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947B1 -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947B1
KR102055947B1 KR1020180053577A KR20180053577A KR102055947B1 KR 102055947 B1 KR102055947 B1 KR 102055947B1 KR 1020180053577 A KR1020180053577 A KR 1020180053577A KR 20180053577 A KR20180053577 A KR 20180053577A KR 102055947 B1 KR102055947 B1 KR 102055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ssenger
pob
uni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242A (ko
Inventor
박병강
Original Assignee
박병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강 filed Critical 박병강
Priority to KR102018005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947B1/ko
Priority to PCT/KR2018/005419 priority patent/WO2019216464A1/ko
Publication of KR20190129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탑승객, 선원, 승선작업자 등 승선자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관리장치에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다수의 중계기가 연결되고, 각 중계기에는 다수의 단말기가 연결되고, 시스템 관리장치에는 운용 UI(유저인터페이스)가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 관리장치는 단말기의 불출, 재고관리 등 단말기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부, 시스템에 관여하는 사용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POB(승선자)의 안전 및 출입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POB 관리부, 선박 내에서의 POB의 위치를 인식하는 POB 위치인식부, 선박의 비상상황을 감시하는 비상상황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persons on board}
본 발명은 선박 탑승객, 선원, 승선작업자 등(이하, 총칭하여 '승선자' 또는 'POB'(person on board))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승선작업자, 선원, 탑승객 등을 포함한 승선자들은 선박 사고 발생시 우선적으로 보호 및 구조하여야 한다. 선박 사고 발생 이후의 승선자 보호 및 구조도 중요하지만, 사고 발생 이전의 승선자 보호 내지는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승선자 안전관리를 위한 다양한 제도와 절차가 적용되고 있다. 가령, 안전교육을 철저히 이행하여 승선자는 반드시 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한다든지, 승인된 자격의 작업자만 승선을 허용한다든지 등의 규정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나 규칙, 절차 등의 운용 이외에도 현재의 기술을 이용하여 승선자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을 자동화할 수 있다면, 종래의 안전관리 방안과 함께 매우 효과적이고 정확한 승선자 보호책이 될 것이다.
선박 승선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하여 컴퓨터,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자동화된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선박 내 비상상황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등 신속한 대피 지령을 하여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관리장치에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다수의 중계기가 연결되고, 각 중계기에는 다수의 단말기가 연결되고, 시스템 관리장치에는 운용 UI(유저인터페이스)가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 관리장치는 단말기의 불출, 재고관리 등 단말기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부, 시스템에 관여하는 사용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POB(승선자: person on board)의 안전 및 출입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POB 관리부, 선박 내에서의 POB의 위치를 인식하는 POB 위치인식부, 선박의 비상상황을 감시하는 비상상황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장치는 안벽에 구축되고, 상기 중계기와 단말기는 선박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상기 시스템 관리장치가 선박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선박 내 및 선박 외(안벽)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운용 UI는 상기 시스템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필요 기능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중계기는 선박 내의 적소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는 각 승선자가 소지하는데, 승선자의 위치 인식, 위치 추적, 비상호출, 자기위치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Tag 등의 무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스템 관리장치의 POB 관리부는 선박 내에 설정해 놓은 각 구역(Zone)별로 승선자 인원현황 및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승선자 정보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선박의 메인 도면에서 구역을 선택하여 해당 구역에 위치하는 승선자를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승선자 추적부, 승선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박의 승강대나 엘리베이터 등을 통과하는 승선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승선자 출입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관리장치의 POB 위치인식부에서는 수집한 POB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POB의 위치를 인식 내지는 추적하기 위하여 위치인식 HW(하드웨어)와 위치인식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 HW는 앞에서 언급한 단말기, 중계기, 출입 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치인식 엔진은 Zone(구역) 기반 위치인식 알고리즘과 함께 Topology Constraint 기술을 활용하여 승선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관리장치의 비상상황 감시부는 다양한 감지 신호로부터 비상상황을 판단하여 인지하고 비상 발령을 하는 비상상황 인지부와 비상발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운용 UI는 POB 모니터링부, 위험/비상상황시 비상상황을 제어하는 비상제어부, 시스템의 운용, 관리 등(예컨대, 승선자의 입출 및 위치인식, 네트워크 관리, 단말기 렌털 관리, 장비 재고관리 등)을 수행하는 시스템 운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차후에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승선자의 실시간 위치 추적,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 호출을 통한 자기 위치 전송, 비상시 신속한 구출 가능화를 통한 승선자 안전관리,
- 안전교육을 받고 인가된 작업자만 승선하고 승하선 확인을 통한 선박 내 인원현황 실시간 파악을 통한 승하선 인원 확인,
- 골든타임 초기 대응에 의한 인명피해 최소화,
-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통한 전사적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을 통한 능동적 안전관리 문화정착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시스템 관리센터(10)의 POB 관리부(14)의 구성도
도 3a는 승선자 출입감지부(14-3)의 한 실시예의 작용 설명도
도 3b는 승선자 출입감지부(14-3)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 설명도
도 4는 POB 위치인식부(15)의 구성 및 작용 설명도
도 5는 Zone 기반 위치인식 알고리즘과 Topology Constraint(위상 제약조건) 기술의 대략 설명도
도 6은 비상상황 감시부(16)의 구성도
도 7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의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선박 외부에 위치하는 시스템 관리장치인 시스템 관리센터(10)에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을 통해 다수의 중계기(예를 들어, 게이트웨이)(30)가 연결되어 있다. 각 중계기(30)에는 다수의 단말기(예를 들어, 무선 Tag 단말기)(40)가 연결된다. 또한 시스템 관리센터(10)에는 운용 UI(유저인터페이스)(50)가 연결된다.
