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630B1 -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630B1
KR102126630B1 KR1020190047392A KR20190047392A KR102126630B1 KR 102126630 B1 KR102126630 B1 KR 102126630B1 KR 1020190047392 A KR1020190047392 A KR 1020190047392A KR 20190047392 A KR20190047392 A KR 20190047392A KR 102126630 B1 KR102126630 B1 KR 10212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unit
vehicle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장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석 filed Critical 장원석
Priority to KR102019004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 어린이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비상 시 어린이에 의해 작동되는 긴급 버튼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신호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상기 긴급 버튼부의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GPS; 상기 신호부, 제어부 및 GPS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관리자 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부가 상기 차량의 운행이 정지된 후에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신호부는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 ID가 부여되어 넘버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Vehicle Child Departure Iden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중 하나인, 차량 운행 종료 후에 특정 어린이가 남겨지는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구조할 수 있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 탑승 차량에는 건강하여 자신의 의사표시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상태의 어린이 외에 자신의 의사표시를 자유롭고 손쉽게 할 수 없는 상태의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경우가 많다.
즉, 운전자와 동승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운행을 종료한 시점에서 운전자가 이탈한 차량 내에 어린이가 남아 있게 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동승자는 일반적으로 운전자 또는 차량 내부를 관리하는 보조 승무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특히, 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에 어린이 탑승 차량에 어린이가 홀로 내부에 남게 되는 경우, 의사표시 무능력으로 인해 차량에 남아 있다는 것을 외부에 알리지 못하는 위험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외선으로부터 어린이용 탑승 차량의 탑승자인 어린이들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어두운 색의 썬팅 필름을 차량의 유리에 부착하기 때문에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의 내부를 들여다 보아도 차량의 내부 상황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따라서, 차량 외부의 행인이나 주차 관리인도 차량 내부에서 위와 같은 비상, 위험 상황에 대한 인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 중 공개특허 제2005-0006866호의 차량에서의 유아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알림장치 발명은, 차량 내에 유아나 애완동물이 갇힌 경우에 소정의 센서들(마이크, 움직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 유아나 애완동물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외부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유아의 움직임이나 유아의 소리를 감지하여 차량 내에 유아만이 남겨진 상황을 인식한 후 외부에 알림을 제공하고자 하나,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유아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유아의 울음소리를 감지하고, 유아의 호흡에 따른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것에 대한 것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차량 내의 특성과 차량 내에 있는 유아(어린이)에 대한 상태를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하고 오차 없이 파악한 후 이러한 상태를 외부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중 하나인, 차량 운행 종료 후에 특정 어린이가 남겨지는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구조할 수 있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차량 내 어린이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비상 시 어린이에 의해 작동되는 긴급 버튼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신호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상기 긴급 버튼부의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GPS; 상기 신호부, 제어부 및 GPS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관리자 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부가 상기 차량의 운행이 정지된 후에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신호부는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 ID가 부여되어 넘버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 내의 어린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 및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는 해당 신호부의 ID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ID 정보에 따라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성이 소정 주파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어린이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 주파수 범위는 300 내지 1500 헤르쯔(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제공하는 시간 별 온도 변화값을 기초로 온도 변화값이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어린이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원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설정 정보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 신호부의 전원모드를 Power mode에서 Slip mode로 전환하고, 상기 Slip mode일 경우, 상기 제어부 및 신호부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민감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민감도 정보에 따라 센서부의 감지 민감도를 강, 중, 약 모드 중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신호부 검사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부에 신호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수신되는 답변 신호에 따라 고장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답변 신호는 해당 신호부의 ID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답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신호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로부터 수신받은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차량 내 바닥 및 시트에 설치되어 어린이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압력감지부 및 상기 압력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차량 천장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압력정보를 수신받아 발광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차량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린이 감지 정보가 생성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내부온도측정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내부온도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내부 온도 정보를 적정 온도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적정 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차량의 히터 또는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수신받은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소정 기간동안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빈도수가 높은 ID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빈도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빈도판단부로부터 판단된 ID에 해당하는 신호부를 제어하여 신호부의 ID 표시부에 표시되는 ID의 색을 변경하거나, ID가 깜박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리부팅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의 리부팅 시, 임시적으로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상기 긴급 버튼부의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보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중 하나인, 차량 운행 종료 후에 특정 어린이가 남겨지는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구조할 수 있다.
