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182B1 -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182B1
KR101903182B1 KR1020160177454A KR20160177454A KR101903182B1 KR 101903182 B1 KR101903182 B1 KR 101903182B1 KR 1020160177454 A KR1020160177454 A KR 1020160177454A KR 20160177454 A KR20160177454 A KR 20160177454A KR 101903182 B1 KR101903182 B1 KR 10190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ferritic stainless
less
strength
acid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915A (ko
Inventor
박지언
박미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182B1/ko
Priority to MX2019007636A priority patent/MX2019007636A/es
Priority to US16/473,044 priority patent/US20200087745A1/en
Priority to CN201780084405.XA priority patent/CN110199049B/zh
Priority to PCT/KR2017/014205 priority patent/WO2018117489A1/ko
Priority to JP2019534678A priority patent/JP6894515B2/ja
Publication of KR2018007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탄소(C): 0.1 내지 0.2%, 질소(N): 0.005 내지 0.05%, 망간(Mn): 0.01 내지 0.5%, 크롬(Cr): 12.0 내지 19.0%, 니켈(Ni): 0.01 내지 0.5%, 구리(Cu): 0.3 내지 1.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 내지 200ea/100㎛2이다.

Description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TO AC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 중 특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건축 자재, 주방 용기, 가전 제품, 자동차 배기계 부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최근 자동차 배터리 셀용으로 일부 적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사에서는 장기간의 배터리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 기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보다 더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배터리의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 더욱 낮은 가격의 소재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사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고강도화 방법은 가공 경화, 고용 강화, 석출 경화 등의 방법이 있는데, 상변태가 없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특성상 가공 경화 시 가공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고용 강화 효과가 뛰어난 Mo, Nb 등은 고가의 원소로서 활용하기가 어렵다.
기존에는 C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가공성을 해치는 원소로서 특별한 용도가 아니면 대부분 0.02wt% 이하로 낮게 관리하였다. 하지만 반대로 다량의 C를 첨가하게 되면 탄화물(carbide)의 석출로 인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근 가공 기술의 발달로 어느 정도의 연성만 확보되면 강도와 가공성을 동시에 확보 가능하다.
하지만 C를 다량 넣더라도 고온에서 열연하거나 압하율이 낮고 권취 온도가 높게 되면, 탄화물들이 변형조직 내에 미세하게 석출되지 못하고 조대하게 되어 결정립 미세화가 어렵고 또한 원하는 강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문헌 제2006-18308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합금 성분을 제어하여 폐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석출물 및 결정립 제어를 통하여 강도 및 내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간 압연시 슬라브 재가열 온도, 압하율 및 권취 온도를 제어하여 석출물 및 결정립 제어를 통하여 강도 및 내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탄소(C): 0.1 내지 0.2%, 질소(N): 0.005 내지 0.05%, 망간(Mn): 0.01 내지 0.5%, 크롬(Cr): 12.0 내지 19.0%, 니켈(Ni): 0.01 내지 0.5%, 구리(Cu): 0.3 내지 1.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 내지 200ea/100㎛2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강도가 520MPa 이상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신율이 20% 이상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 황산 분위기에서 임계전류밀도(Icrit)가 10mA 이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은, 중량%로, 탄소(C): 0.1 내지 0.2%, 질소(N): 0.005 내지 0.05%, 망간(Mn): 0.01 내지 0.5%, 크롬(Cr): 12.0 내지 19.0%, 니켈(Ni): 0.01 내지 0.5%, 구리(Cu): 0.3 내지 1.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열간 압연시 하기 식 (1)의 값이 1,000 이하를 만족한다.
