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201B1 -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 Google Patents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201B1
KR101901201B1 KR1020160102130A KR20160102130A KR101901201B1 KR 101901201 B1 KR101901201 B1 KR 101901201B1 KR 1020160102130 A KR1020160102130 A KR 1020160102130A KR 20160102130 A KR20160102130 A KR 20160102130A KR 101901201 B1 KR101901201 B1 KR 10190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utting
block
cutting structure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776A (ko
Inventor
전동수
Original Assignee
전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동수 filed Critical 전동수
Priority to KR102016010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7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rotary, e.g. rotary 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상의 보수시공부위에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블록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을 생성하는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에 있어서, 회전운동을 통해 도로 지면에 수직하게 절삭을 수행하여 상기 보수시공부위에 상기 설치홈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측면 둘레를 도로 지층과 분리시키는 절삭 구조체; 상기 절삭 구조체가 결합되며, 상기 절삭 구조체의 회전운동 및 상하 승강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 구조체는, 하부측이 개방되어 블록 수용홈이 마련되는 통 형상의 몸체; 상기 블록 수용홈을 이루는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살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 및 상기 몸체부 상면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고정 결합되어 연동 구조를 이루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ROAD SURFACE CUTTING APPARATUS USING POT HOLE REPAIRING}
본 발명은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 도로포장을 통해 마련되는 대부분의 도로들은 수분에 취약한 특성을 갖추고 있어 강우 또는 폭설 현상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는 상황에서 도로를 지나는 자동차들에 의해 하중이 지속 발생할 경우, 도로의 표층이 하부측으로 함입되며 도로상의 균열 혹은 더 나아가 포트 홀(Pot Hole)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포트 홀과 같은 도로상의 훼손에 기인한 도로 표면 불량은 포장의 파손 현상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로 표면에 단차 혹은 틈을 유발하여 타이어의 펑크나 운전자의 무리한 주행차선 변경에 의한 교통사고를 이차적으로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로 상에 크랙과 같은 균열 혹은 더욱 발전하여 포트 홀과 같은 각종 불량요인이 발생한 경우, 이를 보수 시공하여 정상적인 도로 표면 상태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경우. 우선 불량요인이 발생한 부위를 도로 상에서 제거한 뒤, 제거된 부위에 다시 아스팔트와 같은 도로 포장재를 채우고 다짐작업으로 마무리하여 임시방편적인 보수 시공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임시방편적인 보수 시공 방법은 균열 혹은 더 나아가 포트홀과 같은 불량요인이 손쉽게 다시 발생하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미리 기 설정된 규격으로 제조되어진 프리캐스트 블록은 불량요인이 발생한 부위를 도로 상에서 제거함에 따라 발생하는 홈에 설치하여 보수 시공을 진행하는 방법 또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각종 포트홀 보수 시공 방법의 진행을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우선 진행되어야 하는 공정이 불량요인 발생 부위 주변의 도로 표면을 절삭하여 제거 하는 공정인데, 이와 관련하여 도로 표면상의 절삭 공정 수행을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4950호의 "포트홀 보수용 절삭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포트홀 보수용 절삭장치의 경우, 단순히 도로 지면상에 수직하게 면을 갈아 절삭 공정의 진행 후, 별도의 절삭 부위 내측으로 도로 지면을 분쇄하여 미분화시킨 뒤 이를 걷어내 도로 포장재의 도포 혹은 프리캐스트 블록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함에 따라 작업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상의 보수시공부위에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블록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설치홈의 생성에 있어서 제거되어져야 할 도로 표면상의 블록에 관한 측면 둘레 절삭 공정과 도로 표면으로부터의 제거 공정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효율적인 도로 보수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는, 도로상의 보수시공부위에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블록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을 생성하는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에 있어서, 회전운동을 통해 도로 지면에 수직하게 절삭을 수행하여 상기 보수시공부위에 상기 설치홈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측면 둘레를 도로 지층과 분리시키는 절삭 구조체; 상기 절삭 구조체가 결합되며, 상기 절삭 구조체의 회전운동 및 상하 승강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 구조체는, 하부측이 개방되어 블록 수용홈이 마련되는 통 형상의 몸체; 상기 블록 수용홈을 이루는 상기 몸체의 측면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 및 상기 몸체부 상면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 상면 상에는 상기 블록 수용홈에 상기 몸체의 하부측으로부터 수용되어진 상기 보수시공부위에 상기 설치홈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 상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제거되어질 블록 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앵커(Anchor) 