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336B1 -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 Google Patents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336B1
KR101907336B1 KR1020177029336A KR20177029336A KR101907336B1 KR 101907336 B1 KR101907336 B1 KR 101907336B1 KR 1020177029336 A KR1020177029336 A KR 1020177029336A KR 20177029336 A KR20177029336 A KR 20177029336A KR 101907336 B1 KR101907336 B1 KR 10190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heet
environment
face
dimensional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961A (ko
Inventor
큉 롱 동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필름 제조 방법은, 장척 띠형상의 수지 필름으로부터 매엽형의 수지 필름인 매엽 필름을 취득하는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상기 매엽 필름 취득 공정의 후에, 상기 매엽 필름의 단부면을 가공하여 단부면 가공 필름을 얻는 단부면 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상기 단부면 가공 공정 사이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방치 환경을, 적어도 습도를 조정한 분위기 하로 하는 환경 조정 공정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본 발명은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12월 25일에 일본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5-25489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필름 제조 방법으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것은,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매엽형의 광학 필름 칩을 절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광학 필름 칩은,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에 맞춘 사이즈로 절취된 후 액정 패널에 접합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55132호 공보
그런데, 광학 필름 칩은, 절취 직후에 액정 패널에 접합되는 경우는 적고, 액정 패널에 접합될 때까지는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광학 필름 칩은, 상기 방치 환경의 습도의 크기에 따라 신축된다. 그 때문에, 광학 필름 칩을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에 맞춘 사이즈로 절취했다 하더라도, 그 후 액정 패널에 접합할 때에는 광학 필름 칩의 사이즈가 변화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광학 필름 칩을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에 정밀하게 접합하는 것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표시 장치의 프레임이 좁아지고 있어, 광학 필름 칩에 대하여 종래보다 엄격한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게 되었다. 예컨대, 종래의 치수 공차는 ±100∼150 ㎛ 정도였지만, 최근에는 ±30∼50 ㎛ 정도의 치수 공차가 요구되고 있다. 금후, 더욱 요구 정밀도가 엄격해져, 종래의 제법에 의해 얻어진 광학 필름 칩으로는 대응할 수 없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 제조 방법 및 치수 정밀도가 향상된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장척 띠형상의 수지 필름으로부터 매엽형의 수지 필름인 매엽 필름을 취득하는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상기 매엽 필름 취득 공정의 후에, 상기 매엽 필름의 단부면을 가공하여 단부면 가공 필름을 얻는 단부면 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상기 단부면 가공 공정 사이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방치 환경을, 적어도 습도를 조정한 분위기 하로 하는 환경 조정 공정을 더 포함한다.
(2) 상기 (1)의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방치 환경의 습도 및 온도를, 상기 단부면 가공 공정의 후에 상기 단부면 가공 필름이 사용되는 습도 및 온도에 대하여 ±5% 및 ±5℃의 범위로 한다.
(3) 상기 (1) 또는 (2)의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방치 환경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시간을, 상기 매엽 필름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가 수렴에 근접하는 시간 이상으로 한다.
(4) 상기 (3)의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방치 환경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시간을, 상기 매엽 필름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율이 0.003%/h 이하가 되는 시간 이상으로 한다.
(5) 상기 (3) 또는 (4)의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방치 환경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시간을 6시간 이상으로 한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매엽 필름의 주면을 연직 방향을 따르게 하여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한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엽 필름은 직사각형이며,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매엽 필름의 장변측을 따르는 단부면을 노출시켜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한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매엽 필름을 복수매 중첩한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를 방치한다.
(9) 상기 (8)의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의 주면측에 더미(dummy) 필름을 설치하여 상기 적층체를 방치한다.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 가공 공정에서는 상기 매엽 필름의 단부면을 연마한다.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이 광학 필름이다.
(12)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한 필름은, 장방형상을 가지며, 습도 52%, 또한 온도 23℃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유지했을 때, 2개의 장변의 치수 변화율이 모두 0.0002%/h 미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 제조 방법 및 치수 정밀도가 향상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액정 표시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광학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매엽 필름의 방치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매엽 필름의 방치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매엽 필름의 방치 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매엽 필름의 방치 상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방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제1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제2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제1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제2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필름의 제1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필름의 제2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필름의 제1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필름의 제2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필름으로서 광학 필름을 이용한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예컨대,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의 패널형의 광학 표시 부품(광학 표시 패널)에 접합되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표시 디바이스로서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을 액정 표시 패널의 이면측으로부터 입사하고,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변조된 광을 액정 표시 패널의 표면측으로부터 출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 표시 디바이스)
우선, 광학 표시 디바이스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P)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액정 표시 패널(P)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P)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판(P1)과, 제1 기판(P1)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P2)과,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P3)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기판(P1)은,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상을 이루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제2 기판(P2)은, 제1 기판(P1)보다 비교적 소형의 장방형상을 이루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액정층(P3)은,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사이의 주위를 시일재(도시하지 않음)로 밀봉하고, 시일재에 의해 둘러싸인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상을 이루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P)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액정층(P3)의 외주의 내측에 수습되는 영역을 표시 영역(P4)으로 하고, 이 표시 영역(P4)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측의 영역을 액자부(G)로 한다.
