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672A -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672A
KR20060033672A KR1020040082875A KR20040082875A KR20060033672A KR 20060033672 A KR20060033672 A KR 20060033672A KR 1020040082875 A KR1020040082875 A KR 1020040082875A KR 20040082875 A KR20040082875 A KR 20040082875A KR 20060033672 A KR20060033672 A KR 20060033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ole
foreign matter
sump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 선 장
Original Assignee
윤 선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선 장 filed Critical 윤 선 장
Priority to KR102004008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3672A/ko
Publication of KR2006003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다에서 채집하는 해태에는 이물질이 함께 수거되므로 이물질은 진자운동을 하는 이물질 선별대로 걸러내고 해태와 해수는 이물질 선별캡의 슬릿을 통하여 챔버에 공급되도록 하는 해태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량하여 이물질 선별캡의 슬릿에 끼워진 이물질에 대한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물질 선별캡이 설치된 챔버의 바닥에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의 저면 둘레에는 실링테가 구비된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의 하단에는 상기 통공에 대응된 크기의 개구와 상기 통공을 통과한 해수와 해태를 수용하며, 진공흡입펌프가 연결되는 배수관이 구비된 집수통을 설치하여 상기 챕버와 집수통을 잠금부재로 결합분리하는 구성으로 이물질이 선별캡의 슬릿에 끼워진 상태를 집수통에서 분리되는 챔버의 저면 통공을 통해 선별캡의 저면에서 제거하여 해태이물질 제거의 성능과 선별캡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청결성의 유지와 장치의 개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챔버, 이물질선별부재, 선별캡의 슬릿내면, 챔버의 저면 통공, 실링, 집수통, 잠금부재, 힌지부재, 받침부재

Description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lin substance in moss}
도1은 종래의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에 대한 내부구조를보인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대한 챔버의 통공에 선별캡과 덮개판을 설치하는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대한 챔버의통공에 선별캡과 덮개판을 설치하는 다른 구성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대한 챔버의 저면에 집수통을 설치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대한 집수통에서 챔버의 회전이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대한 집수통에 이물질선별부재를 구비한 상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대한 이물질선별부재를 구비한 집수통과 챔버의 개방상태도.
도8은 도7에 대한 챔버 개방상태에서 통공을 통해 선별캡의 슬릿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챔버 103 : 공급관 105 : 통공
110 : 선별캡 111 : 슬릿 120 : 씰링
130 : 덮개판 200 : 이물질 선별부재 240 : 행거부재
300 : 집수통 301 : 개구 311 : 통공
320 : 배수구 323 : 덮개판 330 : 받침다리
340 : 잠금부재 350 : 힌지부재 370 : 받침부재
400: 이물질선별부재 500: 선별캡 510 : 슬릿
본 발명은 바다에서 해태를 채집할 때 자동적으로 함께 수거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해태만을 공급하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태는 바다에서 생육시키고, 일정한 시기에 채집하게 되는 데, 해태의 수거과정에서 양식을 위해 사용했던 나일론 줄과 바다에 떠다니는 부유물등이 같이 수거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혼합된 해태를 육지로 이동시켜 소정의 장소에 준비해둔 탱크에 부어 세척을 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해태에 섞인 이물질을 해수에서 건저내는 제거작업은 용이하지 않아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인원을 늘려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서 이물질이 탱크의 바닥에 가라앉는 것도 있어 해태엽체와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해 내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처럼 해태에 섞인 이물질은 제거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특허 제260649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35133호를 제안한 바 있다.