부재의 설치를 위해 개방되어진 다수의 설치홀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절삭 구조체의 결합부가 결합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축으로 상기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요소; 및 상기 회전 구동요소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승강이동 시킬 수 있는 승강 구동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 구동요소 일측에는 상기 몸체 상면의 상기 다수의 설치홀을 통해 상기 제거되어질 블록 상면 상에 설치된 상기 앵커 부재의 상기 몸체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진 연결부분에 일측이 고정 결합된 별도의 연결부재의 타측이 고정 결합되어질 수 있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하부측이 개방되어 상기 블록 수용홈의 상측 일부가 마련되는 통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블록 수용홈의 상측 일부를 이루는 측면 하부에 측면 둘레를 따라 제1체결부분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 및 상, 하부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1몸체부 측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측면을 갖춘 중공의 통 형상으로, 측면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체결부분과 교체 가능한 형태로 체결 결합되는 제2체결부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블록 수용홈은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가 상기 제1체결부분 및 제2체결부분의 상호 체결 결합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제2몸체부에 걸쳐 개방된 내측 공간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돌기는 실시에 따라 상기 몸체의 측면 하부에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교체 가능한 형태로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를 기준으로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절삭 구조체에 마련된 다수의 돌기를 이용해 절삭 구조체의 회전 구동요소와의 연동을 기반으로 보수시공부위에 설치홈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측면 둘레 절삭공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절삭공정의 진행 후, 즉각적으로 절삭 구조체에 구비된 설치홈에 설치된 앵커부재를 이용해 절삭 구조체의 승강 구동요소와의 연동을 기반으로 보수시공부위에 설치홈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절삭 구조체와의 일체화를 통한 승강 제거 공정이 효과적으로 연달아 진행될 수 있다.
셋째, 절삭 구조체의 직접적인 절삭을 수행하는 돌기 혹은 돌기 형성 부위 주변부가 교체가능한 형태로 절삭 구조체가 마련됨에 따라, 절삭 공정의 반복적 진행에 따른 구조적 손상에도 빠르고 즉각적인 대처 및 회복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의 절삭 구조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를 이용한 보수시공부위의 절삭 가공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를 이용한 보수시공부위의 측면 둘레가 절삭된 제거되어질 블록의 승강 제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 구조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의 절삭 구조체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1000)는 절삭 구조체(100); 구동유닛(200); 제어기(300); 하우징(400); 이동유닛(500);를 포함한다.
우선,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10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F)상의 보수시공부위(CP)에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블록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설치홈(H)을 보수시공부위(CP)에 해당하는 도로 일부 블록(EB)을 제거를 통해 생성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1000)는 공사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공사 차량의 형태로 마련되는 장치로서, 이와 같은 외형은 도1과 같은 장치의 제어자(작업자)가 내부에 들어가 실질적인 작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하우징(400)을 갖추며, 하우징(400) 하부 측에는 장치(1000)의 공사 현장에서의 작업 위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이동유닛(50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400) 일측에는 하우징(400) 내부에 일측에 마련되어 제어자(작업자)가 조작함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도록 제어 명령을 형성하는 별도의 제어기(300)에 연결되어 제어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기반을 두고 작동상태가 제어되는 구동유닛(200)이 마련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동유닛(200)에는 절삭 구조체(100)가 연결을 통해 연동되어져 작동형태를 같이 하며, 이와 같은 절삭 구조체(100)의 구조는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측면 둘레 절삭공정(도3) 및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절삭 구조체와의 일체화를 통한 승강 제거 공정(도4)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 도로(F)상에 도로 표면의 균열 혹은 더욱 심각하게는 포트홀과 같은 불량요인(C)이 발생할 경우, 불량요인 발생 주변 부위에 해당하는 영역을 보수시공부위(CP)로 설정하고 이 부위 상의 도로 일부 블록(EB)을 본 발명의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1000)를 이용해 절삭 분리 및 승강 제거하여 추후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블록의 설치를 통한 도로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홈(H)을 생성한다.
절삭 구조체(100)는 회전운동을 통해 도로(F) 지면에 수직하게 절삭을 수행하여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EB)의 측면 둘레를 도로 지층(F)과 분리시키고 추후에는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EB)와 일체로 연결되어 해당 블록(EB)의 승강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체로서, 회전 운동 및 상하 승강 운동을 위한 구동력은 결합 설치되는 구동유닛(200)으로부터 전달된다.