액정 표시 패널(P)의 이면(백라이트측)에는, 편광 필름으로서의 제1 광학 필름(F11)과, 이 제1 광학 필름(F11)에 중첩되어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 이용되는 제3 광학 필름(F13)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접합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P)의 표면(표시면측)에는, 편광 필름으로서의 제2 광학 필름(F12)이 접합되어 있다. 이하, 제1, 제2 및 제3 광학 필름(F11, F12, F13)을 광학 필름(F1X)으로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광학 필름)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광학 필름(F1X)을 구성하는 광학 시트(FX)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광학 시트(FX)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광학 필름(F1X)은, 도 3에 나타내는 장척 띠형상의 광학 시트(FX)로부터 소정 길이의 시트편을 절취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 광학 시트(FX)는, 기재 시트(F4)와, 기재 시트(F4)의 한쪽 면(도 3 중의 상면)에 설치된 점착층(F5)과, 점착층(F5)을 통해 기재 시트(F4)의 한쪽 면에 설치된 세퍼레이터 시트(F6)와, 기재 시트(F4)의 다른쪽 면(도 3 중의 하면)에 설치된 표면 보호 시트(F7)를 갖는다.
기재 시트(F4)는, 예컨대 편광 필름의 경우, 편광자(F4a)를 한쌍의 보호 필름(F4b, F4c) 사이에 끼워 넣는 구조를 갖고 있다.
점착층(F5)은, 기재 시트(F4)를 액정 표시 패널(P)에 접착하는 것이다.
세퍼레이터 시트(F6)는 점착층(F5)을 보호하는 것이다. 세퍼레이터 시트(F6)를 광학 필름(F1X)으로부터 박리, 제거함으로써, 점착층(F5)을 노출시킨다. 그 후, 광학 필름(F1X)을 액정 표시 패널(P)에 접합한다. 또한, 광학 필름(F1X)으로부터 세퍼레이터 시트(F6)를 제거한 부분(광학 필름(F1X)이 되는 부분)은 접합 시트(F8)가 된다.
표면 보호 시트(F7)는 기재 시트(F4)의 표면을 보호하는 것이다. 표면 보호 시트(F7)는, 기재 시트(F4)가 액정 표시 패널(P)에 접착된 후에 기재 시트(F4)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기재 시트(F4)에 관해서는, 한쌍의 보호 필름(F4b, F4c) 중의 어느 한쪽을 생략해도 좋다. 예컨대, 점착층(F5)측의 보호 필름(F4b)을 생략하고, 편광자(F4a)의 표면에 점착층(F5)이 직접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표면 보호 시트(F7)측의 보호 필름(F4c)에는,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P)의 최외면을 보호하는 하드코트 처리나, 방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또, 기재 시트(F4)에 관해서는, 전술한 적층 구조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층 구조인 것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광학 필름(F1X)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 시트(F7)를 생략해도 좋다.
(필름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편광 필름의 양면에 표면 보호 필름이 접합된 광학 필름(F10X)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필름 제조 방법은, 광학 필름(F10X)의 제조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장척 띠형상의 편광 필름의 원반 롤(도시하지 않음)을 제조하는 원반 롤 제조 공정과, 장척 띠형상의 편광 필름에 장척 띠형상의 표면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의 원반 롤(R1)을 제조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원반 롤 제조 공정에서는, PVA(폴리비닐 알콜) 등의 편광자의 기재가 되는 필름에 대하여, 염색 처리, 가교 처리 및 연신 처리 등을 한 후, 상기 처리를 실시한 필름의 양면에 TAC(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보호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장척 띠형상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광 필름을 코어재에 권취하는 것에 의해 원반 롤(도시하지 않음)을 얻는다.
접합 공정에서는, 장척 띠형상의 편광 필름의 원반 롤 및 장척 띠형상의 표면 보호 필름의 원반 롤(모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장척 띠형상의 편광 필름 및 장척 띠형상의 표면 보호 필름을 각각 권출하면서, 이들을 닙 롤 등으로 사이에 끼워 넣어 접합하고, 인출하는 것에 의해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광학 필름(F10X)을 코어재에 권취하는 것에 의해 원반 롤(R1)을 얻는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으로는, 예컨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이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필름 제조 방법은,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으로부터 매엽형의 광학 필름인 매엽 필름(11)을 취득하는 매엽 필름 취득 공정(도 5에 나타내는 단계 S1)과, 매엽 필름 취득 공정의 후에, 매엽 필름(11)을 방치하는 방치 환경을, 적어도 습도를 조정한 분위기 하로 하는 환경 조정 공정(도 5에 나타내는 단계 S2)과, 환경 조정 공정의 후에, 매엽 필름(11)의 단부면을 연마(가공)하여 단부면 가공 필름(11A)을 얻는 단부면 가공 공정(도 5에 나타내는 단계 S3)을 더 포함하다.
(매엽 필름 취득 공정)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엽 필름 취득 공정에서는, 도 4 중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으로부터 복수의 직사각형의 매엽 필름(11)을 절취한다. 상기 절단 장치로는, 예컨대 매엽 필름(11)의 장변의 길이에 대응한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커터와, 매엽 필름(11)의 단변의 길이에 대응한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커터가, 평면에서 볼 때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절단 장치에 있어서, 4개의 커터에 의해 직사각형으로 절취되는 영역은, 1개의 매엽 필름(11)의 절취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 절단 장치로서 레이저 커터를 이용해도 좋다.
또, 도 4에서는,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으로부터 장방형상의 매엽 필름(11)을 절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취하는 매엽 필름(11)의 형상은, 여러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매엽 필름(11)의 형상은, 정방형, 사다리꼴,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다각형이어도 좋고,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곡선을 갖는 형상이어도 좋고, 곡선형의 단부변과 직선형의 단부변을 갖는 형상이어도 좋다.
