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151Y1 - 파이프 챔퍼링머신 - Google Patents

파이프 챔퍼링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151Y1
KR200260151Y1 KR2020010031331U KR20010031331U KR200260151Y1 KR 200260151 Y1 KR200260151 Y1 KR 200260151Y1 KR 2020010031331 U KR2020010031331 U KR 2020010031331U KR 20010031331 U KR20010031331 U KR 20010031331U KR 200260151 Y1 KR200260151 Y1 KR 200260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hamfering
jig
link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소
Original Assignee
송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소 filed Critical 송재소
Priority to KR2020010031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151Y1/ko

Links

Landscapes

  • Tur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툴 이송박스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거리를 조절하며 가공하도록 하는 챔퍼링(Chamfer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챔퍼링장치는 본체 상부에 구비된 재료공급부에서 투입된 파이프중 최하단에 구비된 파이프를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된 제 1실린더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는 제 1회동축에 결합된 1조의 링크조합이 측면으로 이동하며 선단에 파이프가 구비된 제 1지그가 고정된 제 2지그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파이프의 1차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된 제 2실린더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는 제 2회동축과, 상기 제 2회동축에 결합된 캠의 경사각도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가공 툴을 파이프의 양단으로 이동시켜 가공하도록 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길이 절단된 파이프의 양단가공을 자동으로 시행함으로써, 정밀한 가공을 시행하되, 생산성은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챔퍼링머신{PIPE CHAMFERING MACHINE}
본 고안은 소정길이로 절단된 파이프의 양단을 모따기가공하는 챔퍼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제 1실린더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는 제 1회동축과 결합된 링크조합이 측면으로 작동하며 재료공급부에 공급된 파이프중 최하단의 파이프를 고정장치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실린더에 의해 회동하는 제 2회동축과 결합된 캠에 의해 가공툴이 소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고정장치에 고정된 파이프의 양단을 모따기 가공하는 파이프 챔퍼링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 단부를 모따기(Chamfering)가공하도록 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개번호 10-2001-0038862호의 '파이프 챔퍼링머신'이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MF)의 하측에 구비된 모터(M)의 회전에 의해 단부에 절삭툴(CT)이 구비된 풀리(P)가 회전하고, 상기 절삭툴(CT)의 선단에 구비된 삽입구(IH)로 통상의 파이프(PP)를 삽입하여 내주에 모따기, 즉, 챔퍼링(Chamfering)가공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구(IH)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다수의 파이프(PP)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챔퍼링머신은 파이프 일단 내측만 모따기 가공이 가능하여 그 사용용도가 한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단을 가공하고, 타단을 다시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나의 파이프를 일일히 상기 삽입구에 삽입해야 함으로 작업인원이 삽입구 수량만큼의 작업인원이 투입되어 과다한 인건비의 낭비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작업인원은 상기 절삭툴의 회전력에 의해 파이프를 잡고 있는 손이 비틀리며 안전사고가 다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양단 내, 외주의 챔퍼링과 동시에 길이별로도 가공하여 정밀한 규격의 파이프를 생산하되, 전자동으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파이프의 가공이 가능하여 별도의 작업인원이 필요없는 무인자동화공정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양단이 가공되는 파이프의 규격을 다양화하여 그 사용용도를 넓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챔퍼링머신에 대해서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챔퍼링머신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 챔퍼링머신 고정부의 고정동작과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 가공부의 가공동작과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챔퍼링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챔퍼링머신 10a;툴 이송박스
100;고정부 110;재료공급부
120;제 1실린더 130;제 1회동축
140;링크조합 150;제 1지그
160;제 2지그 200;가공부
210;제 2실린더 220;제 2회동축
230;캠 240;구동부
250;가공 툴 250a;툴 유니트
본 고안은 툴 이송박스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거리를 조절하며 가공하도록 하는 챔퍼링(Chamfer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챔퍼링장치는 본체 상부에 구비된 재료공급부에서 투입된 파이프중 최하단에 구비된 파이프를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된 제 1실린더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는 제 1회동축에 결합된 1조의 링크조합이 측면으로 이동하며 선단에 파이프가 구비된 제 1지그가 고정된 제 2지그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파이프의 1차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된 제 2실린더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는 제 2회동축과, 상기 제 2회동축에 결합된 캠의 경사각도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가공툴을 파이프의 양단으로 이동시켜 가공하도록 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챔퍼링머신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 챔퍼링머신 고정부의 고정동작과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가공부의 가공동작과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챔퍼링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파이프 챔퍼링장치(10)의 각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챔퍼링장치(10)는 본체(11)의 일측에 제 1실린더(120)에 의해 가공될 파이프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100)와, 상기 제 1실린더(120)의 일측에 구비된 제 2실린더(210)에 의해 가공 툴(250)이 파이프(1)의 양단측으로 이동하여 챔퍼링 가공하는 가공부(200)로 대별된다.
