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437B1 -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437B1
KR101907437B1 KR1020160159459A KR20160159459A KR101907437B1 KR 101907437 B1 KR101907437 B1 KR 101907437B1 KR 1020160159459 A KR1020160159459 A KR 1020160159459A KR 20160159459 A KR20160159459 A KR 20160159459A KR 101907437 B1 KR101907437 B1 KR 10190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unlocking
photograph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466A (ko
Inventor
왕혁
서창형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4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01Q1/324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particular used in keyless entry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촬영부가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안테나 모듈에 의해 수신된 경우, 촬영부가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에 근거하여 차량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UNLOCKING DOOR IN VEHICL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키 시스템과 같은 원격 작동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은 도어 잠금 해제 동작 시, 스마트키에 구비된 도어 언락 버튼을 누르면 차량 내 스마트키 시스템의 ECU와 인증키(FOB)간 통신을 하고, 유효한 인증키로 확인되면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에는 차량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모빌라이져 시스템 또는 도난 경보 장치 등의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모빌라이져 시스템은 엔진 제어 모듈(ECM: Engine Control Module)에 입력된 비밀번호와 스마트키에 내재된 트랜스폰더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시동이 걸리도록 설계된 시스템을 말하며, 도난 경보 장치는 외부에서 차량 내부로의 침입을 시도할 때 경보음을 발산하여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외부인이 차량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으로서 Safety Unlock 시스템이 스마트키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키의 도어 언락 버튼을 1번 누르면 운전석 측 도어만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2번 누르면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차량의 조수석 측면에 숨어있던 외부인이 차량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때 조수석 측으로 침입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하지만, 종래 Safety Unlock 시스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조수석과 접촉하기 위해서는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하며, 이에 따라 운전석 측면에 숨어있던 외부인이 운전석 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운전자의 실수로 도어 언락 버튼을 2번 누르는 경우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외부인이 차량 내부로 침입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42805호(2007. 4. 24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접근 방향 또는 외부인이 숨은 방향에 따라 외부인이 차량에 침입할 수 있었던 종래의 위험을 제거하고, 운전자의 스마트키 조작 실수에 의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를 방지함으로써, 외부인의 차량 내부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은,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촬영부가 상기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촬영부가 상기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안테나 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무선 단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제1 측면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 및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되,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측면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측면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통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차량의 도어 잠금을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인 경우, 및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가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상기 안테나 모듈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 각각 상기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무선 단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제1 측면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 및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되,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측면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측면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통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차량의 도어 잠금을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인 경우, 및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접근 방향을 기반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차량의 도어를 결정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접근 방향 또는 외부인이 숨은 방향과 무관하게 외부인이 차량 내부로 침입하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에서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따라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차량의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에서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따라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차량의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촬영부(10), 릴레이부(20), 도어락 구동부(30), 안테나 모듈(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10)는 제1 및 제2 촬영부(11, 13)를 포함할 수 있고, 릴레이부(20)는 제1 및 제2 릴레이(21, 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락 구동부(30)는 제1 및 제2 도어락 구동부(31, 33)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제1 측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촬영부(11), 및 차량의 제2 측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촬영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상호 반대측에 위치하는 차량의 측면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설명하며, 따라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 각각 운전석 측면 및 조수석 측면, 또는 각각 조수석 측면 및 운전석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부착될 수 있으나,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범위에서 그 설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상황을 차량 내부에 구비된 모니터로 확인하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을 지원하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VM: A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 촬영부(10)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에 포함된 측면 카메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안테나 모듈(40)은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신호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할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차량 도어의 락 또는 언락 등에 대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의미하며, 통상적인 버튼식, 카드식 스마트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은 스마트키(6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안테나 모듈(40)은 스마트키(6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전달함으로써, 제어부(50)로 하여금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40)은 스마트키(6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안테나로 수신되는 도어 잠금 신호 또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의 세기에 근거하여 스마트키(6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테나의 방향에 따라 스마트키(6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스마트키(60)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신호 또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안테나 모듈(40)을 통해 수신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키(60)로부터 도어 잠금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1 및 제2 도어락 구동부(31, 33)를 구동시켜 각각 제1 측면에 위치하는 도어(이하 제1 측면 도어) 및 제2 측면에 위치하는 도어(이하 제2 측면 도어)의 잠금을 수행하고, 스마트키(60)로부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1 및 제2 도어락 구동부(31, 33)를 구동시켜 각각 제1 측면 도어 및 제2 측면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락 구동부(31, 33)는 각각 제1 측면 도어 및 제2 측면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수행하기 위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것과 같이 제어부(50)는 차량의 제1 및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측면 도어 및 제2 측면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므로,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도어락 구동부(31, 33)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릴레이(21, 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릴레이(21, 23)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도어락 구동부(31, 33)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제1 및 제2 측면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촬영부(10), 안테나 모듈(40) 및 제어부(50)의 동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도어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 즉,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에 제1 및 제2 촬영부(11, 13)는 각각 차량의 제1 및 제2 측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데이터를 저장한다.