(환경 조정 공정)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환경의 습도 및 온도를, 단부면 가공 공정의 후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사용되는 습도 및 온도(목표치)에 근접한 환경으로 조정한다. 예컨대,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환경의 습도 및 온도를, 단부면 가공 필름(11A)을 광학 필름(F1X)(도 3 참조)으로서 액정 표시 패널(P)(도 2 참조)에 접합할 때의 습도 및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한다. 예컨대, 방치 환경의 습도 및 온도는, 목표치에 대하여 ±5% 및 ±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목표치에 대하여 ±3% 및 ±3℃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습윤(흡습)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하는 「습도」란 상대 습도를 말하며, 실온에서의 포화 수증기압에 대한 실제 공기의 수증기압의 비이다.
예컨대, 환경 조정 공정에서의 방치 환경은, 복수의 매엽 필름(11)을 수용 가능한 수용실(15)의 내부에 있어서 설정된다. 또, 환경 조정 공정에서의 방치 환경은, 매엽 필름 취득 공정에서의 절단 장치의 사용 환경과 동일해도 좋다. 즉, 환경 조정 공정에서의 매엽 필름(11)의 방치는,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동일한 환경에서 행해도 좋다.
수용실(15)은, 수용실(15)의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수용실(15)에는, 도시하지 않은 습도 조정 장치 및 온도 조정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수용실(15)로는, 수용실(15)의 내부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클린룸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린룸은, 매엽 필름(11)이 편광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인 경우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데에 있어서도, 수용실(15)의 환경은, 클린룸의 환경에 근접하게 하는(일치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클린룸의 환경은, 습도 47%∼57%, 또한 온도 18℃∼28℃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매엽 필름(11)의 방치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매엽 필름(11)의 방치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매엽 필름(11)의 방치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매엽 필름(11)의 주면(11a)을 연직 방향(V1)을 따르게 한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매엽 필름(11)의 장변측을 따르는 단부면(11e)을 노출시켜 매엽 필름(11)을 방치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하는 「매엽 필름(11)의 주면(11a)」이란, 매엽 필름(11)에서의 양면 중의 어느 한쪽의 면이다.
도 6에 있어서는, 매엽 필름(11)을 1장씩 기대어 세울 수 있는 필름 리닝 스탠드(20)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리닝 스탠드(20)는, 매엽 필름(11)의 배열 방향으로 긴 쪽의 방향을 갖는 직사각형 판형의 저판부(21)와, 저판부(21)의 일단부에 접속됨과 함께 연직 방향(V1)을 따르는 방향으로 기립하고, 또한 매엽 필름(11)의 배열 방향으로 긴 쪽의 방향을 갖는 장방형 판형의 측벽부(22)와, 저판부(21)의 타단부(측벽부(22)와는 반대측의 단부)의 하면에 접속됨과 함께 매엽 필름(11)의 배열 방향으로 긴 쪽의 방향을 갖는 각기둥형의 바닥 지지부(23)와, 저판부(21) 및 측벽부(22)에 접속됨과 함께 매엽 필름(11)보다 작은 직사각형 프레임을 이루며, 또한 매엽 필름(11)의 배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구획 프레임(24)을 구비한다.
필름 리닝 스탠드(20)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구획 프레임(24) 사이에는, 구획 프레임(24)에 기대어 세워지도록 1장의 매엽 필름(11)이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구획 프레임(24) 사이의 간격은, 매엽 필름(11)의 두께보다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구획 프레임(24)의 개구부(24h)로부터는, 매엽 필름(11)의 주면(11a)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필름 리닝 스탠드(20)에 있어서는, 매엽 필름(11)의 저판부(21)와는 반대측의 장변, 및 매엽 필름(11)의 측벽부(22)와는 반대측의 단변을 따르는 단부면(11e)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매엽 필름(11)을 가급적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충분히 습윤시킬 수 있다.
또,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충분히 습윤시키는 관점에서는, 매엽 필름(11)의 2개의 장변측을 따르는 단부면(11e)을 노출시켜 방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 리닝 스탠드(20)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의 바닥 지지부(23)측의 단부는, 바닥 지지부(23)보다 측방으로 비어져 나와 있다. 또한, 필름 리닝 스탠드(20)는, 바닥 지지부(23)의 측일수록 위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매엽 필름(11)을 필름 리닝 스탠드(20)에 기대어 세우거나, 혹은 필름 리닝 스탠드(20)로부터 꺼내거나 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는, 매엽 필름(11)을 복수 중첩한 적층체(12)를 지지할 수 있는 필름 지지대(30)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지지대(30)는, 직사각형 판형의 베이스(31)와, 베이스(31)의 상면에 접속됨과 함께, 연직 방향(V1)을 따르는 방향으로 기립하고, 또한 적층체(12)의 두께 방향(매엽 필름(11)의 배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각기둥형의 지지 기둥(32)을 구비한다. 지지 기둥(32)은, 적층체(12)를 적층체(12)의 두께 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도록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지지 기둥(32)은, 적층체(12)의 긴 쪽의 방향(매엽 필름(11)의 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 참조하는 도 7 중에서는 2조) 배치되어 있다.
적층체(12)의 주면의 측(한쌍의 지지 기둥(32)에 근접하는 측)에는 더미 필름(13)이 설치되어 있다. 더미 필름(13)은, 제품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필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더미 필름(13)으로서도 매엽 필름(11)을 이용한다. 예컨대, 100장의 매엽 필름(11)을 중첩하여 적층체(12)로 한 경우, 1장째의 매엽 필름(11)과 100장째의 매엽 필름(11)을 더미 필름(13)으로 한다.