상기 제 1, 2실린더(120)(210)는 통상의 에어실린더(Air Cylinder)중 크레비스형으로 헤드측이 힌지결합되어 상단의 로드측이 자유롭게 힌지회동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실린더(120)의 전진행정에 의해 실린더로드(CR)와 각각 힌지결합된 링크조합(140)이 작동하여 상기 본체(11) 상측의 재료공급부(110)에서 공급된 파이프(1)중 최하단에 구비되는 파이프(1)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제 1지그(150)를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링크조합(140)은 2개 1조의 구성으로써, 파이프(1)가 구비되는 내측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제 1실린더(120)의 실린더로드(CR)와 힌지결합된 제 1링크(141)의 일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실린더(120)의 전진행정에 의한 회동에 의해 제 1회동축(130)이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제1회동축(130)의 회동에 의해 중간부위에 결합된 제 1회동링크(142)와, 상기 제 1회동링크(142)의 힌지회동에 의해 선단에 힌지결합된 제 2링크(143)가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링크(143)의 일단과 힌지결합된 제 1지그(150)가 측면으로 이동하며 후술하는 재료공급부(110)에 공급된 파이프(1)중 최하단에 구비되는 파이프(1)를 선단에 형성된 반원형의 지그홈(FH)에 지지되도록 하여 선단에 고정된 제 2지그(160)의 지그홈(FH)으로 밀어 파이프(1)를 유동없이 고정함으로써, 제 1실린더(120)의 동작은 1차적으로 완료되고, 파이프(1) 양단의 챔퍼링가공을 위한 고정부(100)의 동작은 완료된다.(상기 파이프(1)가 공급되는 재료공급부(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기 제 1실린더(120)의 동작이 완료, 즉, 고정부(100)의 1차적인 고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제 1실린더(120)의 일측에 구비된 제 2실린더(210)가 동작하며 가공부(200)의 작업이 시작된다.
상기 제 2실린더(210)의 전진행정에 의해 제 2회동축(220)이 회동하고, 상기 제 2회동축(220)과 결합된 캠(230)의 동작에 의해 경사각도(θ)만큼 상기 구동부(240)에 일체로 구비된 툴 유니트(250a)의 내부에 구비된 가공 툴(250)만 상기 파이프(1)의 각 단부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각 단부를 모따기(Chamfering) 가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공부(200)의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제 2실린더(210)의 후퇴행정에 의해 상기 캠(230)이 원상태로 복귀하며 가공 툴(250)이 상기파이프(1)의 단부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제 1실린더(120)의 후퇴동작으로 상기 제 1지그(150)가 후퇴하며 양단부의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1)는 하측으로 분리되며 도시하지 않은 박스 또는 바스켓으로 된 수거함에 모이게 된다.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며 상기 재료공급부(110)에 구비된 파이프(1)양단을 가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것이 파이프(1) 하나의 양단부를 챔퍼링하도록 하는 1Cycle의 공정을 설명한 것이고, 본 고안의 챔퍼링장치(10)는 상술한 공정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며 재료공급부(110)에 공급된 파이프(1)의 양단을 가공한다.