이에 어린이가 탑승하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의 신호부 및 복수개의 신호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의 ID 정보의 신호부 위치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의 제어부의 화면 상태를 구현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또는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유선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컴퓨터 환경에서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의 신호부 및 복수개의 신호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의 ID 정보의 신호부 위치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의 제어부의 화면 상태를 구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장치, 서버(30), 관리자 단말(40) 및 보호자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는 신호부(10), 제어부(11), 전원부(12), 압력감지부(13), 표시부(14), 내부온도측정부(15), 보조 제어부(16) 및 보조 전원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부(10)는 차량 내 복수개가 설치되어 직접 어린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거나, 어린이에 의해 긴급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부(10)는 센서부(100), 긴급 버튼부(101) 및 ID 표시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차량 내 어린이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00)는 움직임 감지 센서, 마이크 및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는 차량 내의 어린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데,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및 RF 감지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차량 내 어린이의 음성을 감지(측정)할 수 있고, 온도 센서는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00)는 감지된 감지값을 제어부(11)로 전송할 수 있다.
긴급 버튼부(101)는 비상 시 어린이에 의해 작동되고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긴급 신호 정보를 제어부(11)에 전송할 수 있다.
ID 표시부(102)는 해당 신호부(10)의 ID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여기서 표시되는 ID는 신호부(10)가 넘버링되어 각각 부여된 ID이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신호부(10)는 각각 ID가 부여되어 넘버링될 수 있고, 차량 내 좌석 또는 좌석 통로에 상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벽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어린이의 손이 닿을 만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신호부(10)가 각각 ID를 가지고 상기와 같이 차량 내에 설치됨으로써,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전송한 신호부(10)의 위치를 관리자 단말(40)과 보호자 단말(50)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어린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하기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신호부(1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제어부(11)와 잭 연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신호부(10)가 8개 이상일 경우 2라인 이상으로 나누고 병렬 연결 시켜 각각 제어부(11)와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복수개의 신호부(10)에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전원 드랍 현상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작동에 오류, 정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센서부(100)의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버튼부(101)의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20) 또는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는 해당 신호부(10)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D 정보는 해당 신호부(10)의 ID 및 차량 내의 신호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D 정보를 포함하는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40) 및 보호자 단말(50)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 또는 보호자는 ID 정보에 따라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ID 정보의 신호부 위치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에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 또는 보호자가 한번에 차량 내 어린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는 신호부(10), 전원부(12), 압력감지부(13), 표시부(14), 내부온도측정부(15), 알림 장치(20), GPS(21) 등을 제어하는 역할로써, 제어부(11)는 신호부(10), 전원부(12), 압력감지부(13), 표시부(14)가 차량의 운행이 정지된 후에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신호부(10)의 센서부(100)로부터 감지값을 수신받아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한다고 판단될 경우 어린이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는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어린이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는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성이 소정 주파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어린이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주파수 범위는 어린이 음성이 속하는 주파수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300 내지 1500 헤르쯔(Hz) 사이의 주파수 범위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 음성의 주파수 대역은 100 내지 1700 헤르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남성의 경우에는 100 내지 700 헤르쯔 범위이고, 여성의 경우에는 300 내지 1700 헤르쯔 범위이다. 그리고 어린이의 경우에는 보통 여성 음성의 주파수 대역과 유사하며 그 범위는 상기의 300 내지 1500 헤르쯔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상기와 같은 어린이 음성 주파수 범위를 소정 주파수 범위로 설정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되는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한 후 소정 주파수 범위와 비교하여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어부(11)는 소정 주파수 범위 내에 들어오는 수집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1)는 온도 센서가 제공하는 시간 별 온도 변화값을 기초로 온도 변화값이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어린이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차량 내 설치되는 신호부(10)의 센서부(100)인 온도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온도값을 시간 별로 분석하여 온도 변화 정도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판단되어 생성된 어린이 감지 정보를 제어부(11)는 알림 장치(20) 및 