시스템 관리센터(10)의 세부 구성을 보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1), 단말기의 불출, 재고관리 등 단말기(40)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부(12), 승선자, 시스템 관리자·운용자 등 본 시스템에 관여하는 사용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3), POB(승선자: person on board)의 안전 및 출입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POB 관리부(14), 선박 내에서의 POB의 위치를 인식하는 POB 위치인식부(15), 선박의 비상상황을 감시하는 비상상황 감시부(16), 전체 시스템이 통신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17)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센터(10)는 선박 외부의 안벽에 구축하였다. 안벽이란 접안시설 중의 하나로,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하여 화물의 하역 및 승객을 승하선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다.
상기 운용 UI(50)는 상기 시스템 관리센터(10)에 유선으로 연결된 PC,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필요 기능을 실행하는 SW(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구성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운용 UI(5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을 통하여 시스템 관리센터(10)에 연결된다.
상기 중계기(30)는 선박 내의 적소에 설치된다. 중계기(30)의 선박 내 설치 위치는 RF Test를 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중계기(30)의 설치 개소 최소화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말기(40)는 각 승선자가 소지하는데, 승선자의 위치 인식, 위치 추적, 비상호출, 자기위치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TAG 단말기 등 무선(예컨대, NFC 방식)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 관리센터(10)의 POB 관리부(14)는 도 2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즉, 선박 내에 설정해 놓은 각 구역(Zone)별로 승선자 인원현황 및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승선자 정보부(14-1),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선박의 메인 도면에서 구역을 선택하여 해당 구역에 위치하는 승선자를 (승선자가 소지한 단말기(4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승선자 추적부(14-2), 승선자가 소지한 단말기(40)를 이용하여 선박 승강대나 엘리베이터 등을 통과하는 승선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승선자 출입감지부(14-3)를 포함한다.
승선자 출입감지부(14-3)는 선박의 각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 감지장치(예를 들어, LF 시스템)를 활용하여, 각 출입구 별로 승선자의 현황을 관리하고 시간별 출입을 상세 조회한다.
도 3a는 승선자 출입감지부(14-3)의 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선박의 승강대나 엘리베이터에 단말기(40)와 통신하는 출입 감지장치(60)가 설치된다. 이 출입 감지장치(60)로부터 승선자 출입 데이터를 수신한 시스템 관리센터(10)의 POB 관리부(14)는 수신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단말기(40)를 소지한 특정 승선자의 선박 승선/하선(출입)을 인지할 수 있다. 특정 단말기(40)는, 가령, 단말기(40)의 ID로써 그 정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b는 승선자 출입감지부(14-3)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단말기(40)와 통신하는 출입 감지장치(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대신에, 출입 감지장치(60)와 접촉된 단말기(40)로부터 소정의 출입 데이터를 중계기(30)를 거쳐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을 통해 시스템 관리센터(10)가 수신하여 상기 POB 관리부(14)로 하여금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 시스템 관리센터(10)의 POB 위치인식부(15)에서는 수집한 POB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POB의 위치를 인식 내지는 추적한다. POB 위치인식부(15)의 기능 수행을 위해 위치인식 HW(하드웨어)와 위치인식 엔진이 필요하다.
