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184B1 -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184B1
KR100891184B1 KR1020070029152A KR20070029152A KR100891184B1 KR 100891184 B1 KR100891184 B1 KR 100891184B1 KR 1020070029152 A KR1020070029152 A KR 1020070029152A KR 20070029152 A KR20070029152 A KR 20070029152A KR 100891184 B1 KR100891184 B1 KR 10089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wing
removal
slit
scree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239A (ko
Inventor
정광모
Original Assignee
정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모 filed Critical 정광모
Priority to KR1020070029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1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한 해태원초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슬릿이 형성된 이물질 선별기를 이용하여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처리조를 구성하고, 처리조의 내부공간에 관통슬릿이 형성된 스크린통과, 관통슬릿에 삽입되어 슬릿을 따라 진자운동하는 제거날개를 가지는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관통슬릿의 양측단부에 삽입되어 제거날개의 진자운동에 따라 양측이 시소운동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측면날개를 가지는 측면날개부로 구성되는 이물질 선별기를 처리조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형성하며, 이물질 선별기의 이물질 제거날개가 원호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스크린통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날개와 측면날개를 구비한 이물질 선별기에 의해 유입된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선별되므로 작업효율을 상승시킨다. 또한, 측면날개에 의해 이물질에 의한 과부하 및 제거날개 파손이 방지되므로 고장발생 원인이 최소로 되고 기계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기계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며, 관리가 용이하다.
해태, 김, 이물질 제거장치, 선별장치, 이물질.

Description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f Lav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질 제거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 적용되는 이물질 선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의 경사날개와 측면날개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a)(b)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와 종래 이물질 제거장치를 비교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10 : 처리조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청소구 20 : 이물질 선별기
30 : 이물질 제거날개부 40 : 측면날개부
50 : 선별 스크린통 51 : 관통슬릿
60 : 구동수단 70 : 자동제어장치
A : 이물질 처리공간
본 발명은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한 해태원초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슬릿이 형성된 이물질 선별기를 이용하여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laver)은 습체로서, 해태(海苔)라고도 칭하며 인체에 있어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alginic acid를 함유하는 해조류이다. 또한, 지방은 거의 없으며 단박질 함량이 풍부하고 비타민 B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풍부한 무기질은 빈 혈치료와 골격 및 치아형성에 중요한 구실을 하고 요오드는 갑상선부종을 방지하며 모발을 아름답게 해준다.
통상 이러한 해태는, 바다에서 채취된 해태원초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세척 및 절단 단계와, 초제 단계와, 탈수 단계, 건조 단계 및 발장 분리 단계로 이루어져 건조김으로 가공된다.
이와 같이 건조김으로 가공되는 해태원초에는 해태를 양식할 때 사용되었던 로우프 또는 각종 일반 해초류 및 운반 과정중에 불의하게 유입되는 갑각류의 껍질, 새우충, 생해태 표면의 규조(珪藻) 등 각종 이물질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건조김으로 제조하기에 앞서 상기 해태원초로부터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은 필수적인 과정으로 선행되어 왔다.
