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313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313B1
KR101900313B1 KR1020150080373A KR20150080373A KR101900313B1 KR 101900313 B1 KR101900313 B1 KR 101900313B1 KR 1020150080373 A KR1020150080373 A KR 1020150080373A KR 20150080373 A KR20150080373 A KR 20150080373A KR 101900313 B1 KR101900313 B1 KR 10190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ower
communication unit
unit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886A (ko
Inventor
노부유키 쓰카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04B5/0037
    • H02J7/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기기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유닛;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장치를 접속하는 접속 유닛; (a)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접속 유닛이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통신장치가 소정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b)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소정의 전력을 수신할 수 없으면, 상기 제2 통신 유닛의 무선 통신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어스펙트(aspects)는,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기기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넥터에 의한 접속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출력하는 급전 장치와, 급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전지를 충전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무선 급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113519호에는 급전 장치와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통신과 전력의 전송이 교대로 행해지는 무선 급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급전 장치로부터 송신된 코멘드에 대하여 리스폰스(response)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급전 장치는, 전자기기 내부에 포함된 통신부로부터 취득된 리스폰스에 따라, 전자기기에의 급전을 제어하고 있다.
최근,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능이 탑재된 메모리 카드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에 그러한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었을 경우, 급전 장치가 전자기기에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무선통신을 행해도, 메모리 카드가 무선급전과 관계가 없는 리스폰스를 급전 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었다. 이 경우, 급전 장치는, 전자기기에의 무선 급전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없었다.
또한, 급전 장치가 전자기기에의 무선 급전을 행하기 때문에, 급전 장치의 안테나에 발생한 자계가 전자기기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어, 급전 장치는, 전자기기에의 무선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어스펙트에 의하면,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장치가 전자기기에 접속되어 있어도, 급전 장치로부터 전자기기에의 무선 급전이 적절히 행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어스펙트에 의하면, 상술한 결점 및 단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어스펙트에 의하면,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유닛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장치를 접속하는 접속 유닛과, (a)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접속 유닛이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통신장치가 미리 정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b)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미리 정한 전력을 수신할 수 없으면, 상기 제2 통신 유닛의 무선 통신을 제한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어스펙트에 의하면,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통신장치가 미리 정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미리 정한 전력을 수신할 수 없으면, 상기 제2 통신 유닛의 무선 통신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어스펙트에 의하면,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이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통신장치가 미리 정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미리 정한 전력을 수신할 수 없으면, 상기 제2 통신 유닛의 무선 통신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 기억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국면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전 장치(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4a 및 4b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400)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전 장치(100)에 의해 행해지는 급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6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에 의해 행해지는 제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에 의해 행해지는 수전(receiving)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에 의해 행해지는 수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념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전 시스템은, 급전 장치(100)와 전자기기(200)를 갖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급전 장치(100)에 있어서의 소정의 범위(300) 내에 전자기기(200)가 존재할 경우, 급전 장치(100)는, 전자기기(200)에 무선으로 급전을 행한다. 또한,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범위(300) 내에 존재할 경우, 전자기기(200)는, 급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받을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범위(300)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전자기기(200)는,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받을 수 없다. 즉, 소정의 범위(300) 내에서는, 급전 장치(100)가 전자기기(200)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소정의 범위(300)를 급전 장치(100)의 하우징(housing) 상의 범위라고 했지만, 제1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급전 장치(100)는,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하여 무선으로 급전을 행해도 된다.
전자기기(200)는, 촬상장치나 재생장치여도 되고, 또한 휴대전화나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여도 된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팩이어도 된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또는 퍼스널 컴퓨터여도 된다.
(급전 장치 100)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전 장치(100)의 구성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급전 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101), 급전부(102), 메모리(108), 표시부(109), 및 조작부(110)를 갖는다. 급전부(102)에는, 전력 생성부(103), 검출부(104), 매칭회로(105), 통신부(106) 및 급전 안테나(107)가 포함된다.
제어부(101)는, 메모리(108)에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급전 장치(100)를 제어한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101)는, 타이머(101a)를 갖는다.
급전부(102)는, 자계 공명 방식에 의거하여 무선 급전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자계 공명 방식에서는, 급전 장치(100)와 전자기기(200)가 서로 공진하는 상태에서, 급전 장치(100)가 전자기기(200)에 전력을 전송한다. 급전 장치(100)와 전자기기(200)가 서로 공진하는 상태에서는, 급전 장치(100)의 급전 안테나(107)의 공진 주파수와, 전자기기(200)의 수전 안테나(203)의 공진 주파수가 일치한다.
전력 생성부(103)는, 급전 장치(100)에 접속된 AC 전원이나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급전 안테나(107)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전력을 생성한다.
