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218B1 - 생선살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생선살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218B1
KR101900218B1 KR1020180000838A KR20180000838A KR101900218B1 KR 101900218 B1 KR101900218 B1 KR 101900218B1 KR 1020180000838 A KR1020180000838 A KR 1020180000838A KR 20180000838 A KR20180000838 A KR 20180000838A KR 101900218 B1 KR101900218 B1 KR 10190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fish
bracket
net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철
Original Assignee
박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철 filed Critical 박민철
Priority to KR102018000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6Removing fish-bones; Filleting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의 분리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전체 생선 대비 분리된 생선살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생선살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생선살 분리장치는 제1분리망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어서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분리하는 제1분리유닛과, 제2분리망에 투입되는 생선살을 거르는 제2분리유닛 및 제1분리유닛에서 분리된 생선살이 제2분리망에 투입되도록 생선살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전달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선살 분리장치{DEVICE FOR SEPARATING FLESH FROM FISH}
본 발명은 생선살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의 분리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전체 생선 대비 분리된 생선살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생선살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살아가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다양한 음식들 중 생선은 이로운 많은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생선은 회로 먹거나, 삶거나 굽고 튀겨서 익혀 먹는 경우가 많다. 주로 가정에서 생선을 요리해 먹을 때에는 날것으로 먹기보다는 익혀서 먹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생선살만을 깔끔하게 발라내서 날것으로 먹는 회와는 달리 생선을 통째로 삶거나 굽고 튀겨서 먹는 경우, 젓가락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살을 발라 먹어야 한다. 이때, 생선의 뼈나 가시를 깔끔하게 발라내지 못할 경우 먹다가 목에 걸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일 예로, 추어탕의 경우, 미꾸라지를 삶은 다음, 체로 걸러 내어서 살과 뼈를 분리하고, 분리된 살을 이용하여 추어탕을 끓이게 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생선을 으깨어 수작업으로 생산되는 바, 대량의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분리하기 어려웠고, 체에 걸린 생선살은 버려지는 경우가 있어 전체 생선 대비 분리된 생선살의 생산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4950호(발명의 명칭 : 생선의 뼈와 살 분리기, 2011. 10. 1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의 분리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전체 생선 대비 분리된 생선살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생선살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는 제1분리망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어서 상기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분리하는 제1분리유닛; 제2분리망에 투입되는 상기 생선살을 거르는 제2분리유닛; 및 상기 제1분리유닛에서 분리된 상기 생선살이 상기 제2분리망에 투입되도록 상기 생선살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전달유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분리유닛은,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닥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콘 형상이 구비되는 분리호퍼; 상기 분리호퍼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리망이 지지되는 안착브라켓; 상기 분리호퍼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리망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는 생선분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브라켓은, 상기 분리호퍼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안착브라켓; 상기 제1분리망이 지지되도록 상기 제1안착브라켓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안착브라켓; 및 상기 제1안착브라켓과 상기 제2안착브라켓을 상호 연결시키는 안착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분리유닛은 상기 제1분리망 또는 상기 제2안착브라켓을 간헐적으로 타격하는 제1분리충격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안착브라켓은, 상기 안착로드에서 승강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분리충격기는, 상기 제1분리망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2안착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실린더부; 상기 제1분리망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2안착브라켓을 가압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제1안착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제2안착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분리탄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생선분쇄기는, 생선을 으깨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쇄구동부; 상기 분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축; 및 상기 생선이 으깨지도록 상기 제1분리망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축에 결합되는 분쇄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날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분쇄축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분리유닛은, 바닥에 지지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는 축브라켓; 상기 제2분리망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바디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축브라켓에서 이격 배치되는 망브라켓; 상기 망브라켓이 피벗 운동하도록 상기 망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분리충격기; 및 상기 제2분리충격기를 동작시켜 상기 망브라켓을 피벗 운동시키는 생선살분리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분리충격기는, 상기 망브라켓에 결합되는 걸림로드; 상기 망브라켓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축; 상기 피벗축에 돌출 형성되는 피벗로드; 일측이 상기 피벗로드에 링크 결합되는 피벗링크; 및 상기 피벗링크의 타측이 링크 결합되는 분리회전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분리충격기는, 상기 제2바디 또는 상기 축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망브라켓의 