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556A - 다축헤드 - Google Patents

다축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556A
KR20130084556A KR1020120005419A KR20120005419A KR20130084556A KR 20130084556 A KR20130084556 A KR 20130084556A KR 1020120005419 A KR1020120005419 A KR 1020120005419A KR 20120005419 A KR20120005419 A KR 20120005419A KR 20130084556 A KR20130084556 A KR 2013008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pindle
guide
extens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운
김민영
Original Assignee
김태운
김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운, 김민영 filed Critical 김태운
Priority to KR102012000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4556A/ko
Publication of KR2013008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축이 구비된 다축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다축헤드에 복수의 연결축을 형성하여 복수의 공구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축과 스핀들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하고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고정부로 스핀들을 지지하여 각 스핀들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축헤드{HEAD WITH MULTI-SHAF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축이 구비된 다축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탭 또는 드릴 등을 설치하여 작업하는 공작기계에서 공작기계에 연결할 수 있는 탭 또는 드릴 등의 공구의 개수가 고정되어 있었다.
하나의 공작기계에 설치되는 공구의 개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공구가 연결되는 헤드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헤드의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교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공구가 설치되어도 공구의 위치가 고정되어 공구 사이의 간격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9057 (다축드릴링 머신의 멀티헤드) 2001.04.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77824 (공작기계용 다축헤드) 2007.02.02.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헤드에 필요에 따라 공구의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공구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축헤드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축, 그리고 일단이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 공구가 장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핀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핀들과 상기 연결축은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오목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본체,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은 상기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장축, 그리고 상기 연장축으로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고, 상기 연장축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있는 이동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축과 상기 연장축 중 어느 하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되어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본체 타측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부, 그리고 상기 안내부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의 폭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핀들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부, 그리고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이동부를 중심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다축헤드에 복수의 연결축을 형성하여 복수의 공구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의 개수를 변화할 때마다 헤드를 변화하지 아니하고 스핀들의 개수만 달리하여 공구의 개수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축과 스핀들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하고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고정부로 스핀들을 지지하여 각 스핀들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헤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축헤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축헤드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축헤드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축헤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축헤드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축헤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헤드는 제1본체(10), 연결축(30), 그리고 스핀들(40)을 포함한다.
제1본체(10)에는 기어가 장착되어 있고 복수의 연결축(30)이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제1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본체(10)의 상측에는 모터 등의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는 지지선반(S)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기어축(11)이 돌출되어 있다.
기어축(11)은 지지선반(S)에 배치되는 구동부와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기어에 전달한다. 그러나 지지선반(S)은 생략 가능하고 이 경우 구동부는 제1본체(10)의 상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1본체(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축(30)의 개수는 제1본체(10)의 크기 및 다축헤드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스핀들(40)은 연결축(30)에 연결되어 연결축(30)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하나의 스핀들(40)은 복수의 연결축(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스핀들(40)은 연결축(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핀들(4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즉, 하나의 연결축(30)에만 스핀들(40)을 연결하고 나머지 연결축(30)에는 스핀들을 연결하지 아니할 수 있고, 두 개의 연결축(30)에 두 개의 스핀들(40)을 연결할 수 있다.
스핀들(40)의 타단에는 탭 또는 드릴 등의 공구가 장착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다축헤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연결축(30)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하여 기어축(11)이 구동부와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기어에 전달한다. 구동부에 의해 기어가 회전하면 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축(30)이 회전하게 된다. 연결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스핀들(40)이 회전하며 스핀들(4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탭 또는 드릴 등의 공구가 피가공물에 암나사를 형성하거나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스핀들(40)은 제1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연결축(30)에 연결되어 복수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연결축(30)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 또는 일부의 연결축(30)에 각각 연결되어 스핀들(40)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에 가공할 수 있는 피가공물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피가공물에 복수의 구멍 또는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연결축(30)이 하나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같은 동력을 전달받는 형상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구동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각 연결축(30)마다 전달받는 동력이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본체(10)의 타측에 복수의 기어축을 형성하여 각 기어축에 서로 상이한 구동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축(30)의 회전력이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피가공물의 가공 형상이 서로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핀들(40)에는 드릴을 장착하고 다른 스핀들(40)에는 탭을 장착하여 피가공물에 가공되는 형상이 서로 상이하도록 할 수 있고, 각 연결축(30)에 연결된 구동부를 달리하여 가공되는 정도가 달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다축헤드에 복수의 연결축을 형성하여 하나의 다축헤드에 연결되는 공구의 개수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2본체(20)는 일측이 제1본체(1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오목한 가이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1)는 제2본체(20)의 타측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211), 그리고 안내부(211)와 연통되어 있고, 안내부(211)의 폭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212)를 포함한다.