전력 생성부(103)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에는, 통신 전력과 급전 전력이 있다. 통신 전력은, 통신부(106)와 전자기기(200)가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통신 전력은, 예를 들면 1W 이하의 미약한 전력이다. 또한, 통신 전력은, 통신부(106)의 통신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전력이어도 된다. 급전 전력은, 전자기기(200)가 충전이나 특정한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급전 전력은, 예를 들면 2W 이상의 전력이다. 또한, 급전 전력이 통신 전력보다도 큰 전력이면, 급전 전력이 2W 이상의 전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급전 전력의 값은, 전자기기(200)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어부(101)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면, 급전 전력의 값은, 전자기기(200)로부터 취득한 인증 데이터 및 스테이터스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제어부(101)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면, 급전 전력은, 전자기기(200)가 전지(211)를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력 생성부(103)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은, 검출부(104) 및 매칭회로(105)를 통해 급전 안테나(107)에 공급된다.
검출부(104)는, 급전 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공진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검출한다. 한층 더, 검출부(104)는, 검출한 VSWR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101)에 공급한다. VSWR는, 급전 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진행파와, 급전 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반사파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이다. 제어부(101)는, 검출부(104)로부터 공급된 VSWR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급전 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공진의 상태의 변화와 이물질의 존재를 검출할 수도 있다.
매칭회로(105)는, 급전 안테나(107)의 공진 주파수를 설정하는 회로와, 전력 생성부(103)와 급전 안테나(107)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행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급전 장치(100)가 급전 안테나(107)를 통해 통신 전력 및 급전 전력 중의 하나를 출력할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 안테나(107)의 공진 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 f로 설정하도록 매칭회로(105)를 제어한다. 소정의 주파수 f는, 예를 들면 13.56 MHz다. 또한, 소정의 주파수 f는, 6.78 MHz이어도 되고, 통신부(106)의 통신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여도 된다.
통신부(106)는,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규격에 의거하여 무선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106)는, 통신 전력이 급전 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되어 있을 경우, 급전 안테나(107)를 통해 전자기기(200)와 무선급전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급전 전력이 급전 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되는 기간에 있어서, 통신부(106)는, 급전 안테나(107)를 통해 전자기기(200)와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에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통신부(106)는 전력 생성부(103)로부터 공급되는 통신 전력에 데이터를 중첩하는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가 중첩된 통신 전력은, 급전 안테나(107)를 통해 전자기기(200)에 송신된다.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통신부(106)는 급전 안테나(107)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이 전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전자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것은, 전자기기(200)가 부하 변조를 행함으로써, 급전 장치(100)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이다. 전자기기(200)가 부하 변조를 행했을 경우, 급전 안테나(107)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되므로, 통신부(106)는, 급전 안테나(107)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전자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6)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NDEF(NFC Data Exchange Format)에 대응하는 데이터다.
또한, 통신부(106)는, NFC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리더(reader)/라이터(writer)로서 동작한다.
급전 안테나(107)는, 통신 전력 및 급전 전력 중의 하나를 전자기기(200)에 출력한다. 또한, 급전 안테나(107)는, 통신부(106)가 NFC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전자기기(200)와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메모리(108)는, 급전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한층 더, 메모리(108)는, 급전 장치(100)의 식별 데이터, 급전 장치(100)에 관한 급전 파라미터,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래그 등을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108)는, 전자기기(200)로부터 통신부(106)가 취득한 데이터를 기록한다.
표시부(109)는 메모리(108)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조작부(110)는, 급전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01)는, 조작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급전 장치(100)를 제어한다.
급전 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자기기(200)에 공급한다. 그러나, 제1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무선"을 "비접촉"이나 "무접점"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전자기기 200)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전자기기(200)의 구성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자기기(200)는, 제어부(201), 수전부(202), 전력 검출부(207), 레귤레이터(208), 부하부(209), 충전부(210), 전지(211), 메모리(212), 조작부(213), 표시부(214) 및 통신장치(400)를 갖는다. 수전부(202)에는, 수전 안테나(203), 매칭회로(204), 정류 평활회로(205), 및 제1 통신부(206)가 포함된다.
제어부(201)는, 메모리(212)에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자기기(200)를 제어한다. 제어부(201)는, 예를 들면 CPU나 MPU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201)는, 타이머(201a)를 갖는다.
수전부(202)는, 자계 공명 방식에 의거하여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수전 안테나(203)는,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또한, 수전 안테나(203)는, 제1 통신부(206)가 NFC 규격을 사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수전 안테나(203)를 통해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자기기(200)가 수신한 전력은, 매칭회로(204)를 통해 정류 평활회로(205)에 추가로 공급된다.
매칭회로(204)는, 수전 안테나(203)의 공진 주파수를 설정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부(201)는, 매칭회로(204)를 제어함으로써 수전 안테나(203)의 공진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정류 평활회로(205)는, 수전 안테나(203)에 의해 수전된 전력으로부터 직류전력을 생성한다. 한층 더, 정류 평활회로(205)는, 생성한 직류 전력을 전력 검출부(207)를 통해 레귤레이터(208)에 공급한다. 수전 안테나(203)에 의해 수신된 전력에 데이터가 중첩되어 있을 경우, 수전 안테나(203)에 의해 수신된 전력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제1 통신부(206)에 공급한다.
