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493B1 - 회전형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회전형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493B1
KR101905493B1 KR1020180075796A KR20180075796A KR101905493B1 KR 101905493 B1 KR101905493 B1 KR 101905493B1 KR 1020180075796 A KR1020180075796 A KR 1020180075796A KR 20180075796 A KR20180075796 A KR 20180075796A KR 101905493 B1 KR101905493 B1 KR 10190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evel gear
gear
bear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준호
이명재
Original Assignee
노준호
이명재
주식회사 스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준호, 이명재, 주식회사 스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노준호
Priority to KR102018007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형 퀵 커플러는, 일측에 유압연결홀(11a)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연결플레이트(11)가 구비되며, 굴삭기 암대와 연결되는 연결대(14)가 구비된 본체(10)와; 상부가 상기 본체(10)의 연결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상판부(21)와 측벽부(22)에 의해 둘러쌓인 수용공간(22a)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수용공간(22a)과 연통된 측면개구부(26)가 형성된 일측돌출부(2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커버(20)와; 상기 기어커버(2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에 연결된 채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베벨기어(33)로 구성된 구동장치(30)와; 굴삭기 버킷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부에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는 하부플레이트(41)가 구비된 하부블록(40)과; 상기 하부블록(40)에 고정되며 상부는 상기 수용공간(22a)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 둘레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33)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4)가 형성되어 제1베벨기어(3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블록(40)을 회전시키고, 내주면에는 기어날(57)이 형성되어 있는 베벨기어유닛(50)과; 상기 베벨기어유닛(50) 내부에 설치되어 있되, 기어커버(20)에 고정되며, 유압연결홀(11a)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0)과; 일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날(57)과 치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동기어(91)가 형성되어 있는 브레이크이동암대(90)와; 타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내부의 로드(101)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이동암대(90)를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제동기어(91)를 기어날(57)과 치합시키는 유압실린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하부블록의 회전 동력 전달은 기어커버의 측면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와 하부블록에 고정된 베벨기어유닛상의 제2베벨기어의 치합 방식인 베벨기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베벨기어유닛의 내주면에는 기어날이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베벨기어유닛 내부 공간에는 제동기어가 구비된 브레이크이동암대와 유압실린더가 두 고정브라켓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레이크이동암대와 유압실린더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베벨기어유닛의 내부 공간에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어날과 제동기어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감속 과정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회전형 퀵 커플러{Rotating type quick coupler}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과 버켓을 연결하는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암에 연결되는 본체와, 버켓에 연결되는 하부블럭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압 공급에 의해 하부블럭이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되, 하부블럭의 회전 여부의 제어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형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용 버켓은 토목공사용으로 땅을 파거나 옮기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철이나 폐기물
등을 수거하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집게장치도 포크레인에 장착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포크레인용 링크(퀵 커플러)는, 상, 하 운동만으로 작업을 하게 되어 있어 포크레인의 작업범위가 한정되고, 더욱이 작업공간이 작은 경우 회전이 용이하지 않아 장비를 이동시키며 작업범위를 조정하여 작업을 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노력을 소요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퀵 커플러를 암에 연결되는 본체와, 버켓 등에 연결되는 하부블럭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하부블럭이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암의 회전 없이도 버켓이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한 회전형의 퀵 커플러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포크레인용 회전링크의 회전작업은, 작업자의 제어에 의하여 집게회전이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제어에 의하여 제동이 이루어지는바, 회전을 시작할 때에는 대부분 작업의 정교한 제어가 필요치 않으나, 회전을 정지시킬 때에는 정확한 위치에서 집게가 정지되어야만 충격 완화와 정교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압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함에 의하여 회전이 정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짐에 따라, 작업자가 유압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유압의 공급이 차단된 후 일정한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정지되어 완전 정지되기 전의 동작시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정교한 회전동작과 정지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충격 작업 및 정밀작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관련 기술로는 "회전형 퀵커플러"(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958호, 특허문헌 1)가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이 회전형 퀵 커플러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웜기어 방식의 감속의 경우 상부의 본체로부터 회전하는 하부블럭을 유압 제어에 의해 회전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하던 하부블럭이 감속할 때 막대한 하중 부담이 가해져 하부블럭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함에 있다.
