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420B1 -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 - Google Patents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420B1
KR101900420B1 KR1020180013074A KR20180013074A KR101900420B1 KR 101900420 B1 KR101900420 B1 KR 101900420B1 KR 1020180013074 A KR1020180013074 A KR 1020180013074A KR 20180013074 A KR20180013074 A KR 20180013074A KR 101900420 B1 KR101900420 B1 KR 10190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idle
shift lever
id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현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현
Priority to KR102018001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spur g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mber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gea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7Gearboxes for accommodating differential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2Tri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를 게시한다. 본 바령의 동력변환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축과,상기 구동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2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제 1,2구동기어중 하나와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변속유닛과,
상기 종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제 1구동축과 종동축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아이들축과, 이 제1아이들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메인아이들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1아이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구동기어 및 상기 메인아이들기어와 치합되는 제1아이들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 2아이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아이들기어와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아이들기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power tansmission unit and 3-wheel motorcycle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삼륜 오토바이에 관한 것으로, 더 사세하게는 엔진으로부터 동력 전달 및 회전방향변환을 위한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 오토바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토바이(autobicycle)는 소형운송수단으로는 소형의 엔진을 탑재한 모페드, 스쿠터, 삼륜식인 사이드카 등이 있으며, 신속하고 간편한 운송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토바이는 이동속도 및 회전속도 등을 변속하기 위한 변속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기는 엔진과 드라이브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토바이용 변속기는 자동차의 변속기와는 달리 후진을 위한 메커니즘을 구비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협소한 장소에서 주차를 하거나 주차된 차량을 꺼낼 때 인력으로 전후진을 수차례 반복하여야 원하는 위치에 오토바이를 꺼낼 수 있다. 이는 운전자의 운전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30012호에는 전기차량 무단변속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8-0067396호에는 삼륜 또는 오토바이의 전, 후전환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오토바이의 전, 후진 전환장치는 좌우 구동 차축의 일부 영역 상에 위치하되, 내부에 전진 기어 또는 후진 기어가 포함된 차동 기어들이 마련되며, 상기 차동 기어들이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차동 기어들을 보호하도록 차동기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바이의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하 전후진작동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5856150호에는 오토바이용 후진 변속기가 게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923930호에는 삼륜오토바이의 동력 변환기가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동력변환기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조작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300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8-006739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58561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작성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조작에 따른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함의 용접부위를 최소할 수 있으며, 엔진의 구동력을 후륜에 전달하여 추진력을 높일 수 있는 동력변환유닛을 이용한 삼륜오토바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삼륜 오토바이용 동력변환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2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제 1,2구동기어중 하나와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변속유닛과,
상기 종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제 1구동축과 종동축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아이들축과, 이 제1아이들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메인아이들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1아이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구동기어 및 상기 메인아이들기어와 치합되는 제1아이들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 2아이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아이들기어와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아이들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속유닛은 상기 구동축에 제 1,2구동기어가 설치되는 제1,2부싱부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부싱부재가 설치되는 구동축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와 상기 제1,2 부싱부재에는 각각 연통되는 제 1,2키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중공부에는 변속축이 설치되는데, 상기 변속축에는 상기 제 1,2키홀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키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삼륜 오토바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차동기어박스의 후륜축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후륜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조향을 핸들과 전륜이 설치되는 조향축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적재함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자동기어박스에 오토바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동력변환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변환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2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제 1,2구동기어중 하나와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변속유닛과,
상기 종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아이들축과, 이 제1아이들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메인아이들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1아이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구동기어 및 상기 메인아이들기어와 치합되는 제1아이들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 2아이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아이들기어와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아이들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함은 적재공간을 가지며 후면에 도어가 형성된 적재함본체부와, 상기 적재함본체부의 대응되는 양측에 형성된 난간부와, 상기 적재함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팬스부와, 상기 적재함본체부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전면패널부와, 상기 전면패널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이드팬스부의 일부를 이루는 등받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오토바이를 전, 후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다.
