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723B1 -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723B1
KR101907723B1 KR1020147002327A KR20147002327A KR101907723B1 KR 101907723 B1 KR101907723 B1 KR 101907723B1 KR 1020147002327 A KR1020147002327 A KR 1020147002327A KR 20147002327 A KR20147002327 A KR 20147002327A KR 101907723 B1 KR101907723 B1 KR 10190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ember
case
battery module
electrode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128A (ko
Inventor
히로타츠 카미무라
유이치 야마우치
류헤이 니시다
토모아키 나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2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축전체 셀의 탭 형상 단자에 대한 내부 접속부와 전지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접속부를 구비한 통전 부재와, 이 통전 부재의 외부 접속부에 복수의 전지 모듈의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와, 이 통전 부재의 외부 접속부와 축전체 셀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한다. 외부 접속부 안쪽에는 사이에 상기 절연 부재를 받아들이는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와 절연 부재에 각각, 상기 받아들임에 따라 결합하여 맞추어지는 결합부를 형성시키고 있다.

Description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ELECTRODE CONSTITUENT FOR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카나 전기 자동차 등의 축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지 모듈의 일부가 되어, 이 전지 모듈의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 구성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카 등의 축전 시스템은, 복수의 전지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전지 모듈은, 편평한 판 형상을 이루는 축전체 셀을 적층 형상으로 케이스에 넣어 구성된다. 전지 모듈의 케이스에는 내부의 축전체 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극을 이용하여 전지 모듈 바깥의 단자에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지 모듈의 전극은, 상기 케이스에 두 곳 이상 설치된다.
이러한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볼트를 구비시킨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볼트는 단자 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축부(軸部)를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단자 판의 내면에는 절연 부재가 덧붙여져 있으며, 볼트의 머리부는 이 절연 부재로 눌려져 있다. 단자 판과 절연 부재는 코킹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3) 이 특허문헌 1의 것에서는, 상기 절연 부재는 이동 제한 부재에 조립되어 있어, 상기 단자 판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 단자 판으로부터 볼트, 볼트로부터 절연 부재, 또, 절연 부재와 이동 제한 부재에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외력의 작용시에 흔들림이 발생하기 쉽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259424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과제는, 이 종류의 전극 구성체를 구성하는 통전 부재와 절연 부재를, 더 용이하면서도 적절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를, 축전체 셀을 케이스에 넣어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의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 구성체로서,
축전체 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 접속부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접속부를 구비한 통전 부재와,
이 통전 부재의 외부 접속부에 형성된 통공(通孔)에 케이스 안쪽에서부터 통과시켜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이 돌출된 일부에 의해 복수의 전지 모듈의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와,
이 체결 부재와 축전체 셀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외부 접속부에는, 케이스 안쪽으로 이어지고, 사이에 상기 절연 부재를 받아들이는 한 쌍의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협지부와 상기 절연 부재에 각각, 상기 받아들임에 따라 결합하여 맞추어지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로, 상기 협지부 사이에 절연 부재를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통전 부재와 절연 부재를 결합에 의해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둘째로, 이와 같이 통전 부재에 일체화된 절연 부재에 의해 체결 부재가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스 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러한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전 부재는 단일 절연 부재와 일체이므로, 통전 부재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 