도 1, 도 2 그리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공급부(110)가 설치되고 저면에 배출구(140)가 형성된 처리조(100)와, 처리조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날개(420)를 가지는 회전자(400)와, 볼록면(510)을 가지는 상면에 관통슬릿(511)이 복수로 뚫린 이물질 선별기(500)와, 이물질 선별기의 각 관통슬릿에 일단이 진자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처리조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물질 분리기(600)와, 회전자와 이물질 분리기를 회동시키는 모터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800)에 의하면, 상기 모터부재(700)의 회전력이 풀리(710)와 밸트부재(720)를 통해 회전자(400)에 전달되어 회전자를 회동시키고, 풀리(710)와 왕복로드(650)를 이용해 이물질 제거기(600)를 진자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500)의 관통슬릿(511)을 통과해 해태원초(200)가 빠져나가고 이물질(300)은 상기 관통슬릿(511)에 걸리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기(600)의 제거날개(630)의 진자운동에 의해 이물질 선별기(500)의 관통슬릿에 걸린 이물질(300)이 제거되고 처리조(100)의 저면에 쌓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진자운동을 형성하기 위해 이물질 제거기(600)를 구성하는 회전축(610)이 처리조(100)의 중앙을 가로질러 이물질 선별기(5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진자운동을 하는 제거날개(630)과 이물질 선별기의 관통슬릿(511)은 서로 다른 진자운동 궤적 및 원호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물질 선별기(500)의 관통슬릿(511)을 이물질 제거기(600)의 제거날개(630)가 진자운동하면서 상기 슬릿(51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물질 선별기의 관통슬릿(511)이 제거날개(630)의 진자운동 궤적안에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610)과 이물질 선별기(500)와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선별기(500)의 폭(a)은 제거날개(630)의 진자운동안에 관통슬릿(511)이 포함될 수 있도록 좁게 형성할 수 밖에 없고, 상기 이물질 제거기(600)의 제거날개(630)은 길이(b)를 길게 형성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50)의 관통슬릿(511)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제거날개(630)가 닿지 않는 틈새공간(c)이 형성되는데, 상기 틈새공간(c)에 이물질이 걸려 계속 쌓이게 되고, 상기 쌓인 이물질에 제거날개(630)가 걸려 손상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해태원초내의 이물질 제거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날개의 원호왕복운동에 따라 관통슬릿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관통슬릿의 측단부를 청소하는 측면날개를 형성하여,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고 이물질에 의한 과부하 및 제거날개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거날개의 원호왕복운동을 주관하는 회동축이 관통슬릿이 형성된 스크린통의 하부측에 형성되도록 해, 상기 관통슬릿의 원호형상을 보다 완만하고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제거날개의 크기를 줄여 이물질 제거 효율을 증대시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크게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유입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해태원초를 흡입하여 슬릿에 이물질이 걸리도록 하여 제거날개 및 측면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선별기와, 상기 제거날개 및 측면날개를 구동 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처리조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탱크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해수와 함께 유입되고 개폐가능한 유입구와,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가 토출되고 개폐가능한 배출구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고 개폐가능한 청소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선별기는,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슬릿이 둥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스크린통과, 일단이 관통슬릿에 삽입되고 회동축이 상기 스크린통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원호왕복운동 궤적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거날개가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을 지나도록 형성된 이물질 제거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이물질 선별기는, 필요에 따라 상기 스크린통의 전후측에 위치하여 일단이 관통슬릿의 양측단부에 삽입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하는 이물질 제거날개부에 의해 시소운동하여 양측이 번갈아가며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측면날개를 가지는 측면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이물질 선별기가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데, 크게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동캠과, 상기 회동캠과 축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외부로드와, 상기 제1 외부로드와 일단이 축연결되고 타단이 회동축에 의해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제1 외부로드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함께 원호왕복운동하는 제2 외부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또한, 상기 이물질 선별기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는 "ㄷ"자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스크린통의 하부에 회동축에 의해 고정되고, 일단의 회동축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호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는, 측면지지대와 제거날개 지지대 그리고 제거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측면지지대는 상기 스크린통의 양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구동수단과 회동축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하고, 상기 스크린통측으로 돌출되어 원호왕복운동할 때 측면날개부와 접촉·충돌하는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거날개 지지대는, 상기 양측 측면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통의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왕복운동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거날개는, 관통슬릿에 대응되는 수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거날개 지지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지지대와 제거날개 지지대의 운동에 따라 함께 원호왕복운동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선별기의 측면날개부는 "ㅁ"자 형상으로, 상기 스크린통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통의 양측에 형성된 부분의 중심이 시소축에 의해 고정되며, 원호왕복운동하여 관통슬릿의 측단부로 이동하는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접촉·충돌하여 상기 시소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날개부는, 가로지지대와 측면날개 지지대 그리고 측면날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가로지지대는 