필름 지지대(30)에 있어서, 한쌍의 지지 기둥(32)(적층체(12)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 기둥(32)) 사이의 간격은, 적층체(12)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적층체(12)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적층체(12)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매엽 필름(11)의 사이로부터는, 매엽 필름(11)의 주면(11a)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름 지지대(30)에 있어서, 한쌍의 지지 기둥(32)의 사이로부터는, 적층체(12)에서의 매엽 필름(11)의 베이스(31)와는 반대측의 장변 및 매엽 필름(11)의 단변을 따르는 단부면(11e)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매엽 필름(11)을 가급적 노출시켜 방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충분히 습윤시킬 수 있다.
필름 지지대(30)에 있어서, 한쌍의 지지 기둥(32) 사이의 간격은, 충분한 두께의 적층체(12)(충분한 매수의 매엽 필름(11))를 배치할 수 있게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충분한 매수의 매엽 필름(11)을 통합하여 필름 지지대(30)에 지지시키거나, 필름 지지대(30)로부터 꺼내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적층체(12)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의 중첩 매수는, 매엽 필름(11)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매엽 필름(11)의 중첩 매수는, 후속 공정에서의 취급 등을 고려하여, 50장 이상 또한 300장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매엽 필름(11)을 복수매 중첩한 적층체(12)로서 방치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우선, 환경 조정 공정의 후에, 매엽 필름(11)의 단부면 가공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치수 변화 및 컬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방치 환경에 매엽 필름(11)을 방치하는 시간에 관해 설명한다.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환경에 매엽 필름(11)을 방치하는 시간(이하 「방치 시간」이라고 함)을, 매엽 필름(11)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가 수렴에 근접하는 시간 이상으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매엽 필름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가 수렴에 근접하는 시간」이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시간이다.
예컨대,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시간을, 매엽 필름(11)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율이 0.003%/h 이하가 되는 시간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시간을, 매엽 필름(11)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율이 0.002%/h 이하가 되는 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시간을, 매엽 필름(11)의 장변 및 단변의 모든 변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율이 상기 값 이하가 되는 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시간을 6 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치수 변화율은, 매엽 필름(11)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량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율(%/h)은, 이하의 식(I)에 의해 산출한다.
W=(X/Y)×100(%)÷Z(h) ㆍㆍㆍ (I)
여기서, 상기 식(I) 중에 있어서, 「W」는 치수 변화율(%/h), 「X」는 필름의 장변 또는 단변의 길이를 Z시간을 두고 2회 측정했을 때의 1회째의 길이와 2회째의 길이의 차인 치수 변화량(mm), 「Y」는 치수 변화전의 장변 또는 단변의 길이(mm), 「Z」(h)는 1회째와 2회째의 측정 사이의 시간으로 한다. 필름의 길이를 Z시간을 두고 2회 측정한다는 것은, 예컨대 필름을 상기 방치하기 전에 1회째, 방치한 후에 2회째로 측정할 수 있다.
(단부면 가공 공정)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면 가공 공정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연마 장치를 이용하여, 매엽 필름(11)의 4변을 따르는 단부면(11e)(도 6 및 도 7 참조)을 연마하여 단부면 가공 필름(11A)을 얻는다. 예컨대, 연마 장치로는, 메갈로테크니카 주식회사 제조의 중소형 연마기(모델 PLBP3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연마량은, 예컨대 각 변에 있어서 0.3∼2 mm 정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으로부터 매엽형의 매엽 필름(11)을 취득하는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매엽 필름 취득 공정의 후에, 매엽 필름(11)의 단부면(11e)을 연마하여 단부면 가공 필름(11A)을 얻는 단부면 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으로서,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단부면 가공 공정 사이에, 매엽 필름(11)을 방치하는 방치 환경을, 적어도 습도를 조정한 분위기 하로 하는 환경 조정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단부면 가공 공정 사이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방치하는 방치 환경을 적어도 습도를 조정한 분위기 하로 하는 환경 조정 공정을 더 포함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환경 조정 공정을 거치지 않고 단부면 가공 공정에 이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부면 가공 공정전의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미리 매엽 필름(11)을 습윤에 의해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시에, 이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습윤에 의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면 가공 필름(11A)을 액정 표시 패널(P)의 표시 영역(P4)에 맞춘 사이즈로 잘라낸 경우에 있어서, 그 후, 액정 표시 패널(P)에 접합할 때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이즈가 과도하게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환경의 습도 및 온도를, 단부면 가공 공정의 후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사용되는 습도 및 온도에 근접하게 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 환경에 맞춰, 미리 매엽 필름(11)을 습윤에 의해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시에 있어서,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습윤에 의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시간을, 상기와 같이 매엽 필름(11)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가 수렴에 근접하는 시간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미리 매엽 필름(11)을 습윤에 의해 충분히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시에, 이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습윤에 의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시간을, 매엽 필름(11)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율이 0.003%/h 이하가 되는 시간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미리 매엽 필름(11)을 더 이상 치수 변화하지 않을 정도까지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시에, 이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습윤에 의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방치 시간을 6시간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의 치수 변화에 최대한 기여할 수 있는 시간으로, 매엽 필름(11)을 미리 습윤에 의해 충분히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시에, 이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습윤에 의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시간 