서버(30)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신호부(10)의 긴급 버튼부(101)로부터 수신받은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20) 및 서버(30)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보조 전원부(17)의 배터리 잔량을 체크할 수 있으며, 배터리 잔량이 부족할 경우, 화면에 이를 표시하고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관리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데, 하기에서 그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1)는 전원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원설정 정보는 시간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11)는 전원설정 정보에 따라 시간이 설정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1), 신호부(10) 등의 전원모드를 Power mode에서 Slip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 신호부(10) 등은 전원부(12)로부터 최소 전원만을 공급받아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lip mode로 전환될 경우, 제어부(11) 및 신호부(10) 등은 전원은 켜져 있으나 동작은 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는 민감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민감도 정보는 강, 중, 약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는 입력받은 민감도 정보에 따라 센서부(100)의 감지 민감도를 강, 중, 약 모드 중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신호부 검사 요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는 신호부 검사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각각의 신호부(10)에 신호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답변 신호가 수신되냐에 따라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부(10)가 제어부(11)로 전송하는 답변 신호는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는 답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신호부(10)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부(10)를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40)로 고장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 단말(40)로부터 고장 정보를 전달받은 관리자는 고장난 신호부(10)가 어떤 것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차량 내의 신호부 위치도 확인 가능하여 고장난 신호부(10)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신호부 등록 정보를 입력받아 신호부(10)를 등록시켜 그에 해당하는 신호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리셋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에 등록된 신호부(10)에 대한 신호부 등록 정보가 삭제되어 초기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신호부(10)를 차량 내 다시 배치하거나 신호부(10)에 ID를 다시 넘버링하여 배치하는 등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GPS(21)로부터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서버(30)로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들을 입력받고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11)의 화면은 도 4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어부(11)는 압력감지부(13)로부터 압력정보를 수신받아 표시부(1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어린이 감지 정보가 생성되거나 긴급 버튼부(101)로부터 긴급 신호 정보가 수신되면, 내부온도측정부(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는 내부온도측정부(15)로부터 측정된 내부 온도 정보를 기 설정된 적정 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내부 온도 정보가 적정 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차량의 히터 또는 에어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어린이가 차량 내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 내부온도측정부(15)로 차량 내 온도를 측정하여 어린이가 있기에 온도가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경우 히터와 에어컨을 작동시켜 차량 내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차량 운행 종료 후에 특정 어린이가 남겨지는 상황에서 어린이가 차량 내에 있는데 구조가 늦어질 경우 치명적인 문제가 되는 차량 내부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켜줌으로써, 너무 덥거나 추운 문제로 어린이의 상태가 최악으로 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빈도판단부(300)로부터 판단된 ID에 해당하는 신호부(10)를 제어하여, 신호부(10)의 ID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ID의 색을 변경하거나, ID가 깜박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어린이 하차 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 적이 많았던 차량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그 위치를 집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하는 것을 미연에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빈도판단부(300)에 대해서는 서버(30)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입력된 정보, 수신받은 정보 및 알림 장치(20), 전원부(12)등을 제어하는 정보 등의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주기적으로 리부팅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1)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때 시스템의 작동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어부(11)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보조 제어부(1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전원부(12)는 신호부(10), 제어부(11), 압력감지부(13), 표시부(14), 내부온도측정부(15), 보조 제어부(16), 알림 장치(20), GPS(21)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압력감지부(13)는 복수개가 차량 내 바닥 및 좌석 시트에 설치되어 어린이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감지부(13)는 어린이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감지되면 압력정보를 제어부(11)에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4)는 복수개가 차량 내에 압력감지부(13)와 대응되는 위치의 천장에 각각 형성되어, 제어부(11)로부터 압력정보를 수신받아 압력정보를 전송한 압력감지부(13)에 대응되는 표시부(14)가 발광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 보호자 또는 구조자가 어린이를 구조하기 위해 차량 내에 진입했을 시 어린이의 위치가 한눈에 파악되어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는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로부터 확인되는 신호부 위치 정보를 보조하는 것으로,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을 통해 관리자 또는 보호자가 차량 내의 어린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곤 하나 막상 차량 내에 진입했을 시 순간적으로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조하여 구조를 도울 수 있다.