좌우로 벌어진 "V"자 형상으로, 상기 스크린통의 양측에 중심이 시소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일측이 접촉하여 시소운동하며 양단부에 장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는, 상기 양측 가로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된 장공과 장공에 결합하고,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된 가이드봉이 관통되어, 상기 가로지지대가 시소운동할 때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수직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날개는,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의 측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와 함께 상하수직운동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날개는 관통슬릿에 삽입되는 부분이 외부 하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의 처리조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탱크 형상으로, 상부 일측에 상기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와,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밸브를 형성하고, 하부면 일측에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가 토출되는 배출구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청소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처리조의 유입구, 해수 유입구, 배출구와 청소구에 전자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밸브 및 에어밸브와 연결되어 이들이 자동으로 개폐가능하게 하며,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된 자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 적용되는 이물질 선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1)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유입되는 처리조(10)로 구성되는데,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선별하고 해태원초를 외부로 토출하는 스크린통(50)과, 상기 스크린통(50)을 포함하여 스크린통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날개부(30)와 측면날개부(40)로 구성된 이물질 선별기(20)를 상기 처리조(10)의 내부공간에 형성하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20)의 이물질 제거날개부(30)와 측면날개부(40)가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처리조(10)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를 충분히 담을 수 있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탱크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해수와 함께 유입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이물질을 제거한 해태원초를 펌핑·흡입하여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배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처리조(10)는 상기 유입구(11)와 별도로 해수만을 처리조(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해수 유입구(11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에 상기 이물질 선별기(2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에어밸브(v1)와 개폐가능한 청소구(13)가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11)와 해수 유입구(11a) 및 에어밸브(v1)는 처리조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와 청소구(13)는 처리조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처리조(10)는 하부면에 상부가 개구되고 상기 배출구(12)와 연통된 해태 흡입통(15)이 내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가 개구된 해태 흡입통(15)의 상부에 이물질 선별기(20)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처리조(10)의 내부 양측에는 필요에 따라 내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판(14)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14)과 경사판 사이에 상기 이물질 선별기(20)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경사판(14)은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이물질 선별기(20)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0)의 하부면에 형성된 해태 흡입통(15)은 상기 처리조(10)의 하부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바, 상기 해태 흡입통(15)과 양측의 경사판(14) 사이 공간에는 상기 이물질 선별기(20)에서 걸려진 이물질이 쌓이는 이물질 처리공간(A)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처리조(10)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이물질 처리공간(A)에모인 상기 해태원초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에어밸브(v1)와 청소구(13)를 이용해 외 부로 배출하여 처리된다.
더불어, 상기 처리조(10)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처리조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커버(16)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조(10)는 지지부(17)에 의해 설치되는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20)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통(50)과, 상기 스크린통(50)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날개부(30)와 측면날개부(40)로 구성되는데, 상기 선별 스크린통(50)은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흡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관통슬릿(51)이 상면에 둥근 원호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는, 바람직하게 "ㄷ"자 형상을 가지는데, 양단이 상기 스크린통(50)의 하부에 회동축(64)에 의해 고정되고, 일단의 회동축(64)은 상기 구동수단(60)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호왕복운동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는 일측에 상기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관통슬릿을 포함하는 원호왕복운동 궤도에 따라 왕복운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날개(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날개부(40)는, 바람직하게 "ㅁ"자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스크린통(5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통(50)의 양측에 위치된 부분의 중심이 시소축(44)에 의해 고정되며, 원호왕복운동하여 관통슬릿(51)의 측단부로 이동하는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와 일측이 접촉함에 따라 상기 시소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날개부(40)는, 상기 스크린통(50)의 전후측에 위치하여 감싸고 일단이 상기 관통슬릿(51)의 양측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의 운동에 따라 시소운동하여 양측이 번갈아가며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측면날개(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질 선별기(20)는 스크린통(50)이 처리조(10)의 하부면에 형성된 해태 흡입통(15)의 개구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그 