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552B1 -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552B1
KR102143552B1 KR1020190041159A KR20190041159A KR102143552B1 KR 102143552 B1 KR102143552 B1 KR 102143552B1 KR 1020190041159 A KR1020190041159 A KR 1020190041159A KR 20190041159 A KR20190041159 A KR 20190041159A KR 102143552 B1 KR102143552 B1 KR 10214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braking
sliding
sliding pressing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이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재 filed Critical 이명재
Priority to KR102019004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86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using adapters, i.e. additional element to mount between the coupler and the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가 동력 제공 수단과, 원동 기어와, 종동 기어와, 브레이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킹 유닛이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브레이킹 프레임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가 각각 전체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의 내벽을 밀게 되므로, 상기 종동 기어의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Rotation link structure for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작업 기계는 포크레인 등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중장비를 말하고, 엔진 등이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인 본체측 부분, 땅파기 등의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툴(tool) 및 상기 본체측 부분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툴이 연결되는 툴측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측 부분과 상기 툴측 부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측 부분에 대해 상기 툴측 부분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이고, 이러한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에 의하면,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동 기어 및 상기 원동 기어와 연결된 종동 기어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형태의 웜 기어로 적용되고, 그러한 웜 기어의 회전에 따라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에서 회전이 일어남은 물론, 그러한 회전 후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그러한 웜 기어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웜 기어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고, 사용 시 발열이 심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에 의하면, 상기 원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가 상기 웜 기어로 적용됨으로써, 상기 툴에 의한 땅파기 등의 작업이 수행될 때, 그 작업에 의한 충격이 수직으로 연결된 상기 원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원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의 파손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783958호, 등록일자: 2017.09.26., 발명의 명칭: 회전형 퀵커플러
본 발명은 종동 기어의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는 본체측 부분과, 상기 본체측 부분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툴(tool)이 연결되는 툴측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측 부분에 고정되고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 수단; 상기 동력 제공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원동 기어; 상기 원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툴측 부분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툴측 부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킹 유닛은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일측을 가압할 수 있는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가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일측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타측을 가압할 수 있는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가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타측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타측에 접촉되어,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사이 중 일 측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가 양 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를 밀어줄 수 있는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사이 중 타 측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가 양 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를 밀어줄 수 있는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본체측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가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브레이킹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는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은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와 비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이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를 각각 밀어주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도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도 함께 밀리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도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에 의하면, 상기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가 동력 제공 수단과, 원동 기어와, 종동 기어와, 브레이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킹 유닛이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브레이킹 프레임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가 각각 전체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의 내벽을 밀게 되므로, 상기 종동 기어의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가 적용된 작업 기계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가 결합된 모습을 저면에서 올려다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를 구성하는 브레이킹 유닛이 분해된 모습을 저면에서 올려다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브레이킹 유닛을 구성하는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브레이킹 유닛의 일부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가 결합된 모습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가 적용된 작업 기계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가 결합된 모습을 저면에서 올려다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를 구성하는 브레이킹 유닛이 분해된 모습을 저면에서 올려다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브레이킹 유닛을 구성하는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브레이킹 유닛의 일부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가 결합된 모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100)는 본체측 부분(20)과, 상기 본체측 부분(2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툴(tool)이 연결되는 툴측 부분(30)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1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동력 제공 수단(110)과, 원동 기어(120)와, 종동 기어(130)와, 브레이킹 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제공 수단(110)은 상기 본체측 부분(20)에 고정되고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유압 모터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원동 기어(120)는 상기 동력 제공 수단(11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제공 수단(11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종동 기어(130)는 상기 원동 기어(120)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고, 그 하부가 상기 툴측 부분(3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툴측 부분(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종동 기어(130)는 그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그 내부는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동 기어(120)와 상기 종동 기어(130)가 서로 축이 평행한 평 기어로 적용된다. 