내부온도측정부(15)는 차량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1)에 어린이 감지 정보가 생성되거나 긴급 신호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1)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내부온도측정부(15)는 차량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1)로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16)는 제어부(11) 리부팅 시, 제어부(11)의 역할을 임시적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제어부(11)가 속도 저하 방지 목적 혹은 시스템 결함으로 인해 주기적 또는 일시적으로 리부팅되면 신호부(10), 전원부(12), 압력감지부(13), 표시부(14), 내부온도측정부(15), GPS(21) 등으로부터 정보가 보조 제어부(16)로 전송되고, 알림 장치(20)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받은 정보들을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보조 제어부(16)는 제어부(11)가 리부팅될 경우, 임시적으로 센서부(100)의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버튼부(101)의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20) 또는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 제어부(16)가 구성됨으로써, 제어부(11)의 속도 등의 성능 저하 방지 등의 목적을 위해 시행되는 주기적인 리부팅이나, 시스템 결함으로 인해 일시적인 리부팅 시에도 시스템의 작동이 단절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조 전원부(17)는 전원부(12)가 단전되는 경우에 예비적으로, 신호부(10), 제어부(11), 압력감지부(13), 표시부(14), 내부온도측정부(15), 보조 제어부(16), 알림 장치(20), GPS(21)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배터리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장치는 알림 장치(20) 및 GPS(21)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장치(20)는 차량 내부에 어린이가 있는 경우, 제어부(11)로부터 수신받은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에 따라 동작하여, 소리나 시각적 요소로 외부 사람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장치(20)는 스피커 또는 경고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GPS(21)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제어부(11)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는 통신부를 통해 제어부(11)로부터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제어부(11)로부터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 또는 보호자는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하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고, 시간에 따른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된 정보, 수신받은 정보 및 알림 장치(20), 전원부(12)등을 제어하는 정보 등의 모든 정보를 수신받아,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신호부(10), 제어부(11), 전원부(12), 압력감지부(13), 표시부(14), 내부온도측정부(15), 보조 제어부(16), 알림 장치(20), GPS(21) 등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빈도판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빈도판단부(300)는 제어부(11)로부터 수신받은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소정 기간동안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빈도수가 높은 ID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빈도판단부(300)는 판단된 ID를 제어부(11)로 전송하여, 제어부(11)를 통해 그에 해당하는 신호부(10)가 차량 내에서 구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했던 위치를 파악하여, 차량 내 위치 중 빈번하게 발생하는 차량 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 내 어린이들을 항상 동일하게 앉힌다면 동일한 어린이가 자주 차량 내에 숨거나 내리지 않는 경우, 차량 내 어린이들을 항상 동일하게 앉히지 않으나, 자주 한 자리에서 어린이가 내리지 않은 걸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고 이를 표시해줌으로써, 관리자가 그 위치를 주도적으로 확인하도록 하여 사고를 최대한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서버(30)는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에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전송한 후,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로부터 소정 시간동안 확인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구조자 단말(미도시)로 신고 정보를 전송하여 신고가 접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자 단말(미도시)은 경찰서, 소방서, 병원 등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는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하는 경우, 관리자 또는 보호자가 미쳐 확인하지 못하여 어린이의 구조가 늦어짐에 따라, 관리자 또는 보호자 외 다른 구조자를 통해 구조되도록 하여 어린이가 위험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은 차량에 대한 관리자인 운전자 또는 운영자가 소유한 단말기, 보호자 단말(50)은 어린이의 보호자인 부모, 형제 또는 자매 등이 소유한 단말기일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 외 PC,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은 서버(30)로부터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에 관리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은 본 발명의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모바일 앱)을 포함하여,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iOS 기반의 일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고,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웹 컨텐츠 또는 일반 웹 컨텐츠를 브라우저로 보여주는 웹 서비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자 단말(40), 보호자 단말(50), 또는 유무선 서비스 형태에 따라 일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비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공 방법으로는 각 단말이 서버(3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거나 또는 온라인 어플 마켓(예컨대, 안드로이드 마켓, 애플 스토어, 통신사의 온라인마켓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은 서버(30)로부터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 또는 보호자 단말(50)은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수신받으면, 확인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중 하나인, 차량 운행 종료 후에 특정 어린이가 남겨지는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구조할 수 있다.