상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스크린통(50)은 상부면이 볼록한 돔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을 따라 관통슬릿(51)은 원호형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외부 펌핑력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을 통과하게 되는데, 부드러운 해태원초는 상기 관통슬릿을 통과하여 처리조(10)의 해태 흡입통(15)을 통과해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지만,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슬릿(51)에 걸린 이물질을 이물질 제거날개부(30)와 측면날개부(40)가 쳐서 상기 처리조(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이물질 처리공간(A)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는 상기 스크린통(50)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대(31)와, 상기 양측의 측면지지대(31)를 연결하여 고정결합된 제거날개 지지대(32)와, 상기 제거날개 지지대(32)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과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 제거날개(33) 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통(50)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지지대(31)는 일측이 구동수단(60)과 상기 스크린통(50)의 하부측에 형성된 회동축(64)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구동수단(60)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하는 축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수단(60)과 연결된 회동축(64)은 상기 처리조(10)의 하부 일측 측면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브라켓(18)과 실링부재(19)에 의해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와 외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지지대(31)의 일측에는 상기 스크린통(50)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31a)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돌기(31a)는 상기 회동축(64)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측면지지대(31)가 왕복운동하여 스크린통의 관통슬릿(51)의 측단부측에 위치할 때 측면날개부(40)의 일측과 충돌하여 상기 측면날개부(40)가 시소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31a)는 필요에 따라 양측 측면지지대(31)에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일측 측면지지대(31)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날개 지지대(32)는 상기 스크린통(50)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지지대(31)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통(50)의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지지대(31)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거날개(33)는 상기 제거날개 지지대(32)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이 스크린통의 관통슬릿(5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지지대(31)가 외부 구동수단(60)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할 때 상기 제거날개 지지대 (32)와 제거날개(33) 또한 원호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원호왕복운동하는 제거날개(33)가 형성하는 궤도는 회동축(64)이 스크린통(50)의 하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통의 관통슬릿(51)이 형성하는 원호를 포함하는 궤도로서, 이에 따라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에 걸린 이물질은 상기 제거날개(33)의 원호왕복운동의 궤적에 걸려 스크린통(50)의 측방향으로 분리되고 처리조(10)의 이물질 처리공간(A)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날개부(40)는 중심이 상기 스크린통(50)의 하부에 형성된 시소축(4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크린통(50)의 양측에 형성된 가로지지대(41)와, 상기 양측 가로지지대(41)를 연결하여 스크린통(50)의 양측을 감싸는 측면날개 지지대(42)와,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에 상기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 측면날개(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지지대(41)는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시소축을 중심으로 "v" 자 형상을 가지는데, 이물질 제거날개부(30)의 측면지지대(31)와 동일한 측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시소축(44)을 중심으로 내각이 120°이상 좌우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가 스크린통의 관통슬릿(51)을 따라 원호왕복운동할 때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의 측면지지대(31)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31a)에 일측이 접촉하여 그 힘에 의해 좌우로 시소운동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41)의 양단부에는 측면날개 지지대(4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장공(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측면날개 지지대(42)는 시소운동하는 양측 가로지지대 (41)의 장공(41a)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장공(41a)에 끼워지는 부분은 봉형상으로 상기 장공(41a)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 측면날개 지지대(42)는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된 가이드봉(53)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가로지지대(41)가 시소운동할 때 측면날개 지지대(42)는 상기 가이드봉(53)을 따라 상하로 수직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날개(43)는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이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의 측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가 상하 수직운동할 때 같이 수직운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측면날개부(40)의 움직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의 측면지지대(31)가 왕복운동하여 제거날개(33)가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의 측단부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측면지지대(31)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31a)는 상기 측면날개부(40)의 일측 가로지지대(41)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가로지지대를 하부로 내리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가로지지대(41)는 시소축(44)을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진 "v"자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돌기(31a)에 의해 눌린측은 내려가고 반대측은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올라간 가로지지대(41)측과 연결된 측면날개 지지대(42)는 상기 가로지지대(41)의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봉(5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측면날개(43)는 관통슬릿(51)의 측단부에 끼어져 있던 이물질을 쳐 올리면서 상기 이 물질을 스크린통(50)에서 분리하여 제거한다.