그러면, 상기 툴에 의한 땅파기 등의 작업이 수행될 때, 그러한 작업에 의한 충격이 상기 원동 기어(120)와 상기 종동 기어(130)에 수직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원동 기어(120)와 상기 종동 기어(130)가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작업에 의한 충격에 의해 상기 원동 기어(120)와 상기 종동 기어(130)가 파손되지 아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레이킹 유닛(150)은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종동 기어(13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151)와,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와,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152)와,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과,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과, 브레이킹 프레임(15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는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 일측을 가압할 수 있는 것으로, 제 1 슬라이딩 가압 몸체(171)와,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와, 제 1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3)와, 제 1 슬라이딩 안내 돌기(17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몸체(171)는 그 외면이 상기 종동 기어(130)의 곡면 형태의 내면에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몸체(171)의 일측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과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3)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몸체(171)의 타측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와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은 회전핀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 등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3)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은 회전핀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 등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안내 돌기(174)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몸체(171)의 상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 1 슬라이딩 안내 홈(157)에 맞물려 상기 제 1 슬라이딩 안내 홈(157)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가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151)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 상세히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몸체(171)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가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 일측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종동 기어(13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는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 타측을 가압할 수 있는 것으로, 제 2 슬라이딩 가압 몸체(176)와,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와, 제 2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8)와, 제 2 슬라이딩 안내 돌기(179)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는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와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몸체(176)는 그 외면이 상기 종동 기어(130)의 곡면 형태의 내면에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몸체(176)의 일측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과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8)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몸체(176)의 타측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은 회전핀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 등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8)와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은 회전핀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 등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안내 돌기(179)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몸체(176)의 상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 2 슬라이딩 안내 홈(158)에 맞물려 상기 제 2 슬라이딩 안내 홈(158)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152)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 상세히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몸체(176)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 타측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 타측에 접촉되어, 상기 종동 기어(13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은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사이 중 일 측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일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일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8)가 양 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일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를 밀어줄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은 제 1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61)와,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61)에서 외측으로 신장되거나 내측으로 수축될 수 있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과,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61)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도록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하는 제 1 신장 유압 공급관(163)과, 상기 제 1 신장 유압 공급관(163)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61)의 내측으로 수축되도록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하는 제 1 수축 유압 공급관(164)과,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61)에서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이 배치된 측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8)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브레이킹 구동 연결부(165)를 포함한다.
외부의 유압 펌프(미도시)로부터 상기 제 1 신장 유압 공급관(163)을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61)로부터 신장되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를 밀게 된다.
반면, 외부의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 1 수축 유압 공급관(164)을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61)의 내부로 수축되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가 당겨지게 된다.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은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사이 중 타 측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타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3)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타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가 양 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타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를 밀어줄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은 제 2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81)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81)에서 외측으로 신장되거나 내측으로 수축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81)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도록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하는 제 2 신장 유압 공급관(183)과, 상기 제 2 신장 유압 공급관(183)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81)의 내측으로 수축되도록 외부로부터 유압을 공급하는 제 2 수축 유압 공급관(184)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81)에서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이 배치된 측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3)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브레이킹 구동 연결부(185)를 포함한다.
외부의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 2 신장 유압 공급관(183)을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81)로부터 신장되면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를 밀게 된다.
반면, 외부의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 2 수축 유압 공급관(184)을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이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실린더(181)의 내부로 수축되면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가 당겨지게 된다.