이에 어린이가 탑승하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신호부
100: 센서부
101: 긴급 버튼부
102: ID 표시부
11: 제어부
12: 전원부
13: 압력감지부
14: 표시부
15: 내부온도측정부
16: 보조 제어부
17: 보조 전원부
20: 알림장치
21: GPS
30: 서버
300: 빈도판단부
40: 관리자단말
50: 보호자단말

Claims (13)

  1. 차량 내 어린이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비상 시 어린이에 의해 작동되는 긴급 버튼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신호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상기 긴급 버튼부의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GPS;
    상기 신호부, 제어부 및 GPS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관리자 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부가 상기 차량의 운행이 정지된 후에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신호부는,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 ID가 부여되어 넘버링되어 있고,
    상기 서버는,
    수신받은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소정 기간동안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빈도수가 높은 ID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빈도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빈도판단부로부터 판단된 ID에 해당하는 신호부를 제어하여 신호부의 ID 표시부에 표시되는 ID의 색을 변경하거나, ID가 깜박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 내의 어린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 및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는,
    해당 신호부의 ID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ID 정보에 따라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성이 소정 주파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어린이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제공하는 시간 별 온도 변화값을 기초로 온도 변화값이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내에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어린이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설정 정보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 신호부의 전원모드를 파워 모드(Power mode)에서 슬립 모드(Slip mode)로 전환하고,
    상기 슬립 모드(Slip mode)일 경우,
    상기 제어부 및 신호부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민감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민감도 정보에 따라 센서부의 감지 민감도를 강, 중, 약 모드 중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부 검사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부에 신호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수신되는 답변 신호에 따라 고장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답변 신호는 해당 신호부의 ID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답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신호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로부터 수신받은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차량 내 바닥 및 시트에 설치되어 어린이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압력감지부 및
    상기 압력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차량 천장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압력정보를 수신받아 발광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차량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린이 감지 정보가 생성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내부온도측정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내부온도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내부 온도 정보를 적정 온도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적정 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차량의 히터 또는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12. 삭제
  13. 차량 내 어린이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비상 시 어린이에 의해 작동되는 긴급 버튼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신호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상기 긴급 버튼부의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GPS;
    상기 신호부, 제어부 및 GPS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긴급 신호 정보를 관리자 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부가 상기 차량의 운행이 정지된 후에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신호부는,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 ID가 부여되어 넘버링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리부팅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리부팅 시, 임시적으로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을 기초로 차량 내 어린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어린이 감지 정보 또는 상기 긴급 버튼부의 긴급 신호 정보를 알림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보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KR1020190047392A 2019-04-23 2019-04-23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KR10212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92A KR102126630B1 (ko) 2019-04-23 2019-04-23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92A KR102126630B1 (ko) 2019-04-23 2019-04-23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630B1 true KR102126630B1 (ko) 2020-06-24

Family

ID=7140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392A KR102126630B1 (ko) 2019-04-23 2019-04-23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6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096A (ko)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암전류 차단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7673B1 (ko) * 2017-04-11 2018-07-11 고영희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06785B1 (ko) * 2018-01-12 2018-12-05 주식회사 리텍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KR101948249B1 (ko) * 2018-09-13 2019-02-14 김동환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 차량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096A (ko)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암전류 차단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7673B1 (ko) * 2017-04-11 2018-07-11 고영희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06785B1 (ko) * 2018-01-12 2018-12-05 주식회사 리텍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KR101948249B1 (ko) * 2018-09-13 2019-02-14 김동환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 차량 경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3305B2 (en) Evacuation system
KR101877673B1 (ko)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CN205405811U (zh) 车辆状态监控系统
CN102092607B (zh) 电梯的运行控制装置
KR101828077B1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20060127339A (ko) 열차운행정보를 이용한 열차안전관제시스템 및열차안전관제방법
JP7016641B2 (ja) 輸送システムに閉じ込められた乗客との通信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102055947B1 (ko)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6630B1 (ko) 차량용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KR101807213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탑승자 안전 관리 시스템
JPH08119111A (ja) プラットホームの安全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監視方法
JP2004318411A (ja) 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CN210558696U (zh) 一种带困人自救装置的智能电梯
JP6539799B1 (ja) 安否確認システム
JP3447546B2 (ja) 在室状況監視装置および在室状況監視システム
JP355404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安全監視システム
US20190291691A1 (en) Local access indication system
KR102557901B1 (ko) 설치형 영유아 방치 대응 장치
KR102270724B1 (ko) 미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944769A (zh) 基于车联网的生物安全防护方法及车联网系统
KR102219681B1 (ko) 비콘 기반 스쿨버스용 어린이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5700B1 (ko)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H0229492Y2 (ko)
CN114057054A (zh) 电梯轿厢困人自动报警装置及报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