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에 대한 실시간 감시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고, 비교적 용량이 큰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장치를 제거하기 위해, 차량의 측면 영상을 캡쳐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60)에 구비된 도어 언락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따라 스마트키(60)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수신된 경우,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부(50)는,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제1 및 제2 촬영부(11, 13)에 의해 각각 촬영된 제1 및 제2 측면 영상과,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및 제2 촬영부(11, 13)에 의해 각각 촬영된 제1 및 제2 측면 영상을 각각 비교한다. 측면 영상에 대한 비교 결과, 현재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사람 또는 움직이는 물체 등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50)는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비교 과정에서, 배경과 같이 변화가 없는 부분 이외의 변화 부분만을 비교하여 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사람의 안면, 손발 등 신체의 부위 또는 신체의 동작을 인식하여 위험 요소가 사람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교 알고리즘이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측면 영상에 대한 비교 결과,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감지된 위험 요소가 차량으로 접근 중인 사용자일 수도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위험 요소로 감지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50)는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감지되는 스마트키(60)의 위치에 근거하여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한다.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차량의 제1 측면인 경우, 제1 측면에는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50)는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인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즉,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제2 촬영부(13)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제2 촬영부(13)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측면 및 사용자의 접근 방향 간의 비교로서 사용자가 위험 요소로 감지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도 있다. 즉,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과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동일한 경우(예: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차량의 측면 및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모두 제1 측면인 경우)에는 감지된 위험 요소가 사용자인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과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상이한 경우(예: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차량의 측면이 제2 측면이고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제1 측면인 경우)에만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도어락 구동부(31, 33)를 통해 각각 제1 측면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2 측면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반대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반대측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인이 차량에 침입하는 행위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제2 측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차량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위험 요소가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이 경우 차량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잦은 경보로 인한 소음 방지를 위해, 제어부(50)는 위험 요소가 물체가 아닌 사람으로 감지된 경우에만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통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60)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를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인 경우, 및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가족, 친구, 또는 동료 등을 차량에 탑승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측면에 위치하는 가족 등이 위험 요소로 판단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키(60)의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키(60)의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은 스마트키(60) 도어 언락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푸쉬하고 있는 경우, 또는 연속으로 수 회 푸쉬하는 경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제어부(50)는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에서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따라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차량의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S10)(즉, 촬영부(10)는 차량의 시동 OFF를 감지한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
이어서, 스마트키(60)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수신된 경우,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S20)(즉, 촬영부(10)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안테나 모듈(40)을 통해 수신한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
이어서,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통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60)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차량의 도어 잠금을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이 아닌 경우(S30), 제어부(50)는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0).
만약 S30 단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키(60)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인 경우, 제어부(50)는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S60).
S40 단계 이후, 제어부(50)는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에 근거하여 차량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한다(S5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감지되는 스마트키(60)의 위치에 근거하여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S4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차량의 제1 측면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가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감지되는 스마트키(60)의 위치에 근거하여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은 실시예에 따라 S20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S40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따라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차량의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과정을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S10). 즉,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에 제1 및 제2 촬영부(11, 13)는 각각 차량의 제1 및 제2 측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스마트키(60)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수신된 경우,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S20). 즉,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제1 및 제2 촬영부(11, 13)는 각각 차량의 제1 및 제2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
다음으로,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통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60)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차량의 도어 잠금을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이 아닌 경우(S30), 제어부(50)는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0).
한편, S30 단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키(60)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인 경우, 제어부(50)는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S60).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S40 단계를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50)는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제1 및 제2 촬영부(11, 13)에 의해 각각 촬영된 제1 및 제2 측면 영상과,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및 제2 촬영부(11, 13)에 의해 각각 촬영된 제1 및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한다(S41, 즉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제1 촬영부(11)에 의해 촬영된 제1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제1 촬영부(11)에 의해 촬영된 제1 측면 영상을 비교하고,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제2 촬영부(13)에 의해 촬영된 제2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제2 촬영부(13)에 의해 촬영된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한다.).
S41 단계의 비교 결과,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S43), 제어부(50)는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S60).
S41 단계의 비교 결과,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사람 또는 움직이는 물체 등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43), 제어부(50)는 감지된 위험 요소가 차량에 접근 중인 사용자인지 판단하기 위해,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감지되는 스마트키(60)의 위치로부터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한다(S45).