도 4를 참조할 때, 위치인식 HW(15-1)로는 앞에서 언급한 단말기(40), 중계기(30), 출입 감지장치(60)를 들 수 있다. 단말기(40)는 앞에서 언급한 승선자의 승하선 관리를 위시하여, 비 인가자의 출입 제한, 승선자의 실시간 위치추적 기능, 그리고 위험/비상 상황 발생시에 비상 콜 기능이 작동하여 이를 소지한 승선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한다. 중계기(Gateway)(30)는 단말기(40)를 통하여 승선자의 위치신호를 인식하고, 단말기(40)에 위험상황시 비상신호를 전달한다.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에 확장가능하게 추가됨으로써 네트워크 체계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POB 위치인식부(15)의 위치인식 엔진(15-2)은 Zone(구역) 기반 위치인식 알고리즘과 함께 Topology Constraint 기술을 활용하여 승선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RSSI 신호에 의한 Zone 판단, 동기화, Filtering 기술을 적용한 위치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되, 여기에 Topology Constraint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알고리즘에서 걸러내지 못한 물리적인 오차를 수정 보완하도록 하였다. 위치인식 엔진의 설계에는 Middleware 및 DB 설계도 포함된다.
도 5는 이러한 Zone 기반 위치인식 알고리즘과 Topology Constraint(위상 제약조건) 기술의 대략적 설명도이다.
'미들웨어'는 TCP/IP 연결을 위한 것으로,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대규모 연결을 지원한다. 'Localization 엔진'에서의 '필터링'은 이동평균을 통해 환경노이즈를 걸러내며, 'Zone 판단'시에는 CPU와 메모리 사용의 밸런스를 최적화하고, 'Smoothing'은 Topology Constraint 알고리즘에서 걸러내지 못한 물리적인 오차를 입력된 논리적 제약조건으로 걸러낸다. 'DB'는 예컨대 SQL 서버일 수 있는데,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로그를 기록한다. 이 동작은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뱃치(batch)로 실행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도 1의 시스템 관리센터(10)의 비상상황 감시부(16)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 관리센터(10)는 다양한 감지기(16-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상황 감시부(16)로 하여금 비상상황을 판단하여 인지하고 비상 발령을 하도록 지시한다. 이를 위해 비상상황 감시부(16)는 비상상황 인지부(16-1)와, 비상상황 인지시 비상 발령을 하는 비상발령부(16-2)를 포함한다. 비상발령부(16-2)에서 비상이 발령되면 해당 신호는 직접 또는 시스템 관리센터(10)에 의해 중계기(40)에 전송되고, 이어서 각 승선자가 소지한 단말기(30)에서 알람이 발생한다.
감지기(16-3)는 화재, 연기, 진동, 기울어짐, 소음 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이거나, 사람이 누르는 등 조작하는 하드스위치이다. 단말기(30)에서 발생하는 알람은 소리, 진동, 불빛 등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은 다수의 스위칭허브를 이용한 구역별 LAN을 구성한다. 중계기(30)의 확장을 위해 RS-485 확장장치 및 무선 확장장치를 둔다.
도 7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의 한 예를 나타낸다. 선박 내부와 선박 외부의 안벽에 각각 메인서버(21)와 백업서버(26)가 설치되는데, 선박 내부에는 메인서버(21)를 중심으로 다수의 L2스위치(22)를 매개로 UTP 케이블을 통해 다수의 중계기(30)가 설치된다. 각 중계기(30)는 다수의 단말기(40)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또한, L2스위치(22)들이 모여 있는 스위치 함체(23)가 선박 내에 설치된다. 도 7에서 각 L2스위치(22)가 산포되어 있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관리 및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이 스위치 함체(23)에 모두 모아둘 수 있다. 한편, 선박 외부의 안벽에는 선박 내부의 스위치 함체(23)와 통신하는 옥외 함체(24)가 설치되고, 이 옥외 함체(24)를 통해 시스템 관리센터(10)가 구축된다. 시스템 관리센터(10)에 백업서버(26)가 설치되고, 이 백업서버(26)는 L3스위치(27)를 통해 옥외함체(24)와 연결된다. 옥외 함체(24)에는 시스템 관리센터(10) 이외에, IoT기반의 사고 판단 및 대응을 위한 조선해양 산업용 HSE 시스템(25)이 연결될 수 있다.