그리고 발명에 따른 적재함은 절곡하여 리벳팅함으로서 용접부를 줄여 작성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한 응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륜오토바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오토바이의 동력전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동력변환유닛을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4는 동력변환유닛의 변속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변속부를 나타내 보인 동력변환유닛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동력변환유닛의 동력 변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동력변환유닛이 장착된 삼륜오토바이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삼륜오토바이(10)은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된 차동기어유닛(20)의 후륜축(21)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후륜(22)과, 상기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조향을 핸들(14)과 전륜 (12)이 설치되는 조향축(미도시)과,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적재함(4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는 엔진(15)과, 삼륜 오토바이를 전, 후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엔진(15)의 동력을 상기 차동기어박스에 전달하는 동력변환유닛(5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오토바이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삼륜오토바이의 전륜(12)과 조향축 및 핸들(14), 엔진(15)은 통상적으로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은 엔진(15)이 설치되는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륜(22)이 설치된 차동기어유닛(20)과 적재함(40)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11)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오토바이의 엔진(15)이 장착되는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적재함(4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동력변환유닛(5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51)을 가지는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엔진(15)의 동력축과 연결되는 구동축(53)과, 상기 구동축(53)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구동축(53)과 나란한 종동축(54)을 구비한다. 상기 종동축(54)에는 종동스프로킷(54a)이 설치되고, 이 종동스프로킷(54a)은 상기 후륜(21)이 설치된 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차동기어유닛(20)에 설치된 후륜스프로킷(23)과 체인(24)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3)에는 제 1,2구동기어(55)(5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 1구동기어(55)의 직경이 상기 제 2구동기어(56)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54)에는 종동기어(57)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53)에 설치되는 제1구동기어(55)와 제 2구동기어(56)는 각각 구동축(5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변속유닛(70)에 의해 구동축(53)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종동축(5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삼륜오토바이를 전후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3)과 종동축(54) 사이의 하우징에는 구동축(53)과 나란한 제 1아이들축(60)이 설치되고, 이 제 1아이들축(60)에는 메인아이들기어(61)가 설치된다. 이 메인아이들기어(61)은 평기어로서 폭이 하우징의 내부공간부로 노출된 상기 제1아이들축(57)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두 개의 기어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아이들축(60)과 구동축(53)의 사이와 상기 제1아이들축(60)과 구동축(53) 사이의 하우징(52)에는 각각 제 2,3아이들축(65)(66)이 설치된다. 상기 제2아이들축(65)에는 상기 제1구동기어(55)와 메인아이들기어(61)와 치합되는 제 1아이들기어(67)가 설치되고, 상기 제 3아이들축(66)에는 메인아이들기어(61)와 종동기어(57)에 치합되는 제 2아이들기어(68)가 설치된다.
상기 제 1,2,3아이들축(60)65)(66)에 각각 지지되는 메인아이들기어(61)와, 제1,2아이들기어(67)(68)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변속유닛(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3)에 대해 제 1구동기어(55)와 제 2구동기어(56)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53)에는 제 1,2구동기어(55)(56)가 설치되는 제1,2부싱부재(71)(7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부싱부재(71)(72)가 설치되는 구동축(53)에는 중공부(75)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75)와 상기 제1,2 부싱부재(71)에는 각각 연통되는 제 1,2키홀(76)(7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3)의 중공부에는 변속축(78)가 설치되는데, 상기 변속축(78)에는 상기 제 1,2키홀(76)(77)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키(79)들이 설치된다.
상기 키(79)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1,2키홀(76)(77)과 선택적인 결합 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그리고 상기 제 1,2구동기어(55)(56)의 사이에에는 이들의 사이에 윤활유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이이들기어(67)가 제 2구동기어(56)과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원판상의 결합안전디스크(미도시)가 더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속축(78)의 단부측에는 외주면에 인입된 그루브(81)가 형성된 가이드부쉬(8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쉬(82)에는 포크(83)가 설치된 변속레버(84)가 결합된다. 상기 변속레버(84)는 변속축(78)을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에 설치된 브라켓의 힌지축(85)과 결합된다. 상기 변속레버(84)과 포크(83)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의 변속 시 포크(83)의 강제 이송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변형부(86)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변형부(86)는 상기 포크(83)와 변속레버(84)을 연결하는 탄성코어부재(86a)와, 이 탄성코어부재(86a)를 감싸는 변형완충부재(86b)를 구비한다. 상기 변형완충부재(86b)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레버(84)의 양측 즉, 전진을 위한 상태의 변속레버(84)의 위치와 후진을 위한 변속레버(84)의 위치에 설치되는 변속위치고정부(87)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변속위치 고정부(87)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변속레버(84)을 견인하기 위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크(83)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부쉬(8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포크(83)의 중립중입위치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중립위치자세유지부(83a)를 더 구비한다. 상기 중립위치 자세유지부(83a)는 포크(83)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와주면에 접척되는 탄성편(8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중립위치자세유지부(83a)는 포크의 회동 시 탄성변형되어 중립 위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차동기어유닛(20)은 방향 전환 또는 곡선구간의 이동시 후륜(22)(22)들을 지지하는 후륜축(21)들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적재함(40)은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밴딩하여 리벳팅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용접을 위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열응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적재함(40)은 적재공간을 가지며 후면에 도어가 형성된 적재함본체부(41)와, 상기 적재함본체부(41)의 대응되는 양측에 형성된 난간부(42)와, 상기 적재함본체부(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팬스부(43)와, 상기 적재함본체부(41)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가이드팬스부의 일부를 이루는 등받이부(45)를 구비한다.