특히. 특허 제260649호(이하 선 발명이라 함)는 해태엽체가 해수와 함께 일시 저장되는 소정용적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급부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챔버부재(10)와, 챔버부재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내부공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를 가지는 회전자(40)와, 챔버부재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 상부에 설치되며 챔버부재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모자형상으로 되며 그상부가 원호적으로 형성되어 배출구와 연통되는 길고 가느다란 홀(51)이 상면에 복수로 뚫린 이물질선별기(50)와, 이물질 선별기의 각 홈에 일단이 진자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챔버부재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물질 분리기(60)와, 상기 회전자와 이물질 분리기를 회동시키는 모터부재(70)로 된 구성을 제공한 바 있는 데, 선 발명에서는 공급부를 통하여 챔버부재에 해수와 이물질이 섞인 해태를 공급하고, 이 상태에서 모터부재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자와 이물질 분리기(60)가 구동하여 회전자는 해수의 파동을 일으키고, 이물질 분리기는 이물질 선별기의 길고 가느다란 홈을 따라 시계추와 같은 진자운동을 한다. 이때 배출구에 연결된 진공펌프가 흡입 작용을 하게 되면 해수와 해태는 이물질 선별기의 가느다란 홈을 통하여 챔버부재의 외부로 빠져 나가게 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해태가 해수의 이동과 함께 이물질 선별기의 가느다란 홈을 빠져나갈 때 해태보다 굵은 이물질은 자연적 가느다란 홈에 걸리면서 틈새를 막아 버려 해수와 해태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나, 진자운동을 하는 이물질 분리기의 일단이 가느다란 홈에 흡착된 이물질은 들어올리는 상태를 이루어 해수와 해태의 이동은 정상적인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가느다란 홈에 흡착되는 이물질과, 흡착상태를 진자운동으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해태의 배출이 완료될 때 까지 반복한 후 진공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챔버부재 내부공간에는 이물질만 남게 되고, 이들은 챔버부재에 별도로 용수를 공급하여 청소구를 열면 모두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어서 해태와 이물질의 분리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원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다른 선출원에서도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해태에 섞인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 발명 된 구성에서는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 선별기의 가느다란 홈에서 해태와 해수를 흡입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상기 가느다란 홈에 일부가 끼워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가느다란 홈의 틈새를 막기 때문에 작업 후 에는 이물질 선별기의 가느다란 홈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챔버부재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물질 선별기의 표면에 걸려 있는 것은 청소가 가능하지만 원호면의 내부에 걸려있는 이물질은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선 발명에서 이물질 선별기의 원호면 내부에 걸린 이물질을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되므로, 매우 심각한 기술적 인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선 발명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물질은 걸리고, 해태와 해수는 통과하는 슬릿의 내면도 청소를 용이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이물질 선별캡이 설치된 챔버의 바닥에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의 저면 둘레에는 실링테가 구비된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의 하단에는 상기 통공에 대응된 크기의 개구와 상기 통공을 통과한 해수와 해태를 수용하며, 진공흡입펌프가 연결되는 배수관이 구비된 집수통을 설치하여 상기 챕버와 집수통을 잠금부재로 결합분리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선별부재가 구비된 챔버, 상기 챔버의 저면을 관통시켜 이물질 선별부재의 내면이 노출되게 하는 통공과, 상기 통공이 형성된 저면에 설치하는 스페이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의 하단으로 상기 통공과 유사한 크기의 개구와, 이물질이 걸러진 해수 및 해태를 모아두는 집수공간과, 흡입펌프를 연결하는 배수관, 그리고 이물질선별부재를 더 구비한 집수통을 위치시켜서 상기 챔버와 집수통 사이를 잠금부재로 결합분리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달성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챔버의 통공을 개폐힐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보인 구조도인데, 해태이물질 제거장치는 해수와 이물질이 섞인 해태를 공급하는 공급관(103)과, 내부 청소물 배출을 위한 출수구(106), 그리고 이물질과 해태를 선별하기 위한 이물질선별부재(200)가 구비되고, 저면에 해수와 해태의 배출을 위한 소정 크기의 통공(105)을 형성한 챔버(100), 상기 챔버(100)에 뚫린 통공(105)의 상면에 설치하는 슬릿(111)을 가진 선별캡(110), 상기 통공(105)의 저면에서 결합 분리되는 덮개판(130), 상기 챔버(100)와 덮개판(130) 사이에서 누수를 방지하도록 통공(105)과 배수구(131) 주위에 밀착되는 실링(120)으로 이루어 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해태의 이물질 제거장치 일실시예에 대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인데, 챔버를 필요에 따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해수와 함께 이물질이 섞인 해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내용적을 가진 챔버(100)의 저면에 통공(105)을 뚫어 형성한다. 상기 통공(105)을 형성함에 있어 선별캡(110))의 바닥면적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챔버(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외부에서 해수와 이물질이 포함된 해태를 공급하는 공급구(103)와 이물질 제거 후 챔버 내부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출수구(106)를 형성한다.