KR 10-1783958 (2017.09.26)
본 발명의 회전형 퀵 커플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블록의 회전 동력 전달은 기어커버의 측면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와 하부블록에 고정된 베벨기어유닛상의 제2베벨기어의 치합 방식인 베벨기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베벨기어유닛의 내주면에는 기어날이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베벨기어유닛 내부 공간에는 제동기어가 구비된 브레이크이동암대와 유압실린더가 두 고정브라켓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레이크이동암대와 유압실린더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베벨기어유닛의 내부 공간에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어날과 제동기어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감속 과정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감속이 회전하는 베벨기어유닛의 내부에서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접촉 면적 증대를 통해 감속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베벨기어유닛에는 기어커버유닛 하부가 안착되는 상부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베벨기어유닛이 하부블록과 함께 회전하거나, 제동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하부블록의 회전 상태에서도 버켓 충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기어커버와 베벨기어유닛 사이에 스윙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기어커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형 퀵 커플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에 유압연결홀(11a)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연결플레이트(11)가 구비되며, 굴삭기 암대와 연결되는 연결대(14)가 구비된 본체(10)와; 상부가 상기 본체(10)의 연결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상판부(21)와 측벽부(22)에 의해 둘러쌓인 수용공간(22a)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수용공간(22a)과 연통된 측면개구부(26)가 형성된 일측돌출부(2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커버(20)와; 상기 기어커버(2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에 연결된 채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베벨기어(33)로 구성된 구동장치(30)와; 굴삭기 버킷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부에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는 하부플레이트(41)가 구비된 하부블록(40)과; 상기 하부블록(40)에 고정되며 상부는 상기 수용공간(22a)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 둘레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33)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4)가 형성되어 제1베벨기어(3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블록(40)을 회전시키고, 내주면에는 기어날(57)이 형성되어 있는 베벨기어유닛(50)과; 상기 베벨기어유닛(50) 내부에 설치되어 있되, 기어커버(20)에 고정되며, 유압연결홀(11a)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0)과; 일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날(57)과 치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동기어(91)가 형성되어 있는 브레이크이동암대(90)와; 타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내부의 로드(101)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이동암대(90)를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제동기어(91)를 기어날(57)과 치합시키는 유압실린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유닛(50)에는 중앙에 중앙홀(52)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앙홀(52)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기어커버(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안착홈(53)이 형성되어, 베벨기어유닛(50)의 상방향 이탈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은 중앙홀(52) 중간 부분에 스윙베어링안착부(56)가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윙베어링안착부(56)에는 상부가 상기 기어커버(20)에 결합되는 스윙베어링(60)이 안착되고, 상기 스윙베어링(60)과 중앙홀(52) 내벽면은 베어링부재(63a)를 통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커버(20)의 상판부(21)의 저부에는 상판부(21)와의 사이에 끼움부(28a)를 형성하는 보조측벽부(28)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윙베어링(60)은 베벨기어유닛(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측 둘레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상부안착홈(53)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어커버(20)의 끼움부(28a)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일측에 유압연결홀(11a)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연결플레이트(11)와, 연결플레이트(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측판(12)과,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1)의 저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일한 크기의 홀이 천공되어 있는 단턱형성플레이트(13)와, 굴삭기의 암대에 연결되도록 상기 두 측판(12)을 연결하는 연결대(14)와, 상기 유압연결홀(11a)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플레이트(11)와 단턱형성플레이트(13)를 관통하여 유압연결홀(11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부볼트체결홀(15)로 구성된 본체(10)와; 평판형의 상판부(21)와, 상기 상판부(21) 둘레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22a)을 형성하는 측벽부(22)와, 상기 상판부(21)와 측벽부(22)가 만나는 상부 모서리 일측에 외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일측돌출부(23)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부(21)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일한 크기의 동심원을 이루는 커버중앙유압홀(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중앙유압홀(24) 둘레에는 상기 상부볼트체결홀(15)과 일직선을 이루는 커버볼트체결홀(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돌출부(23)는 상기 수용공간(22a)과 연통되는 측면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부(21)에는 상기 본체(10)의 단턱형성플레이트(13)의 하부모서리가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홈(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21)의 저부에는 커버중앙유압홀(24)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면서 하향 돌출됨으로써 상판부(21)와의 사이에 끼움부(28a)를 형성하는 보조측벽부(28)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커버(20)와; 상기 기어커버(20)의 일측돌출부(23)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내주면에 베어링(31a)이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하우징(3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31)에 결합되면서, 축(32a)이 상기 베어링하우징(31)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의 축(32a)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위치하는 제1베벨기어(33)로 구성된 구동장치(30)와;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내경이 상기 유압연결홀(11a)보다 크게 이루어진 하부중앙홀(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중앙홀(41a)의 외곽에는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하부볼트체결홀(41b)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으로 중앙으로 이격된 