여기서, 구동유닛(200)은 회전 구동요소(210)은 회전 구동력을 절삭 구조체(100)에 전달하는 구성이고, 승강 구동요소(220)은 승강 구동력을 절삭 구조체(10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호 연동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 구동요소(220)는 상하로 이루어진 승강안내 레일, 승강안내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레일 블록 및 해당 레일 블록의 승강안내 레일 상의 승강운동을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아울러, 승강 구동요소(220)의 레일 블록 상에는 회전 구동요소(210)의 구동몸체가 설치되어져 절삭 구조체(100)의 회전 운동과 더불어 도로(F)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아래로의 하강 이동이 이루어지며 절삭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고, 회전 구동요소(210)의 구동몸체 내에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같은 회전구동모듈이 설치되어진다.
또한, 회전구동모듈에는 회전 축(210S)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연동되고, 회전 축(210S)의 타단에는 절삭 구조체(100)(구체적으로는 아래 설명되어질 결합부(130))가 결합 설치되어 회전 축(210S)과 연동된다.
이에 따라 회전 구동요소(210)의 회전구동모듈로부터 발생되는 회전 구동은 회전 축(210S)을 통해 절삭 구조체(100)에 전달됨으로써, 결합부(130)의 중심을 축으로 절삭 구조체(100)는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승강 구동요소(220)의 승강구동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승강 구동은 승강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레일블록에 설치된 회전 구동요소에 연동되어 절삭 구조체(100) 역시 승강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절삭 구조체(100)를 이용해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측면 둘레 절삭공정이 수행될 경우, 회전 구동요소(210)를 통한 절삭 구조체(100)의 회전 운동과 승강 구동요소(220)를 통한 절삭 구조체(100)의 하강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아울러, 절삭 구조체(100)를 이용해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절삭 구조체와의 일체화를 통한 승강 제거 공정이 수행될 경우, 승강 구동요소(220)를 통한 절삭 구조체(100)의 상승 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구동요소(210), 승강 구동요소(220) 및 이동유닛(500)의 작동상태(구동여부 및 구동형태)는 제어기(300)를 통해 제어된다.
한편, 절삭 구조체(100)는 도2에 도시된 하부측이 개방되어 블록 수용홈(110H)이 내측에 마련되는 통 형상의 몸체(110), 블록 수용홈(110)을 이루는 몸체(110)의 측면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몸체(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120) 및 몸체부(110) 상면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동유닛(200)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10) 상면 상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수용홈(110H)에 몸체(110)의 하부측으로부터 수용되어진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EB) 상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제거되어질 블록 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앵커(A, Anchor) 부재의 설치를 위해 개방되어진 다수의 설치홀(100H)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 몸체(110) 상면 상에 구비된 다수의 설치홀(100H)는 셋트 앵커와 같이 앵커 부재(A)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데, 다수의 설치홀(100H)을 통해 설치되는 앵커 부재(A)는 몸체(110)를 기준으로 몸체(110) 내측에 형성된 블록 수용홈(110H)에 위치하게 되는 제거되어질 블록(EB)과 몸체(110)를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몸체(110) 상면 상에 별도의 연결부분(AC)을 갖춘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위를 노출시킨다.
여기서, 앵커 부재(A)는 연결부분(AC)을 갖춘 부재가 추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위를 갖추고 있을 수도 있지만, 실시에 따라서는 설치되는 앵커 부재(A) 자체가 몸체(110) 상면 상에 노출되는 연결부분(AC)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몸체(110) 상면 상에 구비된 다수의 설치홀(100H)을 통해 설치되는 앵커 부재(A)가 직,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연결부분(AC)은 앞 서 설명한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절삭 구조체와의 일체화를 통한 승강 제거 공정 진행 시 해당 공정의 진행이 더욱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연결부재(CN)의 설치를 위해 마련된 부분이다.
