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785B1 -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785B1
KR101906785B1 KR1020180004591A KR20180004591A KR101906785B1 KR 101906785 B1 KR101906785 B1 KR 101906785B1 KR 1020180004591 A KR1020180004591 A KR 1020180004591A KR 20180004591 A KR20180004591 A KR 20180004591A KR 101906785 B1 KR101906785 B1 KR 101906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seating
informa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102018000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학 차량 내에 승차하는 어린이를 실시간으로 운전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어린이가 하차시 차량 내에 잔류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한 통학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내의 카시트에 각각 구비되어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여부감지센서; 상기 착석여부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운전석에 구비되는 제1단말기; 및 상기 제1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착석 정보 감지시 차량 시동이 꺼지면 동작하는 경고표시기;를 포함하는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착석여부감지센서를 통해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1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제1단말기를 통해 착석여부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확인하는 단계; 및 착석정보가 감지된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꺼졌을 경우 경고표시기에서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는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A method of checking access and exit of a school car for children}
본 발명은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학 차량 내에 승차하는 어린이를 실시간으로 운전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어린이가 하차시 차량 내에 잔류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한 통학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아나 어린이를 수송하는 유치원 또는 학원 차량 등에서 차량 내에 남겨진 유아나 어린이가 질식사하는 사고가 심심치않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운전자가 여름철에 부주의로 차량 내부를 확인하지 않고 유아나 어린이를 남겨둔 채 차량을 떠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차량에 잔류 승객이 존재함을 제3자로 알려 위급 상황을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8053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통학 차량에 승차하여 카시트에 착석하는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착석 정보가 감지된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꺼지는 경우 경고를 발생함은 물론 차량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운전자 및 관리자에게 알려주므로 운전자 및 관리자의 부주의에 의해 차량 내에 어린이가 잔류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내의 카시트에 각각 구비되어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여부감지센서; 상기 착석여부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운전석에 구비되는 제1단말기; 및 상기 제1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착석 정보 감지시 차량 시동이 꺼지면 동작하는 경고표시기;를 포함하는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착석여부감지센서 및 경고표시기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단말기는 착석 정보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경고표시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경고표시기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착석여부감지센서를 통해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1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제1단말기를 통해 착석여부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확인하는 단계; 및 착석정보가 감지된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꺼졌을 경우 경고표시기에서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는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2단말기를 통해 제1단말기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받아 확인 및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학 차량에 승차하여 카시트에 착석하는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착석 정보가 감지된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꺼지는 경우 경고를 발생함은 물론 차량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운전자 및 관리자에게 알려주므로 운전자 및 관리자의 부주의에 의해 차량 내에 어린이가 잔류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에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착석여부감지센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1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경고표시기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착석여부감지센서와 제1단말기 및 경고표시기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착석여부감지센서로부터 착석 유무 상태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착석여부감지센서로부터 착석 유무 상태 신호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차량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제1단말기로부터 착석 유무 상태 신호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제1단말기로부터 차량 내에 어린이가 감지된 신호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에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착석여부감지센서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1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경고표시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착석여부감지센서와 제1단말기 및 경고표시기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착석여부감지센서로부터 착석 유무 상태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착석여부감지센서로부터 착석 유무 상태 신호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차량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제1단말기로부터 착석 유무 상태 신호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제1단말기로부터 차량 내에 어린이가 감지된 신호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삭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시스템은 크게 착석여부감지센서(100), 제1단말기(200), 경고표시기(300) 및 제2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석여부감지센서(1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카시트에 각각 구비되어 각 카시트에 착석하는 어린이를 감지하고,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제1단말기(200)로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착석여부감지센서(100)는 제1전원부(110)가 구비된다.
제1전원부(110)는 차량 전원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건전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착석여부감지센서(100)가 카시트 내에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별도의 매트에 설치되는 경우 배터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시트에 착석하는 어린이를 감지하는 센서부(120)부가 구비된다.
센서부(120)는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린이가 착석하는 카시트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가 카시트에 착석하면 센서부(120)는 무게압력 및 체온을 측정하여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고, 카시트가 공석인 경우에는 어린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하차함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서는 센서부(120)를 카시트 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카시트에 깔아서 사용하는 별도의 매트(도면에 미도시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 외에도 어린이의 존재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의 센서는 모두 사용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착석 여부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제1송신부(140)로 출력하며, 출력된 신호를 제1수신부(2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130)가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제1제어부(130)에서 출력된 착석 여부 감지 신호를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140)가 구비된다.