메인서버(21)와 백업서버(26)를 사용하여 서버 이중화(redundancy) 설계를 적용하였다. 서버 이중화는 두 대의 서버 간에 하트비트(heart beat) 체크를 하도록 운영서버와 대기서버에 사용자 단말을 연결해서, 정상 운용시에는 운영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받다가, 운영서버에 고장 발생시 자동으로 서비스 주체가 전환되어 대기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를 수행한다. 서버 이중화 SW를 이용하여 서버 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서버 이중화 SW는
- 스토리지 공유 없이 MS-SQL Database의 이중화
- 데이터베이스 로컬 및 원격지 백업 및 복구, DR 구축
-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Auto/Manual HA 구성
- Database Local & Remote Server Building Service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서 운용 UI(50)는 POB 모니터링부(51), 위험/비상상황시 비상상황을 제어하는 비상제어부(52), 시스템의 운용, 관리 등(예컨대, 승선자의 입출 및 위치인식, 네트워크 관리, 단말기 렌털 관리, 장비 재고관리 등)을 수행하는 시스템 운용부(53)를 포함하며, 이들 기능을 실행하는 SW를 UI 형태로 제공하여 운용요원이 사용하도록 한다. 운용 UI(50)는 필요에 따라 DB와 서버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연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사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상세 사양을 소개한다.
단말기(40)는 NFC 등의 무선식 TAG를 사용하였다. 무선식 TAG를 사용하여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승선자의 실시간 위치추적, 위험상황 발생시 비상 콜 기능, LF을 활용한 승선자 승하선 관리, 비 인가자 출입 제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탑승객이나 선원, 작업자가 하선한 후에는 단말기가 Long sleep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계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극대화하였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된 단말기의 사양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45900821-pat00001
다음, 중계기(30)는 선박 내 작업자 위치신호 인식, 위험상황 발생 시 비상 콜 기능, 위험상황 발생시 비상신호 발생, 중계기 자체 상태 진단 기능을 하며, 정전시에도 최소 1시간 사용가능한 보조 배터리를 장착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에 설치한 후에도 추가 확장을 위하여 RS-485 및 무선 확장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된 중계기의 사양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45900821-pat00002
서버는 도 7에서 이미 설명한 것 같이, 고장에 대비한 서버 이중화를 위해 2 세트를 사용하였다. 즉, 선박 내의 메인서버와 선박 바깥의 시스템 관리센터(10)의 백업서버이다. 태그(단말기) 5,000개와 중계기 400대의 사용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는 사양의 서버를 사용하였는데, 그 사양은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112018045900821-pat00003
이상에서 본 발명을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과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의도적으로 변형, 변경, 수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선박 외부에 위치하는 시스템 관리센터(10)에 선박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중계기(30)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중계기(30)에는 승선자들이 각자 소지하는 다수의 단말기(40)가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관리센터(10)에는 운용 UI(50)가 연결되는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 관리센터(10)는, 본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1); 상기 단말기(40)의 불출 및 재고관리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부(12); 승선자와 본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여하는 사용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3); 승선자의 안전 및 출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POB 관리부(14); 선박 내에서의 승선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POB 위치인식부(15); 선박의 비상상황을 감시하는 비상상황 감시부(16); 및 전체 시스템이 통신하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17)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30)가 선박 내에 설치되는 위치는 RF 테스트를 통하여 결정되며, 네트워크 체계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에 확장가능하게 추가되고, 상기 단말기(40)로부터의 승선자의 위치신호를 인식하며 상기 단말기(40)로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은 다수의 스위칭허브를 이용한 선박내 구역별 LAN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계기(30)의 확장을 위해 RS-485 확장장치 및 무선 확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40)는 NFC 방식의 무선 TAG로, 이 단말기를 소지한 승선자의 위치 인식 및 추적, 비상호출, 승선자 승하선 관리, 비 인가자 출입 제한 기능을 포함하고, 승선자가 선박에서 하선한 후에는 롱슬립(Long sleep) 모드로 진입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운용 UI(50)는, 선박의 POB를 모니터링하는 POB 모니터링부(51); 선박의 위험 및 비상상황을 제어하는 비상제어부(52); 및 본 시스템의 운용과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운용부(53)를 포함하되;
    상기 시스템 관리센터(10)의 POB 관리부(14)는, 선박 내에 설정해 놓은 구역(Zone)별로 승선자 인원현황 및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승선자 정보부(14-1),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는 선박의 도면에서 구역을 선택하여 해당 구역에 위치하는 승선자를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승선자 추적부(14-2), 및 승선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승선자의 선박 출입을 감지하는 승선자 출입감지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관리센터(10)의 POB 위치인식부(15)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POB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인식 하드웨어(15-1)와, 구역(Zone) 기반 위치인식 알고리즘과 함께 위상 제약조건(Topology Constraint) 기술을 활용하여 승선자의 위치를 인식 및 추적하는 위치인식 엔진(15-2)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관리센터(10)의 비상상황 감시부(16)는, 선박 내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비상상황을 판단하여 인지하는 비상상황 인지부(16-1)와, 상기 단말기로 비상상황 발령신호를 전송하는 비상발령부(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POB 관리부(14)의 승선자 출입감지부(14-3)는