삼륜 오토바이는 전진과 후진이 용이하고, 동력변환유닛의 기어비를 이용하여 오토바이의 속도가 40km/h 이하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삼륜오토바이의 전, 후진과 이를 통하여 동력변환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오토바이(10)를 전진시키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5)의 동력이 구동축(53)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16)과 구동체인(17)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변속레버(84)를 조작함으로써 변속축(78)를 전진시켜 변속축(78)의 키(79)가 제1부싱부재(71)의 키홈(76)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축(53)의 동력이 제 1구동기어(55)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변속레버(84)에는 탄성변형부(8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무리한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변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변속레버(84)의 위치가 벽속위치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포커에는 중립위치 자세유지부(83a)가 구비되어 있음로 중립위치로의 변속 시 적은 작을 레버의 조작력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구동기어(55)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치합된 제 1아이들기어(65),메인아이들기어(61), 제 2아이들기어(68)을 통하여 종동기어(57)에 전달되게 됨으로써 적재함에 화물을 실은 삼륜오토바이(10)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삼륜 오토바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아이들기어(65), 메인아이들기어(61), 제 2아이들기어(68)을 통하여 종동기어(57)를 통하여 종동축(54)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 종동축(54)에 전달된 동력은 종동스프로킷(54a)과 후륜스프로킷(23) 및 체인(24)을 통하여 차동기어유닛에 전달되어 후륜(22)를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삼륜오토바이(10)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후진이 필요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레버(84)를 조작하여 변속축(78)를 전진시켜 변속축(78)의 키(79)가 상기 제2부싱부재(72)의 제 2종동기 제 2키홈(77)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축(53)의 동력이 제 2구동기어(56)에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 2구동기어(56)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치합된 메인아이들기어(61), 제 2아이들기어(68)을 통하여 종동기어(57)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종동축(54)에 전달된 동력은 종동스프로킷(54a)과 후륜스프로킷(21) 및 체인(22)을 통하여 차동기어유닛에 전달되어 후륜(22)을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제1구동기어(55)와 제 1아이들기어(65)는 동력전달축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공회전상태가 된다. 즉, 제 2메인아이들기어(61)가 회전하고 있으므로 이와 치합된 제 1아이들기어(65)와, 이 제 1아이들기어(65)와 치합된 제1구동기어(55)는 공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삼륜오토바이는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에 상대적으로 많은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도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므로 삼륜오토바이의 운행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재함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타 제품에 비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53)과, 상기 구동축(53)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축(54)과, 상기 구동축(5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2구동기어(55)(56)와, 상기 구동축(53)과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제1,2구동기어(55)(56)중 하나와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변속유닛(70)과, 상기 종동축(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57)와, 상기 구동축(53)과 종동축(54)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아이들축(60)과, 이 제1아이들축(6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구동기어(56)와 치합되는 메인아이들기어(61)와, 상기 하우징(52)에 설치된 제1아이들축(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구동기어(55) 및 상기 메인아이들기어(61)와 치합되는 제1아이들기어(67)와, 상기 하우징(52)에 설치된 제 2아이들축(6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아이들기어(61)와 종동기어(57)에 치합되는 제 2아이들기어(68)가 구비되며,
    상기 변속유닛(70)은 상기 구동축(53)에 제 1,2구동기어(55)(56)가 설치되는 제1,2부싱부재(71)(7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부싱부재(71)(72)가 설치되는 구동축(53)에는 중공부(75)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75)와 상기 제1,2 부싱부재(71)(72)에는 각각 연통되는 제 1,2키홀(76)(77)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53)의 중공부에는 변속축(78)이 설치되는데, 상기 변속축(78)에는 상기 제 1,2키홀(76)(77)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키(79)가 설치되며,
    상기 변속축(78)의 단부측에는 외주면에 인입된 그루브(81)가 형성된 가이드부쉬(8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쉬(82)에는 포크(83)가 설치된 변속레버(84)가 결합되고, 상기 변속레버(84)는 변속축(78)을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에 설치된 브라켓의 힌지축(85)과 결합되고, 상기 변속레버(84)과 포크(83)의 사이에는 기어의 변속 시 포크(83)의 강제 이송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변형부(86)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변형부(86)는 상기 포크(83)와 변속레버(84)을 연결하는 탄성코어부재(86a)와, 이 탄성코어부재(86a)를 감싸는 변형완충부재(86b)가 구비되며, 상기 변속레버(84)의 전진을 위한 상태의 변속레버(84)의 위치와 후진을 위한 변속레버(84)의 위치에 설치되는 변속위치고정부(87)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변속위치 고정부(87)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변속레버(84)를 견인하기 위한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오토바이용 동력변환유닛.