특허문헌 1의 것에 비해, 이러한 외력의 작용시에 흔들림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상기 전극 구성체의 외부 접속부 측이, 전지 모듈의 안팎을 연통시키는 각(角) 구멍 형상의 연통부에 삽입통과되도록 하고, 그와 아울러, 이 연통부에의 상기 삽입통과시에, 대응하는 이 연통부의 안쪽 모리서부(隅部)의 내측에 각각 들어가 그 안쪽 모서리부에 각각 접촉되는 바깥쪽 모서리부를 상기 절연 부재에 형성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렇게 한 경우, 상기 체결시에 발생하는 토크를 상기 연통부의 안쪽 모서리부와 절연 부재의 바깥쪽 모서리부에 의해 받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지 모듈의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가 체결되는 통전 부재에 대해, 이 통전 부재와 축전체 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 부재를, 용이하면서도 적절히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지 모듈 및 복수의 전지 모듈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부재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커버와 전극 구성체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전극 구성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전극 구성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전극 구성체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전극 구성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전지 모듈의 일부가 된 상태에서의 전극 구성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전극 구성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전 부재 측과 절연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통전 부재 측과 절연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통전 부재 측과 절연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통전 부재 측과 절연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절연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절연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전극 구성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구성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요부(要部)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도 1∼도 16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는, 하이브리드 카나 전기 자동차 등의 축전 시스템(축전 유닛 등으로도 칭해진다)을 구성하는 전지 모듈(M)(축전 모듈, 모듈 등으로도 칭해진다)의 일부가 되어, 이 전지 모듈(M)의 전극(Ma)을 구성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전극 구성체는, 전지 모듈(M) 바깥에서, 복수의 전지 모듈(M)의 전극(Ma)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P)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지 모듈(M)의 전극(Ma)을 구성하는 것이다. 전지 모듈(M)은, 축전체 셀(Mb)과 이것을 넣어 두는 케이스(Mc)를 구비하고 있다. 축전체 셀(Mb)은, 편평한 판 형상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지 모듈(M)은, 복수매의 축전체 셀(Mb)을 적층 형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편평한 상자 모양을 이루는 케이스(Mc)에 넣어 구성되어 있다. 각 축전체 셀(Mb)은 케이스(Mc) 내에서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는, 이렇게 접속되어 일체화된 각 축전체 셀(Mb) 중 하나에 설치된 단자, 도시된 예에서는 탭 형상 단자(Mba)(도 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통전 부재(1)를 갖고, 이 통전 부재(1)를 통해 전지 모듈(M) 바깥에서 복수의 전지 모듈(M)의 전극(Ma)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부재(P)와 각 축전체 셀(Mb)을 접속하는 것이다.
전극 구성체는, 통전 부재(1)와, 체결 부재로서의 볼트체(2)와, 절연 부재(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전 부재(1) 및 볼트체(2)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절연 부재(3)는, 전형적으로는,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전지 모듈(M)의 완성 상태에서, 절연 부재(3)는 상기 케이스(Mc) 내에 위치된다. 통전 부재(1)는, 축전체 셀(Mb)의 탭 형상 단자(Mb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 접속부(10)와, 상기 부재(P)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접속부(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지 모듈(M)의 완성 상태에서, 이 외부 접속부(11)만을 전지 모듈(M)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도 1, 도 7)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Mc)는 대략 장방형인 광폭의 양면(兩面)(Mca, Mca)과, 이 양면(Mca, Mca) 사이에 걸친 4개의 두께 쪽 측면(Mcb)을 갖고 있다. 이 4개의 두께 쪽 측면(Mcb) 중, 케이스(Mc)의 폭방향에 따른 하나의 측면(Mcb)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케이스(Mc)의 바깥쪽으로 통전 부재(1)의 외부 접속부(11)가 임하도록 되어 있다.