상기 선별캡(110)은 바닥면은 평판형이고, 중앙은 원호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며, 돌출된 원호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폭이 좁은 슬릿(111)을 여러개 형성한다.
상기 챔버(100)의 통공(105) 저면에는 선별캡(110)의 바닥면과 동일한 크기이며 중앙에 통공(141)이 뚫린 스페이서(140)를 위치시킨다. 상기 스페이서(140)의 저면에는 밀착력으로 기밀성이 좋으며, 녹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된 실링(120)을 고정한다.
상기 챔버(100))의 하단에는 해태와 해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적을 갖는 집수통(300)을 위치시킨다. 상기 집수통(300)은 상면에 챔버(100)의 통공(105)과 동일한 크기로 뚫린 개구(301)를 형성하고, 바닥에 통상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배수구(320)와 받침다리(330)를 형성하며 외벽 둘레에는 상기 챔버(100)와 결합 분리를 위한 잠금부재(340)를 설치한다.
상기 잠금부재(340)는 홈이 있는 걸쇠(341)와, 걸쇠(341)에 걸리는 고리와, 고리를 당기는 레버로 이루어진 록크편(343)으로 구성되어 걸쇠(341)는 챔버(100)의 외벽에, 록크편(343)은 집수통(300)외벽에 설치한다.
상기 잠금부재(340)에 의해서 챔버(100)와 집수통(300)은 선택적으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데, 이때의 결합과 분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챔버(100)와 집수통(300)의 일측변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부재(35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재(350)에 의하여 챔버(100)는 집수통(300)에서 지점회동이 가능하고, 이때 회동된 챔버(100)의 안전한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행거부재(240)를 집수통(300)과 챔버(100)에 설치한다.
상기 받침부재(240)는 접혀지고 펼쳐지는 구성으로 된 지지간(243)의 일측은 챔버(100)의 외벽에, 타측은 집수통(300)의 외벽에 설치한다.
또한,회동되는 챔버(100)는 하중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5와 같은 개방상태에서는 하중이 이동된 상태를 이루되어 이동된 하중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챔버(100)의 외벽과 집수통(300)의 받침다리(330)에 접혀지고 펼쳐지는 구조의 받침대(371)로 된 받침부재(370)를 설치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10는 감속모터와 연결된 풀리, 220는 풀리에 연결된 로드, 230는 로드에 연결된 왕복대, 240는 회전축, 250는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대, 251는 선별캡의 슬릿에서 진자운동하는 제거날 등이다.
(실시예 1)
도6은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물질선별부재(200)가 구비된 챔버(100)는 상기 챔버(100)의 저면을 관통시켜 이물질선별부재(200)의 내면이 노출되게 하는 통공(105)과, 상기 챔버(100)의 통공(105)위치에 고정하는 슬릿(111)이 형성된 원호면으로 된 선별캡(110)과, 상기 챔버(100)의 통공(105)저면에 설치하여 수집통(300)과의 밀폐성을 유지하는 실링(12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챔버(100)의 하단으로는 챔버(100)의 통공(141)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한 개구(301)와,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해수 및 해태를 모아두는 공간(310)과, 해수 및 해태를 배출시키는 통공(311), 상기 통공(311)위치 저면에 설치되며 흡입펌프를 연결하는 배수구(320), 그리고 이물질선별부재(400)를 더 구비한 집수통(300)을 위치시킨다.
상기 집수통(300)의 공간(310)바닥에 형성하는 통공(311)은 선별캡(500)의 바닥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뚫어 형성한다.
