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732B1 -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732B1
KR101286732B1 KR1020120000749A KR20120000749A KR101286732B1 KR 101286732 B1 KR101286732 B1 KR 101286732B1 KR 1020120000749 A KR1020120000749 A KR 1020120000749A KR 20120000749 A KR20120000749 A KR 20120000749A KR 101286732 B1 KR101286732 B1 KR 10128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pipe
foreign matter
haitai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955A (ko
Inventor
정광모
Original Assignee
정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모 filed Critical 정광모
Priority to KR102012000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7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처리조의 내부에서 이물질 선별기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환될 수 있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해수와 함께 유입되는 처리조,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해초원초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선별기, 이물질 선별기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되도록 처리조를 회전시키는 처리조 회전부, 및 처리조의 내부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고 이물질 선별기에 의해 이물질이 선별된 해태원초를 처리조 외부로 유출시키되, 처리조가 회전될 때 상호 엉키지 않도록 마련된 해태원초 유출 및 유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E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 OF LAVER}
본 발명은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기가 처리조의 내부에서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 가능하게 마련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Laver)은 습체로서, 해태(海苔)라고도 칭하며 인체에 있어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 있는 알지닉산(Alginic acid)을 함유하는 해조류이다.
또한, 지방은 거의 없으며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고 비타민 B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풍부한 무기질은 빈혈치료와 골격 및 치아형성에 중요한 구실을 하고 요오드는 갑상선 부종을 방지하여 모발을 아름답게 해준다.
통상 해태는 바다에서 채취된 해태원초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세척 및 절단하는 단계와, 초제 단계와, 탈수 단계와, 건조 단계 및 분리 단계로 이루어져 건조 김으로 가공된다.
이와 같이 건조 김으로 가공되는 해태원초에는 해태를 양식할 때 사용되었던 로프 또는 각종 일반 해초류 및 운반 과정 중에 원치않게 유입되는 갑각류의 껍질, 새우충, 생 해태 표면의 규조(硅藻) 등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은 필수적인 과정으로 선행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0628호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처리조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의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관통슬릿이 형성된 이물질 선별기와, 이물질 선별기의 각 관통슬릿에 일단이 진자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물질 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개시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처리조가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처리조 내부의 이물질 선별기는 처리조 하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물질 선별기가 처리조 하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이물질 선별기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이물질 분리기의 제거날이 진자운동되어 관통슬릿에 끼인 이물질의 제거 시 관통슬릿의 좌우측에 쌓이게 되어 이와 같이 쌓인 이물질로 인해 제거날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물질 선별기가 처리조 하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고 제거된 이물질로 인해 제거날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이물질 선별기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설치 및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처리조가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처리조 내에서 이물질 선별기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편의 및 해태원초의 종류에 따라 이물질 선별기의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물질 선별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해수와 함께 유입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해초원초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선별기; 상기 이물질 선별기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되도록 상기 처리조를 회전시키는 처리조 회전부; 및 상기 처리조의 내부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에 의해 이물질이 선별된 해태원초를 상기 처리조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처리조가 회전될 때 상호 엉키지 않도록 마련된 해태원초 유출 및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조 회전부는, 상기 처리조의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핸들과, 상기 회전핸들과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핸들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태원초 유출부는, 상기 처리조에 연결되는 제1유출관;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는 제2유출관; 및 상기 제1유출관과 제2유출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통시키며, 상기 처리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처리조가 회전될 때 상기 제1유출관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2유출관이 회전되지 않게 하는 제1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관은, 상기 처리조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출관의 출구단이 연결되는 제1회전관과, 상기 제1회전관에 삽입되되 상기 제1회전관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2유출관의 입구단이 연결되는 제1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전관의 외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출관 상에는 진공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태원초 유입부는, 외부의 별도의 장치와 연결되는 제1유입관; 상기 처리조와 연결되는 제2유입관; 및 상기 제1유입관과 상기 제2유입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통시키며, 상기 처리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처리조가 회전될 때 상기 제2유입관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유입관이 