충격을 완충시키거나 상기 망브라켓과 함께 피벗 운동되는 상기 걸림로드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탄성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생선살분리기는, 상기 망브라켓의 피벗 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리구동부; 및 상기 분리회전캠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분리회전캠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는 상기 제2분리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리망에서 배출되는 상기 생선살이 저장되는 생선살저장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에 따르면,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의 분리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전체 생선 대비 분리된 생선살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선을 간편하게 으깰 수 있고, 으깨진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분리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분리망으로 생선의 투입을 간편하게 하고, 분리된 생선살이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브라켓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분리호퍼로부터 제1분리망을 이격시킬 수 있고, 분리호퍼 내에서 제1분리망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분리충격기를 통해 제1분리망을 털어줄 수 있고, 제1분리망에 잔류하는 생선살을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분리충격기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2안착브라켓에 지지된 제1분리망의 요동을 안정화시키고, 제1분리망의 요동에 대하여 분쇄날이 간섭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부의 추가 구성을 통해 안착브라켓에서 제2안착브라켓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분리망의 요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선살분쇄기의 세부 구성을 통해 생선의 으깨짐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1분리망에서 생선살이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날의 한정을 통해, 제1분리망에 투입된 생선을 제1분리망과 분쇄날 사이로 유도할 수 있고, 생선뼈와 같이 단단한 부분은 용이하게 분쇄날을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분리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분리유닛에서 1차로 분리된 생선살을 안정되게 거를 수 있고, 생선살의 거름 과정에서 제2분리망에 잔류하는 생선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분리충격기의 세부 구성을 통해 안정된 회전력으로 망브라켓의 피벗 운동을 안정화시키고, 제2분리망에 안정된 충격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탄성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망브라켓이 피벗 운동될 때, 제2바디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제2바디에 대하여 망브라켓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선살분리기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분리회전캠을 안정되게 회전시키면서 망브라켓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선살저장조의 부가 구성을 통해 제2분리망에서 배출되는 최종 생선살을 저장하였다가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에서 제1분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의 제1분리유닛에서 분쇄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의 제1분리유닛에서 분쇄날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에서 제1분리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에서 제2분리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에서 제2분리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는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의 분리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전체 생선 대비 분리된 생선살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분리망(17)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어서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분리하는 제1분리유닛(10)과, 제2분리망(26)에 투입되는 생선살을 거르는 제2분리유닛(20)과, 제1분리유닛(10)에서 분리된 생선살이 제2분리망(26)에 투입되도록 생선살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전달유로(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분리망(17)에 투입되는 생선은 삶거나 찌는 등 익힌 것을 사용하고, 생선의 익힘 과정에서 사용된 육수를 익힌 생선과 함께 투입함으로써,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의 분리가 신속하면서 간편해지고, 제1분리망(17)이나 분리호퍼(12) 내부에 잔류하는 생선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전달유로(30)의 일측은 밸브(40)를 매개로 제1분리유닛(1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전달유로(30)의 타측은 제2분리유닛(20)에 구비된 유로브라켓(50)을 매개로 제2분리유닛(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달유로(30)는 제1분리유닛(10)의 하단부로부터 유로브라켓(50)을 거쳐 제2분리망(26)에 이르기까지 하향 경사를 이루므로, 전달유로(30)에서 생선살이 잔류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달유로(30)의 일측은 제1분리유닛(1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전달유로(30)의 타측은 제2분리유닛(20)에 구비된 유로브라켓(50)을 매개로 제2분리유닛(20)에 결합되며, 전달유로(30)의 타측 단부에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분리유닛(10)은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분리호퍼(12)와, 분리호퍼(12)에 구비되어 제1분리망(17)이 지지되는 안착브라켓(13)과, 분리호퍼(12)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14)과, 지지브라켓(14)에 구비되어 제1분리망(17)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는 생선분쇄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분리망(17)에는 으깨어진 생선의 생선살이 통과하는 다수의 배출공(미도시)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분리망(17)은 메쉬 구조가 구비됨으로서, 배출공(미도시)에 대응되는 메쉬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분리호퍼(12)는 제1바디(11)를 매개로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제1바디(11)에는 분리호퍼(12)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분리호퍼(12)에는 바닥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콘 형상이 구비되므로, 제1분리망(17)에서 배출되는 생선살을 전달유로(30)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고, 분리호퍼(12)의 내부에 생선살이 잔류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생선살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분리호퍼(12)의 콘 형상 바닥부에는 전달유로(30)의 일측이 연결된다. 