제1 통신부(206)는, 통신부(106)에서 사용된 통신 규격에 의거하여 급전 장치(100)와 통신을 행한다. 제1 통신부(206)는, 메모리 206a를 갖는다. 메모리 206a에는, WPT(Wireless Power Transfer)용 RTD(Record Type Definition)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WPT용 RTD 데이터에는, NDEF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복수 포함되어 있다. WPT용 RTD 데이터에는, 급전 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서 무선 급전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WPT용 RTD 데이터에는, 적어도 무선 급전의 인증을 급전 장치(100)와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인증 데이터에는, 레코드 타입(record type)명, 전자기기(200)가 대응하고 있는 급전 방법이나 급전의 제어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데이터나 전자기기(200)의 식별 데이터,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 데이터, 전자기기(200)가 가지고 있는 태그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레코드 타입명은, WPT용 RTD 데이터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이나 구조를 식별하기 위한 레코드 타입(record type)을 나타내는 데이터다. 레코드 타입명은, WPT용 RTD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다. 수전 능력 데이터는,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의 수전가능한 전력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WPT용 RTD 데이터에는, 한층 더 스테이터스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스테이터스 데이터에는, 전자기기(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스테이터스 데이터에는, 급전 장치(100)에 요구된 전력의 값, 전자기기(200)가 급전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전력의 값, 전지(211)의 잔용량 및 전지(211)의 충전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전자기기(200)의 에러에 관한 에러 데이터가 포함된다.
제1 통신부(206)는, 정류 평활회로(205)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해석한다. 그 후에, 제1 통신부(206)는, 데이터의 해석 결과를 사용하여, WPT용 RTD 데이터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급전 장치(100)에 송신하고, 급전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WPT용 RTD 데이터에 기록한다. 한층 더, 제1 통신부(206)는, 정류 평활회로(205)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응답 데이터를 급전 장치(100)에 송신한다.
제1 통신부(206)는, WPT용 RTD 데이터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와 응답 데이터를 급전 장치(100)에 송신하기 위해서, 부하 변조를 행한다.
또한, 제1 통신부(206)는, NFC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태그로서 동작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전력 검출부(207)는, 수전 안테나(203)를 통해서 수신한 수전 전력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201)에 공급한다.
레귤레이터(208)는, 제어부(201)가 발행한 지시에 응답해서, 정류 평활회로(20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및 전지(21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자기기(200) 내에 포함된 각 부에 공급한다.
부하부(209)는, 피사체의 광학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 등을 갖는다.
충전부(210)는, 전지(211)를 충전한다. 충전부(210)는, 제어부(201)가 발행한 지시에 따라, 레귤레이터(20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해서 전지(211)를 충전할지, 전지(211)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을 레귤레이터(208)에 공급할지를 판정한다. 충전부(210)는, 정기적으로 전지(211)의 잔용량을 검출하고, 전지(211)의 잔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전지(211)의 충전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201)에 공급한다.
전지(211)는, 전자기기(200)에 접속 가능하다. 또한, 전지(211)는, 충전가능한 이차 전지이며,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등이다. 또한, 전지(211)는, 리튬 이온 전지 이외의 전지여도 된다.
메모리(212)는, 전자기기(200)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전자기기(200)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를 기억한다.
조작부(213)는, 전자기기(200)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201)는 조작부(213)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200)를 제어한다.
표시부(214)는, 제어부(201)가 발생한 지시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통신장치(400)는, 제2 통신부(401) 및 통신 안테나(402)를 갖는다. 통신장치(400)는, 예를 들면 NFC 규격에 의거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SD 카드나 SIM 카드(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과 같은 디바이스다. 즉, 통신장치(400)는, 메모리 카드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중의 적어도 하나로서 동작가능하다. 통신장치(400)는 제2 통신부(401) 및 통신 안테나(402)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리더(reader)/라이터(writer)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통신장치(400)와의 사이에서 전자 결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400)는, 제2 통신부(401) 및 통신 안테나(402)를 사용하여,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Bluetooth(등록상표)을 위한 인증을 리더/라이터로서 동작하는 장치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400)는, 전자기기(200)에 내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여도 되고, 전자기기(200)로부터 착탈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여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통신장치(400)와 전자기기(200)를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된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제2 통신부(401)는, 제1 통신부(206)와 마찬가지로, NFC 규격에 의거하여 통신 안테나(402)를 통해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제2 통신부(401)는, 제1 통신부(206)의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한다. 또한, 제2 통신부(401)는, NFC 규격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태그로서 동작 가능하다.