통전 부재(1)는, 도시된 예에서는, 금속판에 절곡 가공을 행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내부 접속부(10)에 대해 외부 접속부(11)는 중간부(12)를 통해 일체로 연접(連接)되어 있다. 내부 접속부(10)와 중간부(12)는 L자 형상을 나타내도록 연접되어 있다. 내부 접속부(10)의 일면과 중간부(12)의 일면은 같은 면 상에 위치되어 있지 않고, 양자 사이에는 단차(13)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접속부(11)는, 중간부(12)에 있어서의 내부 접속부(10)와의 연접 측과 반대인 단말로부터 중간부(12)와의 사이에 직각을 형성시키도록 하여 기립하는 기립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외부 접속부(11)는, 한 변을 중간부(12)의 폭과 거의 같게 한 대략 정방형의 판 형상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외부 접속부(11)의 한 변과 중간부(12)의 상기 단말이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외부 접속부(11)의 그 나머지 세 변에는 각각, 외부 접속부(11)와의 사이에 직각을 형성시키도록 하여 상기 단차(13) 쪽으로 뻗는 협지판부(挾持板部)(14, 15)의 일단 측이 연접되어 있다. 중간부(12)에 대향하는 상측의 협지판부(14)에는 사각형의 결합 구멍(16)이 관통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12)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는, 좌측의 협지판부(15)와 우측의 협지판부(15)에는 각각, 이 협지판부(14, 15)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긴 구멍 형상을 이루는 결합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협지판부(15)와 상측의 협지판부(14) 사이 및 좌측의 협지판부(15)와 중간부(12) 사이, 및, 우측의 협지판부(15)와 상측의 협지판부(14) 사이 및 우측의 협지판부(15)와 중간부(12) 사이에는, 절연 부재(3)의 후술하는 리브 형상부(39)가 끼워지는 간극(17)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체(2)는, 외주(外周)에 수나사를 구비한 축부(20)와, 납작한 머리 형상을 이루는 머리부(21)를 갖고 있다. 통전 부재(1)의 외부 접속부(11)에는, 이 볼트체(2)의 머리부(21)는 통과하지 않지만 축부(20)는 통과하는 크기의 통공(11a)이, 이 외부 접속부(11)의 내외(內外)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통공(11a)의 구멍 지름은 볼트체(2)의 축부(20)의 지름보다 약간 작고, 볼트체(2)의 축부(20)는 외부 접속부(11)의 내면 쪽에서부터 이 통공(11a)을 약간 변형시키면서 이 통공(11a)에 삽입통과ㆍ끼워 넣어져 외부 접속부(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볼트체(2)의 축부(20)의 선단측은 무(無) 나사부(21a)로 되어 있어, 너트(N)의 암나사 구멍에 볼트체(2)의 축부(20)를 삽입통과시키기 쉽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전지 모듈(M)의 전극(Ma)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P)를, 이러한 볼트체(2)를 이용하여 통전 부재(1)의 외부 접속부(1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부재(P)에 형성된 관통 구멍(Pa)에 볼트체(2)의 축부(20)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이 축부(20)에 너트(N)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이러한 부재(P)를 외부 접속부(11)의 외면에 밀착시켜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7)
한편, 절연 부재(3)는, 상기 통전 부재(1)에 조립되어, 이 외부 접속부(11)와 축전체 셀(Mb)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절연 부재(3)는, 중공(中空)된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절연 부재(3)의 전면(前面)(30)과 배면(背面)(31) 사이의 거리는 외부 접속부(11)의 내면과 상기 단차(13)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고, 또한, 이러한 절연 부재(3)의 이 전면(30)과 배면(31) 사이에 위치되는 4개의 측면(32) 중, 대향 위치에 있는 2개의 측면(32, 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측의 협지판부(14)와 중간부(12)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고, 나머지 2개의 측면(32, 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좌측의 협지판부(15)와 우측의 협지판부(15)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3곳의 협지판부(14, 15)와 중간부(12)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절연 부재(3)의 전면(30)을 앞으로 하여, 이 절연 부재(3)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납입(納入) 상태에서, 절연 부재(3)의 전면(30)이 외부 접속부(11)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볼트체(2)의 머리부(21)를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7, 도 8)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좌측의 협지판부(15)와 우측의 협지판부(15)에 의해, 외부 접속부(11)의 안쪽으로, 사이에 상기 절연 부재(3)를 받아들이는 쌍을 이루는 협지부를 형성시키고 있다.
그와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쌍을 이루는 협지부, 즉, 상기 좌측의 협지판부(15)와 우측의 협지판부(15) 양쪽과, 상기 절연 부재(3)에 각각, 상기 받아들임에 수반해서 결합하여 맞추어지는 결합부를 형성시키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또한, 상기 상측의 협지판부(14)에도 결합부를 형성시키고 있다.