위치에 베벨기어안착홈(41c)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4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1)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하부측판(42)과, 상기 두 하부측판(42)에 형성되어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고정후크(43)와, 상기 두 하부측판(42)을 연결하며 구동실린더(44b)와 결합된 가동후크(44a)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44)으로 구성된 하부블록(40)과; 하부 둘레가 상기 베벨기어안착홈(41c)에 안착되며, 저부에는 상기 하부볼트체결홀(41b)과 일직선을 이루는 연결볼트체결홀(51)이 형성되어 하부체결볼트(51a)가 상기 하부볼트체결홀(41b)과 연결볼트체결홀(5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블록(40)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중앙홀(41a)과 연통되는 중앙홀(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52)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기어커버(20)의 측벽부(22)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안착홈(5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둘레는 상기 제1베벨기어(33)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베벨기어(33)의 회전에 따라 제2베벨기어(54)가 맞물려 수평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중앙홀(52) 내주면은 상기 상부안착홈(53)의 하부에 베어링삽입홈(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삽입홈(55)의 하부에는 스윙베어링안착부(56)가 중앙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윙베어링안착부(56)의 하부에는 중앙홀(52)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기어날(57)이 형성되어 있는 베벨기어유닛(50)과; 하부가 상기 스윙베어링안착부(56)에 안착되되, 안착 상태에서 상측 둘레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상부안착홈(53)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어커버(20)의 끼움부(28a)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동일 크기를 가지는 중간유압연결홀(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유압연결홀(61)의 둘레에는 상기 커버볼트체결홀(25)과 일직선을 이루는 중간볼트체결홀(62)이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상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상부볼트(62a)가 상기 상부볼트체결홀(15), 커버볼트체결홀(25) 및 중간볼트체결홀(62)에 일직선으로 체결되고, 측면에는 상기 베어링삽입홈(55)과 맞대어져 원형 단면을 이루는 보조베어링삽입홈(63)이 형성되어 있어 베어링부재(63a)이 상기 베어링삽입홈(55)과 보조베어링삽입홈(63)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저부볼트체결홀(64)이 형성되어 있는 스윙베어링(60)과; 상기 스윙베어링(60)의 저부볼트체결홀(64)에 나사결합되는 상부몸체부(71)와, 상기 상부몸체부(7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부몸체부(71)보다 외경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스윙베어링(60)의 저부에 맞닿아 지지되는 중간몸체부(72)와, 상기 중간몸체부(72)의 하부에 중앙홀(52) 중심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 형태를 취하되, 저부에는 저부볼트체결홀(73a)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73)으로 구성된 링크축부재(70)와; 양측에 축관통홀(81)이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의 두 회전축(73)이 양측 축관통홀(81)에 끼워지고, 상기 저부볼트체결홀(73a)에 볼트결합되는 축고정볼트(81a)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고정브라켓(80)과; 일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중앙홀(52)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날(57)과 치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동기어(91)가 형성되어 있는 브레이크이동암대(90)와; 타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내부의 로드(101)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이동암대(90)를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제동기어(91)를 기어날(57)과 치합시키는 유압실린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하부블록의 회전 동력 전달은 기어커버의 측면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와 하부블록에 고정된 베벨기어유닛상의 제2베벨기어의 치합 방식인 베벨기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베벨기어유닛의 내주면에는 기어날이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베벨기어유닛 내부 공간에는 제동기어가 구비된 브레이크이동암대와 유압실린더가 두 고정브라켓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레이크이동암대와 유압실린더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베벨기어유닛의 내부 공간에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어날과 제동기어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감속 과정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감속이 회전하는 베벨기어유닛의 내부에서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접촉 면적 증대를 통해 감속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 베벨기어유닛에는 기어커버유닛 하부가 안착되는 상부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베벨기어유닛이 하부블록과 함께 회전하거나, 제동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하부블록의 회전 상태에서도 버켓 충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어커버와 베벨기어유닛 사이에 스윙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기어커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퀵 커플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고정브라켓, 브레이크이동암대, 유압실린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구성에 따른 제동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본체의 주요 부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하부블록의 주요 부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퀵 커플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회전형 퀵 커플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형 퀵 커플러는 전체적으로 본체(10), 기어커버(20), 구동장치(30), 하부블록(40), 베벨기어유닛(50), 스윙베어링(60), 링크축부재(70), 고정브라켓(80), 브레이크이동암대(90), 유압실린더(1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본체(10)는 도 1,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11), 측판(12), 단턱형성플레이트(13), 연결대(14), 상부볼트체결홀(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플레이트(11)는 평면상에서 도 4와 같은 형태를 취하며, 일측에는 원형의 유압연결홀(11a)이 형성되어 있다.
유압연결홀(11a)에는 특허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구동실린더(44b)에 외부로부터 유압이 전달될 수 있도록 유압 유로가 개재된 통상의 유압연결부(120)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다.
유압연결부(120)는 회전블록이 360도 회전하여도 다수의 유압 라인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는 것으로, 특허문헌 1 등 다수의 문헌에 공개되어 있는 통상의 것이 설치되는 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이 아니므로 그 내부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측판(12)은 통상의 퀵 커플러와 마찬가지로 두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플레이트(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굴삭기의 암대에 연결되도록 상기 두 측판(12)을 연결하는 연결대(14)가 구비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플레이트(11)의 저부에 단턱형성플레이트(13)가 설치된다.