고정부(50)는 가이드부(21)에 연결되어 스핀들(4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스핀들(40)은 연결축(30)과 유니버설 조인트(J)로 연결되어 있는 연장축(41), 그리고 연장축(41)으로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고, 연장축(41)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이동축(42)을 포함한다.
이동축(42)은 다시 회전축(421)과 삽입축(422)을 포함한다.
회전축(421)은 일단이 연장축(4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삽입축(422)과 유니버설 조인트(J)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삽입축(422)은 고정부(50)에 삽입되어 양단이 돌출되어 있고, 일단이 회전축(421)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탭 또는 드릴 등의 공구가 결합된다.
고정부(50)는 지지부(51), 관통부(52) 및 이동부(53)를 포함한다.
지지부(51)는 스핀들(40)이 삽입되며 스핀들(4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부(5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관통되어 관통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53)는 관통부(52)를 통과하여 그 일단이 가이드부(21)에 삽입되어 가이드부(21)와 지지부(51)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관통부(52)는 이동부(53)를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관통부(52)는 지지부(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53)는 관통부(52)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고할 때 지지부(51)는 이동부(53)를 중심으로 좌우로 왕복 이동하여 이동부(53)가 관통부(52)의 일측에 위치하거나 관통부(52)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관통부(52)가 이동부(53)를 중심으로 회전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헤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장축(41)은 일단이 연결축(30)과 유니버설 조인트(J)로 연결되어 연장축(41)의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다. 연장축(4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421)은 연장축(41)과 같이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421)은 그 타단이 삽입부(212)에 연결되어 있고, 삽입부(212)는 삽입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50) 내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부(50)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421)이 연장축(41)과 같이 연결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연장축(4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회전축(421)의 타단은 고정부(5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421)이 연장축(41)과 같이 연장축(41)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회전 반경만큼 회전축(421)의 타단이 연결축(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회전축(421)의 타단이 삽입부(2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축(421)의 타단은 고정부(50)와 동일 평면상에서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42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421)이 연결축(30) 방향으로 이동하는 만큼 회전축(421)이 연결축(3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축(41)에서 직선 이동하여 회전축(421)의 타단이 고정부(50)와 동일 평면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21)에는 회전축(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안내홈(423)이 형성되어 있고, 연장축(41)의 내측면에는 안내홈(423)에 대응되어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421)은 그 일단이 연장축(41)에 삽입되어 안내홈(423)과 안내돌기에 의해 연장축(41)의 내측면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다. 안내홈(423)과 안내돌기의 개수는 이동축(42) 및 연장축(41)의 직경 또는 안내홈(423)의 크기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이동축(42)에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축(41)에 안내홈(42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축(42)은 연장축(41)의 외측에 결합되어 연장축(41)의 외측면을 따라 직선 이동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421)이 연장축(41)을 따라 그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경우, 스핀들(40)이 회전하여도 회전축(421)의 타단은 고정부(50)와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스핀들(40)이 하나의 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회전축(421)이 연장축(41)을 따라 직선 이동 하지 못하는 경우, 스핀들(40)의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하면 스핀들(40)의 타단은 원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스핀들(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스핀들(40)의 타단이 위치하는 지점이 상이해져, 스핀들(40)이 회전하게 되면 스핀들(40)이 연결축(30)과 나란한 경우에 비하여 스핀들(40)의 타단이 연결축(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핀들(40)이 연장축(41) 및 연장축(41)에 대해 직선 이동 가능한 회전축(421)을 포함하는 경우, 스핀들(40)의 타단이 회전하여도 타단이 연결축(30) 방향으로 이동한 만큼 회전축(421)이 연장축(41)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에 의해 스핀들(40)의 타단이 이동한 거리를 회전축(421)이 보상하게 된다.