  2. 삭제
  3.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된 차동기어박스의 후륜축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후륜(22)과, 상기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조향을 핸들(14)과 전륜(12)이 설치되는 조향축과,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적재함(40)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는 엔진(15)과, 상기 엔진(15)의 동력을 상기 차동기어박스에 오토바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동력변환유닛(50)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변환유닛(50)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53)과, 상기 구동축(53)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축(54)과, 상기 구동축(5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2구동기어(55)(56)와, 상기 구동축(53)과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제1,2구동기어(55)(56)중 하나와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변속유닛(70)과, 상기 종동축(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57)와, 상기 구동축(53)과 종동축(54)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아이들축(60)과, 이 제1아이들축(6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구동기어(56)와 치합되는 메인아이들기어(61)와, 상기 하우징(52)에 설치된 제1아이들축(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구동기어(55) 및 상기 메인아이들기어(61)와 치합되는 제1아이들기어(67)와, 상기 하우징(52)에 설치된 제 2아이들축(6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아이들기어(61)와 종동기어(57)에 치합되는 제 2아이들기어(68)가 구비되며,
    상기 변속유닛(70)은 상기 구동축(53)에 제 1,2구동기어(55)(56)가 설치되는 제1,2부싱부재(71)(7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부싱부재(71)(72)가 설치되는 구동축(53)에는 중공부(75)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75)와 상기 제1,2 부싱부재(71)(72)에는 각각 연통되는 제 1,2키홀(76)(77)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53)의 중공부에는 변속축(78)이 설치되는데, 상기 변속축(78)에는 상기 제 1,2키홀(76)(77)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키(79)가 설치되며,
    상기 변속축(78)의 단부측에는 외주면에 인입된 그루브(81)가 형성된 가이드부쉬(8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쉬(82)에는 포크(83)가 설치된 변속레버(84)가 결합되고, 상기 변속레버(84)는 변속축(78)을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에 설치된 브라켓의 힌지축(85)과 결합되고, 상기 변속레버(84)과 포크(83)의 사이에는 기어의 변속 시 포크(83)의 강제 이송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변형부(86)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변형부(86)는 상기 포크(83)와 변속레버(84)을 연결하는 탄성코어부재(86a)와, 이 탄성코어부재(86a)를 감싸는 변형완충부재(86b)를 구비하며, 상기 변속레버(84)의 전진을 위한 상태의 변속레버(84)의 위치와 후진을 위한 변속레버(84)의 위치에 설치되는 변속위치고정부(87)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변속위치 고정부(87)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변속레버(84)을 견인하기 위한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함(40)은 적재공간을 가지며 후면에 도어가 형성된 적재함본체부(41)와, 상기 적재함본체부(41)의 대응되는 양측에 형성된 난간부(42)와, 상기 적재함본체부(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팬스부(43)와, 상기 적재함본체부(41)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가이드팬스부의 일부를 이루는 등받이부(4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오토바이.




KR1020180013074A 2018-02-01 2018-02-01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 KR10190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74A KR101900420B1 (ko) 2018-02-01 2018-02-01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74A KR101900420B1 (ko) 2018-02-01 2018-02-01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420B1 true KR101900420B1 (ko) 2018-11-05

Family

ID=6432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074A KR101900420B1 (ko) 2018-02-01 2018-02-01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6856A (zh) * 2019-04-08 2019-06-11 嵊州市欧力工具有限公司 一种助力三轮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6856A (zh) * 2019-04-08 2019-06-11 嵊州市欧力工具有限公司 一种助力三轮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6656B2 (ja) 電動自転車
US20110138943A1 (en) Double-clutch transmission for vehicles
JP6735807B2 (ja) 駆動ユニット
EP2431208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900420B1 (ko)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
CN205578650U (zh) 一种变速器
JP2011126415A (ja) 電動補助自転車用リアハブ内装変速装置
JP3100406U (ja) 4つの車輪を駆動するための変速機構
JP3731163B1 (ja) スクーターの後進装置
US7467562B2 (en) Vehicular transmission
CN201125989Y (zh) 摩托车发动机内置倒档机构
CN105526321A (zh) 一种变速器
KR0162159B1 (ko) 전진 6단 후진 2단용 트랜스미션
JP2014070649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3739993B2 (ja) 作業車の変速装置
JP2012066723A (ja) 回生機構を備えた電動補助自転車
JP2011025808A (ja) 回生機構を備えた電動補助自転車
JPH09277977A (ja) アシストモータ付き自転車
JPS6220936A (ja) 鞍乗型車輛の変速装置
JP2002362466A (ja) 動力付き自転車の変速装置
JP2542811B2 (ja) 動力伝達装置における逆転機構
KR101217133B1 (ko) 전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어 물림 베어링 이탈 방지 장치
JP3848626B2 (ja) 作業車の変速装置
JP3120793U (ja) クローラー式作業車における走行変速装置
CN200995766Y (zh) 电动三轮车变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