회전되지 않게 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관은 상기 제1고정관의 동축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입관의 출구단이 연결되는 제2고정관과, 상기 제2고정관에 삽입되며, 상기 제2유입관의 입구단이 연결되어 상기 처리조의 회전 시 회전되는 제2회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입관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물질 선별기의 좌측과 우측에 교대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도록 분기되어 상기 처리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입관과 상기 제2유출관의 사이에는 상기 제2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해태원초를 다시 상기 처리조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마련된 전환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처리조의 내부에서 이물질 선별기가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수평상태와,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고 제거된 이물질로 인해 제거날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상태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처리조가 처리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는 제1유출관 및 제2유입관이 회전되지 않고 처리조와 연결되는 제2유출관 및 제1유입관이 회전되므로 해태원초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배관이 서로 엉키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방향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질 선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의 처리조 회전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의 원초 유입부 및 원초 유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제1원초유입밸브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이물질 선별부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이물질 선별부가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 사이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프레임(5)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해수와 함께 유입되는 처리조(10)와, 이 처리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해초원초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선별기(20)와, 이물질 선별기(20)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되도록 처리조(10)를 회전시키는 처리조 회전부(30)와, 처리조(10)의 내부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고 이물질 선별기(20)에 의해 이물질이 선별된 해태원초를 처리조(10) 외부로 유출시키되,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상호 엉키지 않도록 마련된 해태원초 유입 및 유출부(40,50)를 포함한다.
처리조(10)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를 충분히 담을 수 있고, 이물질 선별기(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처리조(10)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유입되는 두 개의 유입구(미도시)와,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를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또, 처리조(10)에는 유입구를 통해 해태원초 및 해수가 유입되도록 처리조(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에어밸브(11)와, 이물질 선별기(20)에서 걸러져 처리조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청소부(13)가 설치된다. 이때의 에어밸브(11)는 처리조(10) 내부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청소부(13)를 통해 청소할 때에는 공기를 유입시켜 처리조(10)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한다.
이물질 선별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통(21)과, 이 스크린통(21)을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3)와, 이물질 제거부(23)가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유닛(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린통(21)은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흡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관통슬릿(22)이 둥근 원호형상으로 다수개 마련된다. 이러한 스크린통(21)은 관통슬릿(22)을 통해 이물질을 걸러낸 해태원초를 처리조(10) 외부로 유출할 수 있도록 유출구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물질 제거부(23)는 몸체(24)와, 이 몸체(24)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제거날개(25)를 포함한다.
몸체(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원호형상으로 마련되는 스크린통(처리조의 내부에서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스크린통)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24)의 양단에는 후술할 구동유닛(26)의 회전링크(29)와 축 고정되는데, 이때의 몸체(24)는 회전링크(29)의 축을 중심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거날개(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24)로부터 연장되는데, 이러한 제거날개(25)는 스크린통(21)의 각 관통슬릿(22)의 사이로 삽입되어 몸체(24)의 왕복운동 시 각 관통슬릿(22)에 의해 선별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물질을 포함한 해태원초가 외부 펌핑력에 의해 흡입되어 스크린통(21)의 각 관통슬릿(22)을 통과하는데, 부드러운 해태원초는 관통슬릿(22)을 통과하여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지만,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은 스크린통(21)의 관통슬릿(22)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관통슬릿(22)에 걸린 이물질은 이물질 제거부(23)의 왕복운동을 통해 제거되어 처리조(10)의 내부에 쌓이게 된다.
구동유닛(26)은 구동모터(27)와, 구동모터(27)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캠(28)과, 회전캠(28)과 이물질 제거부(23)의 몸체(24)와 각 단이 연결되는 회전링크(29)를 포함한다.
처리조 회전부(30)는 이물질 선별기(20)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되도록 처리조(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처리조 회전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0)의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33)과, 이 회전축(3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핸들(31)과, 회전핸들(31)과 회전축(33)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핸들(31)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35)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회전핸들(31)을 조작하여 회전시키면 이 회전핸들(31)의 회전력이 감속기(35)를 통해 감속된 후 회전축(33)에 전달되고, 이와 같이 회전축(33)이 회전되면 이 회전축(33)과 연결된 처리조(10) 역시 회전된다.