관리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 정밀도가 한층 더 향상됨과 함께, 시간 관리에 의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매엽 필름(11)의 주면(11a)을 연직 방향(V1)을 따르게 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매엽 필름(11)의 주면(11a)을 수평 방향을 따르게 하는 경우(예컨대, 매엽 필름(11)을 그대로 평탄한 배치대에 놓는 경우)와 비교하여, 매엽 필름(11)에 자신의 중량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매엽 필름(11)을 가급적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미리 매엽 필름(11)을 습윤에 의해 충분히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시에, 이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습윤에 의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매엽 필름(11)의 장변측을 따르는 단부면(11e)을 노출시킴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의 단변측을 따르는 단부면(11e)을 노출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매엽 필름(11)을 긴 단부면(11e)에서 가급적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미리 매엽 필름(11)을 습윤에 의해 충분히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시에, 이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습윤에 의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매엽 필름(11)을 복수매 중첩한 적층체(12)로 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적층체(12) 단위로 방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엽 필름(11)을 1장씩 방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성이 향상됨과 함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적층체(12)의 주면측에 더미 필름(13)을 설치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12)의 두께 방향에서 더미 필름(13)보다 내측의 복수의 매엽 필름(11)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매엽 필름(11)을 습윤에 의해 신장시킬 때에 외란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급적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부면 가공 공정에서는, 매엽 필름(11)의 단부면(11e)을 연마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단부면 가공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의 단부면(11e)을 절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매엽 필름(11)의 단부면(11e)을 한층 더 매끄럽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이즈를 제품 사이즈에 적합하게 하기 쉬워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의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매엽 필름의 방치 상태의 변형예)
도 8은, 환경 조정 공정에서의 매엽 필름(11)의 방치 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12)가, 베이스(31)와 지지 기둥(32)을 구비한 필름 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예(도 7 참조)를 들었다. 이에 비해, 본 변형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12)가, 단면이 L자형인 필름 배치대(40)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배치대(40)는, 직사각형 판형의 제1 지지판(41)과, 제1 지지판(41)의 일단부에 접속됨과 함께 연직 방향(V1)을 따르는 방향으로 기립하고, 또한 적층체(12)의 두께 방향으로 긴 쪽의 방향을 갖는 장방형상 판형의 제2 지지판(42)을 구비한다.
필름 배치대(40)에 있어서, 제1 지지판(41) 및 제2 지지판(42)의 적층체(12)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길이는, 적층체(12)의 두께보다 충분히 길게 구성되어 있다. 적층체(12)는, 한쪽의 단변이 제2 지지판(42)을 따르도록, 제2 지지판(42)에 기대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2 지지판(42)의 두께는, 적층체(12)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구성되어 있다. 필름 배치대(40)에 있어서는, 적층체(12)에서의 매엽 필름(11)의 제1 지지판(41)과는 반대측의 장변, 및 매엽 필름(11)의 제2 지지판(42)과는 반대측의 단변을 따르는 단부면(11e)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매엽 필름(11)을 가급적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충분히 습윤시킬 수 있다.
도 9는, 환경 조정 공정에서의 매엽 필름(11)의 방치 상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적층체(12)가, 한쪽의 단변이 제2 지지판(42)을 따르도록, 제2 지지판(42)에 기대도록 지지되어 있는 예(도 8 참조)를 들었다. 이에 비해, 본 변형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12)는, 한쪽의 장변의 일부(적층체(12)의 하부)가 제2 지지판(42)을 따르도록, 제2 지지판(42)에 기대도록 지지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적층체(12)는, 긴 쪽의 방향이 연직 방향(V1)을 따르도록 기립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적층체(12)가, 한쪽의 장변의 일부가 제2 지지판(42)을 따르도록 제2 지지판(42)에 기대어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적층체(12)가, 한쪽의 단변이 제2 지지판(42)을 따르도록 제2 지지판(42)에 기대어 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매엽 필름(11)을 긴 단부면(11e)에서 가급적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미리 매엽 필름(11)을 습윤에 의해 충분히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의 사용시에 있어서, 단부면 가공 필름(11A)이 습윤에 의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꼭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매엽 필름(11)의 형상이 장방형상 이외인 경우(예컨대, 사다리꼴, 육각형, 팔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에는,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의 단부면을 가급적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매엽 필름(11)의 각 단부변 중 가장 긴 단부변을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습윤에 의해 충분히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매엽 필름(11)의 형상이 대칭성을 갖는 형상(예컨대, 정방형, 사다리꼴, 정육각형, 정팔각형 또는 원형 등)인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매엽 필름(11)의 치수 변화를 단부면으로부터 중심부에 걸쳐서 균일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치수 변화에 의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매엽 필름(11)의 컬 변화 및 단부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단부면 가공 필름(11A)은,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미리 충분히 치수 변화시킨 후에 단부면 가공이 행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단부면 가공 필름(11A)을 환경 조정 공정과 동일한 환경(예컨대 동일한 습도 및 동일한 온도)에서 방치하더라도, 치수 변화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작용은, 수지 필름으로서 광학 필름(특히 편광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다.
또한, 광학 필름을 표시 장치에 접합할 때에는, 가장 긴 단부변의 치수 변화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예컨대, 습도 47%∼57%, 또한 온도 18℃∼28℃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유지했을 때, 가장 긴 단부변의 치수 변화율은, 바람직하게는 0.0002%/h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h 이하이다. 통상, 수지 필름의 치수 변화율은 0.00001%/h 이상이다.