상술한 것은 본 고안 챔퍼링장치(10)의 구성과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이하, 도 3a와 도 3b,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에 의해 각 부위별, 크게 고정부(100)와 가공부(200)의 각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실린더(미도시)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는 제 1회동축(130)과, 상기 제 1회동축(130)에 각각 결합된 링크조합(140)의 동작에 의해 파이프(1)를 양측에서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100)와 가공부(20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상부 일측에 도시하지 않은 제 1실린더(120)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도록 하는 제 1회동축(130)이 수평으로 구비되고, 타측에 제 2실린더(210)에 의해 회동하는 제 2회동축(220)이 구비된다.
상기 제 2회동축(220)은 툴 이송박스(10a)를 관통하여 상기 제 1회동축(130)과 나란한 수평상태로 구비되는데, 상기 툴 이송박스(10a)의 내부에는 상기 제 2회동축(220)과 결합된 캠(230)이 구비된다.(상기 캠(230)에 대해서는 도 4a와 도 4b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기 툴 이송박스(10a)의 하측에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구비되어 본체에 장착된 래크기어(미도시)와 치합되어 도시한 핸들(HD)에 의해 가공되는 파이프(1)의 길이에 따라 구비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툴 이송박스(10a)의 전방에는 가공 툴(250)이 내부에 구비된 툴 유니트(250a)가 장착되고, 상기 툴 유니트(250a)의 전방에 구동부(240)가 일체화되고, 상기 툴 이송박스(10a)의 각 내측으로 후술할 수직가이드(VG)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가이드(VG)의 상측에는 재료공급부(110)가 경사로 장착되어 있다.
즉, 가공될 파이프(1)의 길이에 따라 상기 툴 이송박스(10a) 위치를 조절할 때, 모든 구성들이 상기 툴 이송박스(10a)와 동시에 조절됨으로써,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공급부(110)에 다수개 공급된 파이프(1)는 수직가이드(VG)에 의해 하측으로 정렬되는 것이고, 상기 수직가이드(VG)의 하측에는 스토퍼(SP)가 장착되어 상기 수직가이드(VG)에 다중으로 구비된 파이프(1)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2지그(150)(160)의 각 선단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고정홈(FH)과 동심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지그(150)(160)의 각 선단에 형성된 고정홈(FH)과 동심한 위치에 구비된 파이프(1)는 도 2에서 상술한 제 1실린더(120)의 전진행정에의해 회동하는 제 1회동축(130)과 결합된 회동링크(142)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2링크(143)에 의해 제 1지그(150)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파이프(1)를 고정홈(FH)에 구비시킨 상태에서 제 2지그(160)로 이동하며 제 1, 2지그(150)(160)가 파이프(1)를 사이에 두고 밀착됨으로써, 고정부(100)의 고정작업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제 1지그(150)의 하측에는 전, 후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레일(GR)이 구비되어 상기 제 1회동축(130)에 의해 전, 후로 이동하는 제 1지그(150)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부(100)에 고정이 완료된 파이프(1)는 툴 이송박스(10a)의 각 내측으로 장착된 제 2지그(160)에 고정되고, 도 5에서 후술할 가공 툴(250)과 동심(同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 툴(250)에 의해 양단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가공부(200)의 작업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공부(200)는 구동부(240)의 회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가공 툴(250)을 파이프(1) 단부에 근접시켜 3방향으로 장착된 바이트(BT)에 의해 상기 파이프(1) 양단의 내, 외주 챔퍼링과 길이가공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툴 이송박스(10a)의 전방에 가공 툴(250)이 내부에 구비된 툴 유니트(250a)가 장착되고, 상기 툴 유니트(250a)의 전방에 구동부(240)가 장착되는데,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툴 유니트(250a)의 내부에 구비된 가공 툴(250)을 통상의 V벨트(V)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가공 툴(250)의 풀리(PL)와 가공축(251)은 상기 파이프(1) 양단의 가공이 용이하도록 풀리(PL)는 고정되고, 일단에 3방향으로 바이트(BT)가 구비된 상기 가공축(251)만 파이프(1)의 단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스플라인(Spline)(KS B 2006-85)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실린더(120)의 전진행정으로 제 1, 2지그(150)(160)에 고정된 파이프(1)의 양단으로 본 고안의 가공 툴(250)이 접근하며 가공을 하게 되는데,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제 2실린더가 전진행정으로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 2실린더의 실린더로드(CR)와 일단이 결합된 회동링크(211)가 회동하고, 상기 회동링크(211)의 회동에 의해 타단과 결합된 제 2회동축(220)이 회동하며 도시한 툴 이송박스(10a) 내부에 구비된 캠(230)도 회동한다.