즉, 상기 절연 부재(3)에서의, 상기 받아들임 시에 좌측의 협지판부(15)에 내접(內接)되는 좌측의 측면(32) 및 우측의 협지판부(15)에 내접되는 우측의 측면(32)에는 각각 결합 돌부(突部)(33)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측의 협지판부(14)에 내접되는 상측의 측면(32)에 결합 돌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돌부(3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한 쌍의 분할홈(35, 35)과, 이 한 쌍의 분할홈(35, 35)의 후단(後端) 사이에 걸친 분할홈(36)에 의해 절연 부재(3)의 일부를 구분시켜 이루어지는 탄성편(34)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돌부(33)는 절연 부재(3)의 측면(32)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받아들임은 각 탄성편(34)의 휘어 들어감에 의해 허용되고, 이 받아들임 종료 위치에서 각 탄성편(34)은 휘어 되돌아와 대응하는 상기 결합 구멍(16)에 대응하는 결합 돌부(33)가 끼움 결합하여 상기 받아들임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결합 구멍(16)이 협지부 쪽의 결합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결합 돌부(33)가 절연 부재(3) 쪽의 결합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절연 부재(3)의 하측의 측면에는 절연 부재(3)의 내부와 연통하는 개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극 구성체에서는, 첫째로, 상기 쌍을 이루는 협지부 사이에 절연 부재(3)를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통전 부재(1)와 절연 부재(3)를 결합에 의해 일체화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은 코킹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통전 부재(1)와 절연 부재(3)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둘째로, 이렇게 통전 부재(1)에 일체화된 절연 부재(3)에 의해 볼트체(2)가 전지 모듈(M)을 구성하는 케이스 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아들임에 의해, 상기 절연 부재(3)의 일부, 도시된 예에서는 전면(30)이 상기 볼트체(2)의 머리부(20)에 대한 접촉부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돌부(33)를 협지판부(14, 15)의 결합 구멍(16)에 결합시킴으로써, 절연 부재(3)는 그 전면(30)을 볼트체(2)의 머리부(20)에 항상 접촉시키는 위치에 강고(强固)하게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구성체의 외부 접속부(11) 측이, 전지 모듈(M)의 안팎을 연통시키는 각(角) 구멍 형상의 연통부(Md)에 삽입통과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연통부(Md)에의 상기 삽입통과시에, 대응하는 이 연통부(Md)의 안쪽 모서리부(Mda)의 내측에 각각 들어가 그 안쪽 모서리부(Mda)에 각각 접촉되는 바깥쪽 모서리부(38)가 절연 부재(3)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절연 부재(3)의 인접하는 측면 사이에 각각 리브 형상부(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아들임에 수반하여 이 리브 형상부(39)가 상기 간극(17)에 끼워지고, 끼워진 이 리브 형상부(39)와 3곳의 협지판부(14, 15)와 중간부(12)에 의해, 이곳의 단면(斷面) 외곽 형상이 내곽(內郭) 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하는 상기 연통부(Md)를 모방한 형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통부(Md)에 전극 구성체의 외부 접속부(11) 측을 삽입통과시킨 상태에서, 이 연통부(Md)의 안쪽 모서리부(Mda)에 각각 상기 리브 형상부(39)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리브 형상부(39)가 상기 바깥쪽 모서리부(38)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리브 형상부(39)는 절연 부재(3)의 전면(3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 내에 절연 부재(3)를 받아들인 상태에서, 리브 형상부(39)의 전단(前端)(39a)은 외부 접속부(11)의 전면과 거의 같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연통부(Md)는, 각통(角筒) 형상부(Mea)를 갖는 커버(Me)의 이 각통 형상부(Me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Me)는 내측에 축전체 셀(Mb)의 단부를 받아들이는 한 쌍의 횡판부(橫板部)(Mec, Mec)와 이 한 쌍의 횡판부(Mec, Mec) 사이에 걸친 종판부(縱板部)(Med)를 갖는 단면 コ 자 형상의 주체부(主體部)(Me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통 형상부(Mea)는 이 주체부(Meb)의 종판부(Med)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커버(Me)의 안팎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러한 커버(Me)는 상기 케이스(Mc)의 외측에 각통 형상부(Mea)의 돌출 단(端) 측만을 임하도록 하여 받아들여진다. (도 1, 도 7) 전극 구성체의 외부 접속부(11) 측은 이러한 커버(Me)의 내측으로부터 각통 형상부(Mea) 안으로 삽입통과되어, 이 각통 형상부(Mea)의 돌출 단에 외부 접속부(11)의 외면이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극 구성체에서는, 상기 볼트 고정시에 발생하는 토크를 상기 연통부(Md)의 안쪽 모서리부(Mda)와 절연 부재(3)의 바깥쪽 모서리부(38)에 의해 받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부(Md)의 안쪽 모서리부(Mda) 사이에서는, 이 연통부(Md)의 내면에, 협지판부(14, 15)가 면(面)에 대해 접하여 여기서도 상기 토크를 받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 고정시에 볼트체(2)와 통전 부재(1)는 함께 회전하여 버리는 일은 없다. 또, 절연 부재(3)의 배면(31)과 축전체 셀(Mb)의 단부 사이의 공간에 도시하지 않는 스페이서를 배치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해 두면, 상기 볼트 고정시에 만약 통전 부재(1)와 절연 부재(3)의 결합이 해제되어도 이러한 스페이서에 의해 케이스(Mc) 내에의 절연 부재(3)의 이동 저지가 도모된다.