전달유로(30)의 일측은 밸브(40)를 매개로 분리호퍼(12)의 콘 형상 바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안착브라켓(13)은 분리호퍼(12)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안착브라켓(131)과, 제1분리망(17)이 지지되도록 제1안착브라켓(131)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안착브라켓(132)과, 제1안착브라켓(131)과 제2안착브라켓(132)을 상호 연결시키는 안착로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브라켓(131)은 제1분리망(17)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거나 중공의 링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2안착브라켓(132)은 분리호퍼(12)의 내부에 다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안착로드(133)에 결합되거나, 중공의 링 형상으로 안착로드(133)에 결합되어 제1분리망(17)이 분리호퍼(1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14)은 제1바디(11) 또는 분리호퍼(12)에 결합된 지지로드(141)를 매개로 분리호퍼(12)의 입구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지지로드(141)를 구비하는 경우, 제1분리망(17)으로 생선의 투입 공간을 확보하여 생선의 투입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생선분쇄기(15)는 생선을 으깨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쇄구동부(151)와, 분쇄구동부(151)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축(154)과, 생선이 으깨지도록 제1분리망(17)에 지지된 상태에서 분쇄축(154)에 결합되는 분쇄날(155)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구동부(151)는 인가되는 전원 또는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쇄모터부(152)를 포함하고, 분쇄모터부(152)에 결합되어 분쇄축(154)의 회전비를 조절하는 분쇄감속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분쇄날(155)은 탄성을 가지고 분쇄축(154)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분쇄축(154)에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날(155)은 분쇄축(154)에 결합되는 날개중심(1551)과, 탄성을 가지고 분쇄축(154)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날개중심(1551)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탄성날개부(1553)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날(155)은 날개중심(1551)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고정날개부(1552)를 더 포함하고, 고정날개부(1552)에는 탄성날개부(1553)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날개부(1553)를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분쇄날(155)의 경사에 의해 생선이 안정적으로 으깨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에서 제1분리유닛(10)은 제1분리망(17)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을 간헐적으로 타격하는 제1분리충격기(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분리충격기(16)는 제1분리망(17)의 가장자리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에 대응하여 지지브라켓(14)에 결합되는 실린더부(161)와, 제1분리망(17)의 가장자리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을 가압하도록 실린더부(16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161)가 동작되면, 피스톤부(162)의 왕복 이동에 따라 피스톤부(162)가 제1분리망(17)의 가장자리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을 타격하여 제1분리망(17)에 잔류하는 생선살을 제1분리망(17)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안착브라켓(132)은 안착로드(133)에서 승강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피스톤부(162)에 의한 타격이 분리호퍼(12)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분리충격기(16)는 제1안착브라켓(131)에 대하여 제2안착브라켓(132)을 탄성 지지하는 분리탄성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분리충격기(16)는 이탈방지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64)는 안착로드(133)에 결합되고, 안착로드(133)에서 제2안착브라켓(132)의 승강 이동 거리를 제한하며, 안착로드(133)에서 제2안착브라켓(1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부(162)의 끝단부에는 피스톤부(162)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1분리망(17)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에 접촉되는 푸셔부(165)가 결합될 수 있다. 푸셔부(165)는 가압 전에 제1분리망(17)과 제2안착브라켓(132)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푸셔부(165)는 제1분리망(17)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을 가압할 때, 피스톤부(162) 또는 제1분리망(17)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푸셔부(165)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부(161)의 동작에 따라 피스톤부(162)가 제1분리망(17)을 향해 이동하면, 푸셔부(165)는 제1분리망(17)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을 타격하고, 분리탄성부(163)가 탄성 변형되어 분쇄날(155)로부터 제1분리망(17)이 이격된 상태에서 제1분리망(17)을 요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부(161)의 동작에 따라 피스톤부(162)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분리탄성부(163)의 탄성복원력으로 제1분리망(17)과 제2안착브라켓(132)이 원위치로 복귀하고, 분쇄날(155)이 제1분리망(17)에 지지되므로, 다시 회전되는 분쇄날(155)에 의해 생선을 으깰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푸셔부(165)는 초기 상태에서 제1분리망(17) 또는 제2안착브라켓(132)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에서 제1분리유닛(10)은 생선분쇄기(15)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생선분쇄기(15)와 제1분리충격기(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에는 생선분쇄기(15)에 인가되는 전원 또는 생선분쇄기(15)에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하는 제1구동제어부(18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구동제어부(181)는 제1분리충격기(16)에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에는 생선분쇄기(15)와 제1분리충격기(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제1스위치(18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분리유닛(20)은 바닥에 지지되는 제2바디(21)와, 제2바디(21)에 결합되는 축브라켓(22)과, 제2분리망(26)이 구비된 상태에서 제2바디(21)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축브라켓(22)에서 이격 배치되는 망브라켓(23)과, 망브라켓(23)이 피벗 운동하도록 망브라켓(23)에 결합되는 제2분리충격기(25)와, 제2분리충격기(25)를 동작시켜 망브라켓(23)을 피벗 운동시키는 생선살분리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1)에도 높이조절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바디(21)의 높이조절부(80)는 축브라켓(22)의 설치 높이 또는 망브라켓(23)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분리망(26)에는 제1분리망(17)과 같이 으깨어진 생선의 생선살이 통과하는 다수의 배출공(미도시)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분리망(26)은 메쉬 구조가 구비됨으로서, 배출공(미도시)에 대응되는 메쉬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축브라켓(22)은 지지브라켓(14)과 같이 제2바디(21)에 결합된 별도의 로드부(미도시)를 매개로 제2바디(21)의 상부에서 이격될 수 있다.
