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943B1 -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943B1
KR101905943B1 KR1020157023603A KR20157023603A KR101905943B1 KR 101905943 B1 KR101905943 B1 KR 101905943B1 KR 1020157023603 A KR1020157023603 A KR 1020157023603A KR 20157023603 A KR20157023603 A KR 20157023603A KR 101905943 B1 KR101905943 B1 KR 10190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sin
fluorocarbon resin
melting point
porous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155A (ko
Inventor
마코토 미야자키
다이사쿠 세키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5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82Testing the joint
    • B29C65/8253Testing the joint by the use of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visual examin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r X-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 B29C66/30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3032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making use of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30326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making use of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form of 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1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the composition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different from the composition of the othe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7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porous, e.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11Thermal properties
    • B29C66/73115Melting point
    • B29C66/73116Melting point of different melting point, i.e. the melting point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different from the melting point of the othe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29C66/9141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the joining process taking the temperature of the parts to be joined into acc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29C66/91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 B29C66/919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 B29C66/919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91933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higher than said fusion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29C66/91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 B29C66/919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 B29C66/919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91935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lower than said fusion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artial melting of at least on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4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composed of two half slee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 B29C66/7232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consisting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B29C66/72321 - B29C66/72322
    • B29C66/72325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 B29C66/7232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consisting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B29C66/72321 - B29C66/72322
    • B29C66/72326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5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29L2023/225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6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32B2305/34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7/00Polyvinylhalogenides
    • B32B2327/12Polyvinylhalogenides containing fluorine
    • B32B2327/18PTFE, i.e. polytetrafluoro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충분한 강도를 지니는 불소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물품은,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ARTICLE HAVING FLUORORESIN JOINT,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RTICLE}
본 발명은,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시트(sheet) 형상의 기재, 해당 기재의 표면에 배열된 히터선, 유리 섬유 펠트나 실리카 펠트 등의 단열재, 및 이들을 수납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전열 히터로서, 해당 커버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불소수지 섬유 또는 방향족 나일론 섬유의 직물인 전열 히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유연성을 지니는 합성 수지 시트로 이루어진 내층재와 외층재 사이에, 발열체와 단열성을 지니는 불연난연섬유제 시트재를 개재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틀 히터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반분할 형상으로 하는 통 형상의 면형상 발열체와, 이 면형상 발열체를 개폐하는 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가열 히터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JP 2004-185910 A JP 2002-295783 A JPH11-238573 A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단열재를 수납하는 커버부재는, 그 단부(端部)가 봉제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적잖이 틈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단열재가 전술한 유리섬유 펠트나 실리카 펠트와 같이 파티클을 발생하기 쉬운 것인 경우, 단열재에 유래하는 파티클의 비산의 방지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이러한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단부를 접착제 등에 의해 간극이 없도록 접합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불소수지는 친수성, 친유성이 모두 부족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일반적인 석유계의 접착제를 이용해서 불소수지를 접합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접합할 수 있었다고 해도, 종래의 불소수지의 접합은 그 강도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 종래, 배관의 보온 또는 가열을 목적으로 하는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로서는, 예를 들면, 단열재 혹은 발열체를 실리콘 고무의 외장재로 피복해서 이루어진 실리콘제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실리콘제의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길이방향에 슬릿이 형성되고, 이것을 배관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슬릿을 벌려서 배관을 압입시키도록 해서 피복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200℃ 정도까지의 내열성밖에 없고, 또 대전성이 있으므로 먼지나 쓰레기가 부착되기 쉽다. 그리고, 배관에 밀착하고 있는 부분은, 배관으로부터의 열에 노출됨으로써 실록산 가스를 발생하여, 배관의 금속부분을 부식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는, 배관 등의 보온 또는 가열 대상물의 외형을 따른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입체적 형상을 가진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장재도 또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어, 통상 복수의 시트를 접합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접합이 봉합 등에 의해서 행해지면, 봉합의 간극으로부터, 예를 들면 분체를 굳혀서 형성된 단열재의 일부가 비산하는 등, 클린성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 또, 접합이 열용착 등에 의해서 행해지면, 클린성은 높아지지만,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열에 의해서 팽창하여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예를 들면 배관 등으로부터,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가 탈락될 우려가 있어 문제이다.
또한, 외장재로서 유리섬유포를 이용한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는, 내열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해당 유리섬유의 간극으로부터, 예를 들면 분체를 굳혀서 형성된 단열재의 일부가 비산하는 등, 클린성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 또한, 외장재에 있어서의 접합 부분에 있어서의 단열재의 일부가 비산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실리콘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충분한 강도를 지니는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 해당 물품이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일 경우에는, 높은 내열성이 있고, 저발진성이 우수한,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품은,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물품은,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내포물은 단열재이며, 상기 물품은 단열성 제품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내포물은 발열재이며, 상기 물품은 재킷 히터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공질 시트는, 상기 내포물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상기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된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성 제품에 있어서의, 상기 다공질 시트는, 상기 단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된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물품은,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부분은,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부분인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물품이,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품은,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내포물이 단열재이며, 상기 물품이 단열성 제품일 경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성 제품은,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내포물이 발열재이며, 상기 물품이 재킷 히터일 경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킷 히터는, 발열재와, 상기 발열재를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온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품의 제조 방법은, 그 일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것; (b)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를 가열하는 것; 및 (c) 상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또, 상기 가열 온도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열 온도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물품은,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그 상기 일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은, 상기 수지제 시트에 상기 내포물을 넣은 후,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부분을, 상기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이고,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는,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이며,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는,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인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품의 제조 방법은,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단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것; (b)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상기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를 가열하는 것; 및 (c) 상기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또, 상기 내포물은 단열재이며, 상기 물품은 단열성 제품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내포물은 발열재이며, 상기 물품은 재킷 히터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공정은 제1 공정이며, 상기 제1 공정 전에, 상기 다공질 시트를, 상기 내포물의 외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c)는,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여,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인입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c)는,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일부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일부를 인입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제조 방법이,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일 경우, 상기 제조 방법은,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단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접촉하는 것, (b)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상기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단부를 가열하는 것, 및 (c)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인입시키는 것.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성 제품의 제조 방법은,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단열성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로 상기 단열재를 에워싼 후,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해당 수지제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것, (b)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는 것, 및 (c)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인입시키는 것.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은, 발열재와, 상기 발열재를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로 상기 단열재를 에워싼 후,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해당 수지제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것, (b)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는 것, 및 (c1)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인입시키는 것.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성 제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공정 전에, 상기 다공질 시트를, 상기 내포물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온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5℃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접합 강도를 지니는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이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내열성이 있고, 저발진성이 우수한, 보온재 혹은 재킷 히터,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도 10c는 도 10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도 12c는 도 12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3은 약 400℃에서 가열해서 형성된 실시예 1에 따른 접합부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
도 14는 약 350℃에서 가열해서 형성된 실시예 2에 따른 접합부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
도 15는 약 327℃에서 가열해서 형성된 실시예 3에 따른 접합부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
도 16은 약 300℃로 가열해서 형성된 실시예 4에 따른 접합부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
도 17은 370℃로 10시간 가열해서 얻어진 비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
도 18은 390℃에서 10시간 가열해서 얻어진 비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의 단면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로 나타내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물품의 제조 방법(이하, 「본 제조 방법」이라 기재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조 방법은, 그 일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고,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것; (b)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를 가열하는 것; 및 (c) 상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우선, 본 제조 방법에서는, 물품에 포함되는 수지제 시트의 일부끼리 접합한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수지제 시트가 1매인 경우, 1매의 해당 수지제 시트의 일부와 다른 일부를 접합하는 것이 된다. 또한, 수지제 시트가 2매 이상인 경우, 예를 들면, 1쌍의 수지제 시트의 한쪽의 일부와, 다른 쪽의 일부를 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접합되는 상기 일부는, 해당 수지제 시트의 일부이면,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합되는 일부는, 상기 수지제 시트의 단부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수지제 시트의 단부와, 다른 단부를 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수지제 시트의 단부와, 단부 이외의 부분을 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수지제 시트의 단부 이외의 부분과, 단부 이외의 부분을 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수지제 시트가 1매인 경우, 상기 수지제 시트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다. 상기 수지제 시트가 2매 이상인 경우, 상기 수지제 시트는 모두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수지제 시트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와, 제1 불소수지 이외의 수지의 시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불소수지 이외의 수지는, 예를 들면, 전술한 제2 불소수지인 것으로 해도 되고, 제2 불소수지 이외의 수지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공질 시트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1 불소수지제의 시트이다. 상기 복수의 구멍은, 연통 구멍인 것으로 해도 되고, 독립 구멍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멍은 상기 다공질 시트의 두께 방향에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멍의 구멍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1 내지 10㎛인 것으로 해도 되고, 0.3 내지 1.5㎛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다공질 시트의 공공률(空孔率)은, 예를 들면, 5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6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공공률은 9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되고, 8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불소수지는, 다공질 시트를 구성할 수 있는 불소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불소수지는, 그 융점이 16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23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3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32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높은 내열성이 요구되는 물품에 사용할 경우에는, 특히 융점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불소수지의 융점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5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터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및 폴리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PCTF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소수지인 것으로 해도 된다.