여기서, 앵커 부재(A)는 다수의 설치홀(100H)을 통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층(F1) 및 기층(F2)에 걸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거하고자 하는 제거될 블록(EB)이 기층(F2) 영역까지 해당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승강 구동요소(220) 일측(구체적으로는 승강 구동요소(220)의 레일 블록 일측)에는 몸체(110)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설치홀(100H)을 통해 제거되어질 블록(EB) 상면 상에 설치된 앵커 부재(A)의 몸체(110)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진 연결부분(AC)에 일측이 고정 결합된 별도의 연결부재(C)의 타측이 고정 결합되어질 수 있는 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110)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설치홀(100H)을 통해 제거되어질 블록(EB) 상면 상에 설치된 앵커 부재(A)의 몸체(110)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진 연결부분(AC)과 승강 구동요소(220) 일측에 마련된 연결부(미도시) 간에는 연결용 로프와 같은 별도의 연결부재(C)를 통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승강 구동요소(220)의 상승 구동에 따라 절삭 구조체(100)가 상승 이동하는 과정에서 몸체(110) 내측 블록 수용홈(110H)에 위치한 제거되어질 블록(EB)이 같이 들어 올려지며 분리 제거되는 공정이 더욱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실질적인 도로 지층(F)의 원형 절삭을 수행하는 다수의 돌기(120)는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측면 둘레를 기준으로 상호 등간격(D2)을 이루며 형성 배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돌기(120)는 각 돌기의 길이(D1)가 인접한 돌기 간 상호 간격(D2)에 비해 길게 마련되고, 더욱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기의 외측부분이 블록 수용홈(110H)을 이루는 몸체(110)의 측면 외측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더욱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돌기(120)는 블록 수용홈(110H)을 이루는 몸체(110)의 측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돌기를 이루되, 외측부분이 몸체(110)의 측면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절삭 효율을 높인다.
이와 같은 돌기(120)의 구체적인 길이와 상호 배치 간격 간의 구체화된 특징 및 돌기의 외측부분에 의한 구조적 특징에 따라 절삭 구조체(100)의 회전 운동이 제공하는 절삭 공정상의 작업 성능은 도로(F)상의 표층(F1) 및 지층(F2)에 걸친 절삭이 실질적 및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수준으로 갖춰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구조체(100)의 경우, 실시 형태에 따른 실질적 절삭 수행 부위의 반복 사용에 따른 마모 혹은 파손의 결과 즉각적이고 신속한 교체 및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실시 형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구조체(100')의 몸체(110')가 제1몸체부(111)와 제2몸체부(112)로 구분되어 상호 교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몸체부(111)는 하부측이 개방되어 블록 수용홈(110H)의 상측 일부가 마련되는 통 형상으로, 상면에는 결합부(130')가 마련된다.
또한, 블록 수용홈(110H)의 상측 일부를 이루는 제1몸체부(111)의 측면 하부에는 제1몸체부(111)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제1체결부분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2몸체부(112)는 상, 하부측이 개방되며 제1몸체부(111) 측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측면을 갖춘 중공의 통 형상으로, 제1몸체부(111)의 의해 마련되는 블록 수용홈(110H)의 상측 일부를 제외한 블록 수용홈(110H)의 나머지 부분을 마련한다.
따라서 블록 수용홈(110H)은 상기 제1몸체부(111) 및 제2몸체부(112)가 제1체결부분 및 제2체결부분의 상호 체결 결합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몸체부(111)로부터 제2몸체부(112)에 걸쳐 개방된 내측 공간에 해당된다.
또한, 제2몸체부(112) 측면 상부에는 제1몸체부(111)의 제1체결부분과 교체 가능한 형태로 체결 결합되는 제2체결부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앞 서 설명한 다수의 돌기(12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몸체부(111)의 제1체결부분과 제2몸체부(112)의 제2체결부분은 제1몸체부(111)와 제2몸체부(112)의 상호 교체 가능한 형태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암수 나사 결합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실시에 따라서는 너트 볼트 결합 혹은 제1체결부분와 제2체결부분 모두 홀 구조로 마련되고 별도의 핀 혹은 볼트 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 형태로는 다수의 돌기(120)가 몸체(110)의 측면 하부에 몸체(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교체 가능한 형태로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110)의 측면 하부에 몸체(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는 돌기(120)가 교체 가능한 형태로 고정 결합되기 위한 홈 혹은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돌기(120)는 자체적으로 일측에 생성된 체결부분 혹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각자의 위치에 체결되어질 수 있다.