제1송신부(140)는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으로 모두 사용 가능하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있어 무선통신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무선통신수단으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또는 아이피망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으며,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말기(20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착석여부감지센서(100)와 연결되어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운전석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2전원부(210)가 구비된다.
제2전원부(210)는 차량 전원에 시거잭이나 USB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함은 물론 보조 배터리를 구비시켜 차량 운행시 충전되었다가 차량 운행을 종료시 보조 배터리로 전환되어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착석여부감지센서(100)의 제1송신부(140)로부터 송신되는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제1수신부(220)가 구비된다.
제1수신부(220)는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으로 모두 사용 가능하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있어 무선통신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무선통신수단으로는 전술한 제1송신부(140)의 무선통신수단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제1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제2송신부(240) 및 상태표시부(25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출력된 신호를 제2송신부(24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부(250)에 착석 여부 상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230)가 구비된다.
제2제어부(230)는 착석 정보가 감지된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꺼지면 후술되는 경고표시기(30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경고표시기(300)를 동작 시킨다.
또한, 전술한 제2제어부(230)로부터 출력된 착석 상태 신호를 경고표시기(300) 및 후술되는 제2단말기(400)로 전송하는 제2송신부(240)가 구비된다.
제2송신부(240)는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 모두 사용 가능하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있어 무선통신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무선통신수단으로는 전술한 제1송신부(140)의 무선통신수단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제2제어부(23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착석 여부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상태표시부(250)가 구비된다.
상태표시부(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시트에 해당하는 번호가 적혀진 번호좌판(251)이 복수 개 구비되고, 각 번호좌판 내에는 불빛을 발광하는 LED(252)가 각각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어린이가 2번, 4번, 7번, 8번, 9번, 10번의 카시트에 각각 착석하게 되면 도 7b와 같이 2번, 4번, 7번, 8번, 9번, 10번의 번호좌판(251)에 구비된 LED(252)가 점등되는 것이다.
따라서, 카시트에 어린이가 착석하게 되면 그 카시트에 해당하는 번호가 기재된 번호좌판(251)의 LED(252)를 점등시키므로 운전자가 승차한 어린이가 어느 자리에 착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LED(252)가 발광하는 번호좌판(251)을 카운트하여 승차인원을 확인할 수 있다.
경고표시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 정보 감지기 시동이 꺼지면 동작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경고표시기(300)는 제3전원부(310)가 구비된다.
제3전원부(110)는 차량 전원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건전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부(320)가 구비된다.
제2수신부(320)는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으로 모두 사용 가능하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있어 무선통신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무선통신수단으로는 전술한 제1송신부(140)의 무선통신수단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제2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경고발생부(340)로 출력 제어하는 제3제어부(330)가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제3제어부(33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발생부(340)가 구비된다.
경고발생부(340)는 차량 내/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잠들어 잔류한 어린이를 깨우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에는 운전자 및 주의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붉은빛을 발하는 경광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단말기(400)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및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가 항상 소지하고, 전술한 제1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착석여부감지센서(100) 및 경고표시기(300)의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함은 물론 경고표시기(3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제4전원부(410)가 구비된다.
제4전원부(410)는 내장배터리를 구비시켜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건전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단말기(200)의 제2송신부(240)에서 송신되는 차량 내의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제3수신부(420)가 구비된다.
제3수신부(420)는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으로 모두 사용 가능하나, 설치 및 유지관리에 있어 무선통신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무선통신수단으로는 전술한 제1송신부(140)의 무선통신수단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제3수신부(420)로부터 수신된 착석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알람표시부(440) 및 제3송신부(450)로 출력 제어하는 제4제어부(430)가 구비된다.
또한, 제4제어부(430)는 착석 정보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경고표시기(3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경고표시기(300)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동작시킨다. 이때, 동작 제어 신호는 제1단말기(200)를 통해 경고표시기(300)로 전송하거나 경고표시기(300)로 직접 전송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4제어부(43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착석 여부 상태를 운전자 및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알람표시부(440)가 구비된다.