15*RHT/R4+CT ------ 식 (1)
여기서, RHT(℃)는 슬라브 재가열 온도를 의미하며, R4(%)는 조압연의 R4 스탠드의 압하율을 의미하며, CT(℃)는 권취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 (1)의 값은 800 내지 1,000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HT는 1,250℃ 미만이며, R4는 40% 이상이며, CT는 650℃ 미만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연 판재는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 내지 200ea/100㎛2이며,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 이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합금 성분 및 열간 압연 조건을 제어하여 석출물 및 결정립 제어를 통하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강도 및 내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열간압연 조건 및 냉연 강판의 탄화물 개수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의 석출물 분포 상태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의 석출물 분포 상태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 강판의 탄화물 개수 및 인장강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탄소(C): 0.1 내지 0.2%, 질소(N): 0.005 내지 0.05%, 망간(Mn): 0.01 내지 0.5%, 크롬(Cr): 12.0 내지 19.0%, 니켈(Ni): 0.01 내지 0.50%, 구리(Cu): 0.3 내지 1.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탄소(C): 0.1 내지 0.2%
탄소(C)의 양은 0.1 내지 0.2%이다. 탄소(C)의 양이 0.1% 미만이면, 열연 중에 생성되는 오스테나이트의 양이 줄어들어 페라이트 밴드 조직이 파괴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어 결정립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최종 냉연 제품의 인장강도가 500MPa 미만으로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소(C)의 양이 0.2% 초과이면, 소재의 탄화물이 너무 많이 증가하여 최종 제품의 연신율이 떨어지고 탄화물들의 탈락으로 표면 품질 및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질소(N): 0.005 내지 0.05%
질소(N)의 양은 0.005 내지 0.05%이다. 질소(N)의 양이 0.005% 미만이면, 정련 시간 증가 및 내화물 수명 단축으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며, 또한 주조시의 과냉도가 낮아 슬라브의 등축정율이 낮아지고, 질소(N)의 양이 0.05% 초과이면, 슬라브 주조 중에 질소에 의한 핀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최종 냉연 제품에서 Cr2N 석출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증가하여 Cr2N 석출물 주변에 형성된 크롬 고갈 영역(Cr depleted zone)에 의해서 최종 냉연 제품의 표면에 다수의 피트(pit)를 형성하여 표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망간(Mn): 0.01 내지 0.5%
망간(Mn)의 양은 0.01 내지 0.5%이다. 망간(Mn)의 양이 0.01% 미만이면, 정련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고, 망간(Mn)의 양이 0.5% 초과이면, 연신율과 내식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크롬( Cr ): 12.0 내지 19.0%
크롬(Cr)의 양은 12.0 내지 19.0%이다. 크롬(Cr)의 양이 12.0% 미만이면, 내식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고, 크롬(Cr)의 양이 19.0% 초과이면, 연신율이 떨어지고 열연 스티킹(sticking)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니켈( Ni ): 0.01 내지 0.50%
니켈(Ni)의 양은 0.01 내지 0.50%이다. 니켈(Ni)의 양이 0.01% 미만이면, 정련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고, 니켈(Ni)의 양이 0.5% 초과이면, 소재의 불순물이 증가하여 연신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구리(Cu): 0.3 내지 1.5%
구리(Cu)의 양은 0.3 내지 1.5%이다. 구리(Cu)의 양이 0.3% 미만이면, 5% 황산 분위기에서 임계전류밀도(Icrit)가 10mA를 초과하여 충분한 내산성을 확보할 수 없고, 구리(Cu)의 양이 1.5%를 초과하면 원료 가격이 너무 올라갈 뿐만 아니라, 열간 가공성의 하락과 최종 제품의 연신율 하락을 초래한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최종 냉연 제품에서 원하는 인장강도를 얻기 위하여는 미세한 탄화물을 다수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결정립의 미세화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ea/100㎛2 이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탄화물은 M23C6형 탄화물계 금속 석출물일 수 있다.
상기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열연 공정 중에 열연 소재에 충분한 변형 조직을 형성하여야 한다. 변형 조직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 경우 탄화물 석출 사이트(site)가 충분하지 않아 탄화물의 양을 증가시키기 어렵다.