다만, 본 발명의 처리조 회전부(30)는 360도 회전되는 것이 아닌 처리조(10) 내부의 이물질 선별기(20)가 수평 및 수직상태로 변환될 수 있도록 90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태원초 유출부(40)는 상술한 바와 이물질 선별기(20)에 의해 이물질이 선별된 해태원초를 외부 즉, 절단기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태원초 유출부(4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0)에 연결되는 제1유출관(41)과, 외부의 절단기와 연결되는 제2유출관(43)과, 제1유출관(41)과 제2유출관(43)의 사이에 배치되어 처리조 회전부(30)에 의해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제1유출관(41)을 회전시키면서 제2유출관(43)이 회전되지 않게 하는 제1연결관(45)을 포함한다.
제1유출관(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선별기(20)에 의해 선별된 해태원초를 처리조(10)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유출관(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입구단이 처리조(10)에 형성되는 유출구에 연통되고 그 출구단이 제1연결관(45)에 연통된다.
제2유출관(43)은 제1유출관(41)을 통해 처리조(10)의 외부로 유출된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를 제1연결관(45)을 거쳐 외부의 절단기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유출관(43) 상에는 처리조(10)의 내부의 해태원초가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펌핑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44)가 설치된다.
또, 제2유출관(43) 상에는 해태원초 유출부(40)를 통해 이물질이 선별된 해태원초를 다시 처리조(10)로 유입시켜 다시 한번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제2유출관(43)과 후술할 해태원초 유입부(50)의 제1유입관(51)을 상호 연결하는 전환관(63)이 마련된다. 이러한 전환관(63) 상에는 이 전환관(63)을 개폐하는 전환밸브(64)가 설치되며, 이때의 전환밸브(64)는 후술할 제1원초유입밸브(5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제1연결관(4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유출관(41)과 제2유출관(43)을 상호 연통시키며, 처리조 회전부(30)에 의해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제1유출관(41)은 회전되면서도 제2유출관(43)이 회전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제1연결관(45)은 처리조(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1유출관(41)이 연결되는 제1회전관(46)과, 이 제1회전관(46)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유출관(43)이 연결되는 제1고정관(47)을 포함한다.
제1회전관(4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출관(41)의 출구단이 연결되는데, 처리조(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처리조(10)의 회전과 연동된다. 즉, 제1회전관(46)은 처리조(10)의 회전 시 이 제1회전관(46)과 연결되는 제1유출관(41) 역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의 제1회전관(46)의 외면에는 이 제1회전관(46)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4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관(4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관(46)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러한 제1고정관(47)은 제2유출관(43)의 입구단이 연결되는데, 처리조(10)의 회전과 연동되지 않는다. 즉, 제1고정관(47)은 처리조(10)의 회전 시 연동되지 않으므로 제1유출관(41)이 연결되는 제1회전관(46)이 회전되어도 외부의 절단기와 연결되는 제2유출관(43)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2유출관(43)이 엉키지 않게 한다. 이때의 제1고정관(47)과 제1회전관(46)의 사이에는 이 제1연결관(45)을 통해 이동되는 해태원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49)가 장착된다.
해태원초 유입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조(10) 내부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태원초 유입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저장조와 연결되는 제1유입관(51)과, 처리조(10)와 연결되는 제2유입관(53)과, 제1유입관(51)과 제2유입관(53)의 사이에 배치되어 처리조 회전부(30)에 의해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제1유입관(51)은 회전되지 않으면서도 제2유입관(53)이 처리조(10)의 회전과 연동되게 하는 제2연결관(55)을 포함한다.