상기 집수통(300)의 공간(310) 바닥에는 슬릿(510)이 형성된 선별캡(500)을설치하여 슬릿(510)과 통공(311)이 상호 연결되게 하고, 슬릿(510)에는 공간(310) 벽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선별부재(400)의 구동력에 의해 진자운동을 하는 제거날(451)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선별부재(400)가 구비된 집수통(300)의 바닥에 형성된 통공(311)에 배수구(32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집수통(300)의 통공(311)을 선별캡(500)의 바닥면 크기로 형성하고, 배수구(320)를 상기 통공을 폐쇄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된 덮개판(323)의 중앙에 형성하고, 상기 덮개판(323)과 통공(311)사이에 실링(325)을 설치한다.
상기 집수통(300)의 외부에는 받침다리(330)를 형성하며 외벽 둘레에는 상기 챔버와 결합 분리를 위한 잠금부재(340)를 설치한다.
상기 잠금부재(340)는 홈이 있는 걸쇠(341)와, 걸쇠에 걸리는 고리와, 고리를 당기는 레버가 구비된 록크편(345)으로 구성되어 걸쇠(341)는 챔버(100)의 외벽에, 록크편(345)은 집수통(300)외벽에 설치한다.
상기 잠금부재(340)에 의해서 챔버(100)와 집수통(300)은 선택적으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데, 이때의 결합과 분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챔버(100)와 집수통(300)의 일측변을 힌지부재(120)로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재(120)에 의하여 챔버(100)는 집수통(300)에서 힌지부재를 축으로 하여 지점회동이 가능하므로, 이때의 회동시 챔버의 안전한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행거부재(240)를 집수통(300)과 챔버(100)에 설치한다.
상기 행거부재(240)는 접혀지고 펼쳐지는 구성으로 된 지지간(243)의 일측은 챔버(100)의 외벽에, 타측은 집수통(300)의 외벽에 설치한다.
또한, 개방된 챔버(100)에 의해 하중이 이동하게 되면 전도될 염려가 있으므로 받침부재(370을 설치하는 데, 가스압에 의해 신축되는 가스쇼바리프트(380)의 양단을 집수통(300)의 받침다리(330)와 챔버(300)의 외벽면에 각각 설치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10는 감속모터와 연결된 풀리, 420는 풀리에 연결된 로드, 430는 로드에 연결된 왕복대, 440는 회전축, 450는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대, 451는 선별캡의 슬릿에서 진자운동하는 제거날 등이다.
(실시예 2)
상기 해태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챔버(100)와 집수통(300)의 바닥에 소정크기로 통공(105)(311)을 형성하되, 슬릿(111)(510)이 형성된 선별캡(110) (500)의 원호부가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하며, 상기 선별캡(110)(500)원호부의 주변 테두리를 통공(105)(311) 주변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공(105)(311)의 통공저면과, 통공 저면에 밀착되는 선별캡(110)(500)의 테두리 사이에는 실링(120)(32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바다에서 채집한 이물질이 섞인 해태를 공급관(103)을 통해 챔버(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면 해수와 해태는 챔버(100)의 선별캡(110)에 형성된 슬릿(111)을 통하여 별도로 마련된 집수조 또는 챔버(100)의하단에 적층시킨 집수통(300)의 내부 공간(310)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물질은 선별캡(110)의 슬릿(111)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이후 이물질선별부재에 구비된 진공펌프의 전원을 "ON" 하면 감속모터가 구동되어 연결된 풀리(210)는 회전하고, 풀리(210)의 로드(220)는 크랭크운동을 하게 되고, 로드(220)에 연결된 왕복대(230)는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진자운동을 한다. 이처럼 왕복대(230)가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진자운동을 하면 이에 연결된 회전축(240)과 제거날(251)도 소정의 각도로 진자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거날(251)이 선별캡(110)의 슬릿(111)에서 진자운동을 하면 슬릿(111)의 1/2은 개방되고, 폐쇄상태를 반복적으로 이루게 된다.