제2 불소수지는,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이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은, 15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22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은, 34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되고, 33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되고, 31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불소수지는,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터 공중합체(PFA), 에틸렌-클로로트라이클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소수지인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불소수지는, 예를 들면, FEP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불소수지는, 제1 불소수지와 비교해서 융점이 작은 것이면,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와 동일 조성인 것이어도 된다. 즉, 제1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며, 제2 불소수지는, 제1 불소수지와 비교해서 융점이 작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인 것으로 해도 된다. 한편, 동일 조성의 수지이어도, 중합도, 결정성 등의 차이에 따라서 융점을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불소수지와 제2 불소수지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해당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50℃ 이상으로 해도 되며, 10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는 그 융점이 320℃ 이상인 불소수지(예를 들면, PTFE)이고, 또한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이 제1 불소수지의 해당 융점보다도 10℃ 이상 낮아도 되고, 50℃ 이상 낮아도 되며, 100℃ 이상 낮아도 된다.
또, 제1 불소수지 및 제2 불소수지는, 상기 물품의 종류를 막론하고, 전술한 것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제조 방법은,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즉, 그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수지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해당 수지제 시트의 해당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것, (b)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를 가열하는 것, 및 (c) 상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상기 공정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킨다. 접촉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에, 제2 불소수지의 시트를 접촉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에, 분말 형태의 제2 불소수지를 도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에, 제2 불소수지를 용제에 녹여서 얻어진 조성물(예를 들면, 바니시(varnish))을 도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킨 후,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를 가열하고, 상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해당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해당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형성한다.
상기 가열 온도는,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열 온도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가열 온도가 제1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일 경우에는, 특히 접합 강도가 큰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15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26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며, 28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3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며, 33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36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가열 온도는 50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된다. 즉, 가열 온도는, 150℃ 내지 500℃인 것으로 해도 되고, 260℃ 내지 500℃인 것으로 해도 되며, 310℃ 내지 500℃인 것으로 해도 되고, 330℃ 내지 500℃인 것으로 해도 되며, 360℃ 내지 500℃인 것으로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온도는 150 내지 200℃인 것으로 해도 되고, 260 내지 300℃인 것으로 해도 되며, 310 내지 330℃인 것으로 해도 되고, 330 내지 350℃인 것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 접합부의 형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해당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해당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이다. 해당 접합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켜서,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와 제2 불소수지를,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해당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에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해당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를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가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불소수지는 용융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제2 불소수지의 적어도 일부는 용융되고,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의 구멍에 인입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그 후 가열된 일부가 냉각되면, 해당 제1 불소수지는 구멍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된 채 수축하고, 앵커 효과에 의해 강고한 접합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이 경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제2 불소수지의 층 사이에는, 제2 불소수지가 제1 불소수지의 가는 구멍에 인입됨으로써 형성된,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 전술한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를, 제1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가열한 경우, 제1 불소수지 및 제2 불소수지의 분자운동은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의 가열 온도인 경우에 비해서, 보다 활발해져, 해당 제2 불소수지와 해당 제1 불소수지가 용융된다. 용융된 상기 제1 불소수지와 상기 제2 불소수지는, 혼합하여, 서로 얽혀, 가열이 끝나면 식어서 수축한다. 가열된 해당 부분이 식을 때에, 제1 불소수지는, 가열 온도가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인 경우에 비해서, 수축의 정도가 크다. 그 결과,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의 가열 온도의 경우에 비해서, 접합의 강도는 더욱 높아진다. 또한, 가열 온도가, 제1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이어도, 본 제조 방법에 따른 접합부는, 제2 불소수지가 제1 불소수지의 가는 구멍에 인입됨으로써 형성된 제3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물품(이하, 「본 물품」이라 기재함)은, 상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해당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해당 제1 층과 해당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포함한다. 즉, 본 물품에 따른 물품은, 전술한 본 제조 방법에 따른 접합부와 마찬가지 구성을 지니는 접합부이다. 따라서, 본 물품은, 전술한 본 제조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즉, 본 물품에 따른 제1 불소수지 및 제2 불소수지는, 전술한 본 제조 방법에서 기술한 것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채용할 수 있다. 제1 불소수지 및 제2 불소수지의 융점에 대해서도 전술한 본 제조 방법에 따른 것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합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물품에 따른 접합부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이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접합부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다공질 시트를 사용한 예이다. 제2 불소수지로서는 제2 불소수지의 비다공질 시트를 이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의 비다공질 시트를 이용하였다. 가열 온도는 도 13에 있어서는 약 400℃, 도 14에 있어서는 약 350℃이다.
상기 접합부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1)과, 해당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2)과, 해당 제1 층과 해당 제2 층 사이에 있는 해당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3)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부에 포함되는 제1 층(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층이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층(1)에는, 복수의 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물품이 전술한 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경우, 상기 접합부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켜,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해당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해당 일부를 가열해서 형성된다. 즉, 제1 층은, 상기 다공질 시트 유래의 층이며, 해당 다공질 시트의 일부가 다공질구조를 유지한 채 형성된 층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층(2)은 제2 불소수지의 층이다. 전술한 대로, 본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접합부를,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가열해서 형성한다. 따라서, 제2 불소수지는 용융되고, 제2 층(2)은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중실 구조의 층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층(2)은 비다공질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층(3)은, 제1 층(1)과 제2 층(2)과의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층이다. 제3 층(3)은, 비다공질이며,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층(1)에 있어서의 구멍(110)과 같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층이다.