광학 필름이 장방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습도 52%, 또한 온도 23℃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유지했을 때, 2개의 장변의 치수 변화율이 모두 0.0002%/h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치수 정밀도가 보다 향상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습윤시키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환경 조정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11)을 건조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부면 가공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의 단부면을 연마하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단부면 연마 공정에 있어서, 매엽 필름의 단부면을 레이저 커트 등으로 절단함으로써 가공해도 좋다. 이에 따라, 매엽 필름을 복수 중첩한 적층체로 한 경우라 하더라도, 단부면 연마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의 단부면을 레이저 커트로 통합하여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필름으로서 광학 필름을 이용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필름은, 적어도 습도에 의한 신장, 수축 등의 치수 변화가 생길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형태예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전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에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자는, 장방형상의 필름을 이용하여 방치 환경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단변보다 장변을 노출시키는 편이, 필름을 보다 길게 신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하의 평가에 의해 확인했다.
평가 대상으로서의 필름은, 장방형상의 광학 필름(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으로부터 절취한 매엽 필름(11))을 이용했다. 필름의 장변의 길이는 110 mm로 했다. 필름의 단변의 길이 60 mm로 했다. 필름의 두께는 200 ㎛로 했다.
도 10은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의 각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h], 종축은 치수 변화량[㎛]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방치 환경의 온도는 23℃로 했다.
방치 환경의 습도는 45%, 55%, 65%의 3개의 조건으로 했다. 도 10 및 도 11의 그래프 중에 있어서, ◇ 표시는 습도 45%, □ 표시는 습도 55%, △ 표시는 습도65%를 나타낸다.
필름의 수분율(초기 수분율)은 0.284%, 0.476%, 0.594%의 3개의 조건으로 했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실선은 수분율 0.284%의 그래프, 일점쇄선은 수분율 0.476%의 그래프, 파선은 수분율 0.594%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필름의 수분율은 건조 중량법으로 측정했다. 건조 중량법에 의한 측정에 사용한 샘플은, 한 변의 길이가 100 mm인 정방형으로 했다. 이 때의 건조 조건은, 온도 105℃, 건조 시간 2 h로 했다. 여기서, 수분율을 「α」, 건조전의 샘플 중량을 「M1」, 건조후의 샘플 중량을 「M2」로 하면, 이하의 식(1)의 관계가 성립한다.
α=(M1-M2)/M1 ㆍㆍㆍ (1)
도 10 및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변의 치수 변화량은, 각 수분율, 각 습도의 조건 모두에 있어서, 단변의 치수 변화량보다 커지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장변의 치수 변화량은, 각 수분율, 각 습도의 조건 모두에 있어서, 단변의 치수 변화량에 대하여 2배 정도가 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에 의해, 장방형상의 필름을 이용하여 방치 환경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단변보다 장변을 노출시키는 편이, 필름을 보다 길게 신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자는, 장방형상의 필름을 이용하여 방치 환경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을 노출시키지 않는 것보다 노출시키는 편이, 필름을 보다 길게 신장시킬 수 있는 것」, 및 「각 변의 치수 변화는, 시간이 6 h 경과한 후에는 수렴에 근접해 가는 것」에 관해, 이하의 평가에 의해 확인했다.
평가 대상으로서의 필름은, 장방형상의 광학 필름(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으로부터 절취한 매엽 필름(11))을 이용했다. 필름의 장변의 길이는 110 mm로 했다. 필름의 단변의 길이는 60 m로 했다. 필름의 두께는 200 ㎛로 했다.
필름의 방치 상태는, 1장씩 기대어 세운 상태(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필름 리닝 스탠드(20)에 기대어 세운 상태), 적층체로 한 상태(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필름 지지대(30)에 지지시킨 상태)의 2개의 상태로 했다. 필름을 적층체로 한 상태에서는, 적층체 중, 이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부 및 단부의 2개의 위치에 있는 필름을 이용했다. 또,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앙부는, 도 7에 나타내는 T1의 부분(예컨대, 100장의 필름을 중첩하여 적층체로 한 경우에는 50장째)에 해당한다.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단부는, 도 7에 나타내는 T2의 부분(예컨대, 100장의 필름을 중첩하여 적층체로 한 경우에는 25장째)에 해당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방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중에 있어서, 부호(J1)은 제1벽(W1)으로 덮여 있는 제1 장변, 부호(J2)는 제1 장변(W1)의 반대측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제2 장변, 부호(K1)은 제2벽(W2)으로 덮여 있는 제1 단변, 부호(K2)는 제1 단변(K1)의 반대측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제2 단변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제1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제2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제1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서의 필름의 제2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도 16의 각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h], 종축은 치수 변화량[㎛]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방치 환경의 온도는 23℃, 습도는 55%로 했다.
필름의 방치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장씩 기대어 세운 상태, 적층체로 한 상태로 했다. 필름을 적층체로 한 상태에서는, 적층체 중, 이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부 및 단부의 2개의 위치에 있는 필름을 이용했다.
도 13∼도 16의 각 그래프 중에 있어서, ◇ 표시는 1장씩 기대어 세운 상태, □ 표시는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부, △ 표시는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단부를 나타낸다.
필름의 수분율(초기 수분율)은 0.289%, 0.361%의 2개의 조건으로 했다.