알람표시부(440)는 착석 여부 상태를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441)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시피커부(442)와,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443) 및 LED가 점등하는 발광부(4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되거나 모두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단말기(300)는 앱(APP)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테블릿PC)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은 먼저 착석여부감지센서(100)를 통해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제1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00)
S100 단계에서 착석여부감지센서(100)는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카시트에 착석하는 어린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착석 여부 정보를 제1제어부(1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제어부(130)는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은 카시트의 수만큼 탑승 인원수로 카운트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신호를 제1송신부(140)로 출력 제어하므로 제1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센서부(120)는 카시트에 어린이가 착석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린이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른 비감지 신호를 제1제어부(130)로 송신한다. 따라서 제1제어부(130)는 비감지 신호를 받은 카시트의 수만큼 하차 인원수로 카운트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1단말기(200)를 통해 착석여부감지센서(100)로부터 송신된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및 확인한다.(S200)
S200 단계에서 제1단말기(200)는 제1수신부(220)를 통해 제1송신부(140)로부터 감지 및 비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 및 비감지 신호를 제2제어부(2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230)는 감지 및 비감지 신호를 산출하여 제2송신부(240)로 산출된 신호를 출력 제어하므로 제2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또한, 제2제어부(230)는 감지 신호를 산출하여 상태표시부(250)로 산출된 신호를 출력 제어하므로 상태표시부(250)의 번호좌판(251) 내에 구비된 LED(252)를 점등시켜 운전자가 승차인원을 카운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비감지 신호를 산출하여 상태표시부(250)로 산출된 신호를 출력 제어하므로 점등되어있던 LED(252)를 소등시켜 운전자가 용이하게 하차인원을 카운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230)는 착석여부감지센서(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꺼지면 동작 제어 신호를 제2송신부(240)로 출력 제어하여 경고표시기(300)로 송신함은 물론 제2단말기(400)로 차량 내의 정보를 송신한다.
그런 다음, 착석정보가 감지된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꺼졌을 경우 경고표시기에서 경고를 발생한다.(S300)
S300 단계에서 경고표시기(300)는 제2수신부(320)를 통해 제2송신부(240)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제어 신호를 제3제어부(3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3제어부(330)는 동작 제어 신호를 산출하여 경고발생부(340)로 출력 제어하므로 경고를 발생한다. 따라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켜 차량 내에 잠들어 잔류한 어린이를 깨우거나 경광등을 동작시켜 운전자 및 주의사람들에게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2단말기(400)를 통해 제1단말기(20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받아 확인 및 제어한다.(S400)
S400 단계에서 제2단말기(400)는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제3수신부(420)를 통해 제2송신부(240)로부터 실시간으로 착석 여부 감지신호 및 경고표시기(300)의 동작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신호를 제4제어부(430)로 전달한다. 이때, 제4제어부(430)는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착석된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이를 알람표시부(440)로 출력 제어하므로 알람을 발생시켜 운전자 및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에게 알린다.
한편, 제4제어부(430)는 착석 정보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경고표시기(300)의 동작 상태 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면 동작 제어 신호를 경고표시기(300)로 직접 전달하거나 제1단말기(200)를 통해 전달하므로 경고표시기(300)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0 : 착석여부감지센서
200 : 제1단말기
300 : 경고표시기
400 : 제2단말기

Claims (5)

  1. 차량 내의 카시트에 각각 구비되어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여부감지센서와, 상기 착석여부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운전석에 구비되는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와 연결되며, 착석 정보 감지시 차량 시동이 꺼지면 동작하는 경고표시기; 및 상기 제1단말기와 연결되어 착석여부감지센서 및 경고표시기의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함은 물론 상기 경고표시기를 제어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여부감지센서는,
    제1전원부와, 카시트에 착석하는 어린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착석 여부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제1송신부로 출력하며 출력된 신호를 제1수신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제어부에서 출력된 착석 여부 감지 신호를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제2전원부와, 착석여부감지센서의 제1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착석여부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제1수신부와, 상기 제1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제2송신부 및 상태표시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출력된 신호를 제2송신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태표시부에 착석 여부 상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착석 상태 신호를 경고표시기 및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송신부 및 상기 제2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착석 여부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각 카시트에 해당하는 번호가 적혀진 번호좌판이 복수 개 구비되고, 각 번호좌판 내에는 불빛을 발광하는 LED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경고표시기는,