여기에서, 제3 층(3)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비교를 위하여 준비한 비다공질 PTFE의 주사형 전자현미경의 화상이다. 즉, 도 17 및 도 18은, PTFE 분말을 압축성형한 것을, 각각 370℃ 및 390℃에서 10시간 가열해서 소성시켜서 얻어진 비다공질의 PTFE 수지의 전자현미경화상이다.
도 17 및 도 1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FE 수지를 소성시켜서 얻어진 비다공질 PTFE에는 특유한 비직선적이고, 복잡하게 뒤얽힌 구김살 무늬가 있다. 여기에서, 도 13 및 도 14의 제1 층(1) 및 제3 층(3)과, 도 17 및 도 18의 소성 PTFE를 비교하면, 제1 층(1) 및 제3 층(3)에는, 전술한 비다공질의 소성 PTFE의 구김살 무늬와 유사한 비직선적이고, 복잡하게 뒤얽힌 모양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다공질의 제1 층(1)은,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 유래이므로, 해당 제1 층은 제1 불소수지의 층이다. 제3 층(3)은, 도 17 및 도 18, 및 도 13 및 도 14의 제1 층(1)과 같은 모양이 있으므로, 제1 불소수지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제2 층(2)에는 상기 모양이 보여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1 불소수지 이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제1 불소수지 이외에 이용한 것은, 제2 불소수지이기 때문에, 제2 층(2)은 제2 불소수지의 층이다.
도 19는, 제3 층이 제1 불소수지의 구멍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어 형성된 경우의 접합부의 모식도이다. 즉, 도 19에 있어서, 제3 층(3)은, 제1 불소수지 시트(100)의 구멍(110)에 제2 불소수지(103)가 인입되어,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제3 층은 제1 불소수지의 구멍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층은, 제1 불소수지의 구멍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어 형성된 층일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물품은,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해당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해당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해당 다공질 시트인 부분(즉, 그 적어도 한쪽이 해당 다공질 시트인, 해당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은, 상기 접합부를 포함해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물품이,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할 경우, 전술한 본 제조 방법에 따른 상기 공정은, 상기 수지제 시트로 상기 내포물을 감싼 후,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상기(a) 내지 (c)에 의해 해당 수지제 시트의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인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내포물은, 예를 들면, 단열재이어도 된다. 단열재는, 열의 유출입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열재는, 예를 들면, 섬유, 분말 성형체, 발포체, 진공단열재 및 기체단열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섬유 또는 유기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무기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암면, 유리섬유, 멀라이트(mullite) 섬유, 알루미나 섬유 및 실리카 알루미나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분말 성형체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 입자, 멀라이트 입자, 코디라이트 입자, 실리카 입자 및 규산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말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발포체를 이용할 수 있다. 수지발포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타이렌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폴리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폼 및 폴리이미드 폼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기체 단열재는, 자루에 기체를 충전한 것이어도 된다. 기체는, 예를 들면 질소나 공기이어도 된다. 즉, 단열재는, 공기 단열재이어도 된다.
또, 단열재는, 예를 들면, 150℃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이 0.061W/(m·K) 이하인 단열재인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단열재는, 섬유, 분말 성형체, 발포체, 진공 단열재 및 기체 단열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이며, 또한 150℃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이 0.061W/(m·K) 이하인 단열재인 것으로 해도 된다.
내포물이 단열재일 경우, 본 물품은, 단열성 제품인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열성 제품은, 보온재 또는 보냉재인 것으로 해도 된다. 보온재의 단열재로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섬유성형체, 분말 성형체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냉재의 단열재로서는, 발포체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우레탄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포물은 발열재이어도 된다. 발열재는, 예를 들면, 발열선이어도 된다.
상기 내포물이 단열재인 경우, 본 제조 방법은, 단열성 제품의 제조법인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제조 방법은, 보온재의 제조 방법인 것으로 해도 되고, 또 보냉재의 제조 방법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내포물이 발열재인 경우, 본 제조 방법은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인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제조 방법은, 상기 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상기 공정 이외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공정을 제1 공정이라고 하면, 본 제조 방법은, 해당 제1 공정 전에, 상기 다공질 시트를, 상기 내포물의 외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이 경우, 본 물품에 따른 상기 다공질 시트는, 상기 내포물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상기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된 다공질 시트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다공질 시트는, 그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상기 내포물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형태로 프레스됨으로써 얻어진, 해당 내포물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다공질 시트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는, 내포물의 외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내포물을 넣은 후 해당 내포물과 해당 다공질 시트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경우에 비해서, 생산 효율이 양호하다. 또 내포물의 파손이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물품은, 전술한 접합부를 포함하고 있으면, 전술한 물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상기 물품은, 의류, 필터, 방수 시트, 맞춤새 재료, 보냉재나 개스킷 등이어도 된다.
이하, 본 물품이, 보온재 또는 재킷 히터일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합부에 대해서, 제2 불소수지가 제1 불소수지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접합부를 형성하고 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는, 전술한 제1 층과 제2 층과, 해당 제1 층과 해당 제2 층 사이에 있는 제3 층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해당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10)(10A, 10B)는, 단열재(101)와, 단열재(101)를 에워싸는 외장재(102)를 포함하고, 외장재(102)는, 그 단부끼리가 접합되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구성되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는, 다공질 시트(102a) 및 다공질 시트(102b)와 제2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10)(10A, 10B)는, 단열재(101)와, 상기 단열재(101)를 에워싸는 외장재(102)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102)는, 그 단부끼리가 접합되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구성되며, 상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에 포함되는 단열재(101)는, 예를 들면, 무기 성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무기 성형체란, 예를 들면, 암면, 유리섬유, 멀라이트 섬유,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 알루미나 섬유 등의 무기 섬유, 또는, 세라믹스 분체(예를 들면, 알루미나, 멀라이트, 코디라이트, 실리카등)로 형성되는 성형체인 것으로 해도 된다. 게다가, 상기 섬유와 세라믹스 분체를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이루어진 성형체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그 밖에도 규산 칼슘으로 형성되는 무기질의 성형체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10)에 포함되는 외장재(10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재(101)를 외장재(102)의 외부에 노출하는 일이 없도록 내포하고 있다. 외장재(102)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다. 즉, 외장재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외장재(102)가,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일 경우,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열에 의해서 따뜻해져도, 해당 외장재가 팽창해서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다공질 시트의 구멍을 통해서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외장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배관(500) 등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10)는, 해당 배관(500) 등으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저감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제1 불소수지란, 융점이 320℃ 이상인 불소수지이며,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인 것으로 해도 된다.