제1유입관(5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저장된 외부의 저장조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유입관(51) 상에는 외부의 저장조에 저장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1원초유입밸브(52)가 설치된다. 제1원초유입밸브(52)는 제1유입관(51) 상에 설치되어 입구와 출구를 갖는 몸체(52a)와, 몸체(52a)의 내부를 관통하여 몸체(52a)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로드(52c)를 갖는 실린더(52b)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스톤로드(52c)의 단부에는 이 피스톤로드(52c)의 왕복운동 시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2d)가 장착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제1원초유입밸브(52)의 몸체(52a)에는 처리조(10)의 내부로 해태원초와 더불어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해수유입관(61)이 연결된다. 이러한 해수유입관(61) 상에는 제1원초유입밸브(5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해수유입밸브(62)가 설치된다. 또, 해수유입관(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원초유입밸브(52)의 몸체(52a)에 연결되는데, 제1유입관(51)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제2유입관(5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유입관(51)을 통해 안내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를 해수와 함께 처리조(10)의 내부로 직접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유입관(53)은 처리조 회전부(30)에 의해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처리조(10)의 움직임과 연동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의 제2유입관(53)은 처리조(10)의 내부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되, 처리조(10) 내부에 설치된 이물질 선별기(20)의 좌측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분기된다. 이와 같이 제2유입관(53)을 분기시키는 것은 제2유입관(53)을 통해 처리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태원초가 처리조(10)의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분산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2유입관(53)의 출구단에는 처리조(10)의 내부로 해태원초와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제2원초유입밸브(54)가 설치된다. 이때의 제2원초유입밸브(54)는 제1유입관(51) 상에 설치된 제1원초유입밸브(52)와 동일한 구성을 갖되, 제2유입관(53)의 출구단이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입구와 두 개의 출구를 갖도록 마련된다.
제2연결관(5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유입관(51)과 제2유입관(53)을 상호 연통시키며, 처리조 회전부(30)에 의해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제2유입관(53)은 회전되면서도 제1유입관(51)이 회전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제2연결관(5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45)과 동축 상에 마련되며, 제1유입관(51)이 연결되는 제2고정관(56)과, 이 제2고정관(47)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2유입관(53)이 연결되는 제2회전관(57)을 포함한다.
제2고정관(5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입관(51)의 출구단이 연결된다. 즉, 제2고정관(56)은 제1고정관(47)과 동축 상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처리조(10)의 회전 시 이 제2고정관(56)에 연결되는 제1유입관(51)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저장조와 연결되는 제1유입관(51)이 엉키지 않게 한다.
제2회전관(5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입관(53)의 입구단이 연결된다. 이러한 제2회전관(57)은 제2고정관(56)의 사이로 삽입되며, 처리조(10)의 회전과 연동된다. 즉, 제2회전관(57)은 처리조(10)의 회전 시 이 제2회전관(57)과 연결되는 제2유입관(53) 역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의 제2회전관(57)과 제2고정관(56)의 사이에는 제2연결관(55)을 통해 이동되는 해태원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59)가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통해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해태원초 유입부(50)를 이용하여 처리조(10)의 내부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해태원초를 유입시킨다.
상기의 과정은 제1유입관(51)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1원초유입밸브(52)를 개방하여 외부의 저장조에 저장되어 있는 해태원초를 유입시키고, 이와 같이 제1유입관(51)으로 유입된 해태원초는 제1연결관(45)을 거쳐 제2유입관(53)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유입관(53)으로 이동된 해태원초는 제2원초유입밸브(54)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된 이물질 선별기(2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유입시킨다.
이어서 처리조(10)의 내부로 유입된 해태원초는 해태원초 유출부(40) 상에 설치된 진공펌프(44)를 가동하여 처리조(10) 내부로 유입된 해태원초가 스크린통(21)의 관통슬릿(22)을 거쳐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해태원초는 제1유출관(41)과 제2연결관(55) 및 제2유출관(43)을 차례대로 거치면서 외부의 절단기로 유출된다.