열연 소재에 충분한 변형 조직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열연 공정 중에 슬라브 재가열 온도, 조압연 압하율, 열연 코일 권취 온도를 제어하여야 하며 이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즉, 열연 공정 조건의 제어를 통하여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ea/100㎛2 이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미세한 탄화물을 다수 확보함으로써 52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공정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탄화물이 조대해져 탄화물의 양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예를 들어,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ea/100㎛2 미만인 경우, 탄화물의 양이 적어 결정립의 조대화가 발생하여 인장강도가 저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인장강도가 520MPa 이상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연신율이 20% 이상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5% 황산 분위기에서 임계전류밀도(Icrit)가 10mA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중량%로, 탄소(C): 0.1 내지 0.2%, 질소(N): 0.005 내지 0.05%, 망간(Mn): 0.01 내지 0.5%, 크롬(Cr): 12.0 내지 19.0%, 니켈(Ni): 0.01 내지 0.5%, 구리(Cu): 0.3 내지 1.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열간 압연시 하기 식 (1)의 값이 1,000 이하를 만족한다.
15*RHT/R4+CT ------ 식 (1)
여기서, RHT(℃)는 슬라브 재가열 온도를 의미하며, R4(%)는 조압연의 R4 스탠드의 압하율을 의미하며, CT(℃)는 권취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성분을 포함하는 용강을 연속주조를 통하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슬라브를 제조한다. 이후,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며, 열간 압연을 통해 2 내지 10mm 두께의 열연 코일을 제조한다.
예를 들어, 슬라브 재가열 온도(RHT)는 1,250℃ 미만이며, 조압연의 R4 스탠드의 압하율(R4)는 40% 이상이며, 권취 온도(CT)는 650℃ 미만으로 수행하는데, 이때에, 열간 압연 조건은 상기 식 (1)의 값이 1,000 이하를 만족하도록 수행된다.
도 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열간압연 조건 및 냉연 강판의 탄화물 개수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식 (1)에 따른 값이 1,000 이하인 경우,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ea/100㎛2 이상임을 알 수 있다.
탄소 함량이 충분하더라도 상기 식 (1)의 열간 압연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열연 소재에 충분한 변형조직이 형성되지 않아 탄화물 석출 사이트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권취 온도가 650℃ 이상으로 높으면 석출물의 조대화가 발생하여 원하는 탄화물 개수를 얻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결정립이 조대해지며 최종 제품에서 원하는 인장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식 (1)의 값은 800 내지 1,000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식 (1)의 값이 800 미만인 경우, 열간 압연시 온도가 너무 낮아 판형상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열연 판재은 소둔 공정을 거치는데, 상기 소둔 공정에서 700 내지 900℃의 온도에서의 소둔 열처리를 통해 탄화물을 충분히 석출을 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소둔 열처리는 BAF 소둔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둔 열처리 이후, 냉간 압연을 통하여 2mm 두께 미만의 냉연 판재를 제조하고 800 내지 900℃의 온도의 열처리를 통해 최종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연 판재는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ea/100㎛2 이상이며,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 이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연속주조를 통하여 하기 표 1의 성분을 만족하는 발명강 1 내지 4 그리고 비교강 1 내지 9의 슬라브를 제조하여 하기 표 2의 열간 압연 조건에 따라, 재가열한 후, 열간 압연을 통해 5mmt의 열연 코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BAF 소둔 공정에서 900℃의 소둔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이후, 냉간 압연을 통해 1mmt의 냉연판을 제조하고 900℃의 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표면 숏볼처리 및 황산 및 과수를 포함하는 산세액으로 산세하여 최종 제품을 제조하였다.