외장재(1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내포되는 단열재(101)를 밀봉하고, 예를 들면, 단열재(101)가 세라믹스 분체 등에 의해서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분체가 보온재(10)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외장재(102)가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예를 들면, 구멍 직경 0.01 내지 10㎛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되고, 0.3 내지 1.5㎛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외장재(1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공공률은 5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공공률이 60% 이상일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한, 공공률의 상한치에 관해서는 특별히 규정이 없지만, 공공률은 9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되고, 8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공질 시트의 구멍은 해당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10)는 배관(500) 등의 보온 또는 가열 대상물의 외형을 따른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보온재(10)에 포함되는 단열재(101), 외장재(102)도 또 입체적인 형상을 갖고 있고, 해당 외장재(102)는 복수의 수지제 시트를 접합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는 배관뿐만 아니라, 플랜지, 이음새, 밸브 등에 대해서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보온재(10)의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해당 외장재(102)에 내포되는 단열재(101)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제1 불소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 형태의 불소수지 시트를, 연신 등 하여 구멍을 형성하고, 그 후, 내포되는 단열재(101)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여,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보온재(10)에 있어서의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고 있다. 그리고,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전술한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의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해당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불소수지란, 융점이 310℃ 이하인 불소수지이며,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ETFE, PCTFE, PFA, ECTFE 및 PVDF로부터 이루어진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소수지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불소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불소수지는, 제1 불소수지와 비교해서 융점이 작은 것이기만 하면, 동일 조성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며, 제2 불소수지는, 제1 불소수지와 비교해서 융점이 작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인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불소수지 및 제2 불소수지 제 각기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은, 분자량, 중합량, 혹은 결정성 등의 차이에 따라서 융점을 각각 다른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10)의 외장재(1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모든 단부끼리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10)에 포함되는,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a,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10)의 외장재(1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재(102)는 단열재(101)를 내부에 내포하고 있다. 또한,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103)가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불소수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불소수지는 친수, 친유성이 부족하므로 일반적인 석유계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부에 있어서의 접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단부의 접합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제조 방법은, 수지제 시트로 단열재를 에워싼 후, 해당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해당 수지제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a) 해당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에 전술한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것, (b)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해당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는 것, 및 (c) 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보온재의 제조 방법이 제2 공정을 포함할 경우, 상기 공정은 제1 공정이다.
상기 가열 온도는,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열 온도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지제 시트로 상기 단열재를 에워싼 후,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켜,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고,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10)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단열재(101)를 에워싼 후,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에,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103)를 접촉시키고,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고, 제2 불소수지(103)를 녹이고,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의 내부에 제2 불소수지(103)가 인입되고,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써서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함으로써, 해당 단부끼리의 밀착성은 향상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함으로써,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단부끼리의 접합은, 앵커 효과에 의해 강고한 것으로 된다.
도 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단부의 접합은, 다공질 시트를 구성하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함으로써,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질 시트의 구멍을, 가열에 의해 소실시키지 않도록,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벌어져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10℃ 이상이 되도록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앵커 효과에 의해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의 접합이 강고하게 되는 것이 확실한 것으로 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50℃ 이상인 것은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1 공정에 이용되는 제2 불소 함유 수지는, 시트 형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분말 형태인 것으로 해도 되며, 바니시 형태인 것으로 해도 된다. 도 2a에는, 시트 형상인 제2 불소 함유 수지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불소 함유 수지는, 시트 형상일 경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 부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 부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는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된다.
보온재(10)의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해당 외장재(102)에 내포되는 단열재(101)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제1 불소수지에 의해 형성된 평면 형상의 불소수지 시트를, 연신 등 해서 구멍을 형성하고, 그 후, 내포되는 단열재(101)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여,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다공질 시트가 외장재에 내포되는 단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제1 공정 전에, 다공질 시트를, 내포물인 단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는, 발열재와, 해당 발열재를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되, 해당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해당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해당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전술한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는, 발열재와, 상기 발열재를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단열재(101)를 발열재(105)로 치환한 구성을 지니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11)(11A, 11B)는, 발열재(151)와, 발열재(151)를 에워싸는 외장재(102)를 포함하되, 외장재(102)는, 그 단부끼리가 접합되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구성되고,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는, 다공질 시트(102a) 및 다공질 시트(102b)와, 제2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전술한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11)(11A, 11B)는, 발열재(151)와, 상기 발열재(151)를 에워싸는 외장재(102)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102)는, 그 단부끼리가 접합되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11)에 포함되는 발열재(151)는, 발열선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한편, 발열선에는, 리드 선(152)을 개재해서 전원접속용 커넥터(153)가 부착되는 것으로 된다. 또, 발열재는, 단열포 등의 단열재에 절연 피복된 발열선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단열포 등의 단열재에 절연 피복된 발열선을 더욱 무기 섬유제 시트의 유리 천에 재봉실로 봉제하여 붙여진 것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발열재(151)는 불연난연섬유제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불연난연섬유제 시트는, 무기 섬유제 시트, 유기 섬유제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무기질 섬유제 시트는, 유리 섬유, 세라믹 섬유, 실리카 섬유 등의 무기 섬유재료에 니들(needle) 가공을 실시해서 콜로이달 실리카, 알루미나졸, 규산 소다 등의 무기질 바인더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라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 섬유제 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11)에 포함되는 외장재(10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열재(151)를 외장재(102)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일이 없도록 내포하고 있다. 외장재(102)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다. 즉, 외장재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외장재(102)가,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일 경우,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열에 의해서 따뜻해져도, 해당 외장재가 팽창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다공질 시트의 구멍을 통해서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외장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배관(500) 등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11)는, 해당 배관(500) 등으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저감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제1 불소수지란, 융점이 320℃ 이상인 불소수지이며,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인 것으로 해도 된다.
외장재(1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내포되는 발열재(151)를 밀봉하고, 예를 들면, 발열재(151)가 세라믹스 분체 등에 의해 형성된 단열재를 포함할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분체가 재킷 히터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외장재(1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예를 들면, 구멍 직경 0.01 내지 10㎛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되고, 구멍 직경 0.3 내지 1.5㎛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외장재(1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공공률은 5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공공률이 60% 이상일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한, 공공률의 상한치에 관해서는 특별히 규정이 없지만, 공공률은 9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되고, 80% 이하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공질 시트의 구멍은 해당 시트의 두께 방향에 관통하는 구멍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11)는 배관(500) 등의 보온 또는 가열 대상물의 외형을 따른 입체적 형상을 갖는 것이다. 그 때문에, 재킷 히터(11)에 포함되는 발열재(151), 외장재(102)도 또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해당 외장재(102)는 복수의 수지제 시트를 접합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재킷 히터(11)의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해당 외장재(102)에 내포되는 발열재(151)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제1 불소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 형상의 불소수지 시트를, 연신 등 하여 구멍을 형성하고, 그 후, 내포되는 발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여,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재킷 히터(11)에 있어서의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고 있다. 그리고,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전술한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해당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불소수지란, 융점이 310℃ 이하인 불소수지이며,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ETFE, PCTFE, PFA, ECTFE 및 PVDF로 이루어진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소수지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불소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불소수지는, 제1 불소수지와 비교해서 융점이 작은 것이기만 하면, 동일 조성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며, 제2 불소수지는, 제1 불소수지와 비교해서 융점이 작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인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불소수지 및 제2 불소수지 제 각기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은, 분자량, 중합량 혹은 결정성 등의 차이에 따라서 융점을 각각 다른 것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11)의 외장재(1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모든 단부끼리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11)에 포함되는,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11)의 외장재(1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재(102)는 발열재(151)를 내부에 내포하고 있다. 또한,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103)가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는 불소수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불소수지는 친수, 친유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석유계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부에 있어서의 접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단부의 접합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은, 수지제 시트로 발열재를 에워싼 후, 해당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해당 수지제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a) 해당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것, (b)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해당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는 것, (c) 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이 제2 공정을 포함할 경우, 상기 공정은 제1 공정이 된다.