도 15 및 도 16은, 이상에서 설명한 도 1∼도 14에 도시된 예인 상측의 협지판부(14)를 통전 부재(1)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예에서는, 외부 접속부(11)의 안쪽의 좌우에 각각 상기 협지부를 갖고 있으며, 절연 부재(3)는 이 좌우의 협지부 사이에 그 전면을 외부 접속부(11)의 내면에 슬라이드 되게 하도록 한 중간부(12)의 판면(板面)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슬라이드 이동 조작에 의해 상방에서부터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협지부는 각각, 외부 접속부(11)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제1아암부(18a)와, 이 제1아암부(18a)의 돌출 단에서부터 상방으로 뻗은 제2아암부(18b)와, 이 제2아암부(18b)의 상단에서부터 외부 접속부(11)의 내면 쪽으로 돌출하는 후크부(18c)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3)의 좌우에는 각각, 결합 돌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 조작 과정에서 이 결합 돌부(33)에 접촉되는 협지부가 외측 방향으로 일단 휘어져 나온 후, 좌우의 협지부 사이에 절연 부재(3)를 완전히 다 넣은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되돌아와 이 결합 돌부(33)의 상방에 상기 후크부(18c)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상기 후크부(18c)가 협지부 쪽의 결합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결합 돌부(33)가 절연 부재(3) 쪽의 결합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절연 부재(3)의 전면(30)에 볼트체(2)의 머리부(21)가 들어가는 홈 형상의 오목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0a)는 절연 부재(3)의 전면(30)의 하변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 조작시에 볼트체(2)의 머리부(21)는 이 오목부(30a)의 개방된 곳으로부터 오목부(30a) 안으로 들어간다. 오목부(30a)의 상하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에는 오목부(30a)의 폭방향에 걸친 칸막이 리브(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 조작 과정에서 이 칸막이 리브(30b) 쪽의 탄성 변형에 의해 볼트체(2)의 머리부(21)는 이 칸막이 리브(30b)를 타고 넘음과 아울러 좌우의 협지부 사이에 절연 부재(3)를 완전히 다 넣은 위치에서 이 칸막이 리브(30b)와 오목부(30a)의 상단 사이에 덜거덕거림 없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도 16)
2011년 7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165106호의 명세서, 특허청 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한다.