2.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를 이용학 보수작업 형태에 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100)를 이용해 어떻게 도로(F)상의 보수시공부위(CP)에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블록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설치홈(H)을 보수시공부위(CP)에 해당하는 도로 일부 블록(EB)을 제거를 통해 생성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표면의 균열 혹은 더욱 심각하게는 포트홀과 같은 불량요인이 발생한 영역(C)을 기준으로 주변으로 더욱 확장된 소정의 영역을 보수시공부위(CP)으로 설정하고, 제어기(300)의 조작을 통해 이동유닛(500)을 조작하여 절삭 구조체(100)가 보수시공부위(CP)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보수시공부위(CP)를 도로 표면의 균열 혹은 더욱 심각하게는 포트홀과 같은 불량요인이 발생한 영역(C) 주변의 확장된 영역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추후 진행될 블록 제거 공정 이전에 앵커부재(A)의 설치를 통해 효과적인 블록 제거가 이루어짐에 있어서, 앵커부재(A)의 설치가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요구되어지는 불량 요인이 없는 설치 영역(N)의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반영하여 절삭 구조체(100)의 몸체(110) 직경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300)의 조작을 통해 구동유닛(200)의 회전 구동요소(210)를 통한 절삭 구조체(100)의 회전 운동과 승강 구동요소(220)를 통한 절삭 구조체(100)의 하강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한 원형 절삭이 진행 된다.
이 경우, 절삭공정의 하강 운동 범위는 도로(F)의 표층(F1) 및 기층(F2)의 영역까지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 진행될 측면 둘레가 절삭되어진 제거될 블록(EB)이 절삭 구조체(100) 상승 이동에 연동되어 쉽게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기층(F2)과 보조기층(F3)간의 지층 구성 성분의 차이로 인해 더욱 용이하게 블록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층(F1) 및 기층(F2)의 영역까지 절삭 구조체(100)의 회전 및 하강을 통해 절삭이 이루어진 뒤에는 몸체(110)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설치홀(100H)을 통해 별도의 앵커부재(A)를 블록 수용홈(110H)에 몸체(110)의 하부측으로부터 수용되어진 보수시공부위(CP)에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EB) 상면 상(구체적으로 표층(F1) 및 기층(F2)에 해당하는 영역 까지 모두 포함)에 설치하여 제거되어질 블록(EB)과 몸체(110)를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몸체(110) 상면 상에 별도의 연결부분(AC)을 갖춘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위를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재(A)를 통해 몸체(110) 상면 상에 노출된 연결부분(AC)과 승강 구동요소(220) 일측에 마련된 연결부(미도시) 간에는 연결용 로프와 같은 별도의 연결부재(C)를 통해 상호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 후,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300)의 조작을 통해 승강 구동요소(220)를 통한 절삭 구조체(100)의 상승 운동이 이루어져 표층(F1) 및 기층(F2)의 영역까지 절삭을 통해 측면이 표층(F1) 및 기층(F2)과 분리된 설치홈(H)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EB)이 보조기층(F3)으로 분리되어 별도의 도로(F) 지면에 수평한 절삭 과정 없이 즉각적인 설치홈(H)의 생성이 연달아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100 : 절삭 구조체
110 : 몸체
110H : 블록 수용홈
120 : 돌기
130 : 결합부
100H : 설치홈
200 : 구동유닛
210 : 회전 구동요소
220 : 승강 구동요소
300 : 제어기
400 : 하우징
500 : 이동유닛

Claims (7)

  1. 도로상의 보수시공부위에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블록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을 생성하는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에 있어서,
    회전운동을 통해 도로 지면에 수직하게 절삭을 수행하여 상기 보수시공부위에 상기 설치홈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의 측면 둘레를 도로 지층과 분리시키는 절삭 구조체;
    상기 절삭 구조체가 결합되며, 상기 절삭 구조체의 회전운동 및 상하 승강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 구조체는,
    하부측이 개방되어 블록 수용홈이 마련되는 통 형상의 몸체;
    상기 블록 수용홈을 이루는 상기 몸체의 측면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 및
    상기 몸체 상면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상면 상에는 상기 블록 수용홈에 상기 몸체의 하부측으로부터 수용되어진 상기 보수시공부위에 상기 설치홈 생성을 위해 제거되어질 블록 상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제거되어질 블록 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앵커(Anchor) 부재의 설치를 위해 개방되어진 다수의 설치홀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절삭 구조체의 결합부가 결합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축으로 상기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요소; 및
    상기 회전 구동요소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승강이동 시킬 수 있는 승강 구동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 구조체의 상기 몸체의 직경은 상기 보수시공부위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수시공부위는 상기 앵커 부재의 설치를 위하여 불량요인이 없는 설치 영역을 확보하도록 불량요인이 발생한 영역보다 주변으로 확장된 영역으로 설정되며,