상기 가열 온도는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온도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는, 외장재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해당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지제 시트로 상기 발열재를 에워싼 후,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고,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20)는,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다공질 시트(102a, 102b)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로 발열재를 에워싼 후,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에,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103)를 접촉시키고,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고, 제2 불소수지(103)를 녹이고,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110)의 내부에 제2 불소수지(103)가 인입되고, 해당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해당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이용해서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함으로써, 해당 단부끼리의 밀착성은 향상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접합부와 같이,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2개의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구멍(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함으로써,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단부끼리의 접합은, 앵커 효과에 의해 강고한 것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장재(1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단부의 접합은, 다공질 시트를 구성하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함으로써, 제2 불소수지(103)를 녹이고, 다공질 시트의 구멍(110)의 내부에 제2 불소수지(103)가 인입되고,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질 시트의 구멍(110)을, 가열에 의해 소실시키지 않도록,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벌어져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10℃ 이상이 되도록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앵커 효과에 의해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의 접합이 강고한 것이 되는 것이 확실한 것으로 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1 공정에 이용되는 제2 불소 함유 수지는, 시트 형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분말 형태인 것으로 해도 되고, 바니시 형태인 것으로 해도 된다. 도 4a에는, 시트 형상인 제2 불소 함유 수지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불소 함유 수지는, 시트 형상일 경우,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 부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공질 시트(102a, 102b)의 접합 부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는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다공질 시트가 외장재에 내포되는 발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제1 공정 전에, 다공질 시트를, 내포물인 발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102)를, 다른 외장재(202)로 치환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와 마찬가지이다. 또,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 있어서의 단열재(10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서 이용된 단열재(101)와 마찬가지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20)(20A, 20B)는, 단열재(101)와, 단열재(101)를 에워싸는 외장재(202)를 포함하되, 외장재(2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와, 해당 제1 불소수지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로 구성되고,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는, 외장재(2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로 형성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20)(20A, 20B)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101)를 에워싸는 외장재(202)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2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와, 상기 제1 불소수지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202a)와 상기 불소수지 시트(202b)는, 상기 외장재(2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질 시트(202a)와 상기 불소수지 시트(2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상기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20)(20A, 20B)의 외장재(202)는, 구멍이 구비된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와, 구멍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20)에 있어서도, 외장재(202)가,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이기 때문에,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열에 의해서 따뜻해져도, 해당 외장재가 팽창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을 통해서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외장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배관(500) 등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20)는, 해당 배관(500) 등으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저감되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란,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PTFE 등의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외장재(2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202a)에는, 내포되는 단열재(101)를 밀봉하고, 예를 들면, 단열재(101)가 세라믹스 분체 등에 의해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분체가 보온재(10)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예를 들면,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 직경, 공공률에 대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행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불소수지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FEP등의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가, 보온 등의 대상물(예를 들면 도 5에 있어서의 배관(500))과 접하는 쪽에 구비되는 경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은 2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20)의 외장재(2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는, 해당 외장재(2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의 내부에,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20)에 포함되는, 외장재(2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접합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와 불소수지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20)의 외장재(202)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재(202)는, 단열재(101)를 내부에 내포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202a),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제2 불소수지가,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장재(202)를 구성하는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202a), 불소수지 시트(202b))의 단부의 접합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와, 상기 제1 불소수지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와 상기 불소수지 시트는, 상기 외장재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제조 방법은, 해당 다공질 시트 및 해당 불소수지 시트로 해당 단열재를 에워싼 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a) 해당 다공질 시트 및 해당 불소수지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끼리 접촉시키는 것, (b)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해당 다공질 시트 및 해당 불소수지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는 것, (c)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보온재의 제조 방법이 제2 공정을 포함할 경우, 상기 공정은 제1 공정이다.
상기 가열 온도는,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온도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다공질 시트 및 상기 불소수지 시트로 상기 단열재를 에워싼 후, 상기 다공질 시트 및 상기 불소수지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끼리 접촉시켜,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 및 상기 불소수지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고,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해당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외장재(202)에 일부에,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를 이용해서, 다공질 시트(202a)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함으로써, 해당 단부끼리의 밀착성은 앵커 효과에 의해 향상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단부의 접합은,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함으로써,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질 시트의 구멍을, 가열에 의해서 소실시키지 않도록,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벌어져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10℃ 이상이 되도록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앵커 효과에 의해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의 접합이 강고하게 되는 것이 확실하게 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외장재(202)에 있어서,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는, 보온 등 행하는 대상물(예를 들면 도 5의 경우, 배관(500))과 접하는 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다공질 시트가 외장재에 내포되는 단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제1 공정 전에, 다공질 시트를, 내포물인 단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102)를, 다른 외장재(202)로 치환한 것 이외에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와 마찬가지이다. 또,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에 있어서의 발열재(151)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서 이용된 발열재(151)와 마찬가지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21)(21A, 21B)는, 발열재와, 발열재(151)를 에워싸는 외장재(202)를 포함하되, 외장재(2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와, 제1 불소수지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로 구성되고,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는, 외장재(2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로 형성되는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21)(21A, 21B)는, 발열재와, 상기 발열재(151)를 넣는 외장재(202)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2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와, 상기 제1 불소수지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202a)와 상기 불소수지 시트(202b)는, 상기 외장재(2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질 시트(202a)와 상기 불소수지 시트(2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상기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21)(21A, 21B)의 외장재(202)는, 구멍을 구비한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와, 구멍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21)에 있어서도, 외장재(202)가,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이기 때문에,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열에 의해 따뜻해져도, 해당 외장재가 팽창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을 통해서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외장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배관(500) 등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21)는, 해당 배관(500) 등으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저감되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란,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PTFE 등의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외장재(2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202a)에는, 내포되는 발열재(151)를 밀봉하고, 예를 들면, 발열재(151)가 세라믹스 분체 등에 의해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분체가 재킷 히터(10)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예를 들면,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 직경, 공공률에 대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행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 제2 불소수지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FEP 등의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가, 보온 등의 대상물(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의 배관(500))과 접하는 쪽에 구비되는 경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은 2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21)의 외장재(2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는, 외장재(2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로 형성되는 전술한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21)의 외장재(2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는, 해당 외장재(2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의 내부에,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21)에 포함되는, 외장재(2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접합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와 불소수지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21)의 외장재(202)는,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재(202)는 발열재(151)를 내부에 내포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202a),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제2 불소수지가, 다공질 시트(202a)의 구멍(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장재(202)를 구성하는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202a), 불소수지 시트(202b))의 단부의 접합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와, 상기 제1 불소수지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와 상기 불소수지 시트는, 상기 외장재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은, 다공질 시트(202a) 및 불소수지 시트(202b)으로 발열재(151)를 에워싼 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a) 다공질 시트(202a) 및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 접촉시키는 것, (b) 해당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202a) 및 불소수지 시트(202b)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는 것, (c) 다공질 시트(202a)와 불소수지 시트(202b)로 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이 제2 공정을 포함할 경우, 상기 공정은 제1 공정이다.