또한, 안내홈(423)과 안내돌기로 인해 연장축(41)의 회전력이 회전축(421)에 전달되어 구동부의 동력으로 연결축(30), 연장축(41) 및 회전축(421)이 같이 회전하여 드릴 또는 탭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회전축(421)이 연장축(41)으로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으며 연장축(41)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형상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회전축과 연장축의 다른 예로 회전축과 연장축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축과 연장축을 핀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핀을 분리하여 이동축과 연장축을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동축이 연장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핀을 삽입하여 이동축과 연장축을 고정하여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축 및 연장축은 서로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이동축이 연장축을 기준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다른 형상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때 삽입축(422)은 회전축(421)과 유니버설 조인트(J)로 연결되어 있고 고정부(50)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축(422)은 회전축(421)과 그 배치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삽입축(422)은 연장축(41) 및 회전축(421)이 회전하여도 유니버설 조인트(J)에 의해 연결축(3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축(41) 및 회전축(421)이 연결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도 공구가 결합되는 삽입축(422)이 연결축(3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구가 피가공물의 중심에서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부(53)는 삽입부(212)를 통해 가이드부(21)에 삽입되어 안내부(211)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부(53)는 관통부(52)에 관통되어 지지부(51)를 가이드부(21)에 결합시킨다.
지지부(51)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는 관통부(52)를 통해 이동부(53)를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이동부(53)를 중심으로 지지부(51)는 지지부(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이동부(53)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연장축(41) 및 이동축(42)이 회전하여 스핀들(40)의 타단이 제2본체(20)의 중앙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2본체(20)의 일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삽입축(422)이 삽입되어 스핀들(40)을 고정하는 고정부(50)를 이동부(53)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핀들(40)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요약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헤드는 제1본체(10)에 복수의 연결축(30)을 형성하여 하나의 다축헤드에 연결하는 공구의 개수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의 개수를 변화하기 위해서는 헤드 자체를 교체하여야 했던 종래에 비해, 하나의 다축헤드에 결합되는 스핀들의 개수만 달리하여 공구의 개수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연결축(30)에 스핀들(40)을 유니버설 조인트(J)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스핀들(40)의 타단을 이동시켜 각 스핀들(40) 사이의 간격을 피가공물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장축(41)은 연결축(30)과 유니버설 조인트(J)로 연결하고, 이동축(42)은 연장축(41)으로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으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삽입축(422)은 회전축(421)과 다시 유니버설 조인트(J)로 연결하여 연장축(41) 및 이동축(42)의 중심이 연결축(30)의 중심과 나란하지 아니하더라도 공구가 결합되는 삽입축(422)은 연결축(30)과 나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축(41) 및 이동축(42)이 연결축(30)의 중심과 어긋나도 연결축(30)과 중심 방향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삽입축(422)에 의해 피가공물의 중심방향을 따라 피가공물이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421)과 연장축(41)은 안내홈(423) 및 안내돌기 또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결되어 연장축(41)의 회전이 회전축(421)에 전달되므로 구동부의 동력이 스핀들(40)의 타단으로 전달되어 드릴 또는 탭 등의 공구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핀들(40)의 타단이 연결축(30)을 중심과 어긋나더라도 제2본체(20)의 가이드부(21)를 따라 이동 가능한 고정부(50)로 스핀들(40)을 지지하여 스핀들(4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지지부(51)에는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삽입부(212)가 지지부(51)에 삽입되어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피가공물을 가공하는데, 삽입부(212)와 지지부(51) 사이의 마찰에 의해 삽입부(212)의 회전력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삽입부(212)와 지지부(51) 사이에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하여 삽입부(212)가 삽입되어 있는 지지부(51)의 일측에 윤활유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헤드에 공구가 결합되어 가공되는 양상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2본체(20)에는 가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60)이 스프링(70)으로 연결되어 있다.