망브라켓(23)은 제2안착브라켓(132)과 같이 제2분리망(26)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거나 중공의 링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바디(21)에는 망브라켓(23)의 피벗 운동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미도시)는 망브라켓(23)의 피벗 운동시 망브라켓(23)이 유동되거나 떨리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여 제2분리망(26)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생선살분리기(24)는 망브라켓(23)의 피벗 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리구동부(241)와, 제2분리충격기(25)의 분리회전캠(254)에 결합되어 분리구동부(241)의 회전력에 의해 분리회전캠(254)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44)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구동부(241)는 인가되는 전원 또는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리모터부(242)를 포함하고, 분리모터부(242)에 결합되어 회전축(244)의 회전비를 조절하는 분리감속부(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분리충격기(25)는 망브라켓(23)에 결합되는 걸림로드(251)와, 망브라켓(23)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걸림로드(251)에 결합된 상태로 축브라켓(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축(252)과, 피벗축(252)에 돌출 형성되는 피벗로드(256)와, 일측이 피벗로드(256)에 링크 결합되는 피벗링크(253)와, 피벗링크(253)의 타측이 링크 결합되는 분리회전캠(25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구동부(241)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은 분리회전캠(25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벗축(252)은 180도보다 작은 회전 반경에서 피벗 운동되므로, 망브라켓(23)에 지지된 제2분리망(26)은 수평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고, 제2분리망(26)에 수용된 생선살을 안정되게 거를 수 있다.
제2분리충격기(25)는 제2바디(21) 또는 축브라켓(22)에 구비되어 망브라켓(23)의 충격을 완충시키거나, 망브라켓(23)과 함께 피벗 운동되는 걸림로드(251)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탄성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에서 제2분리유닛(20)은 생선살분리기(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부(27)에는 생선살분리기(24)에 인가되는 전원 또는 생선살분리기(24)(24)에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하는 제2구동제어부(27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제어부(27)에는 생선살분리기(24)의 동작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제2스위치(27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는 제2분리유닛(20)에 구비되어 제2분리망(26)에서 배출되는 생선살이 저장되는 생선살저장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선살저장조(70)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살 분리장치는 생선살저장조(70)를 운반하는 운반카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생선살 분리장치에 따르면,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의 분리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전체 생선 대비 분리된 생선살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생선을 간편하게 으깰 수 있고, 으깨진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1분리유닛(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분리망(17)으로 생선의 투입을 간편하게 하고, 분리된 생선살이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안착브라켓(13)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분리호퍼(12)로부터 제1분리망(17)을 이격시킬 수 있고, 분리호퍼(12) 내에서 제1분리망(17)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분리충격기(16)를 통해 제1분리망(17)을 털어줄 수 있고, 제1분리망(17)에 잔류하는 생선살을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분리충격기(16)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2안착브라켓(132)에 지지된 제1분리망(17)의 요동을 안정화시키고, 제1분리망(17)의 요동에 대하여 분쇄날(155)이 간섭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또한, 이탈방지부(164)의 추가 구성을 통해 안착브라켓(13)에서 제2안착브라켓(1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분리망(17)의 요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생선살분쇄기의 세부 구성을 통해 생선의 으깨짐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1분리망(17)에서 생선살이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분쇄날(155)의 한정을 통해, 제1분리망(17)에 투입된 생선을 제1분리망(17)과 