상기 가열 온도는,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온도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다공질 시트 및 상기 불소수지 시트로 상기 발열재를 에워싼 후, 상기 다공질 시트 및 상기 불소수지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끼리 접촉시켜서,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 및 상기 불소수지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고,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해당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외장재(202)에 일부에,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를 이용해서, 다공질 시트(202a)와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함으로써, 해당 단부끼리의 밀착성은 앵커 효과에 의해 향상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의 단부의 접합은,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함으로써,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질 시트의 구멍을, 가열에 의해 소실시키 않도록,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벌어져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10℃ 이상이 되도록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앵커 효과에 의해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의 접합이 강고하게 되는 것이 확실한 것으로 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외장재(202)에 있어서,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는, 보온 등을 행하는 대상물(예를 들면 도 7의 경우, 배관(500))과 접하는 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열재로부터의 열이 보다 균일하게 배관(500)에 전달되는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 시트가 외장재에 내포되는 발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제1 공정 전에, 다공질 시트를, 내포물인 발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102)를, 다른 외장재(302)로 치환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와 마찬가지이다. 또,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 있어서의 단열재(10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서 이용된 단열재(101)와 마찬가지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30) (30A, 30B)은 단열재(101)와, 단열재(101)를 에워싸는 외장재(302)를 포함하되, 외장재(3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고,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는, 외장재(3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302a)와 제2 불소수지(103)로 형성되는 전술한 접합부를 포함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30)(30A, 30B)는, 단열재(101)와, 상기 단열재(101)를 에워싸는 외장재(302)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3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302a)와 상기 수지 시트(302b)는, 상기 외장재(3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질 시트(302a)와 상기 수지 시트(3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302a)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30) (30A, 30B)의 외장재(302)는, 구멍을 구비한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와, 구멍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30)에 있어서도, 외장재(302)가,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302a)이기 때문에,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열에 의해서 따뜻해져도, 해당 외장재가 팽창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을 통해서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외부에 배출되어, 외장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배관(500) 등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30)은, 해당 배관(500) 등으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저감되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란,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PTFE등의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외장재(3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302a)에는, 내포되는 단열재(101)를 밀봉하고, 예를 들면, 단열재(101)가 세라믹스 분체 등에 의해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분체가 보온재(10)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예를 들면,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 직경, 공공률에 대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행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다공질 시트(302a) 및 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불소수지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FEP 등의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수지 시트(302b)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터 공중합체), FEP(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등이 바람직하고, PCTFE(폴리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 ETFE(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ECTFE(클로로트라이클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PVDF(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에, 폴리아마이드, 폴리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에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터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터에터케톤, 폴리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폴리메틸펜텐 등의 열가요성 수지인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수지 시트(302b)가, 보온 등의 대상물(예를 들면 도 9에 있어서의 배관(500))과 접하는 쪽에 구비되는 경우, 해당 수지 시트(302b)를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은, 2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수지 시트(302b)를 구성하는 재료는, 나중에 설명을 행하는 제2 불소수지와 높은 밀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융점이 제2 불소수지와 가까운 것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지 시트(302b)와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미만인 것이 적합하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30)의 외장재(3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는, 해당 외장재(3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제2 불소수지(103)를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으며,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302a) 및 수지 시트(302b)와, 제2 불소수지(103)로 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의 내부에,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302a), 수지 시트(302b))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30)에 포함되는, 외장재(3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의 접합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와 수지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b는 도 10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30)의 외장재(302)는,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재(302)는, 단열재(101)를 내부에 내포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302a), 불소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103)가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302a), 불소수지 시트(302b))의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장재(302)를 구성하는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302a), 수지 시트(302b))의 단부의 접합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외장재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302a)와 상기 수지 시트(302b)는, 상기 외장재(3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제조 방법은, 다공질 시트(302a) 및 수지 시트(302b)가 단열재(101)를 에워싼 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해당 제2 불소수지(103)와 수지 시트(302b)가 일체로 되어,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a) 다공질 시트(302a) 및 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해당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삽입하는 것, (b)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302)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는 것, (c) 다공질 시트(302a)와 해당 제2 불소수지로 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보온재의 제조 방법이 제2 공정을 포함할 경우, 상기 공정은 제1 공정이 된다.
상기 가열 온도는,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온도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질 시트(302a) 및 상기 수지 시트(302b)로 상기 단열재를 에워싼 후, 상기 다공질 시트(302a) 및 상기 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삽입하고,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고, 용융한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또한 상기 수지 시트와 일체로 되어서,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해당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외장재(302)의 일부에,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를 이용해서, 다공질 시트(202a) 및 수지제 시트(302b)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함으로써, 해당 단부끼리의 밀착성은 앵커 효과에 의해서 향상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와 수지제 시트의 단부의 접합은,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함으로써,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다공질 시트와 수지제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질 시트의 구멍을, 가열에 의해 소실시키지 않도록,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벌어져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10℃ 이상이 되도록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앵커 효과에 의해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의 접합이 강고한 것이 되는 것이 확실한 것이 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1 공정에 이용되는 제2 불소 함유 수지는, 시트 형상인 것으로 해도 되고, 분말 형태인 것으로 해도 되고, 바니시 형태인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불소 함유 수지는, 시트 형상일 경우,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제 시트(302b)의 접합 부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제 시트(302b)의 접합 부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는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된다.
또, 다공질 시트가 외장재에 내포되는 단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제1 공정 전에, 다공질 시트를, 내포물인 단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0c는 도 10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다른 일례의 확대도이다. 도 10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재(3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에는, 오목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오목부(303)의 내부에, 용융된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오목부(303)는, 예를 들면, 줄 등을 이용해서 표면을 거칠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6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를 배관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102)를, 다른 외장재(302)로 치환한 이외에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와 마찬가지이다. 또,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에 있어서의 발열재(151)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보온재에서 이용된 발열재(151)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30)(30A, 30B)는 발열재(101)와, 상기 발열재(151)를 넣는 외장재(302)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3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302a)와 상기 수지 시트(302b)는, 상기 외장재(3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질 시트(302a)와 상기 수지 시트(3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해당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103)가 다공질 시트(302a)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다공질 시트(302a)와 해당 제2 불소수지(103)로 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30)(30A, 30B)는, 발열재(101)와, 상기 발열재(151)를 에워싸는 외장재(302)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재(3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302a)와 상기 수지 시트(302b)는, 상기 외장재(3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질 시트(302a)와 상기 수지 시트(3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302a)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30)(30A, 30B)의 외장재(302)는, 구멍이 형성된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202a)와,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30)에 있어서도, 외장재(302)가, 그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해당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302a)이기 때문에,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열에 의해서 따뜻해져도, 해당 외장재가 팽창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을 통해서 외장재 내부의 공기가 외부에 배출되어, 외장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배관(500) 등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30)는, 해당 배관(500) 등으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저감되는 것으로 된다.