또한, 상기 측면날개부(40)의 가로지지대(41)는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가 결합되는 부위에 장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는 스크린통(50)의 측방향으로 처리조(10)의 해태 흡입통(15)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저면판(52)에 상부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가이드봉(53)에 의해 양측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53)을 따라 상하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는 양측에 관통홈(42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42a)에 상기 가이드봉(53)이 관통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가로지지대(41)의 장공(41a)과 측면날개 지지대(42)를 관통한 가이드봉(53)에 의해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는 관통슬릿(51)의 형상에 따라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움직이지 않고 상하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날개(43)는 관통슬릿(51)에 끼워진 날이 외부로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날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가 상하직선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의 측단부에 위치된 측면날개(43)는 상기 관통슬릿(51)에 끼인 이물질을 내부로 밀어넣지 않고 경사면을 이용해 외부로 떨어지게 한다.
재차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처리조(10)의 외부에는 이물질 선별기(20)가 작동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60)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수단(60)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M)와, 회동캠(61) 및 다수개의 로드(62, 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M)는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조(10)의 외부 일측에 위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처리조(10)의 내부에 경사판(14)을 이용하여 해태원초를 포함한 해수가 유입되지 않는 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사공간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캠(61)은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로드는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이물질 제거날개부(30)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캠(61)에 회동가능하게 축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외부로드(62)와, 상기 제1 외부로드(62)의 일단이 축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의 일측 측면지지대(31)와 회동축(64)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상기 회동축(64)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외부로드(62)의 왕복운동에 따라 원호왕복운동하는 제2 외부로드(6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외부로드(63)와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의 일측 측면지지대(31)는 상기 회동축(64)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동축(64)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외부로드(63)와 측면지지대(31)는 동일한 원호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의 경사날개와 측면날개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1)는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를 이물질 선별기(20)로 유인하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20)의 이물질 제거날개부(30)와 측면날개부(40)를 이용하여 선별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에 끼인 이물질을 처리조(10)의 이물질 처리공간(A)으로 모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에 걸린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통(50)의 하부측에 형성된 회동축(64)을 중심으로 원호왕복운동하는 이물질제거 날개부(30)에 의해 먼저 제거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 날개부(30)의 제거날개 지지대(32)에 상기 관통슬릿(51)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 제거날개(33)가 형성하는 원호왕복운동 궤적은 상기 관통슬릿(51)의 원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제거날개(33)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관통슬릿(51)의 이물질은 제거되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슬릿(51)을 따라 이동하는 제거날개(33)에 의해 관통슬릿(51)의 측단부에 끼어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은 측면날개부(40)의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제거되는데, 이때 상기 측면날개부(40)의 측면날개 지지대(42)는 이물질제거 날개부(30)의 진자운동에 따라 측면지지대(31)의 돌기(31a)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가로지지대(41)와 스크린통(50)의 저면판(52)에 형성된 가이드봉(53)을 따라 상하직선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42)에 형성된 측면날개(43)는 상하로 직선운동하면서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 측단부에 끼인 이물질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측면날개(43)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1)는 이물질제거 날개부(30)와 측면날개부(40)를 가지는 이물질 선별기(20)에 의해 이물질을 처리조(10)의 이물질 처리공간(A)으로 선별이동시키고, 상기 처리조(10)의 하부에 구성된 청소구(13)와 에어밸브(v1)를 통해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 제거 과정을 반복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어지는 공정으로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를 이송하게 되는데, 도 10(a)(b)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으로, 재차 도 4와 도 10(a)(b)를 참조하여 해태원초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어지는 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해태원초를 유입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처리조(10)에 형성된 유입구(11)와 해수 유입구(11a), 배출구(12) 및 청소구(13)는 전자밸브(v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에 형성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자동제어장치(7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가 형성된 자동제어장치(70)는 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제어장치(70)에 의해 처리조(10)의 유입구(11), 해수 유입구(11a), 배출구(12), 청소구(13) 및 에어밸브(v1)는 필요 공정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고, 구동수단(60)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이물질 제거장치의 동작을 결정한다.