도 1, 3, 4 등을 살펴보면, 단턱형성플레이트(13)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1)의 저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일한 크기의 홀이 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홀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연결을 위한 것이다.
더하여, 본체(10)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플레이트(11)와 단턱형성플레이트(13)를 관통하여 유압연결홀(11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부볼트체결홀(15)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기어커버는 도 1, 4,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판형의 상판부(21)와, 상기 상판부(21) 둘레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22a)을 형성하는 측벽부(22)와, 상기 상판부(21)와 측벽부(22)가 만나는 상부 모서리 일측에 외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일측돌출부(23)로 이루어진다.
일측돌출부(23)에는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베어링설치홈(23a)이 도면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상판부(21)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일한 크기의 동심원을 이루는 커버중앙유압홀(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중앙유압홀(24) 둘레에는 상기 상부볼트체결홀(15)과 일직선을 이루는 커버볼트체결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돌출부(23)는 상기 수용공간(22a)과 연통되는 측면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면개구부(16) 내부에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33)와 수용공간(22a) 내부에 설치되는 베벨기어유닛(50)상의 제2베벨기어(54)는 서로 연통되는 부분을 통해서 치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부(21)에는 상기 본체(10)의 단턱형성플레이트(13)의 하부모서리가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상판부(21)의 저부에는 커버중앙유압홀(24)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면서 하향 돌출됨으로써 상판부(21)와의 사이에 끼움부(28a)를 형성하는 보조측벽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구동장치(30)는 베어링하우징(31), 구동모터(32) 및 제1베벨기어(33)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하우징(31)은 도 1에서 좌우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며, 측벽면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본체(10)의 일측돌출부(23)의 둘레면에도 이 볼트홀과 일직선을 이루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볼트가 두 볼트홀을 관통하면서 체결됨에 따라 베어링하우징(31)은 기어커버(20)에 결합된다.
베어링하우징(31)의 내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며, 이 홈에는 도 6에 도시된 베어링(31a)이 설치된다.
구동모터(32)는 도 5에 도시된 볼트(미표기)를 통해 베어링하우징(31)에 결합되되, 그 축(32a)은 상기 베어링하우징(31)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위치한다.
더하여, 제1베벨기어(33)는 상기 구동모터(32)의 축(32a)과 끼움 결합되며,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벨기어(33)의 단부에는 상기 베어링설치홈(23a)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 베어링 내부에 끼워지도록 원형 단면의 베어링돌출부(33a)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하부블록(40)은 통상의 퀵 커플러의 하부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버켓과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41)와 하부측판(42), 고정후크(43), 회전축(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플레이트(41)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내경이 상기 유압연결홀(11a)보다 크게 이루어진 하부중앙홀(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중앙홀(41a)의 외곽에는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하부볼트체결홀(41b)이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하부플레이트(41)의 상면에는 하부볼트체결홀(41b)로부터 외곽 측에 베벨기어유닛(50)이 안착되는 베벨기어안착홈(41c)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측판(42)은 통상의 퀵 커플러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플레이트(4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고정후크(43)는 상기 두 하부측판(42)에 형성되어 어태치먼트가 결합된다.
또, 회전축(4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하부측판(42)을 연결하며 구동실린더(44b)와 결합된 가동후크(44a)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베벨기어유닛(50)은 도 1, 5,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둘레가 상기 베벨기어안착홈(41c)에 안착되며, 저부에는 상기 하부볼트체결홀(41b)과 일직선을 이루는 연결볼트체결홀(51)이 형성되어 하부체결볼트(51a)가 상기 하부볼트체결홀(41b)과 연결볼트체결홀(5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블록(40) 상부에 고정된다.
베벨기어유닛(5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중앙홀(41a)과 연통되는 중앙홀(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앙홀(52)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기어커버(20)의 측벽부(22)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안착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제로는 기어커버(20)의 측벽부(22) 하단은 실제 베벨기어유닛(50)의 상부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으며, 이는 스윙베어링(60)의 높이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베벨기어유닛(50)과 기어커버(20)는 서로 이탈이 방지된 채 설치되어 있으면서도 직접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베벨기어유닛(50)의 회전에 따른 기어커버(20)의 충격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벨기어유닛(50)의 상측 둘레는 상기 제1베벨기어(33)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베벨기어(33)의 회전에 따라 제2베벨기어(54)가 맞물려 수평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이빨인 제2베벨기어(54)는 일측 단부가 상기 측면개구부(26) 내측으로 삽입된 위치에 위치하면서 일측돌출부(23)의 벽면과 살짝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된다.