제2 통신부(401)는, 메모리(401a)를 갖는다. 메모리(401a)에는, 통신장치(400)의 기능에 대응하는 RTD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제어부(201)는,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메모리(401a)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400)와 제어부(201)가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201)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제2 통신부(401)는, 리더/라이터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메모리(401a)에 기록하고, 메모리(401a)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리더/라이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안테나(402)는, 제2 통신부(401)가 NFC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음에,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통신장치(400)의 다양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있어서, 제2 통신부(401)는, 통신 안테나(402)에 병렬로 접속된 스위치 40lb을 갖는다.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통해 스위치 40lb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1)에 의해 스위치 40lb가 온이 되도록 제어되었을 경우,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은 메모리(401a)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급전 전력을 통신 안테나(402)가 수신했을 때도, 메모리(401a)에 과잉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2 통신부(401)에 무선 급전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전력을 통신 안테나(402)가 수신했을 때도,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은 메모리(401a)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통신부(401)는,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사용해서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도 없고,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사용해서 부하 변조를 행할 수도 없다. 그 때문에, 제2 통신부(401)는, 급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전력에 중첩된 데이터에 대하여 응답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무선 급전을 위해서 행해진 통신에 제2 통신부(401)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1)에 의해 스위치 40lb이 오프가 되도록 제어되었을 경우,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은 메모리(401a)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제2 통신부(401)는,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사용해서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고,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사용해서 부하 변조를 행함으로써 판독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b에 있어서, 제2 통신부(401)는, 통신 안테나(402)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 401c 및 401d를 갖는다.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통해 스위치 401c 및 401d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1)에 의해 스위치 401c 및 401d가 오프가 되도록 제어되었을 경우,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은 메모리(401a)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급전 전력을 통신 안테나(402)가 수전했을 때도, 메모리(401a)에 과잉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2 통신부(401)에 무선급전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전력을 통신 안테나(402)가 수전했을 때도, 메모리(401a)에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통신부(401)는,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사용해서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도 없고,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사용해서 부하 변조를 행할 수도 없다. 그 때문에, 제2 통신부(401)는, 급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전력에 중첩된 데이터에 대하여 응답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무선 급전을 위해서 행해지는 통신에 제2 통신부(401)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1)에 의해 스위치 401c 및 401d가 온이 되도록 제어되었을 경우,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전된 전력은 메모리(401a)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제2 통신부(401)는,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사용해서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고, 통신 안테나(40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을 사용해서 부하 변조를 행함으로써 판독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급전 처리)
다음에, 급전 장치(100)에 의해 행해지는 급전 처리에 대해서, 도 5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표시되는 급전 처리는, 제어부(101)가 메모리(108)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스텝 S50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통신 전력을 급전 안테나(107)를 통해 출력하도록 급전부(102)를 제어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2로 진행된다.
스텝 S50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무선 급전을 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3로 진행된다.
스텝 S5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어부(101)는, 통신부(106)에 의해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자기기(200)가 급전 장치(100)의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가 급전 장치(100)의 무선 급전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전자기기(200)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행해졌다고 판정하고(스텝 S503에서 Yes),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4로 진행된다.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가 급전 장치(100)의 무선 급전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전자기기(200)의 인증이 실패했다고 판정하고(스텝 S503에서 No),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9로 진행된다. 제어부(101)는, 통신부(106)에 의해 인증 데이터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전자기기(200)의 인증이 실패했다고 판정하고,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9로 진행된다.
스텝 S504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5로 진행된다.
스텝 S505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통신부(106)에 의해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자기기(200)에 전력이 공급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테이터스 데이터에 따라 전지(211)가 완전히 충전되었다고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한편, 스테이터스 데이터에 따라 전지(211)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았다고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스테이터스 데이터에 따라 전자기기(200)가 급전 장치(100)에 전력 공급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한편, 스테이터스 데이터에 따라 전자기기(200)가 급전 장치(100)에 전력 공급을 요구하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 경우(스텝 S505에서 Yes),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6로 진행된다.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스텝 S505에서 No),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9로 진행된다. 제어부(101)는, 통신부(106)에 의해 스테이터스 데이터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9로 진행된다.
스텝 S506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대하여 전력의 공급을 시작하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전력 공급 시작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7로 진행된다.
스텝 S507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 전력을 일정 기간, 급전 안테나(107)를 통해 출력하도록 급전부(102)를 제어한다. 급전 전력이 출력되고 나서 일정 기간 경과한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8로 진행된다.
스텝 S508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스텝 S501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통신 전력을 급전 안테나(107)를 통해 출력하도록 급전부(102)를 제어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504로 돌아간다.
스텝 S509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대하여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급전 정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안테나(107)를 통한 전력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급전부(102)을 제어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종료한다.
(제한 처리)
다음에, 전자기기(200)에 의해 행해지는 제한 처리에 대해서 도 6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표시되는 제한 처리는, 제어부(201)가 메모리(212)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제한 처리는, 통신장치(400)가 전자기기(200)에 접속되었을 경우에, 통신장치(400)의 통신기능을 제한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또한, 제어부(201)는, 수전 안테나(203)에 의해서 급전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사용하여 도 6에 나타낸 제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60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통신장치(40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후에, 제어부(201)는,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었는지 아닌지에 관한 판정 결과에 따라, 통신장치(400)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었을 경우, 제어부(201)는, 전자기기(200)와 통신장치(400)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고, 즉, 통신장치(400)가 검출되었다고 판정한다(스텝 S601에서 Yes). 이 경우(스텝 S601에서 Yes), 본 플로차트는, 스텝 S602로 진행된다. 메모리(401a)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201)는, 전자기기(200)와 통신장치(400)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즉, 통신장치(400)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스텝 S601에서 No). 이 경우(스텝 S601에서 No),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하지 않고, 본 플로차트는 종료한다.