우선,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바다에서 채취한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해수와 함께 처리조(10)내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처리조(10)의 청소구(13)와 배출구(12), 에어밸브(v1) 및 해수 유입구(11a)는 닫힌 상태로 유입된 해태원초는 처리조 내 경사판(14)에 의해 이물질 선별기(2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유입구(11)는 닫히고 처리조(10)의 배출구(12)가 열리면서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외부에 형성된 펌핑장치의 펌핑력을 이용해 해태원초를 외부 로 토출시킨다.
이때, 상기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는 외부 펌핑력에 의해 이물질 선별기(20)의 선별 스크린통(50)의 관통슬릿(51)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관통슬릿(51)에 의해 이물질만이 걸려 선별되고 부드러운 해태원초는 해수와 함께 상기 관통슬릿(51)을 통과하여 처리조(10)의 해태 흡입통(15)으로 모아지고 하부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구동수단(60)에 의해 스크린통(50)의 하부측에 형성된 회동축(64)을 중심으로 원호왕복운동하는 이물질 선별기(20)의 이물질 제거날개부(30)는 상기 관통슬릿(5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30)의 운동에 따라 시소운동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측면날개부(40)에 의해 상기 관통슬릿(51)의 측단부에 끼인 이물질 또한 제거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된 이물질은 상기 처리조(10)의 이물질 처리공간(A)에 모이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배출구(12)를 닫고, 해태원초와 함께 토출된 해수를 보충하기 위해 해수 유입구(11a)를 열고 해수를 처리조(10)내로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해수는 상기 해수 유입구(11a)를 통해 공급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유입구(11)를 통해 처리조(10)에 해수가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처리조(10)내로 유입된 해수에 의해 바닥부에 깔려있던 남은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는 재차 유동하게 되고 이물질 선별기(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재차 상기 이물질 선별기(2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펌핑되어 이송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필요수만큼 반복하여 해태원초와 이물질을 분리한 다음, 배출구(12)를 닫고 처리조(10)의 청소구(13)를 열어 외부 펌핑력에 의해 이물질 처리공간(A)에 쌓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제거시키는데, 이때, 상기 처리조(10)의 내부는 닫힌 상태에서 외부 펌핑장치에 의해 강제로 해수 및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를 배출구(12)를 통해 펌핑하여 외부로 이송시켰기 때문에 진공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구(13)를 이용해 남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10)에 형성된 에어밸브(v1)를 열어 공기가 처리조내로 유입되게 하여 상기 청소구(13)를 통한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이물질을 청소한 다음 재차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를 처리조(10)내로 유입시키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처리한다.