또, 베벨기어유닛(50)의 상기 중앙홀(52) 내주면은 상기 상부안착홈(53)의 하부에 베어링삽입홈(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삽입홈(55)의 하부에는 스윙베어링안착부(56)가 중앙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윙베어링안착부(56)의 하부에는 중앙홀(52)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기어날(57)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스윙베어링(60)은 도 1, 5,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스윙베어링안착부(56)에 안착되는데, 안착 상태에서 상측 둘레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상부안착홈(53)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어커버(20)의 끼움부(28a)에 끼워짐과 동시에 기어커버(20)의 바닥면이 베벨기어유닛(50)의 상부안착홈(53)과 이격된 상태가 되어 마모를 방지하도록 한다.
스윙베어링(60)의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동일 크기를 가지는 중간유압연결홀(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유압연결홀(61)의 둘레에는 상기 커버볼트체결홀(25)과 일직선을 이루는 중간볼트체결홀(62)이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상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상부볼트(62a)가 상기 상부볼트체결홀(15), 커버볼트체결홀(25) 및 중간볼트체결홀(62)에 일직선으로 체결된다.
또한, 스윙베어링(60)의 측면에는 상기 베어링삽입홈(55)과 맞대어져 원형 단면을 이루는 보조베어링삽입홈(63)이 형성되어 있어 베어링부재(63a)가 상기 베어링삽입홈(55)과 보조베어링삽입홈(63)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윙베어링(60)의 저면에는 저부볼트체결홀(6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저부볼트체결홀(64)은 중간볼트체결홀(62)과 일직선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도 2, 3에 도시된 축관통홀(81)들이 위치하는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링크축부재(70)는 도 1, 5,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몸체부(71), 중간몸체부(72) 및 회전축(7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몸체부(71)는 상기 스윙베어링(60)의 저부볼트체결홀(64)에 나사결합되어 스윙베어링(60)과 일체화된다.
또, 중간몸체부(72)는 상기 상부몸체부(7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몸체부(71)보다 외경이 크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은 스윙베어링(60)의 저부에 맞닿아 지지하고, 저부는 고정브라켓(80)의 상단을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스윙베어링안착부(56)를 형성하는 바닥면의 저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회전축(73)은 상기 중간몸체부(7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평면상 위치는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관통홀(81)의 위치가 되도록, 중앙홀(52) 중심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축(73)은 원기둥 형태를 취하되, 저부에는 저부볼트체결홀(73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고정브라켓(80)은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 양측에 축관통홀(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의 두 링크축부재(70)의 회전축(73)이 양측 축관통홀(81)에 끼워진다.
더하여, 축고정볼트(81a)가 상기 저부볼트체결홀(73a)에 볼트결합되면서 볼트머리 또는 볼트머리에 체결된 너트가 고정브라켓(80) 저부에 지지되도록 체결된다.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80) 저부는 하부블록(40)의 하부플레이트(41)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더하여, 축고정볼트(81a)의 조절에 따라 고정브라켓(8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브레이크이동암대(90)는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브레이크이동암대(90) 일측에 회전축(73)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축(73)이 상기 고정브라켓(80)과 브레이크이동암대(9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회전축(73)을 기준으로 고정브라켓(80)과 브레이크이동암대(90)가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축고정볼트(81a)는 응당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저부를 지지해주게 된다.
더하여,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외주면에는 전체 또는 일부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중앙홀(52)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날(57)과 치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기어이빨인 제동기어(9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서 제동기어(91)와 기어날(57)은 라운드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것처럼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충격을 최소화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유압실린더(100)는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유압실린더(100)들의 타측은 상기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주요 작동을 설명하면, 유압실린더(100)에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내부의 로드(101)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이동암대(90)를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제동기어(91)를 기어날(57)과 치합시켜주게 된다.
즉, 유압이 공급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기어(91)와 기어날(57)이 치합되는 형태가 되고, 반대로 유압이 빠져나가면 제동기어(91)와 기어날(57)이 서로 분리되는 형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관통홀(81)을 기준으로 브레이크이동암대(90)가 회전하면서 제동기어(91)와 기어날(57)의 치합이 결정되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브레이크이동암대(9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고, 각 제동기어(91)의 기어날이 라운드진 부재의 외곽측 둘레에 형성되어 있어 축관통홀(81)을 기준으로 브레이크이동암대(90)가 회전함에 따라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각 제동기어(91) 각 기어 이빨이 기어날(57)과 순간적으로 동시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 접촉을 하게 되어 있어 아주 짧은 시간에 "다다닥"하는 소리와 함께 제동이 이루어지고, 이때 브레이크이동암대(90)에 가해지는 충격이 층차적으로 조금씩 전달되어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손상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베벨기어유닛(50)의 내부 공간에 충분한 유압 배선 공간을 확보하면서 감속 제어가 가능하게 해줘 기존의 퀵 커플러에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기도 하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회전링크의 경우 장시간 브레이커 작업시 충격으로 인해 내부 웜기어나 부품이 파손되고, 웜기어가 마모되는 것과 차별화된다 할 것이다.