스텝 S602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스텝 S601에서 메모리(401a)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통신장치(4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통신장치(4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스텝 S602에서 Yes),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하지 않고, 본 플로차트는 종료한다. 통신장치(4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스텝 S602에서 No), 본 플로차트는, 스텝 S603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 S602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메모리(401a)에 기록되어 있는 RTD 데이터가 무선 급전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메모리(401a)에 기록되어 있는 RTD 데이터가 무선 급전에 대응할 경우, 제어부(201)는, 통신장치(4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메모리(401a)에 기록되어 있는 RTD 데이터가 무선 급전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1)는, 통신장치(4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
또한, 스텝 S602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통신장치(400)가 통신 전력보다도 큰 소정량의 급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통신장치(4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메모리(401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통신장치(400)가 급전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경우, 제어부(201)는, 통신장치(4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 경우, 메모리(401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통신장치(400)가 급전 전력을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낼 경우, 제어부(201)는, 통신장치(4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 메모리(401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통신장치(400)가 통신 전력을 수신할 수 있지만, 급전 전력을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낼 경우, 제어부(201)는, 통신장치(400)가 무선급전을 이용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
스텝 S603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통신장치(400)가 도 4a에 나타낸 구성을 가질 경우, 스텝 S603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통해 스위치 40lb을 온하는 것으로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한다. 통신장치(400)가 도 4b에 나타낸 구성을 가질 경우, 스텝 S603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통해 스위치 401c 및 401d를 오프하는 것으로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한다. 제2 통신부(401)가 무효로 되었을 경우, 제2 통신부(401)는, 급전 장치(100)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을 행할 수 없다. 제2 통신부(401)가 무효로 되었을 경우, 본 플로차트는 종료한다.
(수전 처리)
다음에, 전자기기(200)에 의해 행해지는 수전 처리에 대하여 도 7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수전 처리는, 제어부(201)가 메모리(212)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될 수 있다.
스텝 S70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1 통신부(206)에 의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스텝 S701에서 Yes),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2로 진행된다.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701에서 No),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1로 돌아간다.
스텝 S702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상술한 제한 처리를 행한다. 도 6의 제한 처리가 행해졌을 경우,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3로 진행된다.
스텝 S7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스텝 S701에서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인증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6)를 제어한다. 이 경우, 메모리 206a의 WPT용 RTD 데이터로부터 판독된 인증 데이터가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송신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4로 진행된다.
스텝 S704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1 통신부(206)에 의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스텝 S704에서 Yes),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5로 진행된다.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704에서 No),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4로 돌아간다.
스텝 S705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충전부(21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로부터 전지(211)의 잔용량을 검출하고, 전지(211)의 잔용량이 제1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지(211)의 잔용량이 제1 소정값 이상일 경우(스텝 S705에서 Yes), 제어부(201)는, 전지(211)의 충전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하고,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13로 진행된다. 전지(211)의 잔용량이 제1 소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스텝 S705에서 No), 제어부(201)는, 전지(211)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6로 진행된다. 또한, 제1 소정값은, 전지(211)가 완전히 충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되고, 전지(211)의 총용량의 50∼80%에 대응하는 값이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제1 소정값은, 전지(211)가 부하부(209)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이어도 된다.
스텝 S706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스텝 S704에서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6)를 제어한다. 이 경우, 메모리 206a의 WPT용 RTD 데이터로부터 판독된 스테이터스 데이터가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송신된다. 스텝 S706에 있어서 급전 장치(100)에 송신되는 스테이터스 데이터는, 전자기기(2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 것을 급전 장치(100)에게 판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7로 진행된다.
스텝 S707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1 통신부(206)에 의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전력 공급 시작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전력 공급 시작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스텝 S707에서 Yes),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8로 진행된다. 제1 통신부(206)에 의해, 급전 정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707에서 No),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7로 돌아간다.
스텝 S708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전력 검출부(207)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로부터 수전 전력을 검출하고, 수전 전력이 제2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전 전력이 제2 소정값 이상일 경우(스텝 S708에서 Yes), 제어부(201)는, 전지(211)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었다고 판정하고,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9로 진행된다. 한편, 수전 전력이 제2 소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스텝 S708에서 No), 제어부(201)는, 전지(211)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스텝 S708에서 No), 제어부(201)는, 제2 소정값 이상이 아닌 수전 전력이 공급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을 계측하도록 타이머 201a를 제어하고,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12로 진행된다. 또한, 제2 소정값은,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급전 전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제2 소정값은, 충전부(210)에게 전지(211)의 충전을 행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에 대응해도 된다. 또한, 제2 소정값은, 통신장치(400)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소량의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통신장치(400)로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이어도 된다. 즉, 통신장치(400)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그러한 전력은, 예를 들면 1W 이하의 미약한 전력인 것으로 한다.
스텝 S709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레귤레이터(208)로부터 충전부(2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해서 전지(211)를 충전하도록 충전부(2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레귤레이터(20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해서 부하부(209)를 기동시켜도 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10로 진행된다.
스텝 S710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1 통신부(206)에 의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급전 정지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1 통신부(206)에 의해 급전 정지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스텝 S710에서 Yes),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11로 진행된다. 한편, 제1 통신부(206)에 의해 급전 정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710에서 No),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4로 돌아간다.