이와 같은 이물질 처리공정은 자동제어장치(70)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처리시간을 단축하여 이물질 제거효율을 증대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와 종래 이물질 제거장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의 (a)와 같이, 종래의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제거날개(630)를 이용하여 관통슬릿(511)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진자운동하는 회동축(610)이 처리조(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610)을 중심으로 제거날개(630)는 하부로 진자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610)이 형성하는 진자운동 궤도와 상기 관통슬릿(511)이 형성하는 원호가 중심이 반대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어긋나 있어 상기 관통 슬릿(511)의 측단부에 끼인 이물질은 제거하기 어려우며 상기 관통슬릿(511)의 폭(a)을 길게 형성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거날개(630)의 길이(b) 또한 최대한 관통슬릿(511)을 통과하게 형성하기 위해 길게 형성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도 11의 (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축(64)이 처리조(10)의 스크린통 하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제거날개(33)는 상기 관통슬릿(51)의 원호를 포함할 수 있는 원호왕복운동 궤적을 가지면서 원호왕복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거날개(33)에 의해 관통슬릿(51)에 끼인 이물질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거날개(33)가 형성하는 원호왕복운동 궤적은 관통슬릿(51)의 원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관통슬릿(51)의 폭(d)을 최대한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원호왕복운동 궤적내에 관통슬릿의 원호가 포함되기 때문에 제거날개(33)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거날개(33)가 형성하는 원호왕복운동 궤적과 관통슬릿(51)이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을 회동축(64)을 중심으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제거날개(33)를 최대한 작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0)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축(64)에 의해 상기 처리조(10)의 높이 또한 종래의 처리조(100)보다 작으면서도 높은 처리효율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스크린통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날개와 측면날개를 구비하여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선별되므로 작업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면날개에 의해 이물질에 의한 과부하 및 제거날개 파손이 방지되므로 고장발생 원인이 최소로 되고 기계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기계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며,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해태원초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탱크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해수와 함께 유입되고 개폐가능한 유입구와,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가 토출되고 개폐가능한 배출구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고 개폐가능한 청소구가 형성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슬릿이 둥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스크린통과, 일단이 관통슬릿에 삽입되고 회동축이 상기 스크린통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원호왕복운동 궤적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거날개가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을 지나도록 형성된 이물질 제거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물질 선별기와;
    상기 이물질 선별기가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기는, 상기 스크린통의 전후측에 위치하여 일단이 관통슬릿의 양측단부에 삽입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하는 이물질 제거날개부에 의해 시소운동하여 양측이 번갈아가며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측면날개를 가지는 측면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동캠과, 상기 회동캠과 축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외부로드와, 상기 제1 외부로드와 일단이 축연결되고 타단이 회동축에 의해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제1 외부로드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함께 원호왕복운동하는 제2 외부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는 "ㄷ"자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스크린통의 하부에 회동축에 의해 고정되고, 일단의 회동축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호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는,
    상기 스크린통의 양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구동수단과 회동축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하고, 상기 스크린통측으로 돌출되어 원호왕복운동할 때 측면날개부와 접촉·충돌하는 돌기가 형성된 측면지지대와;
    상기 양측 측면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통의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왕복운동하는 제거날개 지지대와;
    상기 제거날개 지지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지지대와 제거날개 지지대의 운동에 따라 함께 원호왕복운동하는 다수개의 제거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부는 "ㅁ"자 형상으로, 상기 스크린통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통의 양측에 형성된 부분의 중심이 시소축에 의해 고정되며, 원호왕복운동하여 관통슬릿의 측단부로 이동하는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접촉하여 상기 시소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부는,
    좌우로 벌어진 "V"자 형상으로, 상기 스크린통의 양측에 중심이 시소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일측이 접촉하여 시소운동하며 양단부에 장공이 형성된 가로지지대와;
    상기 양측 가로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된 장공과 장공에 결합하고,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된 가이드봉이 관통되어, 상기 가로지지대가 시소운동할 때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수직운동하는 측면날개 지지대와;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의 측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와 함께 상하수직운동하는 측면날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8. 제 2항,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부의 측면날개는 관통슬릿에 삽입되는 부분이 외부 하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9. 해태원초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탱크 형상으로, 상부 일측에 상기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와,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밸브를 형성하고, 하부면 일측에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가 토출되는 배출구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청소구가 형성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슬릿이 둥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스크린통과, 일단이 관통슬릿에 삽입되고 회동축이 상기 스크린통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원호왕복운동 궤적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거날개가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을 지나도록 형성된 이물질 제거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물질 선별기와;