즉, 베벨기어 방식으로 동력이 전달됨과 더불어 브레이커이동암대(90)의 제동기어(91)가 유압실린더(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베벨기어유닛(50)의 제2베벨기어(54)와 치합됨으로써 내부에 회전 후의 강제 회전을 막아주게 된다.
이는 통상 포크레인 버켓 작업시 강제 회전하려는 힘이 매우 크게 발생하는 점에 비교할 때 상기한 구성으로 강제 회전이 안되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된다.
10 : 본체 11 : 연결플레이트
11a : 유압연결홀 12 : 측판
13 : 단턱형성플레이트 14 : 연결대
15 : 상부볼트체결홀 20 : 기어커버
21 : 상판부 22 : 측벽부
22a : 수용공간 23 : 일측돌출부
24 : 커버중앙유압홀 25 : 커버볼트체결홀
26 : 측면개구부 27 : 끼움홈
28 : 보조측벽부 28a : 끼움부
30 : 구동장치 31 : 베어링하우징
32 : 구동모터 32a : 축
33 : 제1베벨기어 40 : 하부블록
41 : 하부플레이트 41a : 하부중앙홀
41b : 하부볼트체결홀 41c : 베벨기어안착홈
42 : 하부측판 43 : 고정후크
44 : 회전축 44a : 가동후크
44b : 구동실린더 50 : 베벨기어유닛
51 : 연결볼트체결홀 51a : 하부체결볼트
52 : 중앙홀 53 : 상부안착홈
54 : 제2베벨기어 55 : 베어링삽입홈
56 : 스윙베어링안착부 57 : 기어날
60 : 스윙베어링 61 : 중간유압연결홀
62 : 중간볼트체결홀 63 : 보조베어링삽입홈
64 : 저부볼트체결홀 70 : 링크축부재
71 : 상부몸체부 72 : 중간몸체부
73 : 회전축 73a : 저부볼트체결홀
80 : 고정브라켓 81 : 축관통홀
81a : 축고정볼트 90 : 브레이크이동암대
91 : 제동기어 100 : 유압실린더
101 : 로드 120 : 유압연결부

Claims (5)

  1. 회전형 퀵 커플러에 있어서,
    일측에 유압연결홀(11a)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연결플레이트(11)가 구비되며, 굴삭기 암대와 연결되는 연결대(14)가 구비된 본체(10)와;
    상부가 상기 본체(10)의 연결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상판부(21)와 측벽부(22)에 의해 둘러쌓인 수용공간(22a)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수용공간(22a)과 연통된 측면개구부(26)가 형성된 일측돌출부(2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커버(20)와;
    상기 기어커버(2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에 연결된 채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베벨기어(33)로 구성된 구동장치(30)와;
    굴삭기 버킷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부에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는 하부플레이트(41)가 구비된 하부블록(40)과;
    상기 하부블록(40)에 고정되며 상부는 상기 수용공간(22a)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 둘레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33)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4)가 형성되어 제1베벨기어(3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블록(40)을 회전시키고, 내주면에는 기어날(57)이 형성되어 있는 베벨기어유닛(50)과;
    상기 베벨기어유닛(50) 내부에 설치되어 있되, 기어커버(20)에 고정되며, 유압연결홀(11a)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0)과;
    일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날(57)과 치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동기어(91)가 형성되어 있는 브레이크이동암대(90)와;
    타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내부의 로드(101)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이동암대(90)를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제동기어(91)를 기어날(57)과 치합시키는 유압실린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형 퀵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유닛(50)에는 중앙에 중앙홀(52)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앙홀(52)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기어커버(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안착홈(53)이 형성되어, 베벨기어유닛(50)의 상방향 이탈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 커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은 중앙홀(52) 중간 부분에 스윙베어링안착부(56)가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윙베어링안착부(56)에는 상부가 상기 기어커버(20)에 결합되는 스윙베어링(60)이 안착되고, 상기 스윙베어링(60)과 중앙홀(52) 내벽면은 베어링부재(63a)를 통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 커플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커버(20)의 상판부(21)의 저부에는 상판부(21)와의 사이에 끼움부(28a)를 형성하는 보조측벽부(28)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윙베어링(60)은 베벨기어유닛(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측 둘레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상부안착홈(53)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어커버(20)의 끼움부(28a)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 커플러.