스텝 S71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통신장치(400)가 도 4a에 나타낸 구성을 가질 경우, 스텝 S71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통해 스위치 40lb을 오프하는 것으로 제2 통신부(401)를 유효하게 한다. 통신장치(400)가 도 4b에 나타낸 구성을 가질 경우, 스텝 S71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2 통신부(401)를 통해 스위치 401c 및 401d를 온 함으로써 제2 통신부(401)를 유효하게 한다. 제2 통신부(401)가 유효하게 되었을 경우, 제2 통신부(401)는, 급전 장치(100)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통신부(401)가 유효하게 되었을 경우, 본 플로차트는 종료한다. 또한, 도 7의 스텝 S702에서 행해진 제한 처리에 있어서, 제2 통신부(401)가 무효로 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201)는, 도 7의 스텝 S711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스텝 S712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2 소정값 이상이 아닌 수전 전력이 공급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지났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708에서 판정결과가 부정(negative)인 경우에 타이머 201a에 의해 계측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도달했을 경우, 제어부(201)는, 제2 소정값 이상이 아닌 수전 전력이 공급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한다(스텝 S712에서 Yes). 이 경우(스텝 S712에서 Yes), 제어부(201)는 전지(211)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11로 진행된다. 스텝 S708에서 판정결과가 부정인 경우, 또 타이머 201a에 의해 계측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201)는, 제2 소정값 이상이 아닌 수전 전력이 공급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스텝 S712에서 No). 이 경우(스텝 S712에서 No),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8로 돌아간다.
스텝 S713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스텝 S704에서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6)를 제어한다. 스텝 S713에 있어서, 급전 장치(100)에 송신되는 스테이터스 데이터는, 전자기기(200)에 대하여 전력 공급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급전 장치(100)에게 판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 후에,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11로 진행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가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없는 통신장치(4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 통신장치(400)의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하고 나서 급전 장치(100)와 무선 급전을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기기(200)는, 급전 장치(100)와의 통신을 통신장치(400)에게 행하지 않게 함으로써, 무선 급전과 관계가 없는 데이터를 급전 장치(100)에 송신하지 않는다. 한층 더, 전자기기(200)는, 급전 장치(100)에 의한 무선 급전의 영향을 통신장치(400)에 주지 않도록 하고 나서, 급전 장치(100)에 무선 급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급전 장치(100)로부터 급전 정지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 전자기기(200)가 통신장치(400)의 제2 통신부(401)를 유효하게 하므로, 급전 장치(100)로부터의 무선 급전이 종료했을 때, 통신장치(400)에게 통신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전지(211)의 잔용량이 제1 소정값 이상일 경우, 전자기기(200)가 통신장치(400)의 제2 통신부(401)를 유효하게 하므로, 급전 장치(100)로부터 무선 급전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 통신장치(400)에게 통신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전지(211)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지 않을 경우, 전자기기(200)가 통신장치(400)의 제2 통신부(401)를 유효하게 한다. 이 때문에, 전자기기(200)는,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통신장치(400)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작은 전력이면, 통신장치(400)에게 통신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200)는, 통신장치(400)가 전자기기(200)에 접속되었을 때도,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자기기(200)에의 무선 급전이 적절히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텝 S708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수전 전력이 제2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 결과에 따라, 전지(211)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렇지만, 제1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스텝 S708에 있어서, 수전 안테나(203)의 안테나단의 전압을 검출하고, 안테나단의 전압이 제3 소정값 이상인지에 관한 판정결과에 따라, 전지(211)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201)는, 수전 안테나(203)의 안테나단의 전압이 제3 소정값 이상일 경우, 전지(211)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스텝 S709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수전 안테나(203)의 안테나단의 전압이 제3 소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 전지(211)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스텝 S712의 처리를 행한다.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스텝 S701에서 Yes), 스텝 S702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도 6에 나타낸 제한 처리를 행한다. 그렇지만, 제1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수전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도 6에 나타낸 제한 처리를 행한 후에, 스텝 S701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낸 제한 처리를 행해진 후에 제1 통신부(206)에 의해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스텝 S701에서 Yes), 제어부(201)는, 스텝 S703의 처리를 행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은 처리 및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다른 처리 및 구성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기(200)는, 무선 급전을 이용할 수 없는 통신장치(400)가 전자기기(200)에 접속되었을 경우, 전자기기(200)는 통신장치(400)의 통신을 제한하고 나서 무선급전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인증 데이터를 급전 장치(100)에 송신한다.
반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기(200)는, 인증 데이터를 급전 장치(100)에 송신한 후에, 급전 장치(100)에 무선 급전을 요구할 것인지 아닌지에 관한 판정결과에 따라, 통신장치(400)의 통신을 제한한다.
(수전 처리)
다음에, 전자기기(200)에 의해 행해지는 수전 처리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수전 처리는, 제어부(201)가 메모리(212)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스텝 S701 및 스텝 S703∼스텝 S713의 처리는, 도 7의 스텝 S701 및 스텝 S703∼스텝 S713의 처리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스텝 S70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제1 통신부(206)가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701에서 Yes),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3로 진행된다.