상기 캠(230)은 상기 제 2회동축(220)을 기준으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고, 경사각도(θ)가 형성된 내부에 상기 가공 툴(250)을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로드(25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로드(252)의 선단에는 상기 캠(230)의 회동할 때, 경사를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통상의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의 회전에 의해 경사를 따라 가공 툴(250)(빗금친 부분)만 상기 캠(230)의 경사각도(θ)만큼 파이프(1) 쪽으로 이동(이동거리 θ')하며 상술한 고정부(100)에서 1차적으로 고정된 파이프(1)의 양단을 가공한다.
이때,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이트(BT)는 상기 파이프(1)의 내,외측과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도록 3방향으로 장착되어 불균일하게 투입된 파이프(1)의 단부를 균일하게 가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1)의 가공이 완료되면, 상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제 2실린더(210)의 후퇴행정에 의해 상기 캠(230)의 경사각도(θ)의 거리만큼 가공 툴(250)이 원위치로 복귀하고, 제 1실린더(120)의 후퇴행정에 의해 제 1지그(150)가 복귀하며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1)는 본 고안 챔퍼링장치(10)의 하측으로 이탈하며 도시하지 않은 박스 또는 바스켓에 수거되며 1Cycle의 챔퍼링가공이 완료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자동으로 반복하며 연속생산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술한 각 구성의 일측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파이프(1)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툴 이송박스(10a)에 상기한 가공 툴(250)과 구동부(240)가 일체화되어 동작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캠(2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캠(230)의 경사를 따라 가이드로드(252)가 이동하면 가공 툴(250)만 측면으로 이동하며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2조로 구비된 상기 툴 이송박스(10a)는 상술한 제 1, 2실린더(120)(210)가 구비된 방향에 구비된 툴 이송박스(10a)가 고정되어 가공되는 파이프(1)의 길이에 따른 기준점이 형성되는 것이고, 타측에 구비된 툴 이송박스(10a)가 파이프(1)의 길이에 따라 좌, 우로 이동하며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1)의 챔퍼링가공이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툴 이송박스(10a)의 하측에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구비되고, 본체(11)에는 래크기어(R)가 구비되어 상기 툴 이송박스(10a)의일측에 구비된 핸들(HD)에 의해 좌, 우로의 위치 이동하도록 하여 가공될 파이프(1)의 길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 파이프 챔퍼링장치(10)에 의해 가공되기 전 절단만 완료된 상태의 파이프(1)와 본 고안 파이프 챔퍼링장치(10)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태의 파이프(1)를 도시한 정투상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챔퍼링장치(10)는 상술한 가공 툴(250)에 3방향으로 바이트(BT)가 구비되어 파이프(1) 단부의 내, 외측 챔퍼링과 길이방향으로 절삭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생산성은 통상적인 선반가공보다, 그 생산성을 구비한 것이고, 정밀한 파이프(1) 단부의 가공을 자동, 연속작업으로 시행함으로써, 생산원가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파이프의 양단 내, 외주의 챔퍼링과 동시에 길이별로도 가공하여 정밀한 규격의 파이프를 생산하되, 전자동으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으로 파이프의 가공이 가능하여 무인자동화공장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되는 파이프의 규격을 다양화하여 그 사용용도가 광범위한 장비를 공급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툴 이송박스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거리를 조절하며 가공하도록 하는 챔퍼링(Chamfering)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퍼링장치는 본체 상부에 구비된 재료공급부에서 투입된 파이프중 최하단에 구비된 파이프를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된 제 1실린더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는 제 1회동축에 결합된 1조의 링크조합이 측면으로 이동하며 선단에 파이프가 구비된 제 1지그가 고정된 제 2지그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파이프의 1차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된 제 2실린더의 전진행정에 의해 회동하는 제 2회동축과, 상기 제 2회동축에 결합된 캠의 경사각도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가공 툴을 파이프의 양단으로 이동시켜 가공하도록 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챔퍼링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조합은 상기 제 1실린더의 전진행정에 의해 제 1회동축을 회동하도록 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회동축의 중간부위에 결합된 제 1회동링크가 힌지회동함으로써, 일단이 상기 제 1회동링크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제 1지그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지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링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챔퍼링머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지그의 각 내측에는 파이프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챔퍼링머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동축에 2조로 구비된 상기 캠은 경사각도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어 가공 툴을 각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된 파이프의 양단 가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챔퍼링머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툴 이송박스는 2개 1조로 구비되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하부에 구비된 랙과 피니언에 의해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이동하여 다양한 길이의 파이프 가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챔퍼링머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툴은 파이프의 내외측 모따기와 길이가 가공되도록 3방향으로 바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챔퍼링머신.