상기 진공펌프가 구동되면 챔버(100)에 저장된 해수는 배수구(131)을 통하여 흡입작용으로 슬릿(111)을 통하여 강하게 흡입된다. 이로인해 해수와 해태는 선별캡(110)의 슬릿(111)을 통과하지만 굵기가 굵은 이물질들은 굵기 때문에 슬릿(111)을 통과하지 못하고 선별캡(110)의 외면에서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슬릿(111)에 흡착된 상태를 이루고, 이물질의 일부는 강한 흡입력으로 슬릿(111)에 끼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의 현상으로 슬릿(111)이 좁아지게 되므로 해태가 포함된 해수의 통과량은 자연적 감소되고, 통과량의 감소는 진공펌프에 부하가 걸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선별캡(110)의 슬릿(111)에 삽입된 상태의 제거날(251)이 반복적인 진자운동을 하여서 슬릿(111)을 가리고 있는 이물질들을 슬릿(11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해태가 포함된 해수의 통과량이 정상적인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제거날(251)의 진자운동이 선별캡(110)의 슬릿(111)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해태는 해수를 따라 슬릿을 통과하게 되고 이물질들은 슬릿(111)주변에 위치하거나 슬릿(111)내부에 끼워진 상태를 이룬다.
상기 슬릿(111)을 통과한 해태와 해수는 외부의 집수조 또는 도 4내지 도8에 도시한 집수통(300)내부의 공간(310)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곳에서 진공펌프의 구동력으로 배수구(32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수거통으로 배출된다.
해태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작업 후에는 챔버 또는 집수통 내부를 청소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 데, 특히 챔버(100)내부는 상부의 뚜껑(101)을 열고 물과 함께 청소도구로 내부공간을 닦아내고, 출수구(106)를 열어 청소된 물을 모두 배출시킨다. 따라서 선별캡(110)의 주변과 챔버 바닥에 쌓인 이물질들과 모래 및 기타 오물들은 챔버(100)외부로 배출되지만, 선별캡(110)의 슬릿(111)에 끼워진 이물질들은 청소되지 않기 때문에 가위나 칼등의 수공구를 사용하여 슬릿(111)외부에 걸린 이물질들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그렇지만 상기 선별캡(110)의 슬릿(111)내부에 걸린 이물질은 보이지 않아 제거되지 않으므로 도2와 도3의 구성에서는 챔버(100)를 바닥으로 뉘어서 챔버(100)저면에 설치된 덮개판(130)을 분리해내고, 도 4 내지 도 8의 구성에서는 록크부재(340)의 잠김을 해제하여 챔버(100)를 일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힌지부재(350)에 의해 수직방향 90°내지 120°범위 각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집수통(300)과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챔버(100)가 회전이동하면 저면이 노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자연히 통공(105)이 노출되고, 통공(105)을 통해 보이지 않던 선별캡(110)의 내부도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선별캡(110)의 슬릿(111)에 걸려있는 이물질도 노출상태이므로 작업자는 통공(105)을 통해 수공구를 넣어 슬릿(111) 내부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선별캡(110)의 슬릿(111) 외면과 내부 모두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도 4 내지 도 8에서 챔버(100)를 집수통(300)에서 분리하여 통공(105)을 통하여 선별캡(110)의 슬릿(111)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 챔버(110)와 집수통(300)사이에서 펼쳐진 지지간(243)은 챔버(110)가 이상범위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소정의 하중이 있는 챔버(110)가 힌지부재(240)를 기점으로 회전이동할 때 자연적 하중도 중심외부로 이동된 상태가 되어 전도될 위험이 있으나, 집수통(300)의 받침다리(330)에 설치된 받침부재(370)(380)가 챔버(110)의 무게가 집중되는 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므로 하중의 분포상태를 안정되게 하는 작용을 이룬다.
청소할 수 없었던 선별캡(110)의 내부 슬릿(111)을 청소한 후에는 도 2내지 도 3처럼 덮개판(130)을 챔버(110)의 통공(105) 저면에 다시 부착하고, 챔버(1100를 똑바로 세운다.