도 8의 스텝 S705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전지(211)의 잔용량이 제1 소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스텝 S705에서 No), 제어부(201)는, 전지(211)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본 플로차트는, 스텝 S801로 진행된다.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급전 장치(100)에 송신하기 전에, 도 8의 스텝 S80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도 6에 나타낸 제한 처리를 행한다. 제한 처리가 행해졌을 경우, 본 플로차트는, 스텝 S706로 진행되고, 제어부(101)는, 스텝 S706에 있어서, 급전 장치(100)에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6)를 제어한다. 도 8의 스텝 S706에 있어서, 급전 장치(100)에 송신되는 스테이터스 데이터는, 전자기기(200)에 급전 가능한 것을 급전 장치(100)에게 판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도 8의 스텝 S801에서 행해진 제한 처리에 있어서, 제2 통신부(401)가 무효로 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201)는, 도 8의 스텝 S711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가 무선급전을 이용할 수 없는 통신장치(4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 전지(211)의 충전이 필요한지 아닌지에 관한 판정결과에 따라 통신장치(400)의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한다.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해서 전지(211)의 충전을 행할 경우, 즉, 급전 장치(100)에 무선 급전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200)는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한다. 이 경우, 무선 급전과 관계가 없는 데이터가 통신장치(400)로부터 송신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층 더,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해서 전지(211)의 충전을 행할 경우에, 전자기기(200)는, 통신장치(400)에 급전 장치(100)로부터의 무선 급전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해서 전지(211)의 충전을 행하지 않을 경우, 즉, 급전 장치(100)에 무선 급전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기기(200)는 제2 통신부(401)를 무효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급전 장치(100)에 의해 무선 급전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기기(200)는 통신장치(400)가 행한 통신을 제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200)는, 통신장치(400)가 전자기기(200)에 접속되었을 때도,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자기기(200)에의 무선 급전이 적절히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처리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급전 장치(100)는 급전 안테나(107)를 사용해서 전자기기(200)에 급전 전력을 공급하고, 급전 안테나(107)를 사용해서 통신부(106)와 전자기기(200)와의 통신을 행한다. 그렇지만, 제1 및 제2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급전 장치(100)는, 전자기기(200)에 급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와, 통신부(106)와 전자기기(200)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를 각각 가져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기(200)는, 수전 안테나(203)를 사용해서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받고, 수전 안테나(203)를 사용해서 급전 장치(100)와 제1 통신부(206)와의 통신을 행한다. 그렇지만, 제1 및 제2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는,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받기 위한 안테나와, 급전 장치(100)와 제1 통신부(206)와의 통신을 행하는 안테나를 각각 가져도 된다.
또한, 통신부(106)가 리더/라이터로서 동작하고, 제1 통신부(206) 및 제2 통신부(401)가 태그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제1 및 제2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부(106), 제1 통신부(206) 및 제2 통신부(401)가 P2P(Peer To Peer)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부(106) 및 제1 통신부(206)가 P2P으로서 동작하고, 제2 통신부(401)가 태그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급전부(102) 및 수전부(202)는, 자계 공명 방식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제1 및 제2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념한다. 급전부(102) 및 수전부(202)가 자계 공명 방식과 다른 급전 방법에 대응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부(106), 제1 통신부(206) 및 제2 통신부(401)가 NFC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을 행하지만, 제1 및 제2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06), 제1 통신부(206) 및 제2 통신부(401)는, NFC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 대신에, ISO/IEC 18092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부(106), 제1 통신부(206) 및 제2 통신부(401)는, NFC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 대신에, ISO/IEC 14443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부(106), 제1 통신부(206) 및 제2 통신부(401)는, NFC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 대신에, ISO/IEC 21481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부(106), 제1 통신부(206) 및 제2 통신부(401)는, NFC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 대신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에 대응하는 통신을 행해도 된다.
[제3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 처리, 및 방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달성할 수 있다. 이후,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 처리 및 방법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X"라고 칭할 것이다. 또,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X를 실행하는 컴퓨터를 "컴퓨터 Y"라고 칭할 것이다. 컴퓨터 Y의 예로서는 퍼스널 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 처리, 및 방법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프로그램 X를 실행하는 컴퓨터 Y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그램 X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통해서 컴퓨터 Y에 공급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는, 하드 디스크 장치, 자기 기억장치, 광학 기억장치, 광자기 기억장치, 메모리 카드,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는 비일시 기억매체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급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 유닛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유닛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유닛과 상기 제2 통신 유닛과 접속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통신장치를 접속하는 접속 유닛과,
    (a)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와 상기 접속 유닛이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무선 수전을 지원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b)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무선 수전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무선 수전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 후에, 상기 급전 장치에 무선 급전을 행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유닛에게 송신시키는,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 후에, 상기 수전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전력이 미리 정한 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미리 정한 전력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전력보다 큰,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전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전력이 상기 미리 정한 값 이상이 아니면,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의 제한을 취소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 후에, 전지의 잔용량이 미리 정한 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지의 잔용량이 상기 미리 정한 값 이상이면,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의 제한을 취소하는, 전자기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 후에, 상기 제1 통신 유닛이 상기 급전 장치로부터 미리 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유닛이 상기 급전 장치로부터 상기 미리 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의 제한을 취소하는, 전자기기.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데이터는, 미리 정한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상기 급전 장치에 통지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의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2 통신 유닛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전자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의 통신 프로토콜은, NFC(near field comunication) 규격에 준거하는, 전자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유닛을 이용해서 미리 정한 인증을 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유닛을 이용해서 전자 결제를 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는, 메모리 카드 및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중의 적어도 하나로서 동작할 수 있는, 전자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는,
    통신 안테나와,
    상기 통신 안테나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는, 상기 통신 안테나와 상기 제2 통신 유닛과의 사이를 절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는,
    통신 안테나와,
    상기 통신 안테나에 병렬로 접속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는, 상기 스위치를 온(on) 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와 상기 접속 유닛이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와 관련된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무선 수전을 지원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전자기기.