또, 제1 불소수지란,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TFE 등의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외장재(302)에 이용되는 다공질 시트(302a)에는, 내포되는 발열재(151)를 밀봉하고, 예를 들면, 발열재(151)가 세라믹스 분체 등에 의해서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분체가 재킷 히터(10)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예를 들어,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 직경, 공공률에 대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행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 다공질 시트(302a) 및 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불소수지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FEP 등의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수지 시트(302b)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터 공중합체), FEP(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고, PCTFE(폴리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 ETFE(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ECTFE(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PVDF(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에,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폴리페닐렌 에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터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터에터케톤, 폴리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폴리메틸펜텐 등의 열가소성 수지인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수지 시트(302b)가, 보온 등의 대상물(예를 들면 도 11에 있어서의 배관(500))과 접하는 쪽에 구비되는 경우, 해당 수지 시트(302b)를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은 2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수지 시트(302b)를 구성하는 재료는, 나중에 설명을 행하는 제2 불소수지와 높은 밀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융점이 제2 불소수지와 가까운 것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지 시트(302b)와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미만인 것이 적합하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30)의 외장재(3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는, 해당 외장재(3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제2 불소수지를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으며,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302a)와 제2 불소수지(103)로 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가 접합되는 단부는,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의 내부에,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302a), 수지 시트(302b))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30)에 포함되는, 외장재(302)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의 접합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와 수지 시트의 접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b는 도 12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30)의 외장재(302)는,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재(302)는 발열재(151)를 내부에 내포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302a), 불소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는,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103)가 다공질 시트(302a)의 구멍(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302a), 불소수지 시트(302b))의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장재(302)를 구성하는 2개의 시트(다공질 시트(302a), 수지 시트(302b))의 단부의 접합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302)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로 구성되고,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 시트(302b)는, 외장재(302)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은, 다공질 시트(302a) 및 수지 시트(302b)로 발열재(151)를 에워싼 후, 다공질 시트(302a) 및 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해당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103)를 삽입하고, 해당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302a)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며, 다공질 시트(302a)와 제2 불소수지(103)에 의해 전술한 접합부를 형성하고, 또한, 제2 불소수지(103)와 수지 시트(301b)가 일체가 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 가열 온도는,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온도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 방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외장재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와, 수지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 시트와 상기 수지 시트는, 상기 외장재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다공질 시트 및 상기 수지 시트로 상기 발열재를 에워싼 후, 상기 다공질 시트 및 상기 수지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삽입하고,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하고, 용융한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또한, 상기 수지 시트와 일체가 되고, 해당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제1 공정을, 해당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킷 히터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외장재(302)의 일부에,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제의 불소수지 시트(202b)를 이용해서, 다공질 시트(202a) 및 수지제 시트(302b)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함으로써, 해당 단부끼리의 밀착성은 앵커 효과에 의해서 향상되고,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장재를 구성하는 다공질 시트와 수지제 시트의 단부의 접합은,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를 가열함으로써,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제2 불소수지가 인입되고, 해당 다공질 시트와 수지제 시트의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질 시트의 구멍을, 가열에 의해 소실시키지 않도록,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가 벌어져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10℃ 이상이 되도록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앵커 효과에 의해 다공질 시트의 단부끼리의 접합이 강고한 것이 되는 것이 확실한 것으로 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1 공정에서 이용되는 제2 불소 함유 수지는, 시트 형상인 것으로 되고, 분말 형태인 것으로 해도 되며, 바니시 형태인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불소 함유 수지는, 시트 형상일 경우,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제 시트(302b)의 접합 부분의 간격을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공질 시트(302a)와 수지제 시트(302b)의 접합 부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는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된다.
또, 다공질 시트가 외장재에 내포되는 발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해당 다공질 시트의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제1 공정 전에, 다공질 시트를, 내포물인 발열재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2c는, 도 12a에 있어서의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의 다른 일례의 확대도이다. 도 12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재(3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302b)의 접합되는 단부에는, 오목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오목부(303)의 내부에, 용융한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수지가 인입되고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오목부(303)는, 예를 들면, 줄 등을 이용해서 표면을 거칠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합부의 접합 강도를 평가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접합부의 형성]
제1 불소수지로서 PTFE를, 제2 불소수지로서 FEP를 사용해서, 접합부를 형성하였다. 즉, 우선, 길이 300㎜, 폭 60㎜의 다공질 PTFE 시트(2축 연신 시트, 융점 327℃, 공공률 71%인 것) 2매와, 비다공질 FEP 시트(융점 270±5℃) 1매를 준비하였다. 2매의 다공질 PTFE 시트 사이에 상기 FEP 시트를 끼워, 해당 PTFE 시트의 장변의 단부로부터 3 내지 5mm의 부위를, 압력을 가하면서 약 400℃의 가열 온도에서 가열해서 접합부를 형성하고, 2매의 다공질 PTFE 시트의 장변의 한쪽끼리 접합하였다.
[가열 온도의 측정]
가열 온도는, 열전쌍을 이용해서 다공질 PTFE 시트와 FEP 시트의 계면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즉, 다공질 PTFE 시트와 FEP 시트 사이에 있어서, 가열되어 접합되는 부분에, 0.1mm 직경의 K열전쌍을 20㎜ 간격으로 7개 배치하고, PTFE와 FEP의 계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각 열전쌍의 온도의 평균치를 가열 온도로 하였다.
실시예 2
가열 온도가 약 350℃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접합부를 형성하고, 2매의 PTFE 시트를 접착시켰다.
실시예 3
가열 온도가 약 327℃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접합부를 형성하고, 2매의 PTFE 시트를 접착시켰다.
실시예 4
가열 온도가 약 300℃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접합부를 형성하고, 2매의 PTFE 시트를 접착시켰다.
[접합 강도의 평가 방법]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시트의 접합체에 대해서, 접합 강도를 오토그래프에 의한 박리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즉,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접합된 시트를 30㎜ 폭으로 절단한 것을, 오토그래프(AG-50kGN, 주식회사 시마즈세이사큐소)를 이용해서, 접합된 2매의 다공질 PTFE 시트을 박리시키도록 200㎜/분의 속도로 인장시켰다. 그리고, 해당 2매의 다공질 PTFE 시트가 박리했을 때의 인장강도(N/30㎜)을 접합 강도로서 기록하였다.
[평가 결과]
전술한 오토그래프에 의한 방법으로 평가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접합 강도는, 각각 약 70N/30㎜, 약 60N/30㎜, 약 40N/30㎜였다. 또,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는, 전술한 오토그래프에 의한 시험은 실시하고 있지 않지만, 사람이 시트를 박리시켜서 강도를 평가하는 관능시험에 따르면, 실시예 3보다도 접합 강도는 작아 20 내지 30N/30㎜ 정도로 추측되었다. 이와 같이, 접합 강도는, 약 400℃에서 가열한 실시예 1이 가장 높고, 이어서, 약 350℃에서 가열한 실시예 2, 약 327℃에서 가열한 실시예 3, 그리고 약 300℃에서 가열한 실시예 4의 순이었다. 제1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인 경우에는, 특히 강도가 높았다. 가열 온도가 높을수록 강도가 높아진 이유로서는, 제3 층이 형성되는 것에 의한 앵커 효과가 고려되는 것 외에, 다공질 PTFE 시트 자체의 강도가 증대한 것도 요인으로 여겨진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접합은, 모두 용이하게 박리되는 일은 없고, 충분한 강도를 지니고 있었다.