또한, 도 13∼도 16의 각 그래프 중에 있어서, 실선은 수분율 0.289%의 그래프, 일점쇄선은 수분율 0.361%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또, 수분율은 상기 식(1)을 이용하여 산출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장변의 치수 변화량은, 각 방치 상태, 각 수분율 모두에 있어서, 제1 장변의 치수 변화량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변의 치수 변화량은, 장변의 치수 변화량의 결과 정도의 차는 없지만, 각 방치 상태, 각 수분율 모두에 있어서, 제1 단변의 치수 변화량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도 13∼도 16의 각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변의 치수 변화량은, 시간이 6 h 경과할 때까지 가장 커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에 의해, 장방형상의 필름을 이용하여 방치 환경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을 노출시키지 않는 것보다 노출시키는 편이, 필름을 보다 길게 신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필름의 각 변의 치수 변화는, 시간이 6 h 경과한 후에는 수렴에 근접해 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자는, 장방형상의 필름을 이용하여 방치 환경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하의 평가에 의해 확인했다.
평가 대상으로서의 필름은, 장방형상의 광학 필름(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척 띠형상의 광학 필름(F10X)으로부터 절취한 매엽 필름(11))을 이용했다. 필름의 장변의 길이는 110 mm로 했다. 필름의 단변의 길이는 60 mm로 했다. 필름의 두께는 200 ㎛로 했다.
필름의 방치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장씩 기대어 세운 상태, 적층체로 한 상태로 했다. 필름을 적층체로 한 상태에서는, 적층체 중, 이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부 및 단부의 2개의 위치에 있는 필름을 이용했다.
또, 비교예의 필름 제조 방법은, 환경 조정 공정을 갖지 않는 것으로 했다. 비교예에 있어서는, 환경 조정 공정을 거치지 않고 단부면 가공 공정에 이른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필름 제조 방법은, 환경 조정 공정을 갖는 것으로 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단부면 가공 공정 사이에 환경 조정 공정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치 환경의 온도는 23℃, 습도는 52%, 방치 시간은 48 h로 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단부면 가공 공정에서는, 연마 장치로서, 전술한 메칼로테크니카 주식회사 제조의 중소형 연마기(모델 PLBP300)를 이용했다. 연마 조건은, 평행 아버, 회전수 4000 rpm, 피딩 속도 500 mm/min, 클램프 압력 0.06 MPa, 커트량(한쪽 0.5 mm)으로 했다.
도 17은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필름의 제1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필름의 제2 장변의 치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필름의 제1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필름의 제2 단변의 치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도 20의 각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일], 종축은 치수 변화량[㎛]을 나타낸다. 또한, 도 17∼도 20의 각 그래프 중에 있어서, 실선은 실시예의 그래프, 파선은 비교예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또, 도 17∼도 20은, 단부면 가공 공정후에 다시 방치 환경 하에서 필름을 방치했을 때의 그래프이다. 즉, 도 17∼도 20은, 단부면 가공 공정을 거쳐서 얻어진 필름에 관해, 방치 환경 하(온도 23℃, 습도 52%)에서 유지하여, 그 치수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필름의 방치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장씩 기대어 세운 상태 및 적층체로 한 상태로 했다. 적층체로 한 상태에서는, 적층체 중, 이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부 및 단부의 2개의 위치에 있는 필름을 이용했다.
또한, 도 17∼도 20의 각 그래프 중에 있어서, ◇ 표시는 1장씩 기대어 세운 상태, □ 표시는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부, △ 표시는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단부를 나타낸다.
도 17∼도 20의 각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치수 변화량은, 각 변, 각 방치 상태 모두에 있어서, 비교예의 치수 변화량보다 작아지는 결과가 얻어졌다.
특히, 치수 변화가 생기기 쉬운 장변측에 있어서, 실시예의 치수 변화량은, 비교예의 치수 변화량보다 현저히 작아지는 결과가 얻어졌다.
여기서, 비교예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단부(도 17에 나타내는 △ 표시)의 위치에 있는 필름의 제1 장변에 있어서 치수 변화량이 최대가 되고, 시간 7 일에서 30 ㎛ 정도가 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부(도 17에 나타내는 □ 표시)의 위치에 있는 필름의 제1 장변에 있어서 치수 변화량이 최대가 되고, 시간 7 일에서 10 ㎛ 정도가 되는 결과가 얻어졌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치수 변화량의 결과로부터 구한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장변의 치수 변화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 장변의 치수 변화율(%/h)은, 이하의 식(2)에 의해 산출했다.
D=(E/H)×100(%)÷24(h) ㆍㆍㆍ (2)
여기서, 상기 식(2) 중에 있어서, 「D」는 장변의 치수 변화율(%/h), 「E」는 필름을 24시간 유지했을 때의 장변의 치수 변화량(mm), 「H」는 치수 변화전의 장변의 길이(mm)로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H=110 mm이다. 또한, 하기 표 1에 있어서, 4일 후 또는 7일 후의 장변의 치수 변화율은, 상기 식(2) 중에 있어서, 「E」를 필름을 4일간(96시간) 또는 7일간(168시간) 유지했을 때의 장변의 치수 변화량(mm)으로 하고, 24(h)를 96(h) 또는 168(h)로 하여 산출한 값이다.