분쇄날(155) 사이로 유도할 수 있고, 생선뼈와 같이 단단한 부분은 용이하게 분쇄날(155)을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제2분리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분리유닛(10)에서 1차로 분리된 생선살을 안정되게 거를 수 있고, 생선살의 거름 과정에서 제2분리망(26)에 잔류하는 생선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분리충격기(25)의 세부 구성을 통해 안정된 회전력으로 망브라켓(23)의 피벗 운동을 안정화시키고, 제2분리망(26)에 안정된 충격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완충탄성부(255)의 부가 구성을 통해 망브라켓(23)이 피벗 운동될 때, 제2바디(21)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제2바디(21)에 대하여 망브라켓(23)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생선살분리기(24)의 세부 구성을 통해 분리회전캠(254)을 안정되게 회전시키면서 망브라켓(23)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생선살저장조(7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제2분리망(26)에서 배출되는 최종 생선살을 저장하였다가 운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제1분리유닛 11: 제1바디 12: 분리호퍼
13: 안착브라켓 131: 제1안착브라켓 132: 제2안착브라켓
133: 안착로드 14: 지지브라켓 141: 지지로드
15: 생선분쇄기 151: 분쇄구동부 152: 분쇄모터부
153: 분쇄감속부 154: 분쇄축 155: 분쇄날
1551: 날개중심 1552: 고정날개부 1553: 탄성날개부
16: 제1분리충격기 161: 실린더부 162: 피스톤부
163: 분리탄성부 164: 이탈방지부 165: 푸셔부
17: 제1분리망 18: 제1제어부 181: 제1구동제어부
182: 제1스위치 20: 제2분리유닛 21: 제2바디
22: 축브라켓 23: 망브라켓 24: 생선살분리기
241: 분리구동부 242: 분리모터부 243: 분리감속부
244: 회전축 25: 제2분리충격기 251: 걸림로드
252: 피벗축 253: 피벗링크 254: 분리회전캠
255: 완충탄성부 256: 피벗로드 26: 제2분리망
27: 제2제어부 271: 제1구동제어부 272: 제2스위치
30: 전달유로 40: 밸브 50: 유로브라켓
60: 운반카트 70: 생선살저장조 80: 높이조절부

Claims (7)

  1. 제1분리망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어서 상기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분리하는 제1분리유닛;
    제2분리망에 투입되는 상기 생선살을 거르는 제2분리유닛; 및
    상기 제1분리유닛에서 분리된 상기 생선살이 상기 제2분리망에 투입되도록 상기 생선살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전달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유닛은,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닥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콘 형상이 구비되는 분리호퍼;
    상기 분리호퍼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리망이 지지되는 안착브라켓;
    상기 분리호퍼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리망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는 생선분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브라켓은,
    상기 분리호퍼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안착브라켓;
    상기 제1분리망이 지지되도록 상기 제1안착브라켓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안착브라켓; 및
    상기 제1안착브라켓과 상기 제2안착브라켓을 상호 연결시키는 안착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리유닛은,
    상기 제1분리망 또는 상기 제2안착브라켓을 간헐적으로 타격하는 제1분리충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살 분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브라켓은, 상기 안착로드에서 승강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분리충격기는,
    상기 제1분리망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2안착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실린더부;
    상기 제1분리망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2안착브라켓을 가압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제1안착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제2안착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분리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살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선분쇄기는,
    생선을 으깨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쇄구동부;
    상기 분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축; 및
    상기 생선이 으깨지도록 상기 제1분리망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축에 결합되는 분쇄날;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날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분쇄축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살 분리장치.