    제3전원부와,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부와, 상기 제2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착석 여부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경고발생부로 출력 제어하는 제3제어부 및 상기 제3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말기는,
    제4전원부와, 상기 제1단말기의 제2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차량 내의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제3수신부와, 상기 제3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착석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알람표시부 및 제3송신부로 출력 제어하는 제4제어부 및 상기 제4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착석 여부 상태를 운전자 및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알람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표시부는,
    착석 여부 상태를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시피커부와,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와, LED를 점등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석여부감지센서를 통해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1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제1단말기를 통해 착석여부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확인하는 단계;
    착석정보가 감지된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꺼졌을 경우 경고표시기에서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단계; 및
    제2단말기를 통해 제1단말기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받아 확인 및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04591A 2018-01-12 2018-01-12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KR10190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91A KR101906785B1 (ko) 2018-01-12 2018-01-12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91A KR101906785B1 (ko) 2018-01-12 2018-01-12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785B1 true KR101906785B1 (ko) 2018-12-05

Family

ID=6474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591A KR101906785B1 (ko) 2018-01-12 2018-01-12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7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750B1 (ko) 2019-01-25 2019-05-28 전우원 차량 내 어린이 착석유무 확인장치
KR102126630B1 (ko) * 2019-04-23 2020-06-24 장원석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KR102148406B1 (ko) 2020-01-15 2020-08-26 (주)프로맥스 통학차량의 어린이 착석확인용 시트조립체
KR20200110261A (ko) * 2020-08-12 2020-09-23 (주)키즈소프트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068594A (ko) * 2021-11-11 2023-05-18 엠티스코퍼레이션(주) 차량 승객의 승하차 탐지 장치 및 운전자용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750B1 (ko) 2019-01-25 2019-05-28 전우원 차량 내 어린이 착석유무 확인장치
KR102126630B1 (ko) * 2019-04-23 2020-06-24 장원석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KR102148406B1 (ko) 2020-01-15 2020-08-26 (주)프로맥스 통학차량의 어린이 착석확인용 시트조립체
KR20200110261A (ko) * 2020-08-12 2020-09-23 (주)키즈소프트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02736B1 (ko) 2020-08-12 2021-01-13 (주)제이테크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068594A (ko) * 2021-11-11 2023-05-18 엠티스코퍼레이션(주) 차량 승객의 승하차 탐지 장치 및 운전자용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7789B1 (ko) 2021-11-11 2024-02-19 엠티스코퍼레이션(주) 차량 승객의 승하차 탐지 장치 및 운전자용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785B1 (ko)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KR101889963B1 (ko)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877673B1 (ko)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JP6681981B2 (ja) 災難警報及び災難訓練機能を備えたled照明灯システム
KR20170045094A (ko)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KR101740508B1 (ko) 안전벨트 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US20140104053A1 (en) Vehicle occupancy and restraint status indication and driver distraction system
JP2015153177A5 (ko)
KR101322609B1 (ko) Ats와 atc 통합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20190116778A (ko) 지능형 승하차 알림 장치를 이용한 어린이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08206022A (ja) 移動体位置検出システム
KR101730823B1 (ko) 차량 내 잔류 인원 확인 장치
KR102185373B1 (ko) 자동차용 안전 및 비상 신호 표시 시스템
KR102317494B1 (ko) 차량 하차 확인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하차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414344B1 (ko) 긴급차량접근 알림 및 피양 안내 시스템
KR20110026893A (ko) 버스의 노약자 좌석 양보 시스템
KR102017570B1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0885539B1 (ko) 시내버스의 무선 하차벨 시스템 및 그 장치
JP6225713B2 (ja) トンネル警報システム及びトンネル警報発信システム
CN205871982U (zh) 一种防止儿童被遗忘在车内的安全装置
KR20100036451A (ko) 차량용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29881A (ko) 이동 수단에서의 승객의 하차 정보 관리 장치
KR101699937B1 (ko) 차량 주위의 사람을 알려주는 차량 안심 서비스 장치, 차량 안심 서비스 시스템 및 차량 안심 서비스 방법
KR101382074B1 (ko) 터널 내부 안전 운행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