외부의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은 상기 제 1 신장 유압 공급관(163)과 상기 제 2 신장 유압 공급관(183)을 통해 함께 공급되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은 함께 신장되거나, 외부의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은 상기 제 1 수축 유압 공급관(164)과 상기 제 2 수축 유압 공급관(184)을 통해 함께 공급되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은 함께 수축된다.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은 상기 본체측 부분(20)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 몸체(156)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안내 홈(157)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안내 홈(158)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몸체(156)는 상기 본체측 부분(20)에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고,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안내 홈(157)은 상기 프레임 몸체(156)의 일 측부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되,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안내 돌기(174)가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안내 홈(158)은 상기 프레임 몸체(156)의 타 측부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되,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안내 돌기(179)가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측 부분(20)에서는 센터 조인트(101)가 돌출되고, 상기 센터 조인트(101)에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의 상기 프레임 몸체(156)가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슬라이딩 안내 돌기(174)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안내 돌기(179)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이동만 가능하고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에 걸려 회전 불가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이 각각 전진되어, 상기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151)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152)가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벽에 닿게 되면, 상기 종동 기어(13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슬라이딩 안내 돌기(174)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안내 돌기(179)가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안내 홈(157)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안내 홈(158)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 및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은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과 비연결, 즉 연결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이 작동되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62)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피스톤(182)이 각각 신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일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타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가 각각 밀리게 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일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타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가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에 비연결되어 자유 상태인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 자체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 자체도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일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타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로부터 상대적으로 각각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타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3)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일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8)도 함께 밀리게 되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타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3)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일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타측 연결부(178)도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의 일 측부인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2)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의 타 측부인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일측 연결부(177)와 같은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각각 전체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벽을 밀게 되므로, 상기 종동 기어(130)의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면과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의 외곽 사이에는 서로 수직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각각 회전될 수 있는 크로스 롤러(cross roller)(140)가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의 외곽에는, 상기 크로스 롤러(140)가 삽입될 수 있는 V자 형태의 함몰 홈(159)이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 롤러(140)는 V자 형태의 상기 함몰 홈(159)의 하나의 내면에 접하여 구를 수 있는 제 1 롤러(141)와, V자 형태의 상기 함몰 홈(159)의 다른 하나의 내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롤러(141)의 회전축과 수직의 회전축을 가지는 제 2 롤러(14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크로스 롤러(140)가 적용됨에 따라, 상기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동력 제공 수단(110)이 작동되면, 상기 원동 기어(120) 및 그와 맞물린 상기 종동 기어(130)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130)에 연결된 상기 툴측 부분(30) 및 상기 툴이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151)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152)는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한 회전이 완료되어 상기 종동 기어(130)가 정지되어야 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 등의 명령에 따라, 상기 브레이킹 유닛(150)이 작동된다.
즉,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이 작동되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각각 전진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벽을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151)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152)가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벽에 접하여, 상기 종동 기어(130)의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100)가 상기 동력 제공 수단(110)과, 상기 원동 기어(120)와, 상기 종동 기어(130)와, 상기 브레이킹 유닛(150)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킹 유닛(150)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151)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152)와,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160)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180)과,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155)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170)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175)가 각각 전체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130)의 내벽을 밀게 되므로, 상기 종동 기어(130)의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삽입 돌기(205)가 돌출되고, 종동 기어(2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 돌기(20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3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31)은 상기 종동 기어(23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삽입홈(231)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삽입 돌기(205)가 삽입됨으로써, 제동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 돌기(205)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삽입 돌기(205)가 각각 상기 각 삽입홈(231)에 삽입됨으로써, 제동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 돌기(205)는 상기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로부터 원기둥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 몸체(206)와, 상기 돌기 몸체(206)의 상부에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체(207)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231)은 상기 테이퍼체(20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체(207)에 대응되는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 돌기(305)가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로부터 원기둥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 몸체(306)와, 상기 돌기 몸체(306)의 상부에 형성되고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반구체(307)로 구성된다.