  5. 제1분리망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어서 상기 생선으로부터 생선살을 분리하는 제1분리유닛;
    제2분리망에 투입되는 상기 생선살을 거르는 제2분리유닛; 및
    상기 제1분리유닛에서 분리된 상기 생선살이 상기 제2분리망에 투입되도록 상기 생선살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전달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유닛은,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닥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콘 형상이 구비되는 분리호퍼;
    상기 분리호퍼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리망이 지지되는 안착브라켓;
    상기 분리호퍼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리망에 투입된 생선을 으깨는 생선분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리유닛은,
    바닥에 지지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는 축브라켓;
    상기 제2분리망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바디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축브라켓에서 이격 배치되는 망브라켓;
    상기 망브라켓이 피벗 운동하도록 상기 망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분리충격기; 및
    상기 제2분리충격기를 동작시켜 상기 망브라켓을 피벗 운동시키는 생선살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살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리충격기는,
    상기 망브라켓에 결합되는 걸림로드;
    상기 망브라켓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축;
    상기 피벗축에 돌출 형성되는 피벗로드;
    일측이 상기 피벗로드에 링크 결합되는 피벗링크; 및
    상기 피벗링크의 타측이 링크 결합되는 분리회전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살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선살분리기는,
    상기 망브라켓의 피벗 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리구동부; 및
    상기 분리회전캠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분리회전캠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살 분리장치.
KR1020180000838A 2018-01-03 2018-01-03 생선살 분리장치 KR10190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38A KR101900218B1 (ko) 2018-01-03 2018-01-03 생선살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38A KR101900218B1 (ko) 2018-01-03 2018-01-03 생선살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218B1 true KR101900218B1 (ko) 2018-09-18

Family

ID=6371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838A KR101900218B1 (ko) 2018-01-03 2018-01-03 생선살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2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6658A (zh) * 2019-08-12 2019-10-15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筛片组合式螺旋挤压鱼类肉刺分离采肉装备
CN113088388A (zh) * 2021-04-01 2021-07-09 福建宏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鱼油制取系统及其工艺
KR20220022185A (ko) 2020-08-18 2022-02-25 서도식 생선 골육분리장치
CN117123485A (zh) * 2023-10-20 2023-11-28 潍坊乐萌宝宠物饲料有限公司 一种鸡肉粉生产用筛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4321B2 (ja) * 2002-04-05 2005-03-30 株式会社ヒガシモトキカイ ソーセージ原料のボーンセパレ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4321B2 (ja) * 2002-04-05 2005-03-30 株式会社ヒガシモトキカイ ソーセージ原料のボーンセパレー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6658A (zh) * 2019-08-12 2019-10-15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筛片组合式螺旋挤压鱼类肉刺分离采肉装备
CN110326658B (zh) * 2019-08-12 2024-01-02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筛片组合式螺旋挤压鱼类肉刺分离采肉装备
KR20220022185A (ko) 2020-08-18 2022-02-25 서도식 생선 골육분리장치
CN113088388A (zh) * 2021-04-01 2021-07-09 福建宏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鱼油制取系统及其工艺
CN113088388B (zh) * 2021-04-01 2023-08-18 福建宏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鱼油制取系统及其工艺
CN117123485A (zh) * 2023-10-20 2023-11-28 潍坊乐萌宝宠物饲料有限公司 一种鸡肉粉生产用筛分装置
CN117123485B (zh) * 2023-10-20 2023-12-26 潍坊乐萌宝宠物饲料有限公司 一种鸡肉粉生产用筛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218B1 (ko) 생선살 분리장치
JP5777560B2 (ja) 養殖貝の自動選別装置
KR101934960B1 (ko) 유충 선별기
EP2708111B1 (en) A combine harvester sieve assembly with an integrated air cleaning system
CN106516116B (zh) 一种用于飞行器上的天敌释放装置
RU2769903C2 (ru)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KR101463570B1 (ko) 패육 자숙 및 분리 장치
KR102580714B1 (ko) 세열 가공을 수행하는 육류 커팅 장치
CN103125203B (zh) 油菜、稻麦联合收割机
JP2020028820A (ja) 養殖貝の選別装置 以上
KR20120106097A (ko) 곡물탈곡기
UA127641C2 (uk) Зернозбиральний комбайн
CN109397573A (zh) 一种塑料颗粒筛分设备
KR200416455Y1 (ko) 곡물탈곡기
KR100891184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0639976B1 (ko) 콩 탈곡기
KR20180003147U (ko) 잡곡 내 이물질 정선장치
CN207899606U (zh) 一种离心分离型沙石筛分装置
CN205196338U (zh) 玉米收获机
CN214766751U (zh) 一种茶叶的梗叶分离机
CN105830630A (zh) 一种用于联合收割机的清选输送装置
KR100690955B1 (ko) 곡물 세척 석발기
KR20160010249A (ko) 패육 자숙 및 분리 장치
US5370579A (en) Legume pod thresher
KR200483888Y1 (ko) 검불 배출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탈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