C N Mn Cr Ni Cu
발명강 1 0.103 0.014 0.13 14.3 0.11 0.67
발명강 2 0.171 0.016 0.11 17.2 0.09 0.45
발명강 3 0.122 0.006 0.24 16.7 0.13 1.21
발명강 4 0.125 0.008 0.19 16.5 0.12 1.05
비교강 1 0.133 0.012 0.23 17.5 0.15 1.79
비교강 2 0.147 0.015 0.24 16.9 0.17 0.14
비교강 3 0.227 0.022 0.15 17.1 0.21 0.84
비교강 4 0.232 0.017 0.14 17.6 0.11 0.66
비교강 5 0.042 0.046 0.21 16.2 0.11 0.12
비교강 6 0.051 0.042 0.15 15.2 0.13 0.23
비교강 7 0.047 0.041 0.17 16.9 0.14 0.77
비교강 8 0.062 0.015 0.16 17.3 0.13 0.81
비교강 9 0.085 0.015 0.25 18.1 0.15 0.67
강종 RHT(℃) CT(℃) R4(%) 15*RHT/R4+CT
실시예 1 발명강 1 1,130 550 45 927
실시예 2 발명강 2 1,130 550 45 927
실시예 3 발명강 3 1,180 550 45 943
실시예 4 발명강 4 1,180 580 45 973
비교예 1 발명강 1 1,250 550 30 1,175
비교예 2 발명강 2 1,180 650 30 1,240
비교예 3 발명강 3 1,180 580 30 1,170
비교예 4 발명강 4 1,250 550 40 1,019
비교예 5 비교강 1 1,130 550 45 927
비교예 6 비교강 2 1,130 580 45 957
비교예 7 비교강 3 1,180 550 45 943
비교예 8 비교강 4 1,180 580 45 973
비교예 9 비교강 5 1,180 650 30 1,240
비교예 10 비교강 6 1,130 550 45 927
비교예 11 비교강 7 1,180 550 45 943
비교예 12 비교강 8 1,180 650 45 1,043
비교예 13 비교강 9 1,250 650 30 1,275
이에 따라 최종 생산된 냉연 강판의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 평균 결정립 지름, 인장강도, 연신율, 5% 황산 분위기에서 임계전류밀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최종 생산된 냉연 판재에 대하여 TEM Replica를 만들어 단위 면적당(100㎛2) 탄화물 석출물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탄화물의 개수 (ea/100㎛2) 평균 결정립 지름 (㎛) 연신율(%) 인장강도 (MPa) 5% 황산 분위기에서 임계전류밀도 (mA)
실시예 1 91 6.8 25.7 529 5.6
실시예 2 124 5.9 23.9 531 7.2
실시예 3 72 7.4 25.3 542 3.7
실시예 4 75 8.1 26.7 537 3.5
비교예 1 32 10.8 27.6 498 8.5
비교예 2 45 11.6 25.3 508 5.9
비교예 3 37 10.5 26.7 515 4.2
비교예 4 41 12.1 27.2 498 4.5
비교예 5 81 6.5 18.8 554 3.1
비교예 6 107 5.4 25.7 527 14.5
비교예 7 227 4.8 18.5 567 6.9
비교예 8 305 5.3 19.2 572 7.5
비교예 9 13 18.1 30.1 457 15.6
비교예 10 19 17.3 29.8 453 13.8
비교예 11 28 20.6 28.9 476 6.3
비교예 12 21 14.1 27.7 481 5.4
비교예 13 26 12.0 26.3 491 4.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의 석출물 분포 상태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의 석출물 분포 상태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냉연 강판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3은 상기 비교예 2에 따른 냉연 강판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비교예 1 내지 4에서와 같이 열간 압연시 슬라브 재가열 온도, R4 압하율, 권취 온도에 관한 관계식에 따른 15*RHT/R4+CT의 값이 1,000을 초과하여 탄소 함량이 충분하더라도 열연 소재에 충분한 변형조직이 형성되지 않아 탄화물 석출 사이트가 충분치 않다.