상기의 해태원초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과정에서 스크린통(21)의 관통슬릿(22)을 거친 해태원초는 이물질이 선별되는데, 이와 같이 선별된 이물질은 이물질 제거부(23)를 통해 제거된다. 이때의 이물질 제거부(23)는 구동유닛(26)에 의해 구동되어 각 관통슬릿(22)에 걸러진 이물질을 처리조(10)의 내부에 쌓이게 한다.
이때,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를 처리조(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과정과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과정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밸브(11)를 닫은 상태에서 해태원초 유출부(4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를 외부로 유출시키면 처리조(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이 진공력에 의해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해태원초 유입부(50)를 통해서 처리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23)를 통해 제거되어 처리조 내부에 쌓인 이물질은 처리조에 형성된 청소부(13)의 개방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청소부(13)에 설치된 청소구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때의 과정에서 에어밸브(11)를 개방하여 처리조(10)의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처리조를 회전시키는 것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물질 선별기(20)를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도 7에서는 이물질 선별기(20)가 수직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처리조 회전부(30)의 회전핸들(31)을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이 회전핸들(31)과 연결된 감속기(35)를 통해 회전핸들(31)의 회전력이 감속된 후 회전축(33)에 전달된다. 그리고 회전축(33)이 회전되면 이 회전축(33)과 연결된 처리조(10)가 회전되어 처리조(10) 내부의 이물질 선별기(2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처리조 회전부(30)를 통해 처리조(1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처리조(10)에 연결되는 제1유출관(41)과 제2유입관(53)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회전관(46)과 제2회전관(57)이 처리조(10)의 회전과 연동되는 반면에,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는 제2유출관(43)과 제1유입관(51)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고정관(47)과 제2고정관(56)은 처리조(10)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처리조(10)의 내부에서 이물질 선별기(20)가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수평상태와,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고 제거된 이물질로 인해 제거날개(2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상태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물질의 제어가 용이한 수직상태로 사용하다가 이물질 선별기(20)를 관리할 경우 수평상태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처리조(10)가 처리조 회전부(30)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는 제1유출관(41) 및 제2유입관(53)이 회전되지 않고 처리조(10)와 연결되는 제2유출관(43) 및 제1유입관(51)이 회전되므로 해태원초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배관이 서로 엉키지 않게 된다.
10 : 처리조 11 : 에어밸브
13 : 청소부 20 : 이물질 선별기
21 : 스크린통 22 : 관통슬릿
23 : 이물질 제거부 24 : 이물질 제거부의 몸체
25 : 제거날개 26 : 구동유닛
27 : 구동모터 28 : 회전캠
29 : 회전링크 30 : 처리조 회전부
31 : 회전모터 33 : 회전축
35 : 감속기 40 : 해태원초 유출부
41 : 제1유출관 43 : 제2유출관
44 : 진공펌프 45 : 제1연결관
46 : 제1회전관 47 : 제1고정관
48 : 베어링 49 : 실링부재
50 : 해태원초 유입부 51 : 제1유입관
52 : 제1원초유입밸브 53 : 제2유입관
54 : 제2원초유입밸브 55 : 제2연결관
56 : 제2고정관 57 : 제2회전관
59 : 실링부재 61 : 해수유입관
62 : 해수유입밸브 63 : 전환관
64 : 전환밸브

Claims (10)

  1.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원초가 해수와 함께 유입되는 처리조(10);
    상기 처리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해초원초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선별기(20);
    상기 이물질 선별기(20)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변환되도록 상기 처리조(10)를 회전시키는 처리조 회전부(30); 및
    상기 처리조(10)의 내부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고 상기 이물질 선별기(20)에 의해 이물질이 선별된 해태원초를 상기 처리조(10)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상호 엉키지 않도록 마련된 해태원초 유출 및 유입부(40,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회전부(30)는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33)과, 상기 회전축(3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핸들(31)과, 상기 회전핸들(31)과 상기 회전축(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핸들(31)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태원초 유출부(40)는,
    상기 처리조(10)에 연결되는 제1유출관(41);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는 제2유출관(43); 및
    상기 제1유출관(41)과 제2유출관(4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통시키며, 상기 처리조 회전부(30)에 의해 상기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상기 제1유출관(41)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2유출관(43)이 회전되지 않게 하는 제1연결관(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45)은,