  5. 회전형 퀵 커플러에 있어서,
    일측에 유압연결홀(11a)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연결플레이트(11)와, 연결플레이트(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측판(12)과,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1)의 저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일한 크기의 홀이 천공되어 있는 단턱형성플레이트(13)와, 굴삭기의 암대에 연결되도록 상기 두 측판(12)을 연결하는 연결대(14)와, 상기 유압연결홀(11a)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플레이트(11)와 단턱형성플레이트(13)를 관통하여 유압연결홀(11a)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부볼트체결홀(15)로 구성된 본체(10)와;
    평판형의 상판부(21)와, 상기 상판부(21) 둘레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22a)을 형성하는 측벽부(22)와, 상기 상판부(21)와 측벽부(22)가 만나는 상부 모서리 일측에 외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일측돌출부(23)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부(21)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일한 크기의 동심원을 이루는 커버중앙유압홀(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중앙유압홀(24) 둘레에는 상기 상부볼트체결홀(15)과 일직선을 이루는 커버볼트체결홀(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돌출부(23)는 상기 수용공간(22a)과 연통되는 측면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부(21)에는 상기 본체(10)의 단턱형성플레이트(13)의 하부모서리가 끼워져 지지되는 끼움홈(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21)의 저부에는 커버중앙유압홀(24)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면서 하향 돌출됨으로써 상판부(21)와의 사이에 끼움부(28a)를 형성하는 보조측벽부(28)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커버(20)와;
    상기 기어커버(20)의 일측돌출부(23)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내주면에 베어링(31a)이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하우징(3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31)에 결합되면서, 축(32a)이 상기 베어링하우징(31)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의 축(32a)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개구부(26) 내부에 위치하는 제1베벨기어(33)로 구성된 구동장치(30)와;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내경이 상기 유압연결홀(11a)보다 크게 이루어진 하부중앙홀(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중앙홀(41a)의 외곽에는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하부볼트체결홀(41b)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으로 중앙으로 이격된 위치에 베벨기어안착홈(41c)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4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1)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하부측판(42)과, 상기 두 하부측판(42)에 형성되어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고정후크(43)와, 상기 두 하부측판(42)을 연결하며 구동실린더(44b)와 결합된 가동후크(44a)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44)으로 구성된 하부블록(40)과;
    하부 둘레가 상기 베벨기어안착홈(41c)에 안착되며, 저부에는 상기 하부볼트체결홀(41b)과 일직선을 이루는 연결볼트체결홀(51)이 형성되어 하부체결볼트(51a)가 상기 하부볼트체결홀(41b)과 연결볼트체결홀(5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블록(40)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중앙홀(41a)과 연통되는 중앙홀(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52)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기어커버(20)의 측벽부(22)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안착홈(5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둘레는 상기 제1베벨기어(33)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베벨기어(33)의 회전에 따라 제2베벨기어(54)가 맞물려 수평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중앙홀(52) 내주면은 상기 상부안착홈(53)의 하부에 베어링삽입홈(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삽입홈(55)의 하부에는 스윙베어링안착부(56)가 중앙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윙베어링안착부(56)의 하부에는 중앙홀(52)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기어날(57)이 형성되어 있는 베벨기어유닛(50)과;
    하부가 상기 스윙베어링안착부(56)에 안착되되, 안착 상태에서 상측 둘레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상부안착홈(53)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어커버(20)의 끼움부(28a)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상기 유압연결홀(11a)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동일 크기를 가지는 중간유압연결홀(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유압연결홀(61)의 둘레에는 상기 커버볼트체결홀(25)과 일직선을 이루는 중간볼트체결홀(62)이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상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상부볼트(62a)가 상기 상부볼트체결홀(15), 커버볼트체결홀(25) 및 중간볼트체결홀(62)에 일직선으로 체결되고, 측면에는 상기 베어링삽입홈(55)과 맞대어져 원형 단면을 이루는 보조베어링삽입홈(63)이 형성되어 있어 베어링부재(63a)이 상기 베어링삽입홈(55)과 보조베어링삽입홈(63)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저부볼트체결홀(64)이 형성되어 있는 스윙베어링(60)과;
    상기 스윙베어링(60)의 저부볼트체결홀(64)에 나사결합되는 상부몸체부(71)와, 상기 상부몸체부(7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부몸체부(71)보다 외경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스윙베어링(60)의 저부에 맞닿아 지지되는 중간몸체부(72)와, 상기 중간몸체부(72)의 하부에 중앙홀(52) 중심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 형태를 취하되, 저부에는 저부볼트체결홀(73a)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73)으로 구성된 링크축부재(70)와;
    양측에 축관통홀(81)이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의 두 회전축(73)이 양측 축관통홀(81)에 끼워지고, 상기 저부볼트체결홀(73a)에 볼트결합되는 축고정볼트(81a)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고정브라켓(80)과;
    일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베벨기어유닛(50)의 중앙홀(52)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날(57)과 치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동기어(91)가 형성되어 있는 브레이크이동암대(90)와;
    타측의 고정브라켓(80) 양측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브레이크이동암대(9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내부의 로드(101)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이동암대(90)를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제동기어(91)를 기어날(57)과 치합시키는 유압실린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형 퀵 커플러.