뿐만 아니라, 비교예 2에서와 같이 권취 온도가 높으면 석출물의 조대화가 발생하여 원하는 탄화물 개수를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에서와 같이 구리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 최종 제품의 연신율이 18.8%를 가져 연신율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6에서와 같이 구리의 함량이 적은 경우, 5% 황산 분위기에서 임계전류밀도(Icrit)가 14.5mA를 나타내어 충분한 내산성을 확보할 수 없다.
비교예 7 및 8에서와 같이 탄소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 탄화물의 개수가 증가하여 연신율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9 내지 13에서와 같이 탄소의 함량이 적은 경우, 결정립의 크기가 커지며, 인장강도가 500MPa 미만으로 강도가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 강판의 탄화물 개수 및 인장강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냉연 강판의 탄화물 수와 인장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탄화물의 수가 증가할수록 인장강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중량%로, 탄소(C): 0.1 내지 0.2%, 질소(N): 0.005 내지 0.05%, 망간(Mn): 0.01 내지 0.5%, 크롬(Cr): 12.0 내지 19.0%, 니켈(Ni): 0.01 내지 0.5%, 구리(Cu): 0.3 내지 1.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 내지 200ea/100㎛2 이고,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 이하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520MPa 이상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4. 제1항에 있어서,
    연신율이 20% 이상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5. 제1항에 있어서,
    5% 황산 분위기에서 임계전류밀도(Icrit)가 10mA 이하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6. 중량%로, 탄소(C): 0.1 내지 0.2%, 질소(N): 0.005 내지 0.05%, 망간(Mn): 0.01 내지 0.5%, 크롬(Cr): 12.0 내지 19.0%, 니켈(Ni): 0.01 내지 0.5%, 구리(Cu): 0.3 내지 1.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열간 압연시 하기 식 (1)의 값이 1,000 이하를 만족하고,
    냉연 판재는 100nm 이상의 지름을 가지는 탄화물의 단위 면적당 개수가 50 내지 200ea/100㎛2이며,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 이하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15*RHT/R4+CT ------ 식 (1)
    여기서, RHT(℃)는 슬라브 재가열 온도를 의미하며, R4(%)는 조압연의 R4 스탠드의 압하율을 의미하며, CT(℃)는 권취 온도를 의미한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 (1)의 값은 800 내지 1,000을 만족하는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RHT는 1,250℃ 미만이며, R4는 40% 이상이며, CT는 650℃ 미만인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160177454A 2016-12-23 2016-12-23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0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54A KR101903182B1 (ko) 2016-12-23 2016-12-23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MX2019007636A MX2019007636A (es) 2016-12-23 2017-12-06 Acero inoxidable ferritico con excelente resistencia y resistencia a la corrosion por acido, y metodo de fabricacion del mismo.
US16/473,044 US20200087745A1 (en) 2016-12-23 2017-12-06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to ac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780084405.XA CN110199049B (zh) 2016-12-23 2017-12-06 具有优异的强度和耐酸腐蚀性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PCT/KR2017/014205 WO2018117489A1 (ko) 2016-12-23 2017-12-06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534678A JP6894515B2 (ja) 2016-12-23 2017-12-06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54A KR101903182B1 (ko) 2016-12-23 2016-12-23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15A KR20180073915A (ko) 2018-07-03
KR101903182B1 true KR101903182B1 (ko) 2018-10-01

Family

ID=6262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454A KR101903182B1 (ko) 2016-12-23 2016-12-23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87745A1 (ko)
JP (1) JP6894515B2 (ko)
KR (1) KR101903182B1 (ko)
CN (1) CN110199049B (ko)
MX (1) MX2019007636A (ko)
WO (1) WO2018117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158B1 (ko) * 2018-09-19 2020-07-17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과 고온강도가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050A (ja) 1999-07-21 2001-02-06 Nippon Steel Corp 曲げ加工時の形状凍結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2007211313A (ja) 2006-02-10 2007-08-23 Nippon Metal Ind Co Ltd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2010138470A (ja) 2008-12-15 2010-06-24 Jfe Steel Corp せん断端面の耐食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8314A (en) * 1976-03-09 1977-09-10 Nippon Steel Corp Highly tough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hydrogen-induced crack resistance