    상기 이물질 선별기가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처리조의 유입구, 해수 유입구, 배출구와 청소구에 전자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밸브 및 에어밸브와 연결되어 이들이 자동으로 개폐가능하게 하며,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된 자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기는, 상기 스크린통의 전후측에 위치하여 일단이 관통슬릿의 양측단부에 삽입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하는 이물질 제거날개부에 의해 시소운동하여 양측이 번갈아가며 상하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측면날개를 가지는 측면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개부는,
    상기 스크린통의 양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구동수단과 회동축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원호왕복운동하고, 상기 스크린통측으로 돌출되어 원호왕복운동할 때 측면날개부와 접촉·충돌하는 돌기가 형성된 측면지지대와;
    상기 양측 측면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통의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왕복운동하는 제거날개 지지대와;
    상기 제거날개 지지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지지대와 제거날개 지지대의 운동에 따라 함께 원호왕복운동하는 다수개의 제거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부는,
    좌우로 벌어진 "V"자 형상으로, 상기 스크린통의 양측에 중심이 시소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이물질 제거날개부와 일측이 접촉하여 시소운동하며 양단부에 장공이 형성된 가로지지대와;
    상기 양측 가로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된 장공과 장공에 결합하고,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된 가이드봉이 관통되어, 상기 가로지지대가 시소운동할 때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수직운동하는 측면날개 지지대와;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스크린통의 관통슬릿의 측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날개 지지대와 함께 상하수직운동하는 측면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70029152A 2007-03-26 2007-03-26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9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152A KR100891184B1 (ko) 2007-03-26 2007-03-26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152A KR100891184B1 (ko) 2007-03-26 2007-03-26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239A KR20080087239A (ko) 2008-10-01
KR100891184B1 true KR100891184B1 (ko) 2009-04-01

Family

ID=4014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152A KR100891184B1 (ko) 2007-03-26 2007-03-26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1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28B1 (ko) 2009-03-26 2009-12-09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286732B1 (ko) 2012-01-03 2013-07-16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76937Y1 (ko) * 2014-02-11 2015-04-17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20220022805A (ko) * 2020-08-19 2022-02-28 정광모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81B1 (ko) * 2011-10-25 2013-02-12 강신탁 물김용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22A (ko) * 1998-05-20 1998-08-17 장윤선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9990011801U (ko) * 1998-12-12 1999-03-25 박진원 해태 원초의 이물질 여과장치
KR200198814Y1 (ko) 2000-05-08 2000-10-02 장윤선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60033672A (ko) * 2004-10-15 2006-04-19 윤 선 장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022A (ko) * 1998-05-20 1998-08-17 장윤선 해태엽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9990011801U (ko) * 1998-12-12 1999-03-25 박진원 해태 원초의 이물질 여과장치
KR200198814Y1 (ko) 2000-05-08 2000-10-02 장윤선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60033672A (ko) * 2004-10-15 2006-04-19 윤 선 장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28B1 (ko) 2009-03-26 2009-12-09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286732B1 (ko) 2012-01-03 2013-07-16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76937Y1 (ko) * 2014-02-11 2015-04-17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20220022805A (ko) * 2020-08-19 2022-02-28 정광모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407793B1 (ko) * 2020-08-19 2022-06-10 정광모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239A (ko)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184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CN106695921B (zh) 金针菇切割清洗装置
CN108576860B (zh) 用于清洗莲藕的装置
CN107649372A (zh) 一种农作物种子加工装置
KR100926765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930628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667709B1 (ko)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KR101138102B1 (ko) 콩 탈곡기의 콩과 이 물질 분리장치
KR101900218B1 (ko) 생선살 분리장치
CN108514925A (zh) 番茄籽分离装置
KR100690955B1 (ko) 곡물 세척 석발기
CN209711458U (zh) 一种脱水蔬菜去石机
KR200242209Y1 (ko) 야채류 세정기
KR200476937Y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86548Y1 (ko) 잡곡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03911B1 (ko) 참깨 자동 가공장치
CN210226851U (zh) 一种双孢菇快速除水装置
KR102083117B1 (ko) 정량공급유닛을 가지는 콩나물 세척장치
CN107736431A (zh) 一种鱼脏清理装置
KR101286732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63342B1 (ko) 탈수 장치
RU24109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жима сока
KR102571634B1 (ko) 땅콩 탈곡장치
KR102392030B1 (ko) 물김 이물질 분리기
KR200482859Y1 (ko) 패류의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