만약,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차량의 제1 측면인 경우, 제어부(50)는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인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7).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제2 촬영부(13)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제2 촬영부(13)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한다(S5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제1 측면인 경우로서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1), 제어부(50)는 제1 측면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2 측면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53). 즉,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반대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반대측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인이 차량에 침입하는 행위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제1 측면인 경우로서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1), 제어부(50)는 차량의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S60).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이 S40 단계에서 수행되며, 차량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한 후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함으로써,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도어의 잠금 상태를 보다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S10). 즉,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에 제1 및 제2 촬영부(11, 13)는 각각 차량의 제1 및 제2 측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스마트키(60)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수신된 경우, 촬영부(10)는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한다(S20).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S20 단계를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50)는 안테나 모듈(40)에 의해 감지되는 스마트키(60)의 위치로부터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한다(S21). 그리고,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차량의 제1 측면인 경우, 촬영부(10)는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인 제2 측면의 영상을 촬영한다(S23).
다음으로,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통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스마트키(60)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차량의 도어 잠금을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이 아닌 경우(S30), 제어부(50)는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0). 이때, 제어부(50)는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7).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제2 촬영부(13)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 및 도어 잠금 해제 신호기 수신될 때 제2 촬영부(13)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한편, S30 단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키(60)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인 경우, 제어부(50)는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S60).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한다(S5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제1 측면인 경우로서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1), 제어부(50)는 제1 측면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2 측면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53). 즉,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반대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반대측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인이 차량에 침입하는 행위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제1 측면인 경우로서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1), 제어부(50)는 차량의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S60).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이 S20 단계에서 수행되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우선적으로 판단한 후 사용자의 접근 방향의 반대 측면의 영상만을 촬영하여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차량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상호 반대측에 위치하는 차량의 측면을 의미하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제1 측면으로 판단되어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인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접근하는 차량 측면의 반대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을 포함함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접근 방향을 기반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차량의 도어를 결정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접근 방향 또는 외부인이 숨은 방향과 무관하게 외부인이 차량 내부로 침입하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차량의 도어 잠금을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하는 스마트키 동작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촬영부 11: 제1 촬영부
13: 제2 촬영부 20: 릴레이부
21: 제1 릴레이 23: 제2 릴레이
30: 도어락 구동부 31: 제1 도어락 구동부
33: 제2 도어락 구동부 40: 안테나 모듈
50: 제어부 60: 스마트키

Claims (8)

  1.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촬영부가 상기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안테나 모듈을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촬영부가 상기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안테나 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무선 단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제1 측면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촬영부가, 상기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인 상기 차량의 제2 측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제1 측면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 및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측면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측면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통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차량의 도어 잠금을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인 경우, 및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가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5.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
    차량이 시동 OFF된 경우,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상기 안테나 모듈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 각각 상기 차량의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 및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측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각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무선 단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이 상기 차량의 제1 측면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인 상기 차량의 제2 측면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차량이 시동 OFF 됐을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 및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제2 측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측면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측면의 도어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통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 도어 언락 버튼 푸쉬 동작이 차량의 도어 잠금을 무조건적으로 해제하도록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푸쉬 동작인 경우, 및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모든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
KR1020160159459A 2016-11-28 2016-11-28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KR101907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459A KR101907437B1 (ko) 2016-11-28 2016-11-28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459A KR101907437B1 (ko) 2016-11-28 2016-11-28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466A KR20180061466A (ko) 2018-06-08
KR101907437B1 true KR101907437B1 (ko) 2018-10-15

Family

ID=6259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459A KR101907437B1 (ko) 2016-11-28 2016-11-28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812A (ko) * 2019-10-29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2572350A (zh) * 2020-11-12 2021-03-30 南京慢慢开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汽车智能防盗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487A (ja) * 2003-08-06 2005-03-03 Alpine Electronics Inc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及びシステム
KR100825162B1 (ko) 2006-06-30 2008-04-2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최후방 시트 제어 시스템
JP2013159962A (ja) 2012-02-06 2013-08-19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ドア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487A (ja) * 2003-08-06 2005-03-03 Alpine Electronics Inc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及びシステム
KR100825162B1 (ko) 2006-06-30 2008-04-2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최후방 시트 제어 시스템
JP2013159962A (ja) 2012-02-06 2013-08-19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ドア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466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1510B1 (en) User authentication activ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90128329A1 (e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movable electronic device
JP6451622B2 (ja) 車載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JP5173934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20090265048A1 (en) Remote startup device, remote startup system, and remote startup method
JP6351184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車載制御装置
JP5173935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6016791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US10308223B2 (en) In-vehicle device and vehicle security system
JP2006316455A (ja) 遠隔操作装置
JP6515833B2 (ja) 車両ドアロック制御装置
WO2014141700A1 (ja) 車両用顔画像認証装置
CN110027509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车辆防盗监控设备及方法
JP2006077408A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EP1598507A2 (en) Door lock control device
KR101907437B1 (ko)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JP2009255836A (ja) 遠隔始動装置、遠隔始動システム、及び遠隔始動方法
JP2005220635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3252176A (ja)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
JP6277847B2 (ja) 車載装置
JP2004210000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488392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用盗難防止方法
JP2015003652A (ja) 制御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5939401B2 (ja) 制御システム
JP2006107279A (ja) 防犯装置および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