SE451465B (sv) * 1984-03-30 1987-10-12 Sandvik Steel Ab Ferrit-austenitiskt rostfritt stal mikrolegerat med molybden och koppar och anvendning av stalet
JPH01159319A (ja) * 1987-12-16 1989-06-22 Kawasaki Steel Corp 成形性の優れた高耐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H05179357A (ja) * 1991-12-27 1993-07-20 Sumitomo Metal Ind Ltd フェライトステンレス冷延鋼板の製造方法
TW429270B (en) * 1996-03-15 2001-04-11 Ugine Sa Process for producing a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an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especially resistance to intergranular and pitting corrosion
JP2000178694A (ja) * 1998-12-09 2000-06-27 Nippon Steel Corp 表面性状と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226442C (zh) * 2002-11-18 2005-11-09 烨联钢铁股份有限公司 低镍含量的沃斯田铁系不锈钢
JP4082205B2 (ja) * 2002-12-20 2008-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および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86764A (ja) * 2006-01-13 2007-07-26 Nisshin Steel Co Ltd フェライト系快削ステンレス鋼材
CN101008043B (zh) * 2006-01-27 2010-05-1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铁素体不锈钢的生产方法
JP4915923B2 (ja) * 2007-02-09 2012-04-11 日立金属株式会社 耐酸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鋳鋼および鋳造部材
JP2011001564A (ja) * 2008-03-21 2011-01-06 Nisshin Steel Co Ltd 耐肌荒れ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4575B2 (ja) * 2010-03-29 2015-07-08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鋼板および鋼帯、製造方法
EP2975150B1 (en) * 2013-03-14 2019-09-11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plate with excellent delayed fractu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high strength member manufactured using same
CN103643157B (zh) * 2013-11-26 2015-11-18 攀钢集团江油长城特殊钢有限公司 一种含铜铁素体不锈钢盘元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050A (ja) 1999-07-21 2001-02-06 Nippon Steel Corp 曲げ加工時の形状凍結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2007211313A (ja) 2006-02-10 2007-08-23 Nippon Metal Ind Co Ltd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JP2010138470A (ja) 2008-12-15 2010-06-24 Jfe Steel Corp せん断端面の耐食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07636A (es) 2019-12-09
JP2020509217A (ja) 2020-03-26
JP6894515B2 (ja) 2021-06-30
CN110199049B (zh) 2021-07-09
CN110199049A (zh) 2019-09-03
WO2018117489A1 (ko) 2018-06-28
KR20180073915A (ko) 2018-07-03
US20200087745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07785B (zh) 一种具有超高屈强比的吉帕级贝氏体钢及其制造方法
KR101417231B1 (ko) 저온인성 및 인장특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극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4581665B2 (ja) 高強度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839235B1 (ko) 구멍확장성 및 항복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7070648A (ja) 穴拡げ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42721B (zh) 奧氏體系不銹鋼及其製造方法
KR20150109461A (ko)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9896B1 (ko) 인장강도 1.5GPa급의 초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KR101697093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03182B1 (ko) 강도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9610B1 (ko) 용접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2527481B1 (en) Quench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t press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10009606A (ko) 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76797A (ko) 강도 편차가 적은 열연 소둔 강판,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1315909B (zh) 冷成型性优异的超高强度高延展性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304808B1 (ko)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897B1 (ko) 파이프 조관 후 강도 하락이 없는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5251A (ko) 고강도 고연성 페라이트계 경량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58563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7298777B2 (ja)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76300B1 (ko) 저항복비를 갖는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JP7445744B2 (ja) 高温耐クリープ性が向上し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焼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82888B1 (ko)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1453B1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644148B2 (ja) 加工後の表面外観に優れたステンレス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