Figure 112017100384783-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필름의 방치 상태를 1장씩 기대어 세운 상태로 한 경우에, 제1 장변에 있어서 치수 변화율이 최대가 되고, 0.0005%/h가 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비해, 실시예에서는, 필름의 방치 상태를, 1장씩 기대어 세운 상태, 적층체로 한 상태(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부 및 단부의 2개의 위치에 있는 필름을 이용한 경우)로 한 경우 모두에 있어서, 필름의 장변의 치수 변화율은 모두 0.0001%/h 이하가 되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에 의해, 장방형상의 필름을 이용하여 방치 환경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 : 매엽 필름
11A : 단부면 가공 필름
11a : 매엽 필름의 주면
11e : 매엽 필름의 단부면
12 : 적층체
13 : 더미 필름
F10X : 광학 필름(수지 필름)

Claims (12)

  1. 장척 띠형상의 수지 필름으로부터 매엽형의 수지 필름인 매엽 필름을 취득하는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상기 매엽 필름 취득 공정의 후에, 상기 매엽 필름의 단부면을 가공하여 단부면 가공 필름을 얻는 단부면 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매엽 필름 취득 공정과 상기 단부면 가공 공정 사이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방치 환경을, 적어도 습도를 조정한 분위기 하로 하는 환경 조정 공정을 더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방치 환경의 습도 및 온도를, 상기 단부면 가공 공정의 후에 상기 단부면 가공 필름이 사용되는 습도 및 온도에 대하여 ±5% 및 ±5℃의 범위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방치 환경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시간을, 상기 매엽 필름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가 수렴에 근접하는 시간 이상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방치 환경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시간을, 상기 매엽 필름의 단위시간당 치수 변화율이 0.003%/h 이하가 되는 시간 이상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방치 환경에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시간을 6시간 이상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매엽 필름의 주면을 연직 방향을 따르게 하여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필름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엽 필름은 직사각형이며,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매엽 필름의 장변측을 따르는 단부면을 노출시켜 상기 매엽 필름을 방치하는 필름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매엽 필름을 복수매 중첩한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를 방치하는 필름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의 주면측에 더미 필름을 설치하여 상기 적층체를 방치하는 필름 제조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 가공 공정에서는, 상기 매엽 필름의 단부면을 연마하는 필름 제조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이 광학 필름인 필름 제조 방법.
  12. 삭제
KR1020177029336A 2015-12-25 2016-12-22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KR101907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4899 2015-12-25
JPJP-P-2015-254899 2015-12-25
PCT/JP2016/088421 WO2017111048A1 (ja) 2015-12-25 2016-12-22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961A KR20170118961A (ko) 2017-10-25
KR101907336B1 true KR101907336B1 (ko) 2018-10-11

Family

ID=5909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336A KR101907336B1 (ko) 2015-12-25 2016-12-22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42081B2 (ko)
KR (1) KR101907336B1 (ko)
CN (1) CN108474890B (ko)
WO (1) WO2017111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5083B2 (ja) * 2017-12-25 2022-11-1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の梱包物の製造方法
JP2022062897A (ja) * 2020-10-09 2022-04-2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936A (ja) 2005-04-28 2006-11-09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053349A (ja) * 2010-09-02 2012-03-15 Nitto Denko Corp 連続ロール、並びに、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JP2012198432A (ja) 2011-03-22 2012-10-1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215550A (ja) 2014-05-13 2015-1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矯正光学フィルム、補助シート付矯正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矯正方法及び矯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935A (ja) * 2004-01-15 2005-08-25 Nitto Denko Corp 積層シートの切削加工方法及び切削加工装置、積層シート、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
US20050158136A1 (en) * 2004-01-15 2005-07-21 Nitto Denko Corporation Cutting method and cutting apparatus for layered sheet, layered sheet, optical element and image display
JP2010228353A (ja) * 2009-03-27 2010-10-14 Fujifilm Corp 保護シート付き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2013200376A (ja) * 2012-03-23 2013-10-03 Sumitomo Chemical Co Ltd 端面加工偏光板の製造方法
JP6205212B2 (ja) * 2013-08-30 2017-09-27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936A (ja) 2005-04-28 2006-11-09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053349A (ja) * 2010-09-02 2012-03-15 Nitto Denko Corp 連続ロール、並びに、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JP2012198432A (ja) 2011-03-22 2012-10-1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215550A (ja) 2014-05-13 2015-1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矯正光学フィルム、補助シート付矯正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矯正方法及び矯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048A1 (ja) 2017-06-29
CN108474890A (zh) 2018-08-31
JP6342081B2 (ja) 2018-06-13
JPWO2017111048A1 (ja) 2017-12-28
KR20170118961A (ko) 2017-10-25
CN108474890B (zh)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17572B (zh) 带有保护膜的偏振板及包含它的层叠体
US8808821B2 (en) Material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terial roll
KR101743884B1 (ko)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02560B1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20429B1 (ko)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필름 적층체의 제조 설비
KR101907336B1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KR20120058887A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2969B1 (ko)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50017663A (ko) 광학 부재의 검사 방법, 광학 제품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부재의 검사 장치
CN114764160A (zh) 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CN109196393A (zh) 层叠膜、带标记的层叠膜的制造方法、和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09212649A (zh) 带有保护膜的偏振板
KR20170129613A (ko) 광학 적층체, 그리고 그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광학 필름편의 제조 방법
TWI666474B (zh) 附保護膜之光學膜的製造方法
WO2012029716A1 (ja) 連続ロール、並びに、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US85412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322090B2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TWI666475B (zh) 偏光板片狀體的製造方法
KR100984660B1 (ko) 적층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TWI696005B (zh) 捲繞結構及其形成方法
JP7309843B2 (ja) 光学フィルム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シートの製造方法
TWI820120B (zh) 玻璃薄膜-樹脂複合體
JP4399523B2 (ja) 積層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70077163A (ko)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JP7203486B2 (ja) 光学フィルム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