또는 도4내지 도8처럼 개방상태로 있는 챔버(100)를 닫으면 챔버(100)의 저면에 설치된 실링(120)이 집수통(300)의 상면에 구비된 개구(310)둘레에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고, 록크편(343)의 고리를 챔버(110)의 측면에 설치된 고리(341)에 걸어 잠금상태로 잠그면 실링(325)이 압축되어 챔버(110)와 집수통(300)사이가 밀폐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중 상기 집수통(300)의 내부에 도 6내지 도 8과 같이 또 하나의 선별캡(500)과 제거날(451)이 설치되고 벽면에 해태를 포함한 해수의 공급구(301)가 형성된 구성에서 챔버(110)에 공급된 해수가 선별캡(110)의 슬릿(111)을 통하여 집수통(300)의 내부에 공급될 때 이물질은 이동하지 못하고, 해태만 집수통(300)의 공간(310)으로 이동하여 해태에 포함된 이물질이 자연적 제거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선별캡(110)의 슬릿(111)을 통과하여 집수통(300)에 모인 해수에는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가느다란 이물질이 섞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집수통(300)의 구동부재에 전원을 "ON"하면 집수통(300)에 구비된 제거날(451)이 선별캡(500)의 슬릿(510)에서 진자운동을 하고, 배수구(320)의 진공펌프가 흡입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해수는 흡입력으로 선별캡(500)의 슬릿(510)을 통해 배수구(320)를 따라 다른 위치로 공급되는 것이고, 이때 가느다란 이물질은 선별캡(500)의 슬릿(510)에 걸리게 되어 결국 이중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 집수통(300)의 선별캡(500)에 걸린 이물질을 청소 할 때에는 챔버(100)의 양측면에 록크한 잠금부재(340)를 풀러내고, 챔버(110)를 들어 올리면 챔버(110)와 집수통(300)이 분리되면서 집수통(300)의 개구(301)가 노출되므로 상기 개구(301)를 통하여 내부공간에 청소도구를 넣어 선별캡(110)외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출수구(106)를 열어 이물질과 또 다른 이물질이 챔버(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집수통(300)의 선별캡(500) 슬릿(510)내면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는 이물질 선별장치를 옆으로 뉘어서 집수통(300) 저면에 결합한 덮개판(323)을 분리해 내면 집수통(300)저면의 통공(311)내부가 노출되면서 선별캡(500)의 내부도 노출되어 슬릿(510) 내부에 걸린 이물질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처럼 집수통(300)의 저면 통공(311)을 통하여 슬릿(510)에 걸린 이물질이 확인되면 통공(311)으로 수공구를 넣어 이물질을 제거한 뒤 덮개판(323)을 통공(311)에 덮어 체결요소로 결합하면 덮개판(323)의 실링(325)이 압축되면서 통공(311) 주변을 밀폐시킨다. 이후 뉘었던 이물질 선별장치를 수직하게 세우면 선별캡(500)의 슬릿(510)외뿐만 아니라 내부에 걸린 이물질에 대한 청소작업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선별캡의 슬릿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에서 챔버는 하중을 보유한 상태에서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받침부재는 이동된 하중을 받쳐주는 작용을 이루어 이물질 선별기에 대한 안정성을 유지한다. 또한 행거부재는 선별캡의 슬릿 내부에 걸린 이물질을 청소하는 작업 중에 소정의 각도로 개방된 챔버가 사용자 의사에 반해 닫히는 것을 예방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는 절첩되지 않는 구조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고, 집수통에서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열리는 챔버의 개방각도는 90° 보다 크고 120°보다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물질과 해태를 분리 선별하는 챔버의 저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이에 덮개판 또는 집수통을 결합분리하므로 선별캡의 슬릿내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하여 청소할 수 없었던 슬릿의 내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고, 챔버의 통공 개방은 힌지에 의한 지점회전으로 하중이 있는 챔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선별캡의 슬릿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해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이점과 작업자의 제품취급을 용이하게 한 이점 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9)

  1. 해수와 이물질이 섞인 해태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내부 청소물 배출을 위한 출수구, 그리고 이물질과 해태를 선별하기 위한 이물질선별부재가 구비하고, 저면에 해수와 해태의 배출을 위한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챔버,
    상기 챔버에 뚫린 통공의 저면에서 결합 분리되는 덮개판, 상기 챔버와 덮개판 사이에서 누수를 방지하도록 통공과 배수구 주위에 밀착되는 실링으로 이루어지는 해태이물질 제거장치.