종동 기어(3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331)은 상기 반구체(30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반구체(307)에 대응되는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에 의하면, 종동 기어의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110 : 동력 제공 수단
120 : 원동 기어
130 : 종동 기어
150 : 브레이킹 유닛
151 :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
152 :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
155 : 브레이킹 프레임
160 :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
170 :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
175 :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
180 :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

Claims (4)

  1. 본체측 부분과, 상기 본체측 부분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툴(tool)이 연결되는 툴측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측 부분에 고정되고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 수단;
    상기 동력 제공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원동 기어;
    상기 원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툴측 부분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툴측 부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킹 유닛은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일측을 가압할 수 있는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가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일측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타측을 가압할 수 있는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가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타측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종동 기어의 내부 타측에 접촉되어,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사이 중 일 측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가 양 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를 밀어줄 수 있는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사이 중 타 측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가 양 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를 밀어줄 수 있는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본체측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가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브레이킹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는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은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와 비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이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를 각각 밀어주어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제 1 브레이킹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브레이킹 구동 수단도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도 함께 밀리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도 각각 상기 제 1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일 측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압 부재의 타 측부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기어의 내면과 상기 브레이킹 프레임 사이에는 서로 수직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각각 회전될 수 있는 크로스 롤러(cross roller)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는 서로 축이 평행한 평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레이킹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브레이킹 접촉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삽입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종동 기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KR1020190041159A 2019-04-09 2019-04-09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KR10214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59A KR102143552B1 (ko) 2019-04-09 2019-04-09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59A KR102143552B1 (ko) 2019-04-09 2019-04-09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552B1 true KR102143552B1 (ko) 2020-08-11

Family

ID=7204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159A KR102143552B1 (ko) 2019-04-09 2019-04-09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5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017A (ko) * 2001-04-04 2002-10-18 주식회사 만도 드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슈 제조장치
KR101200651B1 (ko) * 2012-04-09 2012-11-12 김철동 스토퍼장치가 구비된 굴삭기용 회전링크체
KR20130142003A (ko) * 2012-06-18 2013-12-27 (주)만선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KR101783958B1 (ko) 2016-10-21 2017-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
KR101905493B1 (ko) * 2018-06-29 2018-10-08 노준호 회전형 퀵 커플러
KR20180120075A (ko) * 2017-04-26 2018-11-05 이강찬 작업 기계용 회전링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017A (ko) * 2001-04-04 2002-10-18 주식회사 만도 드럼 브레이크용 브레이크슈 제조장치
KR101200651B1 (ko) * 2012-04-09 2012-11-12 김철동 스토퍼장치가 구비된 굴삭기용 회전링크체
KR20130142003A (ko) * 2012-06-18 2013-12-27 (주)만선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KR101783958B1 (ko) 2016-10-21 2017-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
KR20180120075A (ko) * 2017-04-26 2018-11-05 이강찬 작업 기계용 회전링크
KR101905493B1 (ko) * 2018-06-29 2018-10-08 노준호 회전형 퀵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881B1 (ko) 고효율 회전구동부를 겸비한 고속분할 인덱스
CN208020139U (zh) 液压工作装置
JP6128694B2 (ja) ねじ作動型プレスユニット
CN104994997A (zh) 电动工具
ITMI972905A1 (it) Trasmissione di macchina utensile con un dispositivo migliorato di spostamento degli ingranaggi
KR102143552B1 (ko)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KR20170143396A (ko) 로봇 관절 구조
RU2467866C2 (ru) Передаточный механизм
US10676891B2 (en) Coupler for a wheel loader
JP5533554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927590B2 (ja) 軸肥大加工機
JP5246693B2 (ja) スライド駆動機構
JP6066618B2 (ja) 駆動軸組立体
KR101611719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단기
CN217107070U (zh) 双级滑台机构、锚杆部和工程机械
KR100384716B1 (ko) 공작기계용 인덱스테이블의 경사록킹장치
JP5244108B2 (ja) 管切断機械用の回転式スイベル
KR101639137B1 (ko)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JPH1182662A (ja) ラックとピニオン機構により同一方向の回転運動を往復運動に 変換させる機械及びそれに利用するピニオン、歯車、軸継手
JP4840581B2 (ja) 往復追従動作装置
CN220128455U (zh) 一种异形抛光机砂辊
KR200268938Y1 (ko) 맨드릴용 시그먼트 이동장치
CN215395223U (zh) 驱动机构及具有其的机器人
CN210686490U (zh) 带插销锁紧装置的液压油缸
KR20130084556A (ko) 다축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