    선박에 설치되어 단말기(40)와 통신하는 출입 감지장치(60)로부터 수신된 승선자 출입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전에 ID가 설정된 단말기(40)를 소지한 승선자의 선박 승선 및 하선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POB 관리부(14)의 승선자 출입감지부(14-3)는
    선박에 설치되어 단말기(40)와 통신하는 출입 감지장치(60)와 접촉된 단말기(40)로부터 출입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를 거쳐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20)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POB 관리부(14)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POB 위치인식부(15)의 위치인식 엔진(15-2)이 활용하는 구역 기반 위치인식 알고리즘은
    RSSI 신호에 의한 구역 판단, 동기화, 및 필터링 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053577A 2018-05-10 2018-05-10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77A KR102055947B1 (ko) 2018-05-10 2018-05-10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CT/KR2018/005419 WO2019216464A1 (ko) 2018-05-10 2018-05-11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77A KR102055947B1 (ko) 2018-05-10 2018-05-10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42A KR20190129242A (ko) 2019-11-20
KR102055947B1 true KR102055947B1 (ko) 2019-12-16

Family

ID=6846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77A KR102055947B1 (ko) 2018-05-10 2018-05-10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5947B1 (ko)
WO (1) WO20192164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030B1 (ko) 2020-11-27 2021-04-27 (주)마린소프트 선원관리 리스크 밸런싱 플랫폼 시스템
KR20210093634A (ko) *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딥 러닝 기반 전자 신분증을 이용한 승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6611A (ko) * 2020-09-16 2022-03-23 이정욱 비콘 기반 승선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728A (ko) * 2011-12-29 2013-08-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플랫폼 승선 인원의 효율적 관리 및 안전관리방법
KR20150055972A (ko) * 2013-11-14 2015-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테트라 기반 선박 실시간 상황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2535A (ko) * 2014-07-24 2016-02-03 (주)보타바이오 승선자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714612B1 (ko) * 2015-07-03 2017-03-13 주식회사 엑스아이커뮤니케이션즈 탑승객의 선박 내 위치정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1744076B1 (ko) * 2015-10-15 2017-06-07 에이치에스에스(주) 무선통신을 이용한 선박 내 경보 출력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34A (ko) *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딥 러닝 기반 전자 신분증을 이용한 승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27186B1 (ko) * 2020-01-20 2021-11-17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딥 러닝 기반 전자 신분증을 이용한 승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6611A (ko) * 2020-09-16 2022-03-23 이정욱 비콘 기반 승선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83514B1 (ko) * 2020-09-16 2022-05-17 이정욱 비콘 기반 승선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45030B1 (ko) 2020-11-27 2021-04-27 (주)마린소프트 선원관리 리스크 밸런싱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464A1 (ko) 2019-11-14
KR20190129242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1886B2 (ja) 端末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船員位置管理システム
KR102055947B1 (ko) 승선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US10482732B2 (en) Sequence of levels in buildings to be evacuated by elevator systems
AU2021100902A4 (en) A control system for optimising emergency multi-storey building stairwell evacuation
US20070194922A1 (en) Safe war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9321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object collision avoidance for vehicles constrained to a particular path using remote sensors
US201102732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and fireground management
US20080067006A1 (en) Elevator System
KR20190049602A (ko) 엘리베이터 사물 인터넷 기반 부지중 자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5125A (ko) 이동식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US117807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JP2008150139A (ja) エレベータの緊急時通報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4160562A1 (en) Method for intelligent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terwork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ystem for performing method
CN106976778A (zh) 一种电梯救援应急处理系统和方法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US8225908B1 (en) Elevator escape system including elevator cab detachable from an interposing device
KR101687701B1 (ko) 소방 차량 단말기 및 그 방법
EP39399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grading elevator control systems with a digital control system
CN108466888A (zh) 电梯运行安全监控系统
JP2010020376A (ja) 遠隔監視故障時通報代行システム
KR20200078736A (ko) 철도 및 주변 역사에 대한 통합 안전관리 방법
KR102396420B1 (ko) 재난 대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21095258A (ja) 遠隔診断運転方法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190058142A (ko) 선박용 개인위치기반 안전구조 통합관제시스템
JP7285081B2 (ja) 船舶における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装置及び位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