Claims (6)

  1. 축전체 셀을 케이스에 넣어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의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 구성체로서,
    축전체 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 접속부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접속부를 구비한 통전 부재와,
    이 통전 부재의 외부 접속부에 형성된 통공(通孔)에 케이스 안쪽에서부터 통과시켜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한 축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보다 케이스 안쪽으로 위치하는 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된 축부의 일부에 의해 복수의 전지 모듈의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인 볼트체와,
    이 볼트체의 상기 머리부와 체결 부재와 축전체 셀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외부 접속부에는, 케이스 안쪽으로 이어지고, 사이에 상기 절연 부재를 받아들이는 한 쌍의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2. 제1항에 있어서,
    절연 부재의 일부는, 상기 볼트체의 머리부에 대해 케이스 안쪽에서부터 접촉되는 접촉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그 안팎을 연통하는 각(角) 구멍 형상의 연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극 구성체의 외부 접속부 측이 이 연통부에 삽입통과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연통부에의 상기 삽입통과시에, 대응하는 이 연통부의 안쪽 모서리부의 내측에 각각 들어가 그 안쪽 모서리부에 각각 접촉되는 바깥쪽 모서리부가 절연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4. 제3항에 있어서,
    연통부의 안쪽 모서리부 이외의 내면에, 협지부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5. 삭제
  6. 삭제
KR1020147002327A 2011-07-28 2012-07-26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KR101907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5106 2011-07-28
JPJP-P-2011-165106 2011-07-28
PCT/JP2012/069022 WO2013015380A1 (ja) 2011-07-28 2012-07-26 電池モジュール用電極構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128A KR20140028128A (ko) 2014-03-07
KR101907723B1 true KR101907723B1 (ko) 2018-10-12

Family

ID=4760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327A KR101907723B1 (ko) 2011-07-28 2012-07-26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9302B2 (ko)
EP (1) EP2750218B1 (ko)
JP (1) JP5684912B2 (ko)
KR (1) KR101907723B1 (ko)
CN (1) CN103718333B (ko)
WO (1) WO2013015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5532B2 (ja) * 2014-02-05 2017-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積層型電池の保持構造
KR101688558B1 (ko) * 2014-03-05 2016-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JP6221994B2 (ja) * 2014-08-08 2017-11-0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10673050B2 (en) * 2015-01-05 2020-06-02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DE102018200148A1 (de) * 2018-01-08 2019-07-11 Robert Bosch Gmbh Deckelplatte für eine Deckelbaugruppe einer Batteriezelle und Deckelbaugrup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638A (ja) * 2006-09-14 2008-03-27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11023141A (ja) * 2009-07-13 2011-02-03 Toyota Motor Corp 電池、車両及び電池使用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5470A (en) * 1954-11-26 1958-07-29 Lloyd E Haskell Storage battery
US6242128B1 (en) * 1993-12-06 2001-06-05 Valence Technology, Inc. Fastener system of tab bussing for batteries
JP4971537B2 (ja) * 2000-04-14 2012-07-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用極板群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6067B2 (ja) * 2004-06-01 2011-01-05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US7229327B2 (en) * 2005-05-25 2007-06-12 Alcoa Fujikura Limite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JP4775436B2 (ja) * 2008-02-29 2011-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146065B2 (ja) 2008-04-11 2013-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組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JP5437849B2 (ja) 2010-02-19 2014-03-12 株式会社ニフコ 電池モジュール用電極構成体
KR101214011B1 (ko) * 2010-05-31 2012-12-2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극 단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638A (ja) * 2006-09-14 2008-03-27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11023141A (ja) * 2009-07-13 2011-02-03 Toyota Motor Corp 電池、車両及び電池使用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0218A4 (en) 2015-03-25
CN103718333B (zh) 2016-08-17
US20140154567A1 (en) 2014-06-05
US9419302B2 (en) 2016-08-16
EP2750218A1 (en) 2014-07-02
CN103718333A (zh) 2014-04-09
KR20140028128A (ko) 2014-03-07
JPWO2013015380A1 (ja) 2015-02-23
JP5684912B2 (ja) 2015-03-18
EP2750218B1 (en) 2018-09-26
WO2013015380A1 (ja)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7458B2 (en) Battery module
JP6109314B2 (ja) バスバーアセンブリ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1907723B1 (ko)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US9083030B2 (en) Battery module
WO2011142201A1 (ja) カバー部材及び該カバー部材を備えた電源装置
US8512889B1 (en) Battery module
US20200287194A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housing case and battery module
US20170084885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20150228942A1 (en) Electricity storage module
US20190372065A1 (en) Battery pack
KR102449864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접속장치
CN111712940B (zh) 电池模块
JP6201870B2 (ja) 蓄電装置
JP6531802B2 (ja) 蓄電装置
WO2016157919A1 (ja) 電池パック
US10490798B2 (en) Battery pack
JP6973180B2 (ja) 電池パック
US10516149B2 (en) Conductive module and battery pack
CN108110164B (zh) 导电模块和电池组
JP5437849B2 (ja) 電池モジュール用電極構成体
CN112335113A (zh) 蓄电装置
JP2015191770A (ja) セルホルダ
KR101913433B1 (ko) 배터리 팩 단자 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12022964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組電池
JP5114944B2 (ja) 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82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07

Effective date: 201808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