    상기 처리조(10)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출관(41)의 출구단이 연결되는 제1회전관(46)과,
    상기 제1회전관(46)에 삽입되되 상기 제1회전관(46)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2유출관(43)의 입구단이 연결되는 제1고정관(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관(46)의 외면에는 베어링(4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출관(43) 상에는 진공펌프(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태원초 유입부(50)는,
    외부의 별도의 장치와 연결되는 제1유입관(51);
    상기 처리조(10)와 연결되는 제2유입관(53); 및
    상기 제1유입관(51)과 상기 제2유입관(5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통시키며, 상기 처리조 회전부(30)에 의해 상기 처리조(10)가 회전될 때 상기 제2유입관(53)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유입관(51)이 회전되지 않게 하는 제2연결관(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55)은 상기 제1고정관(47)의 동축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입관(51)의 출구단이 연결되는 제2고정관(56)과,
    상기 제2고정관(56)에 삽입되며, 상기 제2유입관(53)의 입구단이 연결되어 상기 처리조(10)의 회전 시 회전되는 제2회전관(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관(53)은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물질 선별기(20)의 좌측과 우측에 교대로 해태원초를 유입시키도록 분기되어 상기 처리조(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관(51)과 상기 제2유출관(43)의 사이에는 상기 제2유출관(43)을 통해 유출되는 해태원초를 다시 상기 처리조(10)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마련된 전환관(63)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20000749A 2012-01-03 2012-01-03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8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749A KR101286732B1 (ko) 2012-01-03 2012-01-03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749A KR101286732B1 (ko) 2012-01-03 2012-01-03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955A KR20130079955A (ko) 2013-07-11
KR101286732B1 true KR101286732B1 (ko) 2013-07-16

Family

ID=4899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749A KR101286732B1 (ko) 2012-01-03 2012-01-03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7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493Y1 (ko) 2001-03-21 2001-10-08 이철규 해태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70092555A (ko) * 2006-03-10 2007-09-13 윤 선 장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0891184B1 (ko) 2007-03-26 2009-04-01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30628B1 (ko) 2009-03-26 2009-12-09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493Y1 (ko) 2001-03-21 2001-10-08 이철규 해태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70092555A (ko) * 2006-03-10 2007-09-13 윤 선 장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0891184B1 (ko) 2007-03-26 2009-04-01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30628B1 (ko) 2009-03-26 2009-12-09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955A (ko)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10325A1 (en) A filter unit, a textile treatment apparatus, use thereof and a method of filtering microparticles
KR102489664B1 (ko) 세탁기
DE19980578C2 (de) Wasch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m Filtern von Schmutz im Waschwasser
KR100891184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30628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AU2016259814A1 (en) Pool cleaning apparatus with a filtration device that can be extracted via a lateral face
KR101286732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WO2016026727A1 (de) Unterwasser-reinigungsmaschine
KR100926765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CN108138429B (zh) 洗衣机
US20180073188A1 (en) Washing machine
CN103028569B (zh) 瓶塞清洗机
KR200476937Y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CN106823813A (zh) 叶片驱动旋转离心分离提取装置
CN208800455U (zh) 一种新型中药循环水洗药机
CN203002688U (zh) 瓶塞清洗机
CN106387007A (zh) 一种具有羽毛收集和循环冲洗功能的自动脱毛机
KR102334065B1 (ko) 갑각류 원심 분리기
KR102125649B1 (ko) 해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06587602U (zh) 叶片驱动旋转离心分离提取装置
CN208641983U (zh) 一种漂染污泥脱水装置
CN201380000Y (zh) 气流染色机的一种新型过滤器装置
CN207568865U (zh) 快速自吸泵组
WO2016034371A1 (de) Unterwasser-reinigungsmaschine mit einer filtereinrichtung
CN208362689U (zh) 可过滤染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