    상기 승강 구동요소를 통한 상기 절삭 구조체의 하강 운동 범위는 도로의 표층 및 기층의 영역까지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요소 일측에는 상기 몸체 상면의 상기 다수의 설치홀을 통해 상기 제거되어질 블록 상면 상에 설치된 상기 앵커 부재의 상기 몸체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진 연결부분에 일측이 고정 결합된 별도의 연결부재의 타측이 고정 결합되어질 수 있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부측이 개방되어 상기 블록 수용홈의 상측 일부가 마련되는 통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블록 수용홈의 상측 일부를 이루는 측면 하부에 측면 둘레를 따라 제1체결부분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 및
    상, 하부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1몸체부 측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측면을 갖춘 중공의 통 형상으로, 측면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체결부분과 교체 가능한 형태로 체결 결합되는 제2체결부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수용홈은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가 상기 제1체결부분 및 제2체결부분의 상호 체결 결합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제2몸체부에 걸쳐 개방된 내측 공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몸체의 측면 하부에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교체 가능한 형태로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몸체의 측면 둘레를 기준으로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KR1020160102130A 2016-08-11 2016-08-11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KR10190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130A KR101901201B1 (ko) 2016-08-11 2016-08-11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130A KR101901201B1 (ko) 2016-08-11 2016-08-11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76A KR20180017776A (ko) 2018-02-21
KR101901201B1 true KR101901201B1 (ko) 2018-09-27

Family

ID=6152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130A KR101901201B1 (ko) 2016-08-11 2016-08-11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8255B (zh) * 2020-02-08 2021-08-06 广东鸿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移动式清理修复装置
CN113293683B (zh) * 2021-05-25 2022-08-09 无锡市盛达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施工用地面免破坏地下施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223A (ja) * 1996-01-18 1997-07-29 Morooka:Kk 路面掘削用作業装置
JPH1110634A (ja) * 1997-06-25 1999-01-19 Consec:Kk コアドリル用ビットと、その製造法
JP4170944B2 (ja) * 2004-03-31 2008-10-22 タカマツ株式会社 人孔蓋枠撤去方法。
US7204244B1 (en) * 2006-03-02 2007-04-17 Luminare Supply Corporation Diamond core drill bit
JP5368616B2 (ja) * 2011-08-22 2013-12-18 信一 椿森 円形切断装置、円形切断方法、地中構造物の撤去工法及び道路舗装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76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4951A (en) Manhole cutter
KR101879391B1 (ko) 굴삭비트를 이용한 도로보수용 노면 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KR100851196B1 (ko) 케이블 철거장치
KR101901201B1 (ko) 포트홀 보수용 도로면 절삭 장치
KR102016042B1 (ko) 맨홀틀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AU20133062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leveling a concrete panel
KR102273797B1 (ko)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절삭장치
US7703856B1 (en) Manhole cover frame removal saw
KR101974783B1 (ko) 맨홀보수장치 및 공법
JP4134104B2 (ja) 橋梁一括撤去工法
JP5057846B2 (ja) ワイヤソーを使用した壁体または床版の切断撤去方法
CN111042203A (zh) 一种井盖更换机
US6364419B1 (en) System for working the surface of a road
KR101586808B1 (ko) 원형커팅이 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한 엔진커팅장치
KR101451252B1 (ko) 바퀴형 노면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파쇄방법
KR102207133B1 (ko) 맨홀 보수용 도로 컷팅장치
JP4408885B2 (ja) 伸縮継手の水平切断撤去方法
KR101294273B1 (ko) 줄눈부 보수용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줄눈부 보수공법
KR20130019731A (ko) 도로포장의 보수장비
JP3531033B2 (ja) マンホール首部の切断装置及び方法
JP2004188989A (ja) マンホール首部の切断方法
JP2017082510A (ja) 円形水路の撤去工法
CN105200905A (zh) 一种沥青石油路面维修整改粉碎装置
KR100912647B1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중장비용 커팅장치
CN216866594U (zh) 道路注浆专用自动化钻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