도 14은 실시예 2에 따른 접합부의 단면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화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4의 점선이 삽입된 영역에는, 도 13의 제3 층의 모양과 마찬가지의 구김살 무늬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따른 접합부의 단면의 주사형 전자현미경화상이다. 도 15, 도 16은 전술한 구김살 무늬가 있는 층은 보이지 않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4의 접합도, 용이하게는 박리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지니고 있으므로, 제3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다공질 PTFE 층과 FEP 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층이 매우 얇기 때문에, 해당 배율에서는 명확히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1: 제1 층 2: 제2 층
3: 제3 층 10, 20, 30: 보온재
11, 21, 31: 재킷 히터 101: 단열재
102, 202, 302: 외장재 500: 배관
103: 제2 불소수지 110: 구멍
151: 발열재 152: 리드 선
153" 전원접속용 커넥터

Claims (16)

  1.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외장재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의 단부(端部)끼리가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는 상기 외장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합부가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의 제1 층과,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끼리를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고,
    상기 내포물은 단열재이며,
    상기 물품은 단열성 물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2.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외장재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제 시트의 단부(端部)끼리가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는 상기 외장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합부가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의 제1 층과,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끼리를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고,
    상기 내포물은 발열재이며,
    상기 물품은 재킷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시트는, 상기 내포물의 외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상기 단부가 접합되기 전에,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은,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부분은,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상기 제2 불소수지가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단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6. 일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를 가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물품은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상기 일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은, 상기 수지제 시트로 상기 내포물을 에워싼 후,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부분을, 상기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는,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는,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이고,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는 상기 외장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포물은 단열재이고,
    상기 물품은 단열성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7. 일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제 시트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제 시트 중 1개는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일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부분을, 다음의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a)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에,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지니는 제2 불소수지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를 가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불소수지의 다공질의 제1 층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제2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비다공질의 제3 층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물품은 내포물과, 상기 내포물을 에워싸는, 상기 일부끼리 접합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수지제 시트로 구성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은, 상기 수지제 시트로 상기 내포물을 에워싼 후,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다공질 시트인 상기 부분을, 상기 (a) 내지 (c)에 의해, 상기 수지제 시트의 상기 일부끼리 접착하도록 접합하는 공정이며,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는, 상기 수지제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상기 일부는, 상기 다공질 시트의 접합되는 단부이고,
    상기 제1 불소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는 상기 외장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포물은 발열재이고,
    상기 물품은 재킷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온도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온도는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 미만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제1 공정이고,
    상기 제1 공정 전에, 상기 다공질 시트를, 상기 내포물의 외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미리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제2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c)는,
    상기 제2 불소수지를 녹이고, 상기 다공질 시트의 구멍의 내부에 상기 제2 불소수지를 인입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소수지의 융점과 상기 제2 불소수지의 융점의 차이는,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7023603A 2013-02-28 2014-02-27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05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9703 2013-02-28
JP2013039703 2013-02-28
PCT/JP2014/054936 WO2014133099A1 (ja) 2013-02-28 2014-02-27 フッ素樹脂の接合部を含む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155A KR20150122155A (ko) 2015-10-30
KR101905943B1 true KR101905943B1 (ko) 2018-10-08

Family

ID=5142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603A KR101905943B1 (ko) 2013-02-28 2014-02-27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97536B2 (ko)
JP (1) JP6321621B2 (ko)
KR (1) KR101905943B1 (ko)
CN (1) CN105026127B (ko)
TW (1) TWI630105B (ko)
WO (1) WO2014133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061B1 (ko) * 2014-11-25 2016-05-11 주식회사 티에스시 배관용 히터
EP3256237B1 (en) * 2015-02-13 2021-03-31 W. L. Gore & Associates, Inc. Venting apparatus
US10542587B2 (en) * 2015-12-08 2020-01-21 Temp4 Inc. Heating elements of large sizes and of metallic tubular designs
DK3354959T3 (da) * 2017-01-31 2020-02-03 Powerpipe Systems Ab Forbedret rørisolering
US11009170B2 (en) 2017-02-16 2021-05-18 Nichias Corporation Thermally conductive cover for piping system, heating device for piping system, manufacturing method and attachment method for thermally conductive c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ttachment method for heating device
JP7268500B2 (ja) * 2019-06-25 2023-05-08 オムロン株式会社 接合構造体
FR3127429B1 (fr) * 2021-09-27 2023-09-01 Eozia Installation pour la realisation en continu de coquilles cylindriques a proprietes isolantes et coquilles cylindriques associees
WO2024063474A1 (en) * 2022-09-19 2024-03-28 Kt&G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783A (ja) * 2001-03-30 2002-10-09 Nichias Corp マントル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5910A (ja) 2002-12-02 2004-07-02 Mitsui Kozan Material Kk 電熱ヒ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2521A (ja) 1986-11-13 1988-05-26 Asahi Glass Co Ltd 陽イオン交換膜の接合方法
JP3184387B2 (ja) * 1992-12-25 2001-07-09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可とう性多層チューブ
JPH0740442A (ja) * 1993-08-02 1995-02-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四弗化エチレン樹脂多孔質体の接着方法及びその構造物
JP2936155B1 (ja) 1998-02-23 1999-08-23 坂口電熱株式会社 パイプ加熱ヒータ
WO2001036831A1 (en) * 1999-11-12 2001-05-25 Daikin Industries,Ltd. Cylindrical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025251B2 (ja) * 2003-06-27 2007-12-1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防水施工用役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合構造、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783A (ja) * 2001-03-30 2002-10-09 Nichias Corp マントル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5910A (ja) 2002-12-02 2004-07-02 Mitsui Kozan Material Kk 電熱ヒ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6127B (zh) 2017-06-30
WO2014133099A1 (ja) 2014-09-04
JPWO2014133099A1 (ja) 2017-02-02
US9797536B2 (en) 2017-10-24
TWI630105B (zh) 2018-07-21
TW201500193A (zh) 2015-01-01
KR20150122155A (ko) 2015-10-30
CN105026127A (zh) 2015-11-04
US20160003397A1 (en) 2016-01-07
JP6321621B2 (ja)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943B1 (ko) 불소수지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5615514B2 (ja) 断熱材、これを用いた断熱構造及び断熱材の製造方法
US8449660B2 (en) Polytetrafluoroethylene porous membran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waterproof air-permeable filter
JPWO2018110055A1 (ja) 断熱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US20170356589A1 (en) Thermally Insulative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Article
KR20160063309A (ko) 재킷 히터
US10948120B2 (en) Heat insulating sheet
KR102686081B1 (ko) 공간 충전재 및 공간 충전 구조체, 그리고 그것들의 사용 방법
JP5037087B2 (ja) 多孔質ptfe層の形成方法、ならびにこの形成方法により得られる多孔質ptfe層および成型品
JP2004303580A (ja) テープヒーター
KR101105517B1 (ko) 단열 도관
JP6498097B2 (ja) 真空断熱材、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及び保温容器
JP2010281444A (ja) 断熱材
US12090742B2 (en) Thermally-insulating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1184917A (ja) 断熱材
KR101918825B1 (ko) 테이프 히터
JP2016191468A (ja) 真空断熱材用外包材、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付き機器
US20230422355A1 (en) Hea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7072222B2 (ja) 膜材及び膜構造物
JP2024010542A (ja) 多層チューブ
KR20190138538A (ko) 에어로젤 파이프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2107692A (ja) 断熱材及び保温バック
CN111902670A (zh) 绝热片、绝热材料和绝热片的制造方法
KR20010068173A (ko) 피브이씨를 이용한 내압용 호스 및 그 제작방법
JP2010151280A (ja) 断熱容器および断熱容器用断熱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