KR1020180075796A 2018-06-29 2018-06-29 회전형 퀵 커플러 KR10190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96A KR101905493B1 (ko) 2018-06-29 2018-06-29 회전형 퀵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96A KR101905493B1 (ko) 2018-06-29 2018-06-29 회전형 퀵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493B1 true KR101905493B1 (ko) 2018-10-08

Family

ID=6386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96A KR101905493B1 (ko) 2018-06-29 2018-06-29 회전형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49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95B1 (ko)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CN110410417A (zh) * 2019-07-05 2019-11-05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主动式水滴形两侧同步转动机构
KR102118498B1 (ko) * 2019-10-24 2020-06-03 한영숙 회전 운동 브레이크 장치
KR102143552B1 (ko) * 2019-04-09 2020-08-11 이명재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KR20210072604A (ko) * 2019-12-09 2021-06-17 이세인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20210127330A (ko) 2020-04-14 2021-10-2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회전식 퀵 커플러용 충격완충장치
KR20210135058A (ko) 2020-05-04 2021-11-12 안성준 굴착기용 회전링크
KR102372171B1 (ko) * 2021-03-15 2022-03-08 민병규 건설장비의 부착장치용 회전장치
KR102425356B1 (ko) * 2021-12-23 2022-07-27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용 고정블록 회전방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1662A1 (en) 2006-12-16 2010-05-06 Indexator Ab Method for manufacturing at least part of a device for an earthmoving or materials-handling machine using austempered ductile iron
KR101471177B1 (ko) 2012-06-18 2014-12-16 (주)만선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KR101644567B1 (ko) 2014-10-13 2016-08-02 정진호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101783958B1 (ko) 2016-10-21 2017-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
KR101834704B1 (ko) 2017-11-14 2018-03-05 윤길수 포크레인용 회전링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1662A1 (en) 2006-12-16 2010-05-06 Indexator Ab Method for manufacturing at least part of a device for an earthmoving or materials-handling machine using austempered ductile iron
KR101471177B1 (ko) 2012-06-18 2014-12-16 (주)만선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KR101644567B1 (ko) 2014-10-13 2016-08-02 정진호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KR101783958B1 (ko) 2016-10-21 2017-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
KR101834704B1 (ko) 2017-11-14 2018-03-05 윤길수 포크레인용 회전링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95B1 (ko)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2143552B1 (ko) * 2019-04-09 2020-08-11 이명재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CN110410417A (zh) * 2019-07-05 2019-11-05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主动式水滴形两侧同步转动机构
KR102118498B1 (ko) * 2019-10-24 2020-06-03 한영숙 회전 운동 브레이크 장치
KR20210072604A (ko) * 2019-12-09 2021-06-17 이세인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102400076B1 (ko) 2019-12-09 2022-05-18 이세인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20210127330A (ko) 2020-04-14 2021-10-2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회전식 퀵 커플러용 충격완충장치
KR20210135058A (ko) 2020-05-04 2021-11-12 안성준 굴착기용 회전링크
KR102372171B1 (ko) * 2021-03-15 2022-03-08 민병규 건설장비의 부착장치용 회전장치
KR102425356B1 (ko) * 2021-12-23 2022-07-27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용 고정블록 회전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493B1 (ko) 회전형 퀵 커플러
JP4380854B2 (ja) エンジンブロック
KR101270887B1 (ko) 플렉서블 커플링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스러스터장치
EP1829811A2 (en) Working machine
EP3412835B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pilot valve operated by a foot pedal
KR20200012893A (ko) 작업 차량의 조타 장치
KR20230063887A (ko)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CN102677731B (zh) 施工机械的踏板装置以及该施工机械
EP0982155B1 (en) Axle housing assembly
EP2955010B1 (en) Slide lock apparatus for press machine
JP2007092398A (ja) 旋回作業機
JP2006341664A (ja) トラクタ
US20230134654A1 (en)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same
KR102383153B1 (ko)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KR102425356B1 (ko) 퀵커플러용 고정블록 회전방지장치
JP7195213B2 (ja) 圃場作業機
KR102629729B1 (ko) 굴착기 어태치먼트의 회전 구조체
JP6057467B2 (ja) 変速機
JP4744915B2 (ja) 手動操作機構付き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6238517B2 (ja) キー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7130543B2 (ja) 建設機械及び建設機械の組立方法
JP4471916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CN106704347B (zh) 径向移位偏心套
JP6452511B2 (ja) アースドリルにおける中子支持構造
EP3064048A1 (en) Walking type ti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