KR2020010031331U 2001-10-15 2001-10-15 파이프 챔퍼링머신 KR200260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331U KR200260151Y1 (ko) 2001-10-15 2001-10-15 파이프 챔퍼링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331U KR200260151Y1 (ko) 2001-10-15 2001-10-15 파이프 챔퍼링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151Y1 true KR200260151Y1 (ko) 2002-01-10

Family

ID=7306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331U KR200260151Y1 (ko) 2001-10-15 2001-10-15 파이프 챔퍼링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1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069B1 (ko) 2018-07-12 2018-10-26 김인호 파이프 내부 챔퍼링 툴
CN108818982A (zh) * 2018-08-31 2018-11-16 江苏宏宝优特管业制造有限公司 一种钢管切割及内外倒角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069B1 (ko) 2018-07-12 2018-10-26 김인호 파이프 내부 챔퍼링 툴
CN108818982A (zh) * 2018-08-31 2018-11-16 江苏宏宝优特管业制造有限公司 一种钢管切割及内外倒角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56503U (zh) 一种热熔钻钻攻一体机
KR102404553B1 (ko) 디퍼렌셜 케이스의 가공기
CA2852206A1 (en) Machine for machining crankshafts
CN205764403U (zh) 多功能切割机
EP1561395B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brushes
KR20170011793A (ko) 다축 시프트 파이프 가공기
DE112006003145B4 (de) Zuführungsvorrichtung für ein Schneidwerkzeug zur Innenbearbeitung
KR101088677B1 (ko) 실린더 내경 복합가공용 공구
KR200385943Y1 (ko) 씨앤씨선반의 공작물 자동 공급 및 인출장치
KR101636758B1 (ko) 회전속도비를 이용하여 회전체내 절삭툴을 제어할 수 있는 오비탈식 파이프 절삭장치
JP5662268B2 (ja) 工作機械及びそれを用いた加工方法
US4455726A (en) Chamfering apparatus for end faces of tubular members
CN110773768A (zh) 摇臂钻床
CN109049162B (zh) 一种木制品铣床
KR200260151Y1 (ko) 파이프 챔퍼링머신
CN111730334B (zh) 铣端面打中心孔机床
CN111546132A (zh) 一种钻铣床上等分铣槽的工装夹具
KR100191290B1 (ko) 슬롯팅 기계
CN210848406U (zh) 一种轴类工件端部自动钻孔装置
CN108637277B (zh) 弯曲类工件表面高精度车削加工工艺及其加工设备
KR200422052Y1 (ko) 자동 다축 면취 유니트
CN203955432U (zh) 一种热熔钻钻攻一体机的刀具涂液装置
CN218312546U (zh) 一种轨道定位座生产用去毛刺设备
CN104259904A (zh) 一种专用于换挡摆杆的毛刺去除夹紧机构
US3816890A (en) Non-captive tool chang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