  19.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유닛과 상기 제2 통신 유닛과 접속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무선 수전을 지원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무선 수전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20.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유닛과 상기 제2 통신 유닛과 접속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무선 수전을 지원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착탈가능한 통신장치가 무선 수전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 기억매체.
KR1020150080373A 2014-06-10 2015-06-08 전자기기 KR101900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9995A JP6381304B2 (ja) 2014-06-10 2014-06-10 電子機器
JPJP-P-2014-119995 2014-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886A KR20150141886A (ko) 2015-12-21
KR101900313B1 true KR101900313B1 (ko) 2018-09-19

Family

ID=5378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373A KR101900313B1 (ko) 2014-06-10 2015-06-08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17056B2 (ko)
JP (1) JP6381304B2 (ko)
KR (1) KR101900313B1 (ko)
CN (1) CN105322602B (ko)
DE (1) DE102015109096B4 (ko)
GB (1) GB25287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402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9177B2 (en) * 2006-11-18 2018-12-04 Rfmicron, Inc. Wireless sensor including an RF signal circuit
US20150091496A1 (en) * 2013-10-01 2015-04-02 Blackberry Limit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device under charge
JP6381305B2 (ja) * 2014-06-10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6632239B2 (ja) * 2015-07-22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可能な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8352581B (zh) * 2015-09-24 2021-06-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和控制充电的方法
JP6798498B2 (ja) * 2015-09-29 2020-12-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0613A1 (en) * 2009-05-13 2012-02-16 Canon Kabushiki Kaisha Power-supplying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ower supply system
US20120133335A1 (en) * 2010-11-29 2012-05-3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30043835A1 (en) * 2011-08-18 201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act re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8484B2 (ja) * 2002-10-22 2008-10-01 ソニー株式会社 Icモジュール
JP2008113519A (ja) 2006-10-31 2008-05-15 Sony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通信装置、通信端末、充電制御方法、並びにicチップ
JP5533337B2 (ja) * 2010-06-25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充電通信システム
JP5659704B2 (ja) 2010-08-30 2015-01-28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8983374B2 (en) 2010-12-13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functionalities
JP5751858B2 (ja) 2011-02-22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JP5796987B2 (ja) 2011-04-07 2015-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48380B2 (en) * 2011-06-10 2013-10-01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for intelligently routing information among multiple user interfaces
JP5893285B2 (ja) 2011-08-04 2016-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59862B2 (ja) 2012-02-01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032900B2 (ja) * 2012-02-06 2016-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3198050A (ja) * 2012-03-22 2013-09-30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及び充電システム
JP2014003877A (ja) 2012-05-24 2014-01-09 Sony Corp 給電装置、アダプタ、受電装置、および給電方法
JP6021464B2 (ja) * 2012-06-25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US9991731B2 (en) 2012-09-05 2018-06-05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Non-contact charging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coil for data transfer and electric power transmitting antenna coil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using same
JP6053439B2 (ja) 2012-10-05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91496A1 (en) * 2013-10-01 2015-04-02 Blackberry Limit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device under charge
CN103746819B (zh) * 2013-12-12 2017-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节能方法及终端、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0613A1 (en) * 2009-05-13 2012-02-16 Canon Kabushiki Kaisha Power-supplying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ower supply system
US20120133335A1 (en) * 2010-11-29 2012-05-3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30043835A1 (en) * 2011-08-18 201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act re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402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22602A (zh) 2016-02-10
DE102015109096A1 (de) 2015-12-10
GB201509924D0 (en) 2015-07-22
GB2528767A (en) 2016-02-03
GB2528767B (en) 2018-01-10
CN105322602B (zh) 2018-09-18
DE102015109096B4 (de) 2023-11-09
US9717056B2 (en) 2017-07-25
US20150358912A1 (en) 2015-12-10
KR20150141886A (ko) 2015-12-21
JP6381304B2 (ja) 2018-08-29
JP2015233392A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313B1 (ko) 전자기기
KR101783233B1 (ko) 급전장치, 전자기기 및 방법
KR101900311B1 (ko) 전자기기 및 급전장치
US9595838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804694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
KR102078073B1 (ko) 급전장치
JP5959862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118785A (ja) 電子機器
JP6624887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75639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wirelessly supplying power to power reception apparatus
US9979231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218545B2 (ja)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10476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給電装置
JP6222986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953143B2 (ja) 無線受給電システム、給電装置、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4768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6661741B2 (ja)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8133858A (ja) 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