  2. 해수와 이물질이 섞인 해태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내부청소물 배출을 위한 출수구, 그리고 이물질과 해태를 선별하기 위한 이물질선별부재가 구비하고, 저면에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챔버, 상기 통공과 유사한 크기의 개구와, 이물질이 걸러진 해수 및 해태를 모아두는 집수공간과 흡입펌프를 연결하는 배수관이 구비된 집수통, 상시 챔버와 집수통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테로 이루어지며 상기 챔버와 집수통 일측모서리에는 힌지부재, 타측 모서리부에는 잠금부재를 형성하여 소정의 각도로 챔버가 개폐되는 해태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의 내부공간에는 이물질 선별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해태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캡은 챔버의 저면 통공으로 삽입되어 테두리면이 챔버의 저면에 결합되고, 밀착력과 쿠션력이 있는 소재의 실링테를 테두리면의 저면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힌지부재와 대향한 위치에서 챔버의 외벽에 걸쇠를, 집수통의 외벽에는 록크편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가 설치된 챔버와 집수통 사이에는 챔버가 이상범위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혀지고, 펼쳐지는 지지간으로 된 행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이물질 제거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 받침다리와 챔버에는 소정 범위로 개방된 상태에서 하중변화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이물질 제거장치
  8.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의 저면에 선별캡의 바닥면 크기와 유사한 크기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의 저면에는 통공의 주변에 밀착되는 실링과 진공펌프가 연결되는 배수구가 구비된 덮개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이물질 제거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개방 시 90°보다는 크고 120°보다는 작은 범위로 개방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이물질제거장치.
KR1020040082875A 2004-10-15 2004-10-15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60033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75A KR20060033672A (ko) 2004-10-15 2004-10-15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75A KR20060033672A (ko) 2004-10-15 2004-10-15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72A true KR20060033672A (ko) 2006-04-19

Family

ID=3714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875A KR20060033672A (ko) 2004-10-15 2004-10-15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36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184B1 (ko) * 2007-03-26 2009-04-01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93747B1 (ko) * 2007-08-08 2009-04-17 박진원 해태 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76937Y1 (ko) * 2014-02-11 2015-04-17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184B1 (ko) * 2007-03-26 2009-04-01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93747B1 (ko) * 2007-08-08 2009-04-17 박진원 해태 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76937Y1 (ko) * 2014-02-11 2015-04-17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44286A (zh) 一种环保清污系统
CN109372092A (zh) 一种可去渣的污水提升设备
KR20060033672A (ko)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US3909291A (en) Comestible cleaning apparatus
KR20070092555A (ko) 해태엽체의 이물질제거장치
JP4097440B2 (ja) 油水分離回収装置
CN215975023U (zh) 污水处理用粗格栅
CN212347863U (zh) 一种防止抽取储罐底沉淀物的结构装置
CN101332382A (zh) 自控液面的过滤装置
KR100340219B1 (ko) 부유물 제거 선박
CN212559838U (zh) 一种雨水沉积及其消毒清理系统
KR200476937Y1 (ko)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74420Y1 (ko) 곡물세척기
CN208825099U (zh) 一种带升降装置的茶叶清洗机
KR101988375B1 (ko) 에어 스위칭을 이용한 필터 더스팅 구조 개선형 산업진공청소기
CN112392016A (zh) 一种污水处理用固体垃圾打捞装置
CN211141722U (zh) 一种天然气开采用污水处理装置
US5405530A (en) Separator for separating floating and sinking matter from waste water contaminated with said matter
CN212557140U (zh) 新型水菜高效分离机
CN213504176U (zh) 一种脚踩式垃圾桶
KR100260649B1 (ko) 해태엽체의이물질제거장치
CN220609419U (zh) 一种颜料制备加工用固液分离设备
KR100205700B1 (ko) 해변의 모래자갈에 묻은 오일분리장치
CN219671403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排水装置
CN116065546B (zh) 一种河道水面垃圾收集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