연장 삽입홈(123)의 내측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열선(200)이 상기 연장 삽입홈(123)의 내측면에 끼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삽입홈(123)은, 상기 열선(200)의 외주면 형상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면이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삽입홈수단(120)은, 열선부재(200)가 연장 삽입홈(123)에 안착 고정되고, 예열 과정에서 흔들림이 있어도 직선형 삽입홈(123)에 걸리어 상기 직선 삽입홈(122) 쪽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와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 블록(100)은, 일측(상측)으로부터 다른 일측(하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예를 들어, 20 내지 50°)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일측(상측)으로부터 다른 일측(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 중에서 일측(상측)으로부터 다른 일측(하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예를 들어, 20 내지 50°)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블록(100)은, 일측(상측)과 다른 일측(하측)의 두께 차이(d)는 1 내지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단열 블록(100)은,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상기 삽입홈수단(120)과 단열 블록(100)의 모서리 사이의 두께를 더욱 넓게 확보하여, 상기 단열 블록(100)의 모서리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와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 블록(100)은, 걸림턱(1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121)은,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입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내측으로 삽입된 열선(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121)은, 지지부재(110)와 동일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121)은, 상기 열선(200)의 상단 일부만 덮을 정도의 길이(예를 들어, 1 내지 3mm)만큼 상기 삽입홈수단(1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열선(200)의 열이 피융착물의 접합면에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단열 블록(100)은, 예열 과정에서 흔들림이 있어도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121)에 의하여 상기 열선(200)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상기 단열 블록(100)에 상기 열선(200)을 고정 가능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와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 블록(100)은, 반사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반사부재(130)는,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내측부에 장착 설치되어, 상기 열선(20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를 향하도록 반사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부재(130)는, 상기 열선(200)의 가열에도 부식 등이 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열선(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반사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등)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부재(130)는, 외부 상측 방향으로 골고루 반사시켜줄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내측부 상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단열부재(100)는, 반사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열선(200)의 열기를 피융착물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열손실을 방지하고 예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와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 블록(100)은, 보강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140)는,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단열 블록(100)을 보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140)는,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내측부 중 단열 블록(100)의 중앙쪽 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삽입홈수단(120)의 내부면 전체에 형성되어, 단열 블록(100)의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140)는, 단열 블록(100)을 보강하기 위해 알루미늄, 철판 등의 단단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예열히터
100: 단열 블록
110: 지지 부재
120: 삽입홈수단
121: 걸림턱
122: 직선 삽입홈
123: 연장 삽입홈
130: 반사부재
140: 보강부재
200: 열선

Claims (5)

  1.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합면에 밀착되기 위한 단열 블록; 및
    상기 단열 블록의 일면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접합면을 가열시키기 위한 열선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 블록은,
    일면이 피융착물의 접합면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열선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직선 삽입홈; 및
    상기 직선 삽입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연장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블록은,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블록은,
    상기 삽입홈수단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열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블록은,
    상기 삽입홈수단의 내측부에 장착 설치되어, 상기 열선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를 향하도록 반사시켜 주기 위한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KR1020180096288A 2018-08-17 2018-08-17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KR10191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288A KR101911236B1 (ko) 2018-08-17 2018-08-17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288A KR101911236B1 (ko) 2018-08-17 2018-08-17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236B1 true KR101911236B1 (ko) 2018-10-24

Family

ID=6413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288A KR101911236B1 (ko) 2018-08-17 2018-08-17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2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36B1 (ko) * 2018-12-06 2019-05-21 이화영 어로용 부구 및 그 제조용 간접가열 방식 접합장치
CN110385857A (zh) * 2019-08-13 2019-10-29 福建集成伞业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雨伞加工用烘柄装置
CN113427096A (zh) * 2021-07-01 2021-09-24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用于试样钎焊的工装及试样装炉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28B1 (ko) 2014-12-11 2016-10-27 주식회사 대영초음파 진동 융착기의 진동융착시 예열을 위한 열선 고정방법 및 그 장치
KR101678497B1 (ko) 2015-05-22 2016-12-06 주식회사 대영초음파 진동 융착기의 접합 면 가열장치
KR101897521B1 (ko) 2017-03-27 2018-09-12 이화영 열선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28B1 (ko) 2014-12-11 2016-10-27 주식회사 대영초음파 진동 융착기의 진동융착시 예열을 위한 열선 고정방법 및 그 장치
KR101678497B1 (ko) 2015-05-22 2016-12-06 주식회사 대영초음파 진동 융착기의 접합 면 가열장치
KR101897521B1 (ko) 2017-03-27 2018-09-12 이화영 열선 고정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36B1 (ko) * 2018-12-06 2019-05-21 이화영 어로용 부구 및 그 제조용 간접가열 방식 접합장치
CN110385857A (zh) * 2019-08-13 2019-10-29 福建集成伞业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雨伞加工用烘柄装置
CN110385857B (zh) * 2019-08-13 2024-01-30 福建集成伞业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雨伞加工用烘柄装置
CN113427096A (zh) * 2021-07-01 2021-09-24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用于试样钎焊的工装及试样装炉方法
CN113427096B (zh) * 2021-07-01 2022-06-03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用于试样钎焊的工装及试样装炉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236B1 (ko) 진동 융착을 위한 접합면 예열히터
US7591698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positioning and welding a cover to a housing
JP2001243811A (ja)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37506B (zh) Fused joint and melting method, melting device, melt joint, resin tube melting device and melting method
CA2617518A1 (en) Spacer arrangement with fusable connector for insulating glass units
US6054072A (en) Infrared bonding of transparent plastics articles
JP3847517B2 (ja) 光エネルギーによる樹脂製部品溶着方法
KR960021473A (ko) 열용착 가능한 수지제 관상 부품의 자동용착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파이프용 클램프장치 및 히터장치
JP4981144B2 (ja) 光ユニット
JP2009287916A (ja) 炉隔壁
KR101669628B1 (ko) 진동 융착기의 진동융착시 예열을 위한 열선 고정방법 및 그 장치
JP2007182003A (ja) 樹脂材のレーザー溶着方法
JP4021120B2 (ja) 車両用灯具の製造装置
US5206558A (en) Light source provided with light reflecting means
US361987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lamps base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lamps thus obtained
KR101678497B1 (ko) 진동 융착기의 접합 면 가열장치
JPH08216261A (ja) 熱可塑性樹脂管の接合方法
JP6029207B2 (ja) 予備加熱振動溶着法
JP4333950B2 (ja) 車輌用灯具の製造方法
JP5355743B2 (ja) サドル形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用のクランプ
JP2601337B2 (ja) 白熱電球の製造方法
JP2775816B2 (ja) 管形電熱線ヒータの製造方法
KR101691008B1 (ko) 진동 융착기용 열선
KR100449617B1 (ko) 태양열 집열판의 박판과 연결관의 접합 구조 및 그 방법
JP3154085B2 (ja) 電球における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