피가공물이 가이드판 전면으로 제공되면 가이드판을 제2본체를 향하여 가압하고 이때 가공홀을 통해 피가공물이 공구에 노출되어 가공되게 된다. 가공이 완료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판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가공물은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가이드판은 별도의 장치 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을 제2본체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는 구동부를 정방향으로 동작시키고 가이드판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구동부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제1본체
11 : 기어축
20 : 제2본체
21 : 가이드부
211 : 안내부 212 : 삽입부
30 : 연결축
40 : 스핀들
41 : 연장축
42 : 이동축
421 : 회전축 422 : 삽입축
423 : 안내홈
50 : 고정부
51 : 지지부 52 : 관통부
53 : 이동부
60 : 가이드판
70 : 스프링

Claims (8)

  1.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축, 그리고
    일단이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 공구가 장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핀들
    을 포함하는 다축헤드.
  2. 제1항에서,
    상기 스핀들과 상기 연결축은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다축헤드.
  3. 제1항에서,
    일측이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오목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본체,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을 지지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다축헤드.
  4. 제3항에서,
    상기 스핀들은
    상기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장축, 그리고
    상기 연장축으로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고, 상기 연장축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있는 이동축
    을 포함하는 다축헤드.
  5. 제4항에서,
    상기 이동축과 상기 연장축 중 어느 하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되어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다축헤드.
  6. 제3항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본체 타측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부, 그리고
    상기 안내부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의 폭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
    를 포함하는 다축헤드.
  7. 제3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핀들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부, 그리고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다축헤드.
  8. 제7항에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이동부를 중심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헤드.
KR1020120005419A 2012-01-17 2012-01-17 다축헤드 KR20130084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19A KR20130084556A (ko) 2012-01-17 2012-01-17 다축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19A KR20130084556A (ko) 2012-01-17 2012-01-17 다축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556A true KR20130084556A (ko) 2013-07-25

Family

ID=4899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419A KR20130084556A (ko) 2012-01-17 2012-01-17 다축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45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4892A (zh) * 2014-08-20 2014-12-03 无锡众望四维科技有限公司 方舌用纵向打孔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4892A (zh) * 2014-08-20 2014-12-03 无锡众望四维科技有限公司 方舌用纵向打孔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23840U (zh) 一种高效快加工立式钻床
CN203956503U (zh) 一种热熔钻钻攻一体机
JP2018118328A (ja) 工作機械
KR20170081577A (ko) 갠트리 로더
KR20170081968A (ko) 갠트리 로더
KR20170081576A (ko) 갠트리 로더
KR20170081966A (ko) 갠트리 로더
KR20130084556A (ko) 다축헤드
KR101503015B1 (ko) 볼트 자동 조립 장치
JP2019098510A (ja) 回転テーブルのインデックス駆動装置
KR101766351B1 (ko) Cnc 공작기계용 다각형 홀 가공장치 및 이를 구비한 cnc 공작기계
JP6484494B2 (ja) リニアガイド付き電動加工装置
JP2018069354A (ja) リンク式多関節ロボット
KR200412773Y1 (ko) 범용 공구 연삭기의 동시 3축 제어장치
CN110681746A (zh) 一种导轨的弯型装置
KR100742657B1 (ko) 범용 공구 연삭기의 동시 3축 제어장치
JP4272759B2 (ja) 加工ヘッド装置
KR100918517B1 (ko)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KR200260151Y1 (ko) 파이프 챔퍼링머신
KR101415974B1 (ko) 앵글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KR200314999Y1 (ko) 씨엔씨 로터리 테이블
KR20150059936A (ko) 다굴절 무인 자동 드릴링 시스템
US9656330B2 (en) Machining system
KR101855330B1 (ko) 구면 가공을 위한 공작기계용